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9:24:15

청주시

충북 청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청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청주(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충북 청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청주시를 연고지로 두고 충청북도-청주시의 지원을 받는 프로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충북 청주 F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2459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제천시 CI.svg
[[충청북도청/북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제천시
파일:청주시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청주시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파일:괴산군 CI.svg
괴산군
파일:단양군 CI.svg
단양군
파일:보은군 CI.svg
보은군
파일:영동군 CI.svg
영동군
파일:옥천군 CI.svg
[[충청북도청/남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옥천군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파일:증평군 CI.svg
증평군
파일:진천군 CI.svg
진천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80c34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청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청원구 }}}}}}}}}
충청북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
淸州市
Cheongju City
}}}
<colbgcolor=#80c342><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상당구 상당로69번길 38 (북문로1가)
광역자치단체 충청북도
하위 행정구역 4 일반구 3 10 30[1]
면적 941.05km²
인구 854,370명[2]
인구밀도 907.49명/km²[3]
시장
이범석 (초선)
시의회
22석[4]

19석[5]

1석[6]
도의원
11석[7]

3석[8]
국회의원
<colbgcolor=#80c342><colcolor=#fff> 상당
이강일 (초선)
서원
이광희 (초선)
흥덕
이연희 (초선)
청원
송재봉 (초선)
상징 시화 백목련
시목 느티나무
시조 까치
지역번호 043, 042[9], 044[1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
2.1. 2015년 CI 교체
3. 역사4. 인구
4.1. 읍면동별 인구
5. 지리6. 도시구조
6.1. 본시가지
6.1.1. 최근 개발 지역
6.2. 읍면 지역6.3. 생활 격차
7. 교통8. 경제9. 상권10. 교육11. 생활권12. 문화
12.1. 지역 특징12.2. 언어12.3. 음식12.4. 주요 시설12.5. 스포츠12.6. 창작물 배경과 촬영 장소
13. 관광
13.1. 행사
14. 정치15. 군사16. 하위 행정구역17. 사건사고18. 환경19. 여담20.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21. 청주시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22. 자매도시 및 우호도시
22.1. 해외22.2. 국내
23. 출신인물2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청주시 소개영상
더좋은 청주 행복한 시민
충청북도의 서쪽에 있는 . 충청북도청 소재지이자 충청북도 최대도시, 충청도 제2의 도시,[11] 교육의 도시이며 충청북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이다. 대한민국에서 인구수 14위의 도시이며, 비수도권 일반시 중에서는 인구수가 두 번째로 많은 대도시이다.[12] 또한 충청도의 '청(淸)'은 청주(淸州)에서 따온 것이다.[13]

청주시는 통일신라 시절 9주 5소경[14] 중 하나인 서원경으로, 작은 수도 역할을 했다.

청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15] 보은군이 접하며 서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 북쪽으로는 진천군 증평군, 동쪽으로는 괴산군이 접하고 있다.

청주시의 경제 규모는 이미 광역시급 대도시가 되었다. SK하이닉스를 위시한 많은 제조업 회사, 공장을 유치한 덕택이다. 2018년 기준 청주시의 지역 내 총 생산(GRDP)은 39조를 돌파하여 약 37조인 광주광역시, 약 39조인 대전광역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인구 100만 명 이상 특례시인 용인과 수원, 고양보다 높으며, 1인당 GRDP는 4137만 원[16]으로 인근 대전이나 천안은 물론 웬만한 수도권 도시들보다도 높다. # 여기에 2028년에 본격 가동되는 방사광가속기(약 6조원 규모의 경제효과)가 가동되기 시작하면 광역시를 초월하는 경제 규모를 가진 대도시가 된다. 추가로 SK 하이닉스가 M15 공장을 M15X로 확장하는 공사를 진행 중이며, M15X 공장보다 더 큰 규모로 예정된 M17 공장의 부지를 매입하여 터를 닦아놨다.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경제 문서 참조.

청주는 예로부터 교육도시로 알려졌는데 국립대학교만 무려 5개가 청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교육 관련 종사자와 학생이 전체 도시 인구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교원 양성 목적으로 설립한 국립 한국교원대학교와 공군 장교 육성의 요람인 공군사관학교 또한 청주에 있다.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전국 유일의 KTX경부호남선 분기역인 오송역과 충청도 유일의 국제공항인 청주국제공항 등이 위치하고 있는 교통의 중심지이다.[17]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청주 흥덕사에서 발행됐다.

2. 상징

청주시의 CI
파일:청주시 CI.svg
소로리 볍씨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CI는 청주(Cheong-ju)의 대표 이니셜인 ‘C’와 ‘J’를 생명의 시작이자 창조적 가치의 원동력을 의미하는 ‘씨앗’으로 상징화하였다.

'생명’과 ‘창조’는 청주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는 핵심키워드로서, ‘생명’은 자연, 기술, 사람이 어우러진 생명의 도시, ‘창조’는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창조적 인재를 키우는 창조의 도시 청주를 상징한다.

C와 J가 만나 씨앗이 되고, C와 J의 간격이 벌어지면 따옴표 모양으로 형태가 변화하여, ‘생명과 창조의 씨앗으로 청주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라는 컨셉이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C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청주시 휘장(~2000).png
~2000년
2000년까지 사용한 CI이다.
파일:청원군 구 CI.svg 청주시 통합 이전에 사용된 CI이다.
(위에는 청원군 아래는 구 청주시)
파일:청주시 CI(2000-2015).svg }}}}}}}}}}}}}}}
파일:청주시 CI_국영문.svg 파일:청주시 한영문.png
국문-영문 로고타입 한문-영문 로고타입
청주시의 상징물
백목련 봄소식을 일찍 전하는 탐스러운 백색의 꽃망울은 순결하고 화합하는 온화한 시민의 품위로 희망에 차있는 시민상을 나타냄.
느티나무 나무가 곧게 자라 가식없는 성격과 순박한 기질을 나타내고 균형있는 발전을 기대하며 재질이 견고하여 유비무환의 자위정신을 상징함.
까치 반가운 소식을 전하여 주는 아름다운 길조로 누구에게나 친근감을 주는 인정많고 예의바른 교육문화도시의 표상
청주시의 슬로건
파일:시정목표_최종.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브랜드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 일등 경제 으뜸 청주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21일
파일:함께 웃는 청주.jpg
2018년 6월 22일 ~ 2022년 6월 30일
}}}}}}}}}}}}}}}
청주시의 마스코트
파일:청주시 마스코트.svg 파일:청주시 마스코트_엠블럼.svg
“생명과 창조의 도시 청주”를 지키는 ‘생이’와 ‘명이’[18][19]

2.1. 2015년 CI 교체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42600350006400_P2.jpg
CI 변경 중 논란이 있었다. 왼쪽이 기존 로고, 오른쪽이 2015년부터 쓰고 있는 개정 로고이다. 그림 출처 그러나 저 CI가 1억짜리에 전체 교체비용이 5억 6천이 드는데, 주민 의견을 묻지 않고[20] 이승훈 시장이 단독적으로 시행했다는 점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충북도당과 일부 미술단체에서 거세게 항의하고, 시장과 야당 의원 간의 감정싸움으로 번지기도 하는 등 지역 정치를 혼돈으로 몰고 가는 이슈가 되기도 했다. 그러다 결국 2015년 11월 13일 조례가 통과되면서 사태가 어찌어찌 겨우 무마되었다.

청주시의 CI는 청주의 영문표기인 CheongJu에서 따온 것으로, 당시 시점에서 지자체 CI 가운데 지역 이름을 형상화했다는 건 꽤 특기할 만한 부분이었다. 대체로 한국의 지자체 CI는 '~하는 행동을 형상화하고...' 등의 말을 쓰거나 특산물을 형상화하는 경우가 많았고[21] 글자를 형상화한 곳은 몇몇 곳밖에 없었다.[22] 이후에는 경기도의 휘장이나 부산광역시의 휘장, 강원특별자치도의 휘장, 옆동네 증평군 진천군의 CI 등 글자를 형상화한 CI가 많아지면서 선구자 격이 되었다. 2023년 10월부터는 청주시가 속한 충청북도도 '충북'의 초성 'ㅊㅂ'를 형상화한 글자 기반 엠블럼으로 바꾸어 이 흐름에 합류하였다. 지역의 특산물이나 자연은 언제든지 (특히 지자체 장의 취향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것이지만 명칭은 바꾸기 힘들다는 점에서 지명에 기반한 엠블럼이 좀 더 안정성 면에서는 높게 평가할 여지가 있다.

3. 역사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상당현
上黨縣
서원소경
西原小京

685
서원경
西原京

757
청주
淸州

940
청주목
淸州牧

983
충청도
청주목

淸州牧

1395
충청북도
청주군

淸州郡

1896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면

淸州面

1909
충청북도
청주읍

淸州邑

1931
충청북도
청주부

淸州府

1946
충청북도
통합청주시
淸州市

2014~
충청북도
청원군
淸原郡

194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통합 이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원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통합 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청원 통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cheongju.go.kr/left_map_img.jpg
2014년 7월 1일, 청주부(청주시)- 청원군 분리 68년 만에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였으며,[23] 통합하면서 기존의 2구를 4구로 재편하였다.

통합으로 인해 청주시의 인구는 15만 명 가량 증가하고, 충북 전체 인구의 과반수(약 53%)를 차지하게 되었다. 시 하나가 도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경우는 제주도를 제외하면[24] 청주시가 유일하다. 인구밀도 역시 충청북도에서 가장 높다. 과거 청원군이 분리되어 있던 시절에는 정말 압도적인 차이로 1위였는데(약 4,400명/km²), 청원군과 통합한 이후에도 비록 인구밀도가 1/5 정도로 급감하였으나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면적은 6배 이상 넓어져 서울의 1.5배, 충청도 기초자치단체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심지어 창원보다도 넓다.[25]

통합으로 규모가 커지면서 청주광역시 논의도 나왔으나 실질적인 광역시 승격의 어려움으로[26] 특례시 쪽으로 가닥을 잡아봤지만 이 역시 특례시 설치 기준이 인구 수 100만으로 결정되면서 성사되지 못했다. 청주시 자체적으로도 인구수 100만 달성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는 분위기다. #

4. 인구

충청북도 청주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원군 사주면 → 청주시 편입
1966년 348,554명[1966청주시]
1970년 340,934명[1970청주시]
1973년 7월 1일 청원군 북이면 초중리 → 괴산군 증평읍 편입
1975년 391,963명[1975청주시]
1980년 426,646명[1980청주시]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강서면 전역· 강내면 석소리 → 청주시 편입 및 강서제1·2동 분동
청원군 낭성면 산성리 → 청주시 용담·명암동 편입 및 용담·명암·산성동 개편
청원군 남일면 방서리 → 청주시 용암·용정동 편입 및 용암·용정·방서동 개편
1985년 492,081명[1985청주시]
1987년 1월 1일
청원군 남이면 죽림리 → 청주시 농촌·개신동 편입 및 농촌·개신·죽림동 개편
청원군 강내면 정봉리·신촌리 → 청주시 강서제1동 편입
1989년 1월 1일 보은군 회북면 마동리·마구리·묘암리, 회남면 염티리 → 청원군 문의면 편입
1989년 7월 1일 청주시 동부출장소·서부출장소 설치
1990년 8월 1일
청원군 남일면 일부[32] → 청주시 용암·용정·방서동 편입
청원군 남일면 장암리·남이면 장성리 → 청주시 산·미·분·수곡동 편입
청원군 북이면 일부[33] → 청주시 편입 및 오근장동 신설
1990년 592,430명[1990청주시]
1995년 1월 1일
청주시 동부출장소 → 상당구 승격
청주시 서부출장소 → 흥덕구 승격
1995년 3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심중리 →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편입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갈산리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편입
1995년 643,508명[1995청주시]
2000년 702,829명[2000청주시]
2005년 764,463명[2005청주시]
2010년 808,915명[2010청주시]
2012년 7월 1일
청원군 부용면(외천리 제외) → 세종특별자치시(신설) 편입 및 부강면 개칭
부용면 외천리 → 남이면 편입 및 부용외천리 개칭 2014년 7월 1일
청주시 + 청원군 → 통합 청주시 출범
(신) 청주시 서원구· 청원구 신설
2015년 831,912명[2015청주시]
2020년 844,993명[2020청주시]
2024년 10월 854,001명[현재청주시]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창읍 68,388명
용암1동 57,576명
가경동 53,591명
복대1동 51,213명
율량·사천동 47,472명
용암2동 44,420명
성화·개신·죽림동 41,775명
오송읍 37,970명
강서제1동 30,734명
금천동 29,303명
분평동 28,463명
산남동 25,139명
봉명2·송정동 23,534명
내수읍 18,799명
오근장동 17,603명
옥산면 17,257명
모충동 16,934명
강서제2동 16,321명
복대2동 15,179명
수곡2동 14,966명
사창동 14,079명
운천·신봉동 14,034명
내덕2동 12,939명
수곡1동 12,724명
용담·명암·산성동 12,708명
사직2동 12,277명
우암동 12,096명
봉명1동 11,843명
탑·대성동 11,427명
강내면 10,287명
영운동 10,005명
남이면 9,816명
내덕1동 7,853명
중앙동 6,519명
남일면 6,478명
성안동 6,371명
미원면 4,627명
북이면 4,223명
사직1동 4,183명
가덕면 3,694명
문의면 3,621명
현도면 3,020명
낭성면 2,102명
2024년 7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7만 명, 각 행정동별 색깔은 각각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청원구 지역임.
}}}}}}}}} ||

