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02:14:49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파일:CK_logo_white.png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5 Spring 1차 | Spring 2차
Summer 1 | Summer 2
2016 Spring | Summer 2017 Spring | Summer
2018 Spring | Summer 2019 Spring | Summer 2020 Spring | Summer
리그 구조 개편으로 CK 폐지, 2군 리그 LCK CL 및 연습생 리그 LCK AS 신설 }}}}}}}}}

파일:CK_white_only.png 역대 LOL Challengers Korea 일람
SEORABEOL Gaming AWESOME SPEAR 리그 폐지[1]
2020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파일:2020 CK Summer.png
파일:CK_logo.png
2020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ummer
대회 기간 2020년 6월 18일~ 8월 31일
주최 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19-2022).svg
주관 파일:SBS AfreecaTV 로고.svg
운영 파일:nicegametv logo.png
경기장 프릭업 스튜디오 / 온라인
스폰서 파일:LG-2019-UltraGear.png 파일:HOT6 logo.jpg
중 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 TV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중, 채민준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현우, 임주완, 하광석
}}}
일 정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정규시즌 1라운드
6월 18일 ~ 7월 20일
2라운드
7월 23일 ~ 8월 20일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1라운드
8월 24일
플레이오프 2라운드
8월 27일
결승전
8월 31일
}}}
결 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AWESOME_SPEAR.png AWESOME SPEAR
준우승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in Air Greenwings
파이널 MVP 이채환 (ASP Prince)
All-CK
1st Team
TOP
이상욱 (JAG TaNa)
JGL
엄성현 (JAG UmTi)
MID
이찬주 (JAG Yaharong)
BOT
이채환 (ASP Prince)
SPT
장준수 (ASP Zzus)
Best Coach 차지훈 (JAG Signature)
}}}

1. 상세
1.1. 리그 개최 전 이야기 거리들
2. 경기의 진행
2.1. 정규시즌
2.1.1. 정규시즌 총평2.1.2. Set MVP2.1.3. CK ALL-PRO TEAM
2.2. 포스트시즌
3. 총평4. 리그 폐지 이후 선수, 코치들의 행선지
4.1. 국내 진출4.2. 해외 진출
5. 관련 문서

[clearfix]

1. 상세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파일:CK_logo_white.p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참가팀
}}} ||
파일:ESports_Connectedlogo.png 파일:Griffin_2020.png 파일:AWESOME_SPEAR.png 파일:HyFresh_Blade.png
ESC Shane Griffin AWESOME SPEAR hyFresh BLADE
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 파일:OZ_Gaminglogo.pn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파일:Runawaylogo.png
Element Mystic OZ Gaming Jin Air Greenwings RunAway
2020 LoL Champions Korea Summer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파일:CK_white_only.p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비고
1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AG 12 2 25-10 +15 준우승
2 파일:AWESOME_SPEAR_notext.png ASP 10 4 22-9 +13 우승
3 파일:OZ_Gaming_no_text.png OZ 8 6 18-16 +2 -
4 파일:Runawaylogo.png RNW 7 7 15-17 -2 -
5 파일:팀그리핀.png GRF 5 9 16-19 -3 -
6 파일:HyFresh_Blade.png BRB 5 9 14-21 -7 -
7 파일:ESports_Connected_no_text.png ESC 5 9 13-21 -8 -
8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 EM 4 10 11-21 -10 -
하늘색: 결승전 직행 | 초록색: 준결승전 진출
연두색: 플레이오프 진출 | 노란색: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1.1. 리그 개최 전 이야기 거리들

2. 경기의 진행

2.1. 정규시즌

파일:CK_white_only.p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정규시즌 경기 일람
<colbgcolor=#ffffff,#191919> 1R 1~2주
(6/18~6/26)
3~4주
(6/29~7/10)
5주
(7/13~7/17)
2R 6~7주
(7/20~7/31)
8~9주
(8/3~8/14)
10주
(8/17~8/20)

