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채널 운영사의 모기업에 대한 내용은 SOOP 문서 참고하십시오.
SOOP 관련 둘러보기 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 | '''{{{+1 S{{{#!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0388ff, #0a96ff 42%, #05bcff 56%, #00f0ff 76%, #04f0fc 79%, #10f1f5 82%, #24f4e8 85%, #40f7d7 89%, #64fbc1 92%, #82ffb0 94%); background-clip: text; color: transparent; font-weight: 900" | }}} | ||
<colbgcolor=#0388ff><colcolor=#fff> 설립일 | 2015년 7월 1일 | ||||
개국일 | 2018년 4월 2일 (AfreecaTV) | ||||
채널명 변경 |
2018년
11월 1일 (SBS AfreecaTV) 2020년 7월 15일 (AfreecaTV) 2024년 12월 17일 (SOOP) |
||||
채널 구분 | 유료방송채널 | ||||
업종명 |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 ||||
운영 유형 | 민영방송 | ||||
방송
품질 |
<colbgcolor=#0388ff> 화질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88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 |||
음향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88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388f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 | ||||
상장 유무 | 비상장기업 | ||||
기업 규모 | 중견기업 | ||||
대표이사 | 이민원[1] | ||||
주요 주주 | SOOP (100%) | ||||
링크 |
홈페이지 채널[2] |
||||
| | | |
[clearfix]
1. 개요
SBS AfreecaTV 시절 로고 |
2. 상세
아프리카TV는 2015년 자회사 '(주)프릭'을 설립하였고, 이 회사에서 2018년 4월 2일에 딜라이브 송출 권역 중 7개 지역(강남, 송파, 강동, 구로금천, 노원, 마포, 종로)의 디지털 케이블TV(당시 채널 번호 177번)와 OTT 박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아프리카TV 채널을 개국한다. 채널 개국 이후 해당 채널에서 e스포츠 관련 콘텐츠와 크리에이터들이 출연하는 자체 콘텐츠들이 편성되었다. 채널 개국 다음날인 4월 3일에는 SBS와 아프리카TV가 e스포츠 합작 법인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이후 SBS에서 '(주)프릭'에 투자하면서 해당 회사는 SBS와 아프리카TV의 합작 법인화되었고, 11월 1일에 이를 'e스포츠 합작 법인 설립'으로 발표하며 회사명을 '(주)에스비에스아프리카티비'로 변경하였다. 이 때 보도 자료를 통해 2018년 11월 1일을 회사의 공식적인 설립일로 밝혔다. 이는 국내에서 2번째로 지상파 채널이 게임 채널을 투자한 사례[3]이며, SBS와 아프리카TV가 50%: 50%로 동일 지분을 보유하고 양사가 임명하는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하게 된다. 합작법인은 SBS의 e스포츠 지상파 신규 프로그램인 ‘ e스포츠 매거진 GG’ 제작 및 e스포츠 전문케이블 채널의 방송물 제작 및 송출을 담당한다.[4] 그 외에도 오프라인 대회 운영, 이벤트 및 매니지먼트, 라이선스 사업 등 e스포츠 관련 사업을 펼칠 방침이다.
아프리카TV는 합작법인의 e스포츠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운영과 함께 모든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SBS는 지상파 및 케이블TV 부문의 서비스와 함께 합작법인의 e스포츠 콘텐츠의 글로벌 퍼블리싱(송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
2018년 11월 30일부터 olleh tv를 통해서도 송출되기 시작했다.
2018 LoL KeSPA Cup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e스포츠 사업 활동을 벌일 예정인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PUBG Korea League를 OGN, SPOTV GAMES와 함께 중계를 맡았다가 2019년부터는 사실상 독점한다.
2019년부터는 GSL 경기는 물론이고 LCK의 중계권을 시작으로 TV와 온라인을 통해 중계한다.[5]
한편, SBS 아프리카TV가 중계권을 취득한 영향으로 2019년 이후 OGN과 SPOTV GAMES[6]는 더 이상 LCK를 생중계하지 않으며, OGN은 2020년 재방송 중계권을 취득해 중계한다. 그리고 2019년 롤드컵 중계권을 따내서 오프라인 채널 독점중계권을 따냈다.
2019년 2월 1일 기준으로 채널명이 아프리카TV에서 SBS AfreecaTV로 변경되었다.
2019년 6월 21일부터 오버워치 리그 한국 중계권을 독점하여, MBC 플러스[7]의 중계권이 넘어왔다.
2019년 7월 1일부터 B tv에서도 송출된다.
2019년 8월부터 아프리카TV BJ들로 구성된 걸그룹 ViOLET의 리얼리티를 제작, 방송했다.