주민등록인구는 2024년 11월 기준 854,370명이다. 이는 충청북도 전체 인구인 약 160만 명의 절반 이상이고, 창원시의 뒤를 이어 비수도권 기초지자체 중 인구 2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4년 부로 그 전까지 비수도권 기초자치단체 1위였던 전주시를 제치고 1위에 오르게 되었고, 이후 2010년 통합창원시가 출범하기 전까지 1위를 유지했다. 2014년 청주도 창원과 마찬가지로 통합을 이루게 되면서 시 면적은 창원을 뛰어넘게 되었으나, 인구 격차는 여전히 차이를 보이고 있다.[42]

85만명 중 청주시의 시내 동 지역(통합 전부터 청주시였던 곳) 인구는 약 67만 1천명, 읍면지역 인구는 약 17만 9천 명이다. 그 중 읍면지역에서 오창읍과 오송읍을 합친 인구는 약 10만 명으로, 읍면지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청주시보다 인구가 많고 같은 비수도권 도농복합시인 창원시의 읍면지역 인구보다 청주시 읍면지역의 인구가 더 많다.[43]

2021년 기준 청주시의 평균연령은 41.5세로 작년대비 0.5세 증가했으나 전국 평균인 43.6세보다 2.1세 젊다. 지역별로 평균연령 편차가 심한 편인데, 미원면, 낭성면, 현도면이 58.9세로 가장 높고 강서2동(33.5세), 오창읍(35.6세), 복대1동(36.6세)이 순으로 낮다. 대한민국 전체적으로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청주시도 이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북도내에서는 제일 젊은 편이라고 한다. #

대한민국의 인구 무게중심점이 이 도시에 위치한다. 2015년 기준으로 금천동에 위치. 광복 당시 충북 영동군에 위치했던 인구 무게중심점은 이후 옥천, 보은, 청원을 거쳐 현재 청주시내 안으로 들어와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해 무게중심점은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북서쪽으로 이동 중이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후 빨대효과로 인해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많았는데, 당시 세종시의 부실한 인프라 때문에 오히려 역빨대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실제 청주시 서쪽인 흥덕구의 땅값은 오송 지웰시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대백화점 충청점이나 롯데아울렛 청주점 등 세종시와 인접한 청주지역의 대형 유통업체들도 그 효과를 상당히 보고 있다.

그러나 2015년 들어 인구 성장이 멈추고 세종시로 슬슬 사람들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물론 세종시가 성장함에 따라 낙수효과로 청주 역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지만, 세종시로 떠나는 청년층이 꽤 많은 듯하다. 이웃한 대전광역시처럼 대책없이 감소하는 편은 아니나 장기적으로는 청주시의 지역경제 침체가 우려된다. 청주시의 출산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44]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스타필드· 코스트코 등 대형 쇼핑몰도 청주시에 입점을 시도했으나 시민단체와 소상공인들의 반대로 인해 번번이 무산되었다.[45] 그래도 동남지구, 가경지구 등 택지개발과 함께 정주여건도 개선되고 있어 인구는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주테크노폴리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강서2동의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른 편이다.

세종시로 인구가 빠지는 이유로는 집값(특히 전세값) 문제가 크다. 세종시의 싼 전세값 덕분에 지역의 젊은 층들이 세종시로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며 인근 도시인 대전도 이 현상을 엄청 심하게 겪고 있다. 또한 공급과잉이 맞물리면서 아파트 장기 미분양 사태가 터지고 있다. # 2015년부터 장기간 부동산 한파가 불어닥치며 2018년에는 아파트 폭락이 발생했다. 2022년 기준으로 미분양 문제는 해결된 듯하다. 2020년에는 청주 오창읍 방사광 가속기 유치가 선정되고,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에 지정됨에 따라 청주 인구가 차츰 늘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유치 이후 하락세였던 청주시의 아파트 가격도 다시 청원구와 흥덕구를 중심으로 최고 1%대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 #2 다만, 이 가파른 상승세가 투기 목적으로 유입되는 외지인들로 인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고 결국 이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2023년 기준으로 다른 지자체들은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 속에서 청주는 인구가 소폭 증가했다. 또한 정부의 부동산 공급 대책에도 지방에서는 제주와 함께 유이하게 선정되는 등 일자리로 인한 인구 유입 및 주택 수요가 꾸준하게 있을 전망이다.

2024년은 3월까지는 인구가 감소하다 4월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감소의 원인으로는 대한민국 총 인구 감소 및 세종시로의 지속적인 유출, 재개발로 인한 이주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다만, 도시개발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라는 점과 지속적인 기업투자유치, 전국에서 출산율이 높은 도시라는 점, 정부에서 밀어주는 오송이 청주시 관내 소재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5월과 6월도 인구 증가세를 유지하여(1,397명 증가) 24년 상반기 인구는 최종적으로 증가한 상태로 맺음지었다.

24년 하반기도 인구가 소폭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SK하이닉스의 호황에 힘입어 부동산 미분양 물량도 소진되고 있다.

4.1. 읍면동별 인구[46]