2.1.1. 정규시즌 총평

이전까지의 챌린저스 리그와는 다르게 서로 쓰로잉을 주고 받는 게 아닌, 각자의 강점을 맞부딪치며 주도권을 가져오는 경기들이 자주 나왔다. MVP 포인트 순위에서 다양한 팀의 선수들이 등장하는 것이 이를 밑받침한다. 각 팀마다 에이스가 있고, 그 에이스의 경기력에 따라서 팀의 위치가 바뀌는 모습이 자주 나왔지만, 에이스 이외에도 다른 선수들이 뒤를 받쳐줄 수 있는 팀과 그렇지 않은 팀의 경기력은 분명 차이가 났고, 다른 선수들이 뒤를 잘 받쳐준 진에어나 ASP는 상위권에 올라섰지만, 그러지 못한 BRB나 엘미는 하위권에 처졌다.

Jin Air Greenwings는 지난 시즌과 시작은 비슷했다. 지난 시즌과 달랐던 점은 미드 라이너 야하롱이 각성했고, 운영 능력도 좋아졌다는 점. 원래 선수 개개인의 능력은 지난 시즌에도 좋게 평가받았으나 그것이 어우러지지 못했는데, 이번 시즌에는 서로가 잘 어울리면서 결승 직행에 큰 역할을 해냈다. 비록 원딜인 라이트가 가끔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라이트를 보좌하는 세난의 경기력도 좋은데다 다른 라이너들의 경기력이 워낙 좋은 편이라서 결승전을 철저히 준비한다면 우승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AWESOME SPEAR는 시즌 초반에는 상체와 하체가 따로 놀고, 선수들도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서 하위권으로 처졌다. 그러나 한 번 승리를 맛 본 이후에는 자신들의 역할을 깨닫고 각자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기 시작했고, 존재감이 없었던 정글러 크러쉬가 ASP의 운영에 윤활유 역할을 해주면서 라인전, 한타, 운영 모두 이기는 괴물 같은 팀이 만들어졌다. 비록 그리핀에게 한 세트를 내주고, 진에어에게 패배하긴 했으나 그간 보여줬던 경기력을 생각한다면 우승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OZ Gaming은 네임 밸류만 놓고 봤을 때 충분히 우승을 노려볼 만하다는 평가를 들었지만, 첫 경기부터 ESC에게 패배하며 체면을 구겼다. 1라운드 성적도 그다지 좋지 않아서 강팀 상대로 잘해놓고 약팀에게 승을 퍼다주는 의적 이미지까지 붙었다. 거기에 크라운이 3일마다 경기력이 오고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안정감도 떨어졌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파일럿은 에이스 역할을 잘 해냈고, 2라운드도 위태위태 했지만 매치 승을 꾸역꾸역 챙긴 덕분에 포스트 시즌 진출에는 성공했다. 하지만 크라운은 물론이고 소아르, 모티브도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포스트 시즌 동안 경기력을 얼마나 안정시키느냐가 관건이다.

RunAway는 1라운드 진에어를 격침하며 다크호스로 떠올랐고, 2라운드 초반까지 연승을 달리며 선두 탈환의 기회까지 얻는 듯 보였다. 그러나 오즈에게 완패를 당한 이후 진에어에게도 완패를 당했고, BRB와의 대결은 간신히 승리, 그 이후 또다시 2연패로 시즌을 마무리 지었다. 2라운드 초반까지는 경기력이 좋았으나, 그 이후 계속 경기력이 저점을 찍고 있다. 특히 무진이 존재감이 거의 없을 정도로 경기력이 좋지 않은데, 포스트 시즌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

Griffin은 신인들로 라인업을 구성했고, 미드 라이너 내현이 에이스 역할을 맡으며 시즌에 임했다. 1라운드, 아니 2라운드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내현이 게임을 캐리하냐 못하냐에 따라 승패가 갈렸고, 내현이 잘해도 팀원들이 던지는 경우가 많아서 매치 승은 많이 챙기지 못했다. 하지만 경험치가 쌓인 호야와 시트러스가 내현의 부담을 나눠가지면서 2라운드 막바지에는 언뜻 전성기 시절이 떠오를 정도로 공격적인 운영을 선보이기까지 했다. 아쉬운 점이라면 경기력이 너무 늦게 올라왔다는 점과 그리핀이 이번 시즌을 끝으로 더는 볼 수 없다는 점.