채널 런칭 2년 동안 대회 중계권을 많이 확보하고, ASL, ASTL도 TV로 중계되는 등 대부분의 e스포츠 대회를 자체제작하고 있다. 이중에 특히 PKL을 비롯한 배틀그라운드 대회들의 옵저빙은 세계 최고로 인정받아 2019년 PGS 세계대회에서 ( PUBG Global Series) 옵저빙을 맡게 되었으며, 아프리카TV에서도 팀 개인화면 옵저빙을 맡게 되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e스포츠 자체가 침체기에 빠졌으며[9], 특히 SBS의 경우에는 대주주 태영건설의 방송경영 간섭과 박정훈 사장 체제 신사업 실패로 인해 SBS 구성원들 사이에서도 신사업 및 채널 운영에 대한 반발이 나오는 상황 속에서 2020년 5월 29일자로 SBS가 보유중인 SBS AfreecaTV의 지분을 전량 아프리카TV 측에 양도했다.[10] SBS AfreecaTV는 2020년 7월 15일부로 채널명을 다시 AfreecaTV로 변경했으며, 채널을 운영하는 회사명 역시 아프리카콜로세움으로 변경하였다. 파트너였던 SBS가 철수하면서 아프리카의 자율성이 대폭 높아졌지만, 그간 SBS가 노하우를 구축해왔던 방송채널 송출, 운영에는 빨간불이 켜진 상황.[11][12]
2020년 당시 라이엇 게임즈의 리얼리티 쇼인 LoL THE NEXT의 외주제작을 맡았는데, 아프리카콜로세움 측에서 지나치게 낮은 퀄리티의 편집을 시전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팬들은 물론 출연자인 울프마저 트위치 개인방송에서 분노를 드러냈다. 결국 2021년 LoL THE NEXT의 제작은 SBS로 이관되었다.
2021년 편성 상황을 살펴보면, e스포츠 대회 이외 자체 콘텐츠가 샌드박스 플러스에 비해 BJ 방송 및 유튜브 재편집 등으로 대단히 부실한 편이다.
2021년 8월부터 서경방송에서도 송출되기 시작했다.
2023년부터 CATV를 통한 LCK 중계는 하지 않는다. 채정원 왈 CATV 송출을 유지할 시 스폰서 노출이나 홍보에 제약이 많아지기에 부득이하게 빠지게 되었다고. #
2022년에 모회사가 대한럭비협회와 코리아 슈퍼럭비리그 중계 협약을 맺으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중계와 함께 TV 채널로도 중계방송이 해마다 편성되고 있다. 또한 2024년 11월 16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개최된 럭비 테스트 매치 경기인 대한민국 vs 짐바브웨 경기가 생중계로 편성되었다.
2023년에는 대통령실 초청 '전국 유소년 야구대회'와 강원도민일보 주최 '금강대기 전국유소년축구대회'의 중계방송 또한 편성되었다.
2023년 4월 모회사가 당구 미디어 및 용품 유통 전문업체 '파이브앤식스'를 인수하면서 2023년 하반기부터 당구 관련 콘텐츠의 편성이 대폭 증가했다. 모회사 주최 대회와 세계캐롬연맹(UMB) 주최 대회를 비롯한 국내외 당구 대회의 생중계뿐만 아니라 skySports 등 타 채널에 편성된 바 있는 지난 당구 대회 경기 중계방송도 편성되고 있으며, 모회사 차원에서 당구 콘텐츠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4년 하반기 기준으로 대부분의 편성이 당구 관련 프로그램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편성 방향 변화에 맞춰 자체적으로도 종합 스포츠 전문채널로 홍보하고 있다.
2024년 7~8월에는 유럽 프로축구팀들의 프리시즌 친선경기 중계방송을 편성한 바 있다.
2024년 12월 17일 오전 5시에 채널명이 모회사명 및 모회사 서비스명과 마찬가지로 SOOP으로 변경되었다. #
[1]
SOOP 소셜미디어사업부문장 겸임.
[2]
2024년 5월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기존의 SOOP 채널(
)은 운영이 중단되었다.
[3]
첫 번째 사례는
MBC GAME이며, 이후 다른 계열사들과 합병하면서 결과적으로 MBC의 자회사
MBC 플러스미디어에서 운영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지상파 방송사에서
타 계열사의 도움 없이 직접 투자한 케이스는 SBS AfreecaTV가 최초이다.
[4]
SBS에서 방영 후 SBS AfreecaTV가 재방송 형태로 방영하는 방식이다.
[5]
처음에는 TV 쪽 중계권과 관련한 문제가 있었으나 이후에 해결됐다.
[6]
이듬해인 2020년 폐국 후
STATV로 변경되었다.
[7]
MBC SPORTS+,
MBC SPORTS+ 2에서 방영. 한편 MBC SPORTS+ 2는 그 해 2월에
MBC ON으로 바뀌었다.
[8]
결국 OGN은 2022년에
온미디어-
CJ E&M의 품을 떠나
OP.GG로 매각되었다.
[9]
방송계도 불황에 빠져서, SBS는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비상경영 체제로 들어가며 제작비 및 업무추진비를 일괄적으로 삭감하는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했다.
[10]
SBS 내에서도 사내 구성원들이 아프리카TV는 방송사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스포츠중계를 제외하고 SBS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쓰지 않으며,
트위치와
유튜브를 쓴다.
[11]
다만 광고는 여전히 SBS의 자회사인 SBS M&C를 통해 집행하고 있다.
[12]
이후 SBS는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KiZmom으로 변경한 애니메이션 채널마저
골프채널로 변경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