====# 상당구 면동별 인구 #====
파일:청주시 CI.svg 낭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567명
1970년 7,992명
1975년 7,625명
1980년 5,640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낭성면 산성리 → 청주시 용담·명암동 편입 및 용담·명암·산성동 전환
1985년 4,419명
1989년 1월 1일 낭성면 성대리 → 미원면 편입
1990년 3,028명
1995년 2,378명
2000년 2,259명
2005년 2,485명
2010년 2,538명
2015년 2,350명
2020년 2,260명
2024년 7월 2,1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미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547명
1970년 16,983명
1975년 16,093명
1980년 13,051명
1985년 10,519명
1989년 1월 1일 낭성면 성대리 → 미원면 편입
1990년 8,252명
1995년 6,991명
2000년 5,900명
2005년 6,205명
2010년 5,799명
2015년 5,396명
2020년 5,030명
2024년 7월 4,6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가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28명
1970년 10,243명
1975년 9,951명
1980년 8,905명
1985년 7,899명
1990년 4월 1일 가덕면 노현리 → 문의면 편입
1990년 5,962명
1995년 5,571명
2000년 5,091명
2005년 4,763명
2010년 4,488명
2015년 4,345명
2020년 3,951명
2024년 7월 3,6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남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872명
1970년 14,813명
1975년 14,922명
1980년 14,196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남일면 방서리 → 청주시 용암·용정동 편입 및 용암·용정·방서동 전환
1985년 11,957명
1990년 8월 1일
청원군 남일면 일부[47] → 청주시 용암·용정·방서동 편입
청원군 남일면 장암리 → 청주시 산·미·분·수곡동 편입
1990년 8,427명
1995년 8,620명
2000년 8,544명
2005년 8,126명
2010년 7,709명
2015년 7,727명
2020년 6,870명
2024년 7월 6,4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문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467명
1970년 13,750명
1975년 13,340명
1980년 7,759명
1983년 2월 15일 문의면 죽암리 → 현도면 편입
1985년 6,585명
1989년 1월 1일
보은군 회북면 일부[48] → 청원군 문의면 편입
보은군 회남면 염티리 → 청원군 문의면 편입
1990년 4월 1일 가덕면 노현리 → 문의면 편입
1990년 6,374명
1995년 5,454명
2000년 5,042명
2005년 5,440명
2010년 5,049명
2015년 4,705명
2020년 4,020명
2024년 7월 3,6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49]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16,977명[1966중앙동]
1970년 17,815명[1970중앙동]
1975년 19,338명[1975중앙동]
1980년 19,200명[1980중앙동]
1985년 19,185명[1985중앙동]
1990년 20,338명[1990중앙동]
1995년 12,113명[1995중앙동]
1998년 2월 1일 영·북2·북3가동 + 수동 → 중앙동 합동
2000년 9,044명
2005년 7,479명
2010년 6,691명
2015년 6,608명
2020년 6,029명
2024년 7월 6,5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성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57]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28,716명[1966성안동]
1970년 26,531명[1970성안동]
1975년 27,519명[1975성안동]
1980년 26,205명[1980성안동]
1985년 25,114명[1985성안동]
1990년 25,543명[1990성안동]
1995년 13,332명[1995성안동]
1998년 2월 1일 문화·북1·남2가동 + 서운·남1가동 + 서문동 + 남주동 + 석교동 → 성안동 합동
2000년 8,942명
2005년 7,488명
2010년 7,429명
2015년 6,459명
2020년 6,911명
2024년 7월 6,3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탑·대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65]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8,468명
1970년 10,340명
1975년 11,932명
1980년 12,799명
1985년 15,403명
1990년 18,016명
1995년 16,646명
2000년 14,959명
2005년 13,157명
2010년 11,571명
2015년 11,566명
2020년 8,866명
2024년 7월 11,4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영운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66]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4,825명
1970년 6,039명
1975년 7,597명
1980년 9,281명
1985년 12,644명
1990년 15,026명
1995년 14,439명
2000년 15,619명
2005년 13,442명
2010년 13,020명
2015년 12,145명
2020년 10,761명
2024년 7월 10,0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금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67]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3,320명
1970년 4,700명
1975년 6,796명
1980년 8,507명
1985년 13,457명
1990년 18,281명
1995년 24,558명
2000년 24,595명
2005년 36,000명
2010년 35,092명
2015년 33,715명
2020년 30,156명
2024년 7월 29,3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용담·명암·산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68]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3,381명
1970년 3,490명
1975년 3,819명
1980년 4,426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낭성면 산성리 → 청주시 용담·명암동 편입
용담·명암동 → 용담·명암·산성동 개편
1985년 5,787명
1990년 7,202명
1995년 5,672명
2000년 5,193명
2005년 12,584명
2010년 12,257명
2015년 11,853명
2020년 13,550명
2024년 7월 12,7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용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69]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2,606명
1970년 2,766명
1975년 3,571명
1980년 4,276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남일면 방서리 → 용암·용정동 편입
용암·용정동 → 용암·용정·방서동 개편
1985년 5,901명
1990년 8월 1일 청원군 남일면 일부[70] → 용암·용정·방서동 편입
1990년 10,060명
1995년 34,440명
2000년 52,422명
2003년 4월 1일 용암·용정·방서동 → 용암1동, 용암2동 분동
2005년 41,108명
2010년 42,501명
2015년 44,800명
2020년 54,190명
2024년 7월 57,5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용암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4월 1일 용암·용정·방서동 → 용암1동, 용암2동 분동
2005년 29,520명
2008년 27,989명
2009년 27,975명
2010년 27,767명
2011년 27,366명
2012년 27,230명
2013년 26,309명
2014년 25,715명
2015년 24,755명
2016년 24,115명
2017년 23,637명
2018년 30,642명
2019년 33,367명
2020년 37,440명
2021년 39,938명
2022년 40,962명
2023년 44,490명
2024년 7월 44,4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서원구 면동별 인구 #====
파일:청주시 CI.svg 남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375명
1970년 12,539명
1973년 7월 1일
남이면 행산리·산수리 → 부용면 편입
남이면 석곡리 → 강서면 편입
1975년 10,799명
1980년 9,765명
1985년 8,814명
1987년 1월 1일
청원군 남이면 죽림리 → 청주시 농촌·개신동 편입
농촌·개신동 → 농촌·개신·죽림동 개편
1989년 1월 1일 부용면 외천리 일부 → 남이면 외천리 편입
1990년 청원군 남이면 장성리 → 청주시 산·미·분·수곡동 편입
1990년 6,411명
1995년 5,592명
2000년 5,619명
2005년 7,289명
2010년 7,191명
2012년 7월 1일
청원군 부용면(외천리 제외) → 세종특별자치시 신설로 부강면 개편
부용면 외천리 → 남이면 편입 및 부용외천리 개칭
2015년 7,327명
2020년 10,118명
2024년 7월 9,8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현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63명
1970년 8,980명
1975년 8,916명
1980년 8,074명
1983년 2월 15일 문의면 죽암리 → 현도면 편입
1985년 7,630명
1990년 6,329명
1995년 5,735명
2000년 4,718명
2005년 4,512명
2010년 4,367명
2015년 3,903명
2020년 3,350명
2024년 7월 3,0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사직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1]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11,539명
1970년 14,298명
1975년 21,133명
1979년 6월 15일 사직·사창동 → 사직동, 사창동 분동
1980년 30,104명
1982년 9월 1일 사직동 → 사직1동, 사직2동 분동
1985년 18,116명
1990년 18,463명
1995년 14,239명
2000년 11,472명
2005년 10,296명
2010년 10,312명
2015년 9,902명
2020년 7,735명
2024년 7월 4,1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사직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사직동 → 사직1동, 사직2동 분동
1985년 23,033명
1990년 24,439명
1995년 17,866명
2000년 15,216명
2005년 9,148명
2010년 15,263명
2015년 16,314명
2020년 14,367명
2024년 7월 12,2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사창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6월 15일 사직·사창동 → 사직동, 사창동 분동
1980년 11,965명
1985년 24,158명
1990년 27,900명
1995년 22,646명
2000년 20,601명
2005년 18,735명
2010년 16,968명
2015년 16,805명
2020년 14,863명
2024년 7월 14,0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모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2]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7,025명
1970년 9,327명
1975년 17,226명
1980년 21,754명
1985년 25,646명
1990년 33,093명
1995년 29,282명
2000년 25,134명
2005년 24,931명
2010년 19,974명
2015년 17,617명
2020년 14,698명
2024년 7월 16,9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산남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3]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3,736명
1970년 4,083명
1975년 7,847명
1980년 14,134명
1985년 22,062명
1990년 8월 1일 남일면 장암리, 남이면 장성리 → 청주시 산·미·분·수곡동 편입
1990년 30,548명
1992년 6월 1일 산·미·분·수곡동 → 산·미·분·장동, 수곡동 분동
1995년 11,139명
2000년 42,507명
2005년 48,555명
2008년 1월 1일 산·미·분·장동 → 산남동, 분평동 분동
2010년 29,623명
2015년 30,014명
2020년 26,782명
2024년 7월 25,1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분평동 인구 추이
(2008년~현재)
2008년 1월 1일 산·미·분·장동 → 산남동, 분평동 분동
2008년 37,689명
2009년 37,563명
2010년 37,466명
2011년 37,037명
2012년 36,915명
2013년 36,457명
2014년 35,846명
2015년 35,317명
2016년 34,866명
2017년 34,560명
2018년 32,913명
2019년 32,430명
2020년 30,829명
2021년 30,172명
2022년 29,525명
2023년 28,819명
2024년 7월 28,4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수곡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6월 1일 산·미·분·수곡동 → 산·미·분·장동, 수곡동 분동
1995년 42,694명
1996년 1월 5일 수곡동 → 수곡1동, 수곡2동 분동
2000년 22,049명
2005년 20,653명
2010년 17,517명
2015년 16,209명
2020년 13,639명
2024년 7월 12,7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수곡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5일 수곡동 → 수곡1동, 수곡2동 분동
2000년 22,134명
2005년 20,431명
2008년 18,787명
2009년 18,372명
2010년 17,894명
2011년 17,745명
2012년 17,410명
2013년 16,914명
2014년 16,501명
2015년 16,038명
2016년 15,624명
2017년 15,218명
2018년 14,616명
2019년 14,081명
2020년 13,551명
2021년 15,920명
2022년 15,558명
2023년 15,124명
2024년 7월 14,9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성화·개신·죽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4]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1,978명
1970년 1,965명
1975년 2,168명
1980년 2,507명
1985년 3,588명
1987년 1월 1일
청원군 남이면 죽림리 → 청주시 농촌·개신동 편입
농촌·개신동 → 농촌·개신·죽림동 개편
1990년 4월 1일 농촌·개신·죽림동 → 성화·개신·죽림동 개칭[75]
1990년 4,986명
1995년 16,527명
2000년 16,974명
2005년 35,052명
2010년 43,369명
2015년 50,599명
2020년 44,788명
2024년 7월 41,7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흥덕구 읍면동별 인구 #====
파일:청주시 CI.svg 오송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17명
1970년 14,562명
1975년 15,049명
1980년 13,676명
1983년 2월 15일 강내면 황탄리 일부 → 강외면 오송리 편입
1985년 12,546명
1990년 10,933명
1995년 3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심중리 →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편입
1995년 10,293명
2000년 10,376명
2005년 10,414명
2010년 16,529명
2012년 1월 1일 청원군 강외면 → 오송읍 승격
2015년 21,646명
2020년 23,602명
2024년 7월 37,9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강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56명
1970년 10,184명
1975년 10,312명
1980년 9,498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강서면 + 강내면 석소리 → 청주시 편입 및 강서제1동, 강서제2동 분동
강내면 황탄리 일부 → 강외면 오송리 편입
1985년 9,093명
1987년 1월 1일 청원군 강내면 정봉리·신촌리 → 청주시 강서제1동 편입
1990년 9,596명
1995년 10,019명
2000년 11,225명
2005년 11,794명
2010년 11,228명
2015년 11,057명
2020년 10,859명
2024년 7월 10,2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옥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840명
1970년 11,489명
1975년 11,369명
1980년 10,057명
1985년 9,819명
1990년 9,139명
1995년 9,724명
2000년 10,446명
2003년 12월 30일 옥산면·오창면 간 경계 조정
2005년 11,595명
2010년 10,579명
2015년 9,953명
2020년 18,018명
2024년 7월 17,2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운천·신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6]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2,631명
1970년 3,391명
1975년 4,289명
1980년 5,099명
1985년 4,022명
1990년 24,235명
1995년 27,160명
2000년 25,680명
2005년 23,347명
2010년 22,582명
2015년 20,421명
2020년 17,187명
2024년 7월 14,0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복대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8월 23일 가경·복대동 → 복대1동, 가경·복대2동 분동
1995년 15,611명
2000년 26,484명
2005년 38,593명
2010년 42,847명
2015년 52,831명
2020년 51,429명
2024년 7월 51,2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복대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7]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2,878명
1970년 2,932명
1975년 8,281명
1980년 15,732명
1985년 26,999명
1990년 39,381명
1991년 8월 23일 가경·복대동 → 복대1동, 가경·복대2동 분동
1994년 7월 1일 가경·복대2동 → 복대2동, 가경동 분동
1995년 28,895명
2000년 26,492명
2005년 25,431명
2010년 20,502명
2015년 18,539명
2020년 16,183명
2024년 7월 15,1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가경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가경·복대2동 → 복대2동, 가경동 분동
1995년 18,937명
2000년 36,900명
2005년 44,116명
2010년 54,998명
2015년 53,514명
2020년 52,634명
2024년 7월 53,5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봉명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78]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1,780명
1970년 1,700명
1975년 3,499명
1980년 4,502명
1985년 12,092명
1990년 40,515명
1991년 8월 23일 봉명·송정동 → 봉명1동, 봉명2·송정동 분동
1995년 16,604명
2000년 14,161명
2005년 13,771명
2010년 12,407명
2015년 12,095명
2020년 9,828명
2024년 7월 11,8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봉명2·송정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8월 23일 봉명·송정동 → 봉명1동, 봉명2·송정동 분동
1995년 27,997명
2000년 24,770명
2005년 27,842명
2010년 27,521명
2015년 27,594명
2020년 24,344명
2024년 7월 23,5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강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555명
1970년 14,002명
1973년 7월 1일 남이면 석곡리 → 강서면 편입
1975년 16,502명
1980년 16,035명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강서면 + 강내면 석소리 → 청주시 편입
강서면 용정리[79], 석곡리, 휴암리, 신전리, 현암리, 동막리, 수의리, 지동리, 서촌리, 비하리, 강내면 석소리 → 강서제1동 전환
강서면 신성리, 평리, 신대리, 남촌리, 내곡리, 상신리, 원평리, 문암리, 송절리, 화계리, 외북리, 향정리 → 강서제2동 전환
1985년 10,754명
1987년 1월 1일 청원군 강내면 정봉리·신촌리 → 청주시 강서제1동 편입
1990년 16,710명
1995년 17,694명
2000년 19,136명
2005년 18,831명
2010년 21,285명
2015년 21,735명
2020년 28,414명
2024년 7월 30,7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강서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청원군 강서면 + 강내면 석소리 → 청주시 편입
강서면 용정리[80], 석곡리, 휴암리, 신전리, 현암리, 동막리, 수의리, 지동리, 서촌리, 비하리, 강내면 석소리 → 강서제1동 전환
강서면 신성리, 평리, 신대리, 남촌리, 내곡리, 상신리, 원평리, 문암리, 송절리, 화계리, 외북리, 향정리 → 강서제2동 전환
1985년 5,908명
1990년 6,251명
1995년 4,643명
2000년 4,581명
2005년 5,112명
2010년 3,854명
2015년 4,041명
2020년 13,368명
2024년 7월 16,3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청원구 읍면동별 인구 #====
파일:청주시 CI.svg 내수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3,532명
1970년 21,373명
1975년 21,880명
1980년 19,744명
1983년 2월 15일 북이면 학평리 → 북일면 편입
1985년 19,714명
1990년 8월 1일 청원군 북일면 일부[81] → 청주시 편입 및 오근장동 신설
1990년 11,650명
1995년 13,732명
2000년 1월 1일 청원군 북일면 → 내수읍 승격
2000년 21,714명
2005년 23,238명
2010년 22,595명
2015년 21,517명
2020년 19,527명
2024년 7월 18,7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오창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426명
1970년 17,832명
1975년 17,836명
1980년 15,388명
1985년 13,910명
1990년 11,819명
1995년 12,018명
2000년 10,854명
2003년 12월 30일 옥산면·오창면 간 경계 조정
2005년 11,472명
2007년 1월 1일 청원군 오창면 → 오창읍 승격
2010년 41,866명
2015년 54,139명
2020년 70,066명
2024년 7월 68,3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북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015명
1970년 15,026명
1973년 7월 1일 청원군 북이면 초중리 → 괴산군 증평읍 편입
1975년 13,910명
1980년 12,211명
1983년 2월 15일 북이면 학평리 → 북일면 편입
1985년 10,433명
1990년 8,823명
1995년 7,362명
2000년 6,673명
2005년 6,393명
2010년 5,828명
2015년 5,132명
2020년 4,644명
2024년 7월 4,2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우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82]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9,378명
1970년 14,243명
1975년 21,960명
1980년 25,445명
1985년 28,670명
1990년 31,464명
1995년 21,268명
2000년 18,323명
2005년 17,045명
2010년 14,225명
2015년 12,850명
2020년 12,345명
2024년 7월 12,0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내덕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청주시 행정동제 실시
영동 + 북문로2가 + 북문로3가 → 영·북2·북3가동 신설
문화동 + 북문로1가 + 남문로2가 → 문화·북1·남2가동 신설
서운동 + 남문로1가 → 서운·남1가동 신설
서문동(법정동) → 서문동(행정동)
남주동(법정동) → 남주동(행정동)
석교동(법정동) → 석교동(행정동)
수동(법정동) → 수동(행정동)
우암동(법정동) → 우암동(행정동)
청주시 내덕동 + 청원군 사주면 율양리 + 사천리 → 내덕·율량·사천동 신설
탑동 + 대성동 → 탑·대성동 신설
청주시 사직동 + 청원군 사주면 사창리 → 사직·사창동 신설
모충동(법정동) → 모충동(행정동)
영운동(법정동) → 영운동(행정동)
금천동(법정동) → 금천동(행정동)
청원군 사주면 용담리 + 명암리 → 용담·명암동 신설
청주시 운천동 + 청원군 사주면 신봉리 → 운천·신봉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용암리 + 용정리 → 용암·용정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산남리 + 미평리 + 분평리 + 산북리 → 산·미·분·수곡동 신설[83]
청원군 사주면 농촌리 + 개신리 → 농촌·개신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가경리 + 복대리 → 가경·복대동 신설
청원군 사주면 봉명리 + 송정리 → 봉명·송정동 신설
1966년 14,339명
1970년 17,454명
1975년 25,695명
1979년 1월 1일 내덕·율량·사천동 → 내덕동, 율량·사천동 분동
1980년 30,700명
1982년 9월 1일 내덕동 → 내덕1동, 내덕2동 분동
1985년 20,554명
1990년 23,524명
1995년 17,499명
2000년 14,653명
2005년 12,441명
2010년 11,475명
2015년 10,374명
2020년 8,604명
2024년 7월 7,8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내덕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내덕동 → 내덕1동, 내덕2동 분동
1985년 17,447명
1990년 22,389명
1995년 18,505명
2000년 16,270명
2005년 17,414명
2010년 13,267명
2015년 11,572명
2020년 13,035명
2024년 7월 12,9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율량·사천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내덕·율량·사천동 → 내덕동, 율량·사천동 분동
1980년 6,556명
1985년 9,716명
1990년 13,027명
1995년 35,481명
2000년 47,703명
2005년 46,237명
2010년 42,288명
2015년 47,561명
2020년 47,747명
2024년 7월 47,4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청주시 CI.svg 오근장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8월 1일 청원군 북일면 일부[84] → 청주시 편입 및 오근장동 신설
1990년 6,292명
1995년 5,489명
2000년 4,686명
2005년 4,046명
2010년 4,006명
2015년 18,862명
2020년 18,405명
2024년 7월 17,6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5. 지리