hyFresh BLADE는 시즌 초반만 하더라도 진에어와 함께 전승을 달렸지만, 이후 4연패에 빠지면서 선두 싸움에서는 멀어졌다. 1라운드에서는 와이저와 파이어레인이 흔들리고 그것을 바텀 듀오가 어떻게든 버티는 구도였다면, 1라운드 막바지부터 2라운드는 바텀 듀오가 존재감이 사라지고 파이어레인이 고통받는 구도가 이어졌다. 와이저의 서브로 출전했던 오스카 또한 기복을 보여주며 주전 자리를 완전히 꿰차지는 못했다. 거기에 운영도 기적의 운영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처참한 모습을 보이면서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ESC Shane은 그리핀과 비슷하게 신인들로 라인업을 구성해 리그에 임했다. 내현이라도 있던 그리핀보다도 답이 없어보였는데 의외로 선전하면서 기적을 만들어가는 듯 보였다. 하지만 결국 체급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면서 포스트 시즌 진출엔 실패했다. 하지만 마지막 경기에서 RNW를 상대로 애쉬 - 릴리아라는 조합의 맛을 제대로 보여주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Element Mystic은 1라운드까지만 하더라도 다양한 챔피언 활용과 정석과 변칙을 오가는 모습으로 많은 기대를 안게 했다. 그러나 2라운드부터 그러한 전략들이 모두 상대를 제압하지 못하면서 2라운드에서는 동네북으로 전락, BRB전 승리만 제외하면 전패를 하면서 무너졌다. 상체는 상대를 압도하지 못하고, 하체는 존재감이 없고, 운영은 제대로 안 되면서 이것저것 꺼내고 망하는 모습만 이어지는, 과거 스베누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시즌을 마쳤다. 같은 하위권인 ESC나 그리핀은 유종의 미라도 거뒀고, BRB도 어쨌거나 5승은 달성 했는데 엘미는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2.1.2. Set MVP

파일:CK_white_only.p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정규시즌 Set MVP 포인트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팀 포지션 누적 점수
1 이찬주 Yaharong JAG 파일:2020_LCK_MID.png 1200
2 유내현 Naehyun GRF 파일:2020_LCK_MID.png 800
3 나우형 Pilot OZ 파일:2020_LCK_BOT.png 700
3 이채환 Prince ASP 파일:2020_LCK_BOT.png 700
5 차희민 Scarlet EM 파일:2020_LCK_MID.png 600
{{{#!folding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순위 이름 아이디 소속팀 포지션 누적 점수
6 이상훈 Mask RNW 파일:2020_LCK_MID.png 500
7 박정현 5kid RNW 파일:2020_LCK_BOT.png 400
7 추화우 FireRain BRB 파일:2020_LCK_MID.png 400
7 이민호 Crown OZ 파일:2020_LCK_MID.png 400
7 이상욱 TaNa JAG 파일:2020_LCK_TOP.png 400
7 김준서 Crush ASP 파일:2020_LCK_JGL.png 400
7 김무진 Moojin RNW 파일:2020_LCK_JGL.png 400
7 장준수 Zzus ASP 파일:2020_LCK_SUP.png 400
7 신무경 Lapis ESC 파일:2020_LCK_TOP.png 400
7 이지융 Harp ESC 파일:2020_LCK_SUP.png 400
7 엄성현 UmTi JAG 파일:2020_LCK_JGL.png 400
7 변지웅 Citrus GRF 파일:2020_LCK_JGL.png 400
7 윤용호 Hoya GRF 파일:2020_LCK_TOP.png 400
19 김선규 Crow ASP 파일:2020_LCK_MID.png 300
19 박희석 Senan JAG 파일:2020_LCK_SUP.png 300
19 강동수 Gone ESC 파일:2020_LCK_MID.png 300
19 양현민 Minit BRB 파일:2020_LCK_SUP.png 300
19 박증환 Hena BRB 파일:2020_LCK_BOT.png 300
19 박위림 cepted ASP 파일:2020_LCK_MID.png 300
25 박상규 Flare EM 파일:2020_LCK_JGL.png 200
25 이주한 Juhan OZ 파일:2020_LCK_JGL.png 200
25 안준형 Ian OZ 파일:2020_LCK_MID.png 200
25 최의석 Wizer BRB 파일:2020_LCK_TOP.png 200
25 이건우 Slugger EM 파일:2020_LCK_TOP.png 200
25 강주연 Lia ESC 파일:2020_LCK_JGL.png 200
25 김윤재 BroCColi OZ 파일:2020_LCK_JGL.png 200
25 권순호 Light JAG 파일:2020_LCK_BOT.png 200
33 김동범 Croco BRB 파일:2020_LCK_JGL.png 100
33 이호성 Edge RNW 파일:2020_LCK_MID.png 100
33 유준상 Karas EM 파일:2020_LCK_SUP.png 100
33 김동현 Chasy ASP 파일:2020_LCK_TOP.png 100
33 정영석 Last RNW 파일:2020_LCK_TOP.png 100
33 김민수 Mightybear BRB 파일:2020_LCK_JGL.png 100
33 조세희 Motive OZ 파일:2020_LCK_SUP.png 100
}}} ||

2.1.3. CK ALL-PRO TEAM

파일:CK_white_only.png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CK ALL-PRO TEAM
포지션 1st Team 2nd Team 3rd Team
TOP 이상욱
(JAG TaNa)
김동현
(ASP Chasy)
윤용호
(GRF Hoya)
JGL 엄성현
(JAG UmTi)
김준서
(ASP Crush)
김무진
(RNW Moojin)
MID 이찬주
(JAG Yaharong)
유내현
(GRF Naehyun)
박위림
(ASP Cepted)
BOT 이채환
(ASP Prince)
나우형
(OZ Pilot)
권순호
(JAG Light)
SPT 장준수
(ASP Zzus)
박희석
(JAG Senan)
이지융
(ESC Harp)
파일:CK_white_only.png 2020 Summer ALL-CK TEAM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이상욱(프로게이머)|
TaNa
]]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엄성현|
UmTi
]]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이찬주|
Yaharong
]]
파일:AWESOME_SPEAR.png [[이채환|
Prince
]]
파일:AWESOME_SPEAR.png [[장준수|
Zzus
]]
파일:AWESOME_SPEAR.png [[김동현(2001)|
Chasy
]]
파일:AWESOME_SPEAR.png [[김준서|
Crush
]]
파일:Griffin_2020.png [[유내현|
Naehyun
]]
파일:OZ_Gaminglogo.png [[나우형|
Pilot
]]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박희석(프로게이머)|
Senan
]]
파일:Griffin_2020.png [[윤용호|
Hoya
]]
파일:Runawaylogo.png [[김무진|
Moojin
]]
파일:AWESOME_SPEAR.png [[박위림|
Cepted
]]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권순호(프로게이머)|
Light
]]
파일:ESports_Connectedlogo.png [[이지융|
Harp
]]

2.2. 포스트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포스트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총평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규 시즌 1라운드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5주차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 2라운드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0 LoL Challengers Korea Summer/10주차 문서
3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 사전 예상에서는 더이상 승강전이 존재하지 않는 리그이기에 참가팀과 선수들 모두에게 동기부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라이엇에서도 이를 감안해서 플레이오프 시스템 변경과 ALL-PRO Team 선정, 상금 부여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지만 그럼에도 선수들에게 꿈의 무대인 LCK로의 문이 닫혔기에 완벽한 해결책은 되지 않을 것이다라는 예상도 많았다.