5.1. 지형

시가지를 중심으로 청주시의 동쪽은 산이 많다. 우암산을 시작으로 백족산, 가래산, 것대산, 인경산 등 4~500m 높이의 산이 즐비하다. 반면 서북부에는 미호평야가 위치한다. 미호강이 하류의 화강암지대를 관류하며 이루어 놓은 충적평야인 미호평야는 증평군~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까지 걸치며 너비는 약 2~4km, 길이는 약 25km이다. 미호평야의 대부분의 지역이 청주시 관내에 위치하는 만큼 청주 서북부의 평야가 상당히 넓은데, 이천 평야를 끼고 있는 진천 평야보다 더 크며 충북 최대의 평야이자 농작지이다. 특기할만한 것이 인구 70만 규모의 청주 본도심은 미호평야와 별개로 무심천이 형성한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도 미호평야와는 별개의 평야지대에 위치한다. 즉 대구분지의 대구광역시 시가지 면적에 버금가는 혹은 그 이상의 넓은 평야지대가 오송, 오창 등의 읍면지역, 청주 서북부의 최근 개발지역 일부를 제외하면 전부 농경지로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85] 때문에 평야가 부족한 한반도 사정상 도심 확장성으로 골머리를 앓는 타 지자체와 달리 청주시는 도심 확장성으로 시름해본 적이 없다.[86] 오히려 너무 넓은 평지로 인해 어느 한 곳이 특별히 발전하지 않은 것이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불만으로 오갈 정도. 그리하여 현재 청주 시가지 위쪽에 청주테크노폴리스가 개발 중이며, 개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청주의 시가지가 오창지역과 연담화되어 더 넓어질 예정이다. 반면, 남쪽은 산뿐만 아니라 금강 상류를 끼고 있어 상수원 보호구역이므로 발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87]

청주시를 'ㅅ'자 모양으로 서쪽으로는 부모산과 국사봉 사이 평야지대를 미호강이, 동쪽으로는 부모산에서 우암산 등까지 둘러싸인 분지지형 한가운데를 무심천이 관통하고 있다. #

비단 청주만이 아닌 충청북도 자체의 문제지만 내륙 깊숙히 있어 바다를 보려면 멀리 이동해야 한다. 바닷가가 있는 지역 중 그나마 청주와 가까운 곳이 보령시, 서산시, 태안군인데 가장 가까운 보령에 위치한 대천해수욕장은 1시간 40분이 걸린다.[88] 그나마 청주에 대청호와 청남대가 있기에 바다는 아니더라도 넓은 호수를 볼 수는 있다. 또한 2025년에 청원구에 '미래해양과학관'이 개관되면 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재미있는 것은 광주광역시와 지형과 이로 인한 도시구조에서 상당한 유사점을 보인다. 두 도시 다 동쪽에 도시를 대표하는 산[89]으로 막혀 있으며 서쪽으로는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다. 원도심이 도심의 동쪽에 위치하고[90] 있으며 최근 서쪽으로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는 점 역시 비슷하며 심지어 도시 내의 가장 큰 산업단지[91] 역시 도심 서북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평야에 위치한 도시들이라 지형적 제약이 적어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확장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레 두 도시의 도로망은 원형의 순환도로[92]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이외에도 도시의 서부에 비교적 최근 고속철도역[93]을 유치한 것과 두 도시 다 평야지대에 해당 권역을 담당하는 지역공항[94]을 가지고 있는 것 역시 공통점을 가진다.

5.2. 기후

평야의 넓이에 비해 청주시내를 가로지르는 무심천은 너무 초라할 정도로 작기 때문에 여름에는 열섬 현상까지 더해져 정말 덥다. 실제 더 남쪽인 영동군[95]이나 전라도 북부 지역에 비해 기온이 더 높은 데다가 지나가는 천이라고는 무심천밖에 없어서 여름에는 바람조차 잘 불지 않는다. 그래서 남쪽 지방 출신의 학생들은 오히려 청주가 더 덥다고 한소리씩 한다. 실제로 청주는 여름 평균기온으로 보나 최고기온 평균으로 보나 대구, 전주, 광주 일대 다음으로 더운 동네였다. 게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열섬 현상이 더 심해졌다. 2010년대 후반부터 7월이 전국에서 가장 더운 지역인 편인데 2020년 7월 한반도 이상 저온 때도 24.3°C의 평균기온으로 그 당시 저온이 약해서 24°C의 평균기온을 넘은 서울보다도 높았다. 특히 2021년 폭염 때는 6월~7월 기준[96] 전국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악명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월 평균 기온이 28.4°C라 2년 연속 한반도 가장 더운 7월 기온을 차지했다. 한편 서울은 작년에 이어 또 2위에 그쳤을 정도로 청주가 엄청나게 더운 곳이라는 것이다. 2022년에는 27.6°C로 다행히 제주도 다음 2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도 폭우 와중에도 27°C를 넘었다.

그렇다고 여름에 덥다고 해서 겨울에 대구나 광주만큼 따뜻하냐면 그건 또 아니다.[97] 겨울엔 충북 아니랄까봐 남부 지역보다 훨씬 춥다. 물론 충청북도 평균보다는 따뜻한 편이지만 어디까지나 상대적 개념으로 충청북도의 경우 충주시, 제천시 강원도 산간지방과 인접해 있으며 남부 옥천군, 영동군 역시 소백산맥이 통과하는 산간지방이라 엄청 춥다. 특히 제천·단양 이쪽은 한겨울 평균기온이 그냥 강원도 철원, 화천, 인제, 양구, 홍천 이런 동네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때문에 충청북도 대부분 지역은 어지간한 경기도 지역보다도 기온이 낮다. 청주가 그나마 충청북도에서 따뜻한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98] 그럼에도 서울보다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가 자주 있다. 눈은 타 지역에 비해 적게 온다.

청주의 평균기온은 연평균 13.1℃(1월 평균 -1.5℃, 8월 평균 26.2℃/역대 최고 기온 39.1℃(2018. 8. 15), 역대 최저 기온 -26.4℃(1969. 2. 6)), 연평균 강수량 1232.4㎜(1일 최대강우량 293㎜('95. 8. 25)). 최한월 기준 -3℃로는 온대 하우 기후.

한편, 2010년대 중반부터 들어 지구온난화와 열섬의 영향을 받았고, 2020년대 들어 그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더워진게 아니라 겨울도 따뜻해지고 연중 기온 자체가 높아졌다. 2021년을 보면 특히 많은 지역에서 역대급 이상고온을 보였던 2~3월의 경우 청주 평균기온이 각각 3.6도/9.6도였으며, 7월도 28.3°C로 서울보다 높았고[99] 11월은 이따끔씩 때이른 추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9.0도, 12월은 1.7도로 연평균 기온이 서울과도 꽤나 차이나고, 대구와 별로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높아졌다. 충청권 1위였던 대전보다도 아예 높아졌다.

하지만 이건 무심천 서쪽지역인 서원구, 흥덕구 등 도심지역이 더운 것일 뿐 무심천을 기준으로 동서지역의 기온 차이가 나는 편이다. 무심천 동쪽지역인 청원구 상당구는 여전히 겨울에 추위도 심하고, 일교차도 커서 아침 기온이 낮고 열대야도 거의 없다. 상당구 AWS를 보면 같은 청주가 맞나 싶을 정도로 강원도나 제천시처럼 아침에 무지막지하게 추울 때가 많다.

5.3. 자연재해

1995년 8월 25일에 청주시에서 293.0 mm가 되는 장대비가 쏟아져서 천안시와 같이 폭우 피해를 당한 전적이 있으며 이후에 1997년과 1998년에 대전광역시에서 폭우가 덮쳐서 피해가 났을 때 청주시에서 많은 비가 내렸으나 그렇게 큰 피해 수준은 아니었다. 2000년대에 들어 2002년 8월 6일~7일에 청주시에서 장대비가 쏟아졌으나 이번에는 천안시가 큰 피해를 입고 청주시는 피해가 크지 않았다.

이후에 피해를 봤다고 할 만한 자연재해는 2004년 충청지역 대설과 2017년 중부권 폭우 사태,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때를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 자연재해는 없었다. 2023년 전국이 비가 많이 올 때 피해를 입었다. 지진의 경우 과거 속리산에서 꽤 큰 지진이 일어나서 안심할 수 없다.[100]

5.3.1. 2017년 중부권 폭우 사태

2017년 7월 16일 무려 시간당 91 mm의 폭우가 내려 청주 기상 관측 사상 시간당 강수량 기록을 갈아치웠다. 시간당 강수량은 압도적인 1위고, 일강수량도 무려 290.2 mm로 7월 역대 최다이자 1995년 8월에 이은 역대 2번째로 많은 강수량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언론에서는 이번 홍수를 1995년에 이은 22년 만의 홍수라고 부른다. 하지만 시간당 91mm는 100년에 한 번 올까말까한 경우이므로 앞으로도 홍수재해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101]

당초 충북대학교 정문 쪽에 우수저류시설을 준공하여 홍수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자신했던 것과 달리 무심천, 미호강 등 주요 하천이 범람 위기상황까지 놓였다.[102] 이에 주변 주민들에게 긴급대피 방송까지 했고, 시가지는 불어난 물에 차량 침수피해가 곳곳에서 이어졌으며, 아파트단지 지하주차장에 물이 차 차량을 대피시키는 소동도 발생했다.

이런 와중에 충북도의원 4명이 외유성 출장을 가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그 중 김학철 도의원의 막말은 전국적으로 논란이 됐다.

이 사태 이후에 주요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침수예방사업을 시행하였고 2022년 현재도 진행 중이다.

시는 가장 극심한 피해를 입었던 대농지구 인근 서청주교, 석남교 재가설과 함께 하천정비와 저지대 빗물펌프장 설치, 우수관로 개량을 추진, 총 434억원을 들여 2021년 3월 준공하였다. 그밖에 석남천, 내덕동 하수관로 정비는 아직 진행 중이며 전액 국비 지원이다.

5.3.2.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2023년 7월 15일에는 미호강이 범람하는 바람에 오송읍 궁평리에 위치한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수많은 인명피해가 났다. 자세한 내용은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 문서 참고.

6. 도시구조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의 도시 구조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도심 성안길 인근
부도심 가경동
( 가경터미널 인근, 강서동)
복대동
( 청주 지웰시티)
지역중심 율량동 산남동 용암동 사창동
( 충북대중문)
주요 택지지구 율량2지구 산남3지구 분평지구 성화지구 가경1~4지구 용암1·2지구 동남지구 강서지구 하복대
<colcolor=#373a3c> 주요 산업단지 청주일반산단 오창1·2·3과학산업단지 오송1·2·3생명과학산업단지 청주테크노폴리스 청주넥스트폴리스 청주에어로폴리스
읍면 상권 오창읍 오송읍 내수읍 옥산면 강내면 미원면 문의면
}}}}}}}}} ||

크게 청주시 본시가지와 오창, 오송 등의 중소 시가지, 그리고 농촌 지역으로 나뉜다. 방위대로 나눌 경우 성안동을 위시한 도심[103]을 중심으로 남청주(청남), 동청주, 북청주, 서청주로 나뉘며 그 중에서도 미세하게 생활권이 타 지자체와 엮여있거나 타 지자체가 청주시에 생활권이 엮인 경우도 있다.[104]

6.1. 본시가지

본시가지의 경우 도시구획은 기본적으로 상당사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ㅓ'자로 뻗어나간 도로축을 기본으로[105] 시가지가 구분되며 북쪽으로는 진천·증평 방면, 남쪽으로는 대전·보은 방면, 서쪽으로는 오송·세종(조치원) 방면으로 뻗어나간다. 이렇게 단순한 기본 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각 방향별로 산업단지육거리[106], 석교육거리[107], 내덕칠거리[108] 등 괴악한 구조의 도로가 산재해 있다. 특히 석교육거리의 경우 ' 육거리시장'이라는 청주 최대의 시장이 있기 때문에 주말이 되면 교통이 많이 복잡해진다.