그러나 정작 시즌 뚜껑을 열어보니 4위 T1부터 모든 팀들이 시즌 중 일부, 심지어는 끝까지 티가 나는 약점을 드러내며[6] DYN - T1, KT - DRX 제외 업셋이 안 나와 싱겁게 순위 싸움이 끝난 LCK와 달리, 막판까지 포스트시즌 진출을 놓고 개싸움이 벌어졌다. 승격 찬스가 사라졌다지만 프랜차이즈를 앞두고 팀과 선수들에게 있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마지막 기회라는 동기부여가 더 크게 다가왔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시즌 못지 않게 박빙이고 치열한 명승부가 잇달았는데, 2라운드 중반까지 중하위권이 단 1승, 1세트 차이로 순위가 순식간에 뒤바뀌는 등 사전 우려와는 달리 선수들, 팀들 모두 최선을 다하는 값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시즌과 달리 꼴찌였던 EM마저도 4승 라인을 챙기고, 5 ~ 7위가 승점 동률인 박빙의 상황이 이를 증명한다. 물론 이 와중에 진에어나 ASP처럼 연승을 달리며 상위권을 공고히하여 팀적 가치를 더 증명한 팀도 있었다.

또한, 팀들의 면면을 평가하면 그리핀, ESC 등 다양한 팀에서 올해가 프로 데뷔인 신인으로 구성된 로스터를 들고 나왔고, 반대로 OZ, 진에어, ASP처럼 확실히 베테랑들을 섭렵한 팀도 있는 등 지난 시즌보다 더 다양한 색깔을 지닌 팀들이 존재했다. 결과적으로 베테랑들로 구성된 팀이 상위 순위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지난 시즌처럼 베테랑 우위 구도가 변하지는 않았지만, 신인 로스터로 구성된 팀들 또한 개별 경기에서 명승부를 연출하거나 저력을 보이고 패치로 적용된 요소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CK가 여전히 잠재력 있는 선수풀을 가지고 있었다는 평가를 내리는 데에는 충분했다.

하지만 이 모든 긍정적 총평에도, 프랜차이즈 심사 결과, 이번 시즌 내내 그다지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지 못한 하이프레시 블레이드가 최후의 승자로서 LCK에 올라갈 확률이 높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7] 결과적으로 이번 시즌의 팀적 경기력이나 선수들 개개인의 폼은 심사 반영 대상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는 뜻을 내포하기 때문. 결국 팀들 간의 차이를 갈랐던 것은 얼마나 현 LCK팀들 만큼 운영사가 자본력이 있고, 운영을 할 수 있느냐에 대한 해답이었고, 하이프레시 블레이드는 이를 리그 내의 활약보다는 팀의 긴 이력[8]과 운영사의 뚝심으로 증명해냈다. 이러한 평가 방식으로 인해 하이프레시 블레이드보다 더 좋은 활약을 보인 상위 4팀 모두가 승격 기회 없이 똑같이 해체의 운명을 맞이하게 된 것은 안타까운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어쨌든 장장 6년 동안 LCK의 하부 리그로써 다양한 팀들과 저력있는 유망주들의 등용문이었던 CK는 사라진다. 그러나 그 CK의 마지막 시즌과 같은 LCK 시즌에서 담원 게이밍이 CK 출신 팀으로써 사상 첫 리그 우승 및 롤드컵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세운 것은 여운이 남는 결말이다. 이제 CK는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명예롭게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이 자리를 대체할 새로운 리그로 LCK팀들의 2군 팀들로 꾸려질 LCK CL에게 바통을 넘겨준다. 앞으로 새로운 유망주들의 등용문으로써 과연 LCK CL이 CK의 위상을 적절히 대체할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4. 리그 폐지 이후 선수, 코치들의 행선지