구시가지는 구 청주읍성 내 지역이었던 성안길. 일제강점기부터 본정통으로 불렸으나 지명의 일제 잔재를 씻는 의미에서 개명되었다. 지금도 시내 나간다는 말을 하면 보통 성안길을 꼽는다. 전국에서도 꽤 큰 상권인데 객관성이 확실한지는 모르지만 2013년 SK텔레콤 지오비전 빅데이터 전국 100대 상권에 24위를 차지했다. 서울 지역을 제외하면 10위. 하지만 서쪽의 상권들[109]이 커가면서 점차 위기를 겪는 중.

대표적인 신시가지는 버스터미널이 이전한 가경동과 하복대 일대이다. 가경터미널과 함께 가경동이 대거 개발되면서 인구밀도가 늘었으며, 주로 고층아파트를 포함한 주거지역과 이상하게 밀집된 유흥가로 나누어진다. 하복대는 이제 청주 최대의 유흥가로 되어버렸다. 과거 충북대 중문에서 중심지가 넘어가 버렸다. 충북대 중문도 단위면적으로 따지면 대학 근처 유흥가로 손에 꼽힐 만큼 크며 일반적으로 놀 장소로서는 편하다. 그리고 2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는 충북대중문을 많이 찾는다. 이외에도 산남동, 금천동 광장, 율량동 등 여러 군데가 발전하며 다핵구조 도시로 변신하는 중. 그래도 외곽 중심지들이 주변의 대도시( 대전광역시, 천안시)와 더 밀접한 지경까진 아니어서 남양주나 용인, 시흥과는 달리 시가지끼리의 연결성은 꽤 좋은 편이다.

6.1.1. 최근 개발 지역

청주는 1990년대만 하더라도 시가지가 매우 작았다. 통합 이전 상당구청(현 청원구청)과 흥덕구청(현 서원구청) 모두 구시가지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이 그 증거 중 하나이며 심지어 현재 가경동에 있는 시외터미널과 버스터미널 역시 예전에는 구시가지 가까운 데에 있었다. 원래 외곽지역이었던 가경동, 복대동, 율량동, 주중동, 주성동, 산남동, 분평동, 성화동, 개신동, 죽림동, 용정동, 용담동, 오창읍, 오송읍 등의 지역은 거의 최근에 주거밀집지역으로 변한 곳들이다.[110][111][112]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주거밀집지역은 율량2지구와 오창2산단, 대농지구다. 대농지구는 청주산업단지, 그중에서도 SK하이닉스 생산라인과 도로 하나를 경계로 맞닿아 있는데 대농지구 주민들의 하이닉스에 대한 민원으로 SK도 청주시도 난처한 상황. SK 측에서는 대농지구 바로 맞은 편의 아주 작은 택지에는 아파트(지웰시티 3차)를 짓지 말아 달라는 입장이었으나 청주시 측에서는 허가를 내버렸다... 하이닉스가 청주에 기여하는 바도 큰 데다, 대농지구 내 학교 등의 과밀화를 우려하여 허가에 대한 지역 여론은 좋지 않다.

현재 개발되는 택지 중 가장 큰 규모로는 방서지구, 동남지구가 있다. 동남지구는 택지개발촉진법 폐지로 청주에 마지막 남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이며 90년대에 개발되어 노후화된 인구밀집지역인 용암동 남부에 19,000세대급으로 방서지구와 함께 개발 예정이다. 방서지구는 분양이 끝나서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동남지구는 2017년 말부터 분양이 시작되었다. 방서지구 밑 지북동 일원은 상당구청 신청사 조성과 연계하여 지북지구라는 뉴스테이 사업지구가 설정되어 있다.

또 청주시의 숙원사업이었던 청주산단 위의 흥덕구 문암동, 송절동 등의 지역에 청주테크노폴리스 개발 역시 진행 중이다. 애초의 청사진은 거대한 택지지구와 청주산단의 연장인 산업단지의 개발이었으나 충북도가 청주에 집중되는 것을 싫어하여, 도의 무관심과 전 시장의 우선순위, 당시 나빴던 부동산 경기로 인하여 대거 축소되었다.[113] 하지만 이승훈 전 시장 재임 시기 SK하이닉스가 청주테크노폴리스에 15.5조 원을 투자하기로 하여 산업필지를 크게 확장하였고, 이후 2017년경 당초 원안대로 시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북청주역세권 사업도 예정되어 있다.

이 외에도 본시가지 끝에 민영개발된 작은 규모의 택지지구로는 비하지구(흥덕구 비하동), 사천지구(청원구 사천동), 용정지구(상당구 용정동), 호미지구(상당구 용담동), 가마지구(서원구 남이면 가마리) 등이 있다.

6.2. 읍면 지역

오창, 오송은 정부 주도로 계획된 산업, 연구단지와 공공청사를 기반으로 한 신도시이다. 오창의 경우는 신도시 지역은 청주시민들에게 "과학단지" 혹은 1산단이라고 불리며, 구 시가지는 구 오창이라 불린다. 구 오창과 인접한 산업단지 지역은 주로 2산단이라고 많이 불린다. 대체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오창, 오송 모두 대기업의 산업시설과 연구시설이 굉장히 많이 들어와 있다. 오송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철도역인 오송역이 들어서있다.

오창읍은 지속적인 인구 상승으로 현재 7만 명을 넘었으며, 2021년 5월에는 '대읍'으로 승격되었다. 테크노폴리스와 오창을 연결하는 엘지로가 개통되면서 청주 본시가지와 한결 더 가까워졌다. 오창에서 대농지구까지 10분 컷도 가능하다. 게다가 무심동로까지 오창에 확장될 예정이다. 만약 오창 제3산단이 엘지로 근처에 개발된다면 오창이 청주 본시가지에 편입되어 한 몸이 되는 것도 가능했겠지만 아쉽게도(?) 오창 제3산단의 위치는 기존 오창과학단지와도 산으로 단절된 후기리 일대로 정해졌다. 다만 오창은 아파트에서 불과 50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화학공장 등 제조업 사업장과 소각장이 들어서있어서 대기 질이 딱히 좋지는 않다.

오송은 현재 오송제2생명과학단지가 정중리 및 봉산리 일대에 개발 중이며, 대규모 아파트와 주거단지가 꾸준히 분양될 예정이다. 또한 청주OSCO도 2024년 개관 예정이다.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역세권개발사업이 부진한 가운데, 오송제2생명단지가 오송읍에 크게 도움이 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 또한 동평리, 서평리 일대에는 오송제3생명단지가 개발될 예정이다.

강내면은 교원대 이남 지역인 태성리에 강내산업단지가 들어설 예정이고, 2021년 6월에 흥덕구청이 대농지구에서 사인리로 이전하여 기존의 교원대 이북 지역 일대인 미호와 청주역, 오송, 조치원과 이어진다는 점을 연결시켜 수많은 상권과 산업단지가 개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옥산면처럼 인구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유사한 예시로 남일면 효촌리로 이전한 상당구청이 있는데, 상당구청 주변에 지북지구가 개발이 예정되어있다.

옥산면 역시 산업단지가 있는데, 이곳에도 수천 세대의 아파트가 지어졌다. 추후 옥산2산업단지, 국사산업단지가 개발되고 농수산물도매시장이 이전한다면, 큰 상권이 형성되고 공동주택이 들어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청주시의 4번째 읍 승격의 가능성이 높다.

대전광역시( 신탄진동) 근처의 현도면도 개발 중에 있다. 청주시와 대전광역시 사이의 관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미호강 바깥 서부 읍면 지역(오창읍, 오송읍, 옥산면)을 포함한 총 인구는 족히 11만명을 조금 넘는다. 청원군 시절부터 이어온 개발의 특성과 앞으로 크게 개발될 잠재성 때문에 주로 읍면 지역에 개발이 선호되는 편이다.

2030년대에 이르면 오창, 오송지구의 개발이 상당 부문 진전되고, 청주 원도심의 재개발이 시작되면서 인구가 100만을 넘어 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청주시는 오송역세권지구의 개발을 서둘러 조치원과의 연담화를 통한 인구 기반을 확보하려 하고 있고, 청주 원도심의 재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광역시 승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도시의 자족 기능 재정비와 신진 지역 개발을 통한 도시의 고차 중심성 확보를 통해 세종시가 성장할지라도 지역적 주도권을 지키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내수읍, 오송읍 일원에 충북경제자유구역 역시 개발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내수읍 일원에 5만명 규모의 공항신도시가 조성된다고 한다.

구 청원군 지역 중 위에서 언급한 지역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농촌 혹은 시골이다. 특히 동쪽에 위치한 읍면들 대부분이 산지나 저수지로 이루어져있으며 많은 곳들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으로 동쪽 지역보다 서쪽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있다.

6.3. 생활 격차

청주시 동지역의 생활 수준 격차는 그리 크지 않다. 그런데 이게 지역별 격차가 없어서 그런 것은 절대 아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구도심이 분구 과정에서 이 구 저 구로 쪼개졌고[114] 신시가지 지역 또한 어디 한 곳을 집중해서 키운 게 아니라 외곽지역을 이리저리 둘러가면서[115] 개발을 해나갔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별 격차는 비교적 작은 대신 같은 구 내에서 발전된 지역과 낙후된 지역이 대조를 이룬다.

구 청원군 지역은 북서쪽 지역(주로 흥덕구 오송읍, 옥산면과 청원구 오창읍)과 남동쪽 지역(주로 상당구 미원면, 낭성면과 서원구 남이면, 현도면)의 개발 정도가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또한 같은 구 안에 속해도 개발 정도가 엄청나게 차이나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청원구 내에서 오창읍과 내수읍, 흥덕구 내에서 강내면과 오송읍 등.

청주시의 주요 부촌으로는 청주 지웰시티를 필두로 고층 주상복합과 대단지 아파트들이 위치한 복대동 일대와 가경터미널 왼쪽에 자리잡은 호반베르디움, e편한세상, 가경자이, 가경 아이파크 등 신흥 아파트단지가 몰려있는 가경지구와 대원칸타빌, 시티프라디움, 힐데스하임 등 위치하는 2구역을 가진 동남지구가 있다.[116][117]

다만 도시가 위에 언급하였듯이 도심 외곽으로 다핵구조처럼 택지지구들이 새롭게 개발되기 때문에 그때 그때 부촌이 달라지는 편이다. 과거에는 전통 부촌으로 문화동이 유명했으나 구도심 몰락과 함께 저물어 갔고[118], 이전에는 용암동 동산빌리지[119]와 현대1차아파트, 분평동 현대대우아파트가 있었지만 계속된 신축 택지지구의 개발로 옛말이 되어버렸다.[120] 그러다가 산남동과 개신지구가 개발되면서 개신 푸르지오와 산남 계룡리슈빌 쪽이 잠시 거론되었다가 대농지구가 본격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대형평수의 고급주택 물량이 집중되고 현대백화점과 각종 문화시설, 상업시설이 조성되면서 청주의 부촌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다만 그때 그때 택지지구가 개발될 때마다 대형 평수 아파트나 타운하우스가 건립되고 전원단독주택 단지들도 각 동네마다 여기저기 분산되어있어 뭔가 다른 도시들에 비해 명확하게 부촌이라는 개념이 다소 약한 편이다.[121] 또한 로즈웰 단지와 칸타빌 아파트들이 줄을 이루고 복합상가와 신식 거리가 활성화 된 율량2지구도 주목받고 있다. 아파트 매매가[122]와 동네의 상가거리들만 봐도 지웰시티, 용용 형제들[123], 가경지구 다음으로 거론될 만 하다. 다만 이 곳은 개발 정도에 비해 상권이 살아나질 않아 유령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도 비하동에 신축된 서청주자이와 무심천 동쪽의 방서동 쪽도 신축 단지를 짓고 있다. 어째 시간이 지날수록 꾸준한 개발로 시가지는 계속 커지고 있지만, 유입·유동 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금 복대동이 부촌 이미지를 얻고는 있지만, 대형쇼핑몰, 주상복합아파트가 몰려있는 복대1동 일부 권역, 즉 대농지구에 한하고 그 부분을 제외한 복대동은 오히려 낡은 단독주택과 원룸건물이 즐비한 낙후된 주택가이다. 서청주우체국 기준 동쪽 지역이라고 보면 얼추 들어맞으며, 이 곳은 후에 재개발이 될 예정이다. 하지만 2015년 들어 부동산 침체와 아파트 과잉공급 등으로 청주시는 구 시가지보다는 오송[124]과 같은 호재가 많은 지역, 시 외곽지역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진척이 쉽지 않다. 결국 복대2구역이 재개발되어 2024년에 '더샵 청주센트럴'이 들어섰다.

7.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가 지나가고 KTX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의 분기역인 오송역이 있으며, 충청도에서 유일한 공항인 청주국제공항이 있다.

또한 충청북도의 주요 도시를 잇는 충북선 철도와 충청내륙고속화도로가 있어 명실상부 충청북도의 중심지이자 교통의 요충지이다.

사실 청주시가 과거부터 충청북도의 중심은 아니었다. 1896년부터 1908년까지는 영남대로상에 가장 교통의 요지였던 충주시가 충청북도의 도청소재지였지만, 경부선 철도 부설과 1908년 6월 5일 도청이 청주로 이전된 이후부터 상황이 바뀌었다.[125] 그리고 이 두 도시와 비슷한 예로는 충남의 공주시 대전광역시 간의 관계가 있다.[126]

8.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생활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생활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문화

12.1. 지역 특징

시민들에겐 무색무취의 도시라는 자조섞인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127] 도시 인지도 역시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일례로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나 타지인들이 종종 충주시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128] 외국인의 경우 전주시와 헷갈리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129]

충청도 대부분이 지역색이 뚜렷하지 않지만, 충북은 특히 더하다. 충북 자체가 괴산군에서 분리된 증평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타 도와 접하다 보니 지역색이 희박하다. 그 와중에도 유독 청주는 상당한 인구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색 있는 음식, 문화 같은 것을 찾기가 꽤 힘든 편이다. 그나마 돼지고기 요리(짜글이/간장삼겹살)가 종종 TV에 나오지만 그마저도 특색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전국에 퍼진 '남주동해장국'이라는 이름을 거는 식당도 그 기원이 청주이기는 하나[130] 특색이라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이렇다 보니 관광지도 크게 유명하지 않아 누가 청주에 놀러온다 하면 말리는 편이다. 다만, 수도권 사람들은 남쪽에 비해 지역색이 옅다는 점을 청주의 장점으로 들기도 한다. 딱 떠오르는 특징이 없어서 지역의 곳곳의 장소와 주민들의 삶이 더 돋보이기 때문에 이게 청주의 진짜 특징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나마 청주에서 자랑하는 게 직지심체요절로 도시 곳곳에 "직지"라는 글자가 박혀있다. 청주시의 대로인 직지대로, 직지초등학교가 있으며 직지가 만들어진 흥덕사에서 유래된 '흥덕'이라는 이름도 많이 쓰인다. 그러나 직지는 실물이 청주에 있지도 않고, 저 멀리 프랑스에 있다. 단, 프랑스가 강제로 빼앗아간 것이라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구한말 프랑스 외교관이 고서적 상점에서 적법하게 돈 주고 산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직지심체요절 문서 참조.[131] 최초의 현존하는 금속활자 인쇄본이라는 특징 때문에 인쇄나 기록유산 관련한 어필을 자주 하며, 유네스코 산하 기관인 국제기록유산센터(ICDH)가 2023년에 흥덕사지 근처에 개관하였다. #

예로부터 인쇄문화를 주도한 지역이며 기호학파의 중심지였고, 학교와 교육기관이 많아 한 때는 학생과 교육 종사자의 비율이 전체시민의 1/3에 달하여 일종의 교육도시라 불리기도 한다. 70년대 청주 인구 증가의 대부분이 충북에서 몰려든 고등학생 하숙생들 때문이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청주-청원 통합 전 1기 한범덕 시정 시기엔 "녹색수도"라는 슬로건을 밀었다. 청주IC 진입로로부터 플라타너스 가로수로가 유명한데, 총 길이가 14km의 가로수터널이다. 이에 착안, 도시 곳곳에 나무를 식재했다. 특히 여름에는 청주시내 어디서나 초록을 볼 수 있다.

교육문화분야에서는 전국 지자체 비교에서 미술관 수(1위), 박물관 수(2위)를 포함한 전체 문화기반시설 수 2위, 간이체육시설 수 1위, 인구 십만 명 당 도서관수 3위로 시민의 건전한 문화여가 활동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 문화기반시설이나 문화여가 활동을 위한 청주시 지자체의 정책과 노력은 꽤나 튼실하고 열심인 편이다.

청주를 배경이나 소재로 만들어진 알려진 문화예술 작품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청주시 산하 봉명동에 청주의 1세대 아파트였던 봉명주공이 철거되면서 그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진 적은 있다. # 다만 해당 영화가 서울을 기반으로 하는 서울환경영화제 상영작이어서 그런지 청주시민들에게 직접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듯하다.[132]

12.2. 언어


충청북도 제1의 도시이며, 충청도에서 대전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물론 대전은 광역자치단체이니 기초자치단체 기준으로 하면 충청도 인구 1위는 청주시가 된다. 그런 만큼 도심 지역에선 공용어인 표준어를 주로 들을 수 있다.

이 지역은 청주 방언권에 속하여 청주 방언권(증평군, 청안면, 소수면 일대, 보은군)을 대표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청주시는 충청도의 대도시 중에서는 토박이의 비율이 높은 편이라[133] 청주 고유 사투리를 잘 들을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사투리가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지역이 그러하듯 젊은 세대는 옅은 사투리를 쓴다.

모든 세대가 공통적으로 쓰는 사투리로는 "~ㅕ"[134], "~겄~"[135], "~디"[136] 등이 있다.[137] 단어의 경우엔 대부분 표준어로 바꿔쓰지만, "낌다(꽂다, 끼우다)", "쩜매다(묶다)", "몇요일(무슨 요일)" 등처럼 사투리인지 인식 못 하고 사용하는 단어들도 있다. 40~60대 이상으로 넘어가면 "~햐"[138], "~댜"[139]처럼 더 짙은 사투리를 구사하는 경우도 있으며, 충청도 대표 사투리 겸 높임체인 "~유"[140]를 쓰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억양의 경우엔 충청도 특유의 비음 발음이나 말끝을 늘이는 정도가 있긴 하나, 충청남도에 비해선 약한 편이다. 예시로 청주 바로 밑에 위치한 대전이 대도시가 되고 수도권 및 남부 지방에서 다수의 외지인들이 유입되면서 억양이 약해지긴 했지만, 대전 지역에서 대대로 살아온 본토박이들의 억양은 청주보다 훨씬 센 편이다.[141]

다만 흥덕구 북쪽[142]의 경우에는 SK하이닉스 공장으로 인해 타지역에서 이주해온 인구가 대부분이여서 "~ㅕ, ~ㅠ, ~디" 등의 기본적인 충청도 사투리도 거의 듣기 힘들다. 실제로 학교부터 청주에서 다닌 청주 토박이들은 학교에서부터 친구들이 기본적인 충청도 사투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그 사투리를 쓰든 쓰지 않든 익숙하지만, 가경동, 개신동, 산남동 등을 제외한 흥덕구 북쪽 사람들은 토박이의 인구가 비교적 적고, 대부분의 인구가 타지 사람들이여서 학교를 청주에서 다닌 10대, 20대들은 "~ㅕ, ~ㅠ, ~디" 등의 기본 사투리가 어색하게 들린다고 한다.

여담으로 청주 사람들이 바로 밑에 위치한 대전에 갔을 때 놀라는 것 중 하나가 "기"라고 한다. 대전 토박이들 중에선 간혹 "기냐?(그렇냐?, 맞냐?)[143]"나 "기지?(그지?/그렇지/그치?)", "기여?(그래?, 맞아?)"[144], "내가 기면 기고 아니면 아닌 거지(내가 그렇다면 그런거고 아니면 아닌 거지)"처럼 "기"라는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 "기"라는 어휘는 동의 및 긍정의 표현으로 쓰이며 주로 충남 내륙 지방에서 두드러지는 어휘라고 한다. 그렇기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청주 지역에선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투리를 대도시인 대전에서 들을 수 있다는 점을 신기해 한다고 한다.[145]

사투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충청 방언 문서 참고.

12.3. 음식

청주시의 향토 음식으로는 올갱이국, 짜글이가 가장 유명하다.

경상남도 돼지국밥이 있다면 충청북도에는 올갱이국이 있다. 다슬기[146]를 넣고 끓인 국이 있는데, 청주에 맛집이 꽤 존재한다. 경상도에서도 고딧국이라 부르며 먹는다. 가까워서인지 대전지역에도 파는 곳이 가끔 보인다. 돼지국밥은 이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 조금씩 생겨나는 추세지만 아직 올갱이국은 확산이 안 되고 있다. 청주에 맛집이 꽤 많이 존재하고 있으니 들르게 된다면 한 그릇 먹어보자. 생각보다 시원하고 해장에도 좋다. 다만 올갱이 특유의 쓴맛은 다소 감안해야 한다.

사실 충청북도와 가까운 전북 북부지방의 경우 올갱이국을 먹는다. 특히 무주군의 경우 영동군과 산 하나 건너에 있으며, 역시 올갱이국을 먹는다. 역시 올갱이라고 부른다. 청주 이야기는 아니지만 영동군의 경우 농어촌버스를 타고 영동 - 황간 라인을 타면 도중 하천에서 올갱이를 잡는 할머니들이 많이 보인다. 무주 역시 이런 어르신들이 많이 보인다.

청주시의 명물 음식이라 하면 순대국밥도 있지만, 애매한 것이 순대국밥보다 뼈해장국의 인지도가 더 높은 편이며 위에서 설명한 올갱이국보다 더 쉽게 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청주방송(CJB)에서 해장국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사실 유명한 건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청주에서만 볼 수 있는 음식을 하나 더 꼽자면 고추만두국이 있다. 청주의 전문점에서 맛볼 수 있고, 그마저도 세 가게에서만 다루는 음식이기 때문에 단골들 3~50대 손님들이 많다. 보통 6~7천원대에서 가격이 형성됨에도 만두가 든든히 들어가서 나름대로 저렴한 가격대를 자랑하며, 맛도 나름 탄탄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 가게 모두 성안길에 위치하고 있고 맛도 조금씩 달라서 세 가게를 번갈아 가는 사람들이 많다. 아는 사람만 아는 청주의 명물이었으나 백종원의 3대 천왕에서 소개된 이후 타지 사람들에게도 많이 알려졌다. 가성비도 좋고 맛도 괜찮아서 한번쯤 먹어 볼 만 하지만 세 가게가 다 오래되고 작은 가게라서 테이블이 많지 않아 점심 시간 때에는 좀 오래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그나마 한적한 저녁 시간대를 노리거나 오후 3~4시쯤에 가는 편이 좋다.

그리고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거리가 조성되어 있다.[147] 이 삼겹살 거리는 2010년대에 조성된 전국 유일 삼겹살 테마 골목으로, 340m 길이의 거리에 현재 15여 곳의 삼겹살 음식점들이 소재하고 있다. 삼겹살 거리 업소들은 특제 간장 소스 제조법에 각종 재료를 추가해 각 업소마다 개성 있는 간장삼겹살을 선보이고 있다. 허나 청주가 삼겹살로 유명한 도시인지는 청주 사람들도 잘 모르는 일... 조선왕조실록에 청주에서 해마다 돼지고기를 제수용 공물로 바친 기록이 있고, 1960년대 청주에서 삼겹살에 소금을 뿌려먹는 시오야끼(しおやき)가 유행하다 1970년대 초에 간장소스에 담가먹는 방식의 삼겹살 요리와 함께 "파절이(원조는 간장+후추+고춧가루 베이스의 소스가 주류였지만, 점차 조리법을 간편화하여 초장 베이스라 바뀌었다)"가 청주에서 처음 개발되었다지만,[148] 삼겹살이 워낙 대중적인 음식이기 때문에 청주가 원조라는 인식을 심어주기는 힘들 듯 하다. 어쨌거나 바다와 먼 내륙지방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육류 위주의 외식업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청주 음식 중 가장 유명한 음식으로는 짜글이가 있다. 충청도 향토음식인 짜글이는 고기와 감자를 넣고 자작하게 끓여 먹는 음식. 청주에서도 아는 사람만 찾아 먹는 음식이었지만 쿡방 열풍으로 짜글이가 여러 번 방송에 올라 인지도가 조금이나마 올랐다. 1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음식점 점주들에게 짜글이와 김치찌개와의 차이에 대해서 물어보면 설명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떤 점주는 "김치찌개는 '보글보글' 끓여서 김치찌개고, 짜글이는 '짜글짜글' 끓여서 짜글이다."라고 했다. 최근 쿡방으로 인해서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명칭이 정립된 음식. 사실 청주 사람들은 가정에서 짜글이를 항상 먹어 왔다. 타지역 사람들만 몰랐을 뿐이다.