4.1. 국내 진출

JAG UmTi (JGL, Fredit BRION)
Seize (JGL, Liiv SANDBOX 2군)
Senan (SPT, DWG KIA 2군)
Yaharong (MID, Fredit BRION)
TaNa (TOP, Fredit BRION 2군)
ASP Chasy (TOP, DWG KIA)
Zzus (SPT, kt Rolster)
Storm (MID, Afreeca Freecs 2군)
Prince (BOT, FPX-> Liiv SANDBOX)
OZ Juhan (JGL, NONGSHIM REDFORCE)
Hell (감독, Gen.G Esports Elite Academy 코치)
RNW Edge (MID, DAMWON Game Academy 코치)
5kid (BOT, kt Rolster 2군)
Mask (MID, Hanwha Life Esports 2군)
Woong (코치, DAMWON Game Academy 코치)
GRF Hoya (TOP, Fredit BRION)
Bay (MID, NONGSHIM REDFORCE)
Wayne (BOT, NONGSHIM REDFORCE)
Yusin (SPT, NONGSHIM REDFORCE 2군)
GIDEON (JGL, kt Rolster 2군)
Chico (코치, NONGSHIM REDFORCE 2군 코치)
Chaos (감독대행, Afreeca Freecs 분석)
BRB Croco (JGL, Liiv SANDBOX)
Minit (SPT, Afreeca Freecs 2군)
ESC Harp (SPT, kt Rolster 2군)
Gone (MID, DWG KIA 2군)
Bini (BOT, Fredit BRION 2군)
Saint (코치, Gen.G Elite Esports Academy)
EM Envy (BOT, Gen.G Esports 2군)
Execute (SPT, Fredit BRION 2군)
GankNam (JGL, Fredit BRION 2군)
GiZMO (코치, Liiv SANDBOX 아카데미)
Bird (감독, 게임 아카데미)

4.2. 해외 진출

JAG 없음
ASP cepted (MID, Undead Gaming)
OZ BroCColi (JGL, 5 Ronin)
Pilot (BOT, 5 Ronin)
RNW Moojin (JGL, V3 Esports)
Last (TOP, NASR ESPORTS)
GRF Naehyun (MID, Crest Gaming Act)
Rather (코치, LNG Esports 코치)
BRB Mightybear (JGL, Estral Esports)
Wizer (TOP, KaBuM! e-Sports)
ESC 없음
EM 없음

5. 관련 문서



[1] 리그 구조 개편으로 2군 리그인 LCK CL 신설 [2] 하지만 이 경우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게 이미 프랜차이즈를 도입한 유럽 리그 LEC나 북미 리그 LCS에서 이런 경우는 나온 적이 없다. 더구나 챌코팀이 LCK팀보다 더 자본이 뛰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기에 심사 통과 또한 거의 못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3] 이전 2번의 사례인 콩두와 CJ는 토너먼트제 시절의 LCK 시절 결승 진출 경험이 있다. [4] 타 리그까지 합치면 최초는 아니지만, 그 최초 사례이자 그리핀 이전 최악의 사례인 2015년 서머 LCS EU 준우승에 롤드컵 4강을 기록하고 2017년 스프링 시즌 때 강등당한 '망리겐' 시절의 Origen 대몰락 사태마저도 이번 그리핀만 못하다. 또한, 이에 비견될 만한 전 시즌 우승팀이자 롤드컵 8강 진출팀에서 급격한 몰락을 보여줬던 19 KT는 최소한 승강전에서는 아예 체급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면서 생존이라도 했다. [5] 콩두 몬스터 시절 두 번의 강등 포함. [6] T1은 페이커가 대세 메타에 부적합한 모습을 보이며 체급 저하가 드러났고, 클로저로 해결하나 했지만 얼척없는 말과 기용 방식으로 인해 팀 분위기가 싸해졌다. 5위 AF는 시즌내내 1 ~ 4위 상대로 얼척없는 모습을 보이던 정말 역대급 판독기였으며, 6위 KT는 스멥 - 에이밍 제외 경기력이 급전직하한 점, 7위 SB는 전 시즌 대비 승수는 늘었지만 리그 초반 새 감독 야콥 멥디의 자가격리로 인한 합류 지연으로 까먹은 경기가 많았으며, 8위 DYN는 2라운드 들어 리치 제외 구성원들의 체급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 점, 9위 HLE는 1라운드에서 역대 라운드 전패 팀들이 다 재평가 될 정도로 제일 비싼 전패팀이란 수모를 당할 정도로 전 포지션이 다 난장판이었고, 10위 SP는 1라 첫 경기 한화전을 졌다면 무조건 작년 서머 진에어와 똑같았다. [7] 게다가 하이프레시와 더불어 CK All-Pro Team 멤버가 없고, 리그 최하위였던 EM이 예비 순위에서 진에어, ASP, OZ보다 높기까지 했다. [8] 무려 프로 시즌 출범때부터 존재했던 나진의 후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