백종원의 맛집탐방 방송에서는 청주 짜글이집 2개가 소개되었다. 청주에서는 술집에서도 짜글이가 메뉴판에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진짜 짜글이의 맛이 느껴지지 않는다. 정말 제대로 된 짜글이를 먹고 싶다면 나이드신 토박이 이모님이 운영하는 가게로 가자! 가격 대비 엄청난 고기의 양에서 충청도의 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청주에서 짜글이로 유명한 곳은 흥덕구 봉명동의 봉정초등학교 인근이다. 방송프로그램에 출연한 곳으로는 사천동에 위치한 음식점이 있으며, 청주토박이들에게 인정받는 오래 전부터 유명한 곳은 흥덕구 옥산면에 옥산면행정복지센터[149] 인근에 있다.

역시나 청주 사람들은 모르는데 타지 사람들이 더 많이 아는 신기한 음식이 또 하나 있다. 이름하야 '우리마트 케이크'. 어쩌다 유명세를 탄 건지 확인된 바는 없다. 청주 운천동의 우리마트(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운로 296)에 들어서면 바로 왼편에 베이커리 코너가 있는데, 여기서 케이크를 굽는다. 그런데 케이크 종류는 딱 한 가지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초콜릿 케이크 체리가 올려진 전형적인 다크포레스트 케이크인데 가격이 굉장히 저렴하다. 맛도 기본빵은 하는데, 크기별로 다르지만 일반 SPC와 CJ계열 베이커리 케이크에 비하면 절반에서 60% 가격에 파는 훌륭한 가성비 케이크이다(아마 이래서 유명한 듯). 그래서 크리스마스나 공휴일 등 사람들이 케이크 좀 먹겠다 싶은 시즌에는 여지없이 예약을 걸어야 할 정도로 매우 인기가 있다. 한때 모충동에 있는 우리마트에도 이 케이크를 팔았으나 마트와의 계약이 종료되어 제과 부분만 따로 우리베이커리라는 이름으로 가게를 분리한 채 죽림동으로 이전했다. 이 케이크와 거의 유사한 케이크를 강내면 하나로마트 내에 위치한 빵집에서도 판매하니 참고하자.

유명한 간식 중엔 성안길 중앙공원 근처에 판매하는 쫄쫄 호떡도 유명하다. 보통의 호떡과 차별점이라면 속에 설탕을 넣고 튀기는게 아닌 튀긴 반죽에 설탕시럽을 바르는 식으로 만드는데 상당히 크리스피한 식감이 일품. 해당 가게는 무려 20년 이상을 영업한 명물 중 하나다.

정리하면, 청주의 명물 음식으로는 여러 방송에서 등장했던 고추만두국, 짜글이, 올갱이국, 간장삼겹살, 돼지부속구이, 쫄쫄호떡 정도가 있고 그 외로 APM 떡볶이, 공원당 소바+돈까스, 남주동 해장국, 서문제과우동[150], 미친 만두[151], 두루치기, 묵밥, 뼈해장국, 생크림오믈렛, 우리마트 초코케이크, 직지빵, 천연사이다, 청주 석수(마시는 물 상표)[152], 쇼킹(누드김밥) 정도로 요약된다.

12.4. 주요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시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청주시의 관공서, 문화시설, 의료기관에 대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12.5. 스포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6. 창작물 배경과 촬영 장소

드라마와 영화 촬영 배경으로 청주시가 자주 활용된다. 2020년대에만 해도 더 글로리, 일타 스캔들 등이 촬영되었다. 구시가지와 신시가지가 어우러져있으면서도 도심 내 이동 거리가 그렇게 길지 않다는 점이 촬영의 이점으로 부각되는 듯하다. #

13. 관광

13.1. 행사

청주시의 주요 행사로는 격년마다 문화제조창에서 열리는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가 있다. 이 밖에도 청원생명축제,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청주문화재야행, 청주읍성큰잔치, 직지코리아국제페스티벌, 충북예술제 등이 있다.

또한 오송에서도 격년마다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157]를 개최하고 있고, 3월 3일에는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거리 일대에서 삼겹살축제를 하기도 한다.

14.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충청북도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충북에서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이 굉장히 크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14.1. 청주시장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충청북도 청주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승훈
권한대행
이범석
제2대
한범덕
제3대
이범석
파일:시정목표_최종.jpg
구 청주시장 (통합 이전)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2. 청주시의회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제3대 청주시의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남일현 김병국 이상조
전임자 : 한병수
김성택 박봉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신승호 이화정 김완식 임은성 박완희 안성현
김기동 김태순 이완복 신민수 김영근 홍성각
허철 박노학 김현기 한동순 이우균 남연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김준석
전임자 : 한재학
유광욱 정연숙 김은숙 홍순철
최재호 정영석 정재우 이영신 이예숙
전임자 : 박정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임정수 정태훈 변은영 이한국
}}}
||<rowbgcolor=#e61e2b><tablewidth=100%> 비례 || 비례 || 비례 ||<bgcolor=#152484> 비례 ||<bgcolor=#152484> 비례 ||
남인범 박근영 이인숙 박승찬 송병호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비례대표
}}}}}} ||

15. 군사


청주시는 대규모 대한민국 공군 부대들이 위치하고 있다. 남일면에 공군사관학교가 있으며, 오근장동과 내수읍에 걸쳐 있는 공군 청주기지에는 제17전투비행단,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제28비행전대,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이 주둔하고 있다. 주둔 중인 부대의 특성상 공군 청주기지는 공군 작전 및 전력상으로 굉장히 중요한 부대인데 특히 제17전투비행단의 경우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F-35A 39대 + 20대 전량이 해당 부대에 있기에 전투비행단 중에서도 아주 중요한 전력을 가진 전투비행단이라고 봐야 한다. 또한 공군항공우주의료원도 이곳 청주에 있다.

이에 따라 청주공항의 확장이 어렵다면서 볼멘 소리를 하는 주민들이 있지만, 대다수 공군기지들처럼 청주 공군기지가 먼저 배치됐고 청주 공항이 공군기지에 부차적으로 건설된 것이니 순서가 뒤바뀐 견해이다.

한편, 육군 부대로는 예비군훈련장이 율량동과 강서동에 있었으나 국방부 예비군훈련장 통폐합 계획에 따라 괴산군 청안면 종합교장으로 이관하며 폐쇄됐다. 해당 부대 현역병들은 기존의 청주시 율량동 부대에서 생활한다. 덕분에 예비군훈련이 있을 때마다 짐을 싸서 청안훈련장으로 넘어갔다가 훈련이 끝나면 율량동으로 돌아오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16.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2459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제천시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A664 21%, #00938b 21%, #00938b); font-size: 1em"
]] 제천시
파일:청주시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A664 21%, #00BFFF 21%, #00BFFF); font-size: 1em"
]] 청주시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괴산군 CI.svg
괴산군
파일:단양군 CI.svg
단양군
파일:보은군 CI.svg
보은군
파일:영동군 CI.svg
영동군
파일:옥천군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A664 21%, #fe0000 21%, #fe0000); font-size: 1em"
]] 옥천군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파일:증평군 CI.svg
증평군
파일:진천군 CI.svg
진천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80c34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청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청원구 }}}}}}}}}
파일:청주 구.jpg
통합 이전 청주시는 구 청원군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도넛 구멍 형상의 위요지 행정구역이었다.[158] 2014년 7월 1일 청원군과의 통합으로, 청주시는 68년 만에 구 청주군 시절로 돌아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북도 진천군· 증평군· 괴산군· 보은군, 세종특별자치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2014년 6월 30일까지, 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무심천을 경계로 서쪽은 흥덕구, 동쪽은 상당구로 나뉘어 있었다. 인구 분포는 살짝 서쪽으로 치우쳐 있었는데, 2011년 기준 68만여 명의 인구 중 거의 2/3에 가까운 43만여 명이 흥덕구에 거주했다. 그래서 국회의원도 흥덕구에서 2명, 상당구에서 1명을 선출했었다. 청원군과의 통합 이후 흥덕구, 서원구, 상당구, 청원구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고 이후 진행된 2016년 제20대 총선부터는 4개의 일반구에서 각각 1명씩 선출하고 있다.

밑에 , 을 두고 있는 5개 도시[159] 중 한 곳이다. 청주시/시설 참조.

17. 사건사고

18. 환경

19. 여담

20.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세종실록지리지 청주목

21. 청주시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청주를 기반으로 한 성씨가 정말 많다. 청주 한씨, 청주 김씨, 청주 이씨, 청주 정씨, 청주 곽씨, 청주 고씨, 청주 양씨, 청주 송씨, 청주 경씨, 청주 손씨, 청주 준씨, 청주 동방씨 총 13개의 성씨가 청주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중에서 경, 준, 동방은 희귀성에 속한다. 사실 경씨는 성이 유니크한데 비해 인구는 12000여명이나 되지만, 준과 동방씨는 매우 희귀한 성씨 중 하나로, 준씨는 100명이 채 안 되며 동방씨는 119명이다. 이전까지 이북에 많았어서 남한에는 그 외에도 본관이 희귀한 청주 손씨, 청주 고씨, 청주 송씨는 심지어 청주 경씨보다 신고된 인구 수가 적다.

22. 자매도시 및 우호도시

22.1. 해외

< 자매도시 >
< 우호도시 >

22.2. 국내

23. 출신인물

===# 역사적 인물 #===
===# 정치인 #===
===# 법조인 #===
===# 군인 #===
===# 행정부 인물 #===
===# 스포츠 #===
===# 연예계 및 예술계 #=== ===# 그 외 유명인 #===

2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1][2]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1][2]
}}}
{{{#!wiki style="margin: -31px -1px 0px"
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1][2]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1]
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1][2]
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1][2]
}}}
{{{#!wiki style="margin: -42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2]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2]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파일:포항시 CI.svg
포항시[2]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1][2]
[1]: 현재 일반구 미설치 지역
[2]: 도농복합시

인구 100만 명이상 대도시 특례는 틀:대한민국의 특례시 참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춘천시
도청

강릉시
제2청사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홍성군
도청

금산군
남부
전주시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이북 5도
무안군
도청

순천시
동부
안동시
도청

포항시
동부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제주시 -
}}}}}}}}} ||


[1] 1154통 628리 [2]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청주시 가선거구 (상당구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용암제2동): 김병국
청주시 나선거구 (상당구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금천동, 용담.명암.산성동): 박봉규, 이상조
청주시 다선거구 (상당구 영운동, 용암제1동): 김완식, 이화정
청주시 라선거구 (서원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안성현
청주시 마선거구 (서원구 사직제1동, 사직제2동, 모충동, 수곡제1동, 수곡제2동): 김태순, 이완복
청주시 바선거구 (서원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홍성각
청주시 사선거구 (흥닥구 오송읍, 강내면, 강서제1동): 김현기, 박노학
청주시 아선거구 (흥덕구 옥산면, 운천.신봉동, 봉명제2.송정동, 강서제2동): 남연심, 이우균
청주시 자선거구 (흥덕구 복대제1동, 봉명제1동): 김준석, 유광욱
청주시 차선거구 (흥덕구 복대제2동, 가경동): 홍순철
청주시 카선거구 (청원구 내수읍, 북이면, 오근장동): 정영석
청주시 파선거구 (청원구 우암동, 내덕제1동, 내덕제2동): 정태훈
청주시 하선거구 (청원구 율량.사천동): 이한국
청주시 비례대표: 남인범, 박근영, 이인숙
[5] 청주시 가선거구 (상당구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용암제2동): 남일현
청주시 나선거구 (상당구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금천동, 용담.명암.산성동): 김성택
청주시 다선거구 (상당구 영운동, 용암제1동): 신승호
청주시 라선거구 (서원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박완희, 임은성
청주시 마선거구 (서원구 사직제1동, 사직제2동, 모충동, 수곡제1동, 수곡제2동): 김기동
청주시 바선거구 (서원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김영근, 신민수
청주시 사선거구 (흥덕구 오송읍, 강내면, 강서제1동): 허철
청주시 아선거구 (흥덕구 옥산면, 운천.신봉동, 봉명제2.송정동, 강서제2동): 한동순
청주시 차선거구 (복대제2동, 가경동): 김은숙, 정연숙
청주시 카선거구 (청원구 내수읍, 북이면, 오근장동): 최재호
청주시 타선거구 (청원구 오창읍): 이영신, 이예숙, 정재우
청주시 하선거구 (청원구 율량.사천동): 변은영
청주시 비례대표: 박승찬, 송병호
[6] 청주시 파선거구 (청원구 우암동, 내덕제1동, 내덕제2동): 임정수 [7] 청주시 제1선거구 (상당구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용암제2동): 이동우 (초선)
청주시 제2선거구 (상당구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 금천동, 용담·명암·산성동): 최정훈 (초선)
청주시 제3선거구 (상당구 영운동, 용암제1동): 김정일 (초선)
청주시 제4선거구 (서원구 남이면, 현도면, 산남동, 분평동): 박지헌 (초선)
청주시 제5선거구 (서원구 사직제1동, 사직제2동, 모충동, 수곡제1동, 수곡제2동): 이옥규 (재선)
청주시 제6선거구 (서원구 사창동, 성화·개신·죽림동): 박재주 (초선)
청주시 제7선거구 (흥덕구 오송읍, 강내면, 강서제1동): 임병운 (재선)
청주시 제8선거구 (흥덕구 옥산면, 운천·신봉동, 봉명제2·송정동, 강서제2동): 김성대 (초선)
청주시 제10선거구 (흥덕구 복대제2동, 가경동): 박봉순 (재선)
청주시 제13선거구 (청원구 우암동, 내덕제1동, 내덕제2동): 황영호 (초선)
청주시 제14선거구 (청원구 율량·사천동): 김현문 (초선)
[8] 청주시 제9선거구 (흥덕구 복대제1동, 봉명제1동): 이상식 (재선)
청주시 제11선거구 (청원구 내수읍, 북이면, 오근장동): 변종오 (초선)
청주시 제12선거구 (청원구 오창읍): 이의영 (3선)
[9] 서원구 현도면 일부 지역 [10] 흥덕구 오송읍 일부 지역 [11] 제1의 도시는 대전광역시이다. [12] 광역시 수도권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2번째로 큰 도시이다. 2024년 기준 수도권 내 특례시 및 일반시 중에서도 청주시보다 인구가 많은 곳은 수원시[특례시], 고양시[특례시], 용인시[특례시], 성남시, 화성시일 정도로 매우 큰 도시이다. 참고로 비수도권 시 인구 1위는 경상남도 창원시[특례시], 3위는 충청남도 천안시, 4위는 전라북도 전주시 순이다. [13] 물론 '충(忠)'은 충주(忠州). [14] 신라의 대경인 경주시와 5개의 소경( 원주시, 김해시, 남원시, 충주시, 청주시) [15] 대전의 구 단위로 살펴보면 대덕구, 동구이며 유성구, 동구와 바로 연결되는 길은 없어 대덕구를 거쳐야 한다. [16] 2022년 기준 [17] 충청도 3대 도시인 대전광역시, 청주시, 천안시 모두 교통의 요충지다. 천안과 대전은 대한민국 국토의 대동맥인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선, 경부선이 모두 다니지만, 청주는 고속도로와 고속선만 지나고, 저 두 도시는 각각 수도권 전철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라는 전철 노선이 있는 반면 청주는 전철 노선이 아직 없어서 철도 부분에서는 저 두 도시에 비해 부족하다. [18] 통합청주시가 되어 CI를 바꾸면서 마스코트가 자모돌이에서 생이, 명이로 바뀌었다. [19] 파일:자모돌이_고화질.png
민선 3기~6기 "청주시 상징물에 관한 조례" 통과 이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 자모돌이. 당시 전국의 지자체별 마스코트 중 가장 많은 캐릭터로 구성된 것이었다.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라졌다.
[20] 사실 디자인 전문가의 입장에서 주민 의견을 묻는 것은 좋은 CI 선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인의 디자인 선정 수준은 전문가와는 차이가 크며, 온라인과 가두에서 벌어지는 설문 조사는 시간이 한가한 사람, 온라인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으로 표본이 편중되어 왜곡된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예 안 할 수는 없기에 형식적으로 가두 설문조사를 하고 실제로는 평가단을 꾸려 CI를 선정하거나 몇 가지 경쟁 시안 중 시장이 직접 골라버리는 일이 많다. 뭐 그렇다고 해도 청주시를 기반으로 하는 미술단체들의 의견도 듣지 않은 것은 확실히 잘못했다. [21] 이 CI도 소로리볍씨를 형상화했다는 의미가 없지는 않다. [22] 이웃 일본에서는 지역 이름의 앞 글자를 형상화한 심볼이 꽤 많다. [23] "충청북도의 청주시와 청원군을 각각 폐지한다"(충청북도 청주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충청북도에 청주시를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같은 조 제2항. 제1항에 따라 폐지되는 충청북도 청주시 일원과 청원군 일원을 관할구역으로 하는 청주시를 설치). [24] 그나마도 제주시, 서귀포시 두 개의 시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두 도시가 인구가 정확히 똑같지 않는 이상 당연한 결과이다. [25] 1위는 충주시 [26] 주변에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가 이미 있고, 충북에서 청주가 광역시로 독립하면 충북의 인구는 반 이상 쪼그라들기 때문에 충청북도에서 결사반대하고 있다. [1966청주시] 청주시 123,666명 + 청원군 224,888명 [1970청주시] 청주시 141,074명 + 청원군 199,860명 [1975청주시] 청주시 192,707명 + 청원군 199,259명 [1980청주시] 청주시 253,192명 + 청원군 173,454명 [1985청주시] 청주시 350,256명 + 청원군 141,825명 [32] 지북리, 평촌리, 운동리, 월오리 [33] 외남리, 외평리, 외하리, 주중리, 주성리, 오동리, 정상리, 정하리, 정북리 [1990청주시] 청주시 동부출장소 211,162명 + 청주시 서부출장소 266,621명 + 청원군 114,647명 [1995청주시] 상당구 219,442명 + 흥덕구 311,934명 + 청원군 112,132명 [2000청주시] 상당구 232,409명 + 흥덕구 354,291명 + 청원군 116,129명 [2005청주시] 상당구 257,961명 + 흥덕구 384,844명 + 청원군 122,439명 [2010청주시] 상당구 241,589명 + 흥덕구 414,382명 + 청원군 152,944명 [2015청주시] 상당구 176,424명 + 서원구 220,045명 + 흥덕구 253,426명 + 청원구 182,017명 [2020청주시] 상당구 190,034명 + 서원구 194,720명 + 흥덕구 265,866명 + 청원구 194,373명 [현재청주시] 상당구 198,431명 + 서원구 182,385명 + 흥덕구 283,654명 + 청원구 189,531명 [42] 이는 낭성면이 거의 산에 둘러싸여 있고, 아직도 구.청원군 지역은 오송읍, 옥산면, 오창읍을 제외하고는 개발이 안 된 곳이 많기 때문이다. 그나마 현도면 내수읍 등은 개발이 잡혀있다. [43] 물론 창원시의 읍면은 8개고 청주시의 읍면은 13개로 청주시가 더 많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곤란하다. [44] 2020년 기준 출생아 수는 5197명으로 전국 지자체 중 6위이고, 셋째아 이상 출생아수는 505명으로 2위에 해당한다. 합계출생률은 0.96명으로 전국평균 0.84명보다 0.12명 높다. [45] 다만 코스트코는 2022년 들어서 청주밀레니엄타운에 부지에 입점을 재시도하고 있었으나 # 무산되었다. [46] 1966년 조사에서 일부 지역의 경우 통계가 법정동별로 분리되어 잡히나, 실제로는 이전에 이미 행정동 제도를 실시하였기에 이후의 행정동명으로 합쳐서 계산함. [47] 지북리, 운동리, 월오리, 평촌리 [48] 마동리, 마구리, 묘암리 [49]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1966중앙동] 영·북2·북3가동 6,967명 + 수동 10,010명 [1970중앙동] 영·북2·북3가동 6,647명 + 수동 11,168명 [1975중앙동] 영·북2·북3가동 7,238명 + 수동 12,100명 [1980중앙동] 영·북2·북3가동 7,014명 + 수동 12,186명 [1985중앙동] 영·북2·북3가동 7,440명 + 수동 11,745명 [1990중앙동] 영·북2·북3가동 7,879명 + 수동 12,459명 [1995중앙동] 영·북2·북3가동 4,435명 + 수동 7,678명 [57]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1966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4,553명 + 서운·남1가동 7,284명 + 서문동 3,958명 + 남주동 5,007명 + 석교동 7,914명 [1970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4,265명 + 서운·남1가동 6,733명 + 서문동 4,060명 + 남주동 4,649명 + 석교동 6,824명 [1975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4,684명 + 서운·남1가동 6,636명 + 서문동 4,362명 + 남주동 4,551명 + 석교동 7,286명 [1980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4,063명 + 서운·남1가동 6,954명 + 서문동 3,994명 + 남주동 4,335명 + 석교동 6,859명 [1985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3,369명 + 서운·남1가동 6,285명 + 서문동 4,058명 + 남주동 4,259명 + 석교동 7,143명 [1990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3,617명 + 서운·남1가동 6,385명 + 서문동 4,145명 + 남주동 4,319명 + 석교동 7,077명 [1995성안동] 문화·북1·남2가동 1,561명 + 서운·남1가동 3,710명 + 서문동 2,020명 + 남주동 2,120명 + 석교동 3,921명 [65]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66]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67]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68]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69]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0] 장암리, 지북리, 운동리, 월오리, 평촌리 [71]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2]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3]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4]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5] 법정동 농촌동이 성화동으로 개칭되며 행정동명 역시 개칭 [76]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7]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8]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79] 동년 3월 18일 용정동에서 강서동으로 법정동명 변경 [80] 동년 3월 18일 용정동에서 강서동으로 법정동명 변경 [81] 주성리, 외하리, 외평리, 외남리, 오동리, 정북리, 정상리, 정하리, 주중리 [82]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83] 산북리는 청주시로 편입되며 수곡동으로 변경 [84] 주성리, 외하리, 외평리, 외남리, 오동리, 정북리, 정상리, 정하리, 주중리 [85] 물론 금호평야보다 미호평야가 더 큰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대구분지와의 비교이다. [86] 청주-청원 통합 이후 기준. 이전 청주시는 제한된 시역으로 인해 상당히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87] 최근 청주시에서는 서·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개발된 남부권의 균형발전을 위해 서원구 현도면 일원에 현도지구를 개발하고 있으며, 현도~오송~내수 연결하는 청주 남·서·북 산업벨트를 조성할 계획이다. [88] 이 시간이면 오송역에서 KTX를 타고 부산역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이다. [89] 광주: 무등산, 청주: 우암산 [90] 광주: 충장로 일대, 청주: 성안길 일대 [91] 광주: 하남산단, 청주: 청주1산단 [92] 광주:광주 1~3순환도로망 + 광주 2호선(건설중, 순환선), 청주: 1~3순환로 + 청주 4순환로(예정) [93] 광주: 광주송정역, 청주: 오송역 [94] 광주: 광주국제공항(광주권 담당), 청주: 청주국제공항(충청권 담당) [95] 이쪽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계곡 지역이다. 여름이라도 밤에는 추우며 열대야 따위는 그런 거 없다. [96] 서울이 1위할 때도 잦았다. 2021년 폭염/대한민국 항목에 나오듯이 폭염으로 서울·청주·대전의 3파전이 진행되었다. [97] 특히 동부 상당구 쪽은 겨울에 꽤나 춥다. [98] 물론 청주도 추운 곳은 매우 춥긴 하다. 반대로 공식 관측소가 있는 청주 서부지역은 경남 일부보다도 더 따뜻할 때도 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경기 서해안이 청주와 비슷하다. [99] 참고로 그 해 7월 서울도 28.1°C로 매우 더웠다. [100] 1978년에 발생한 규모 5.2의 지진으로 행정구역상 상주이나 속리산에서 발생한 지진인지라 속리산 지진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적 관측 이래 한반도 내에서 3번째(남한 내에서는 2번째)로 강력한 지진이었다. 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이전까지는 남한 1위였다. 자세한 속리산 지진 문서를 참고. [101] 시간당 80mm는 청주에서 50년 강우 빈도를 갖는다. 즉 50년에 한 번 발생하는 수준이고 이는 시간당 90mm는 100년이 넘는 빈도를 가졌다는 것이다. [102] 가경동과 복대동 사이에 있는 가경천은 물이 다리에 닿을락 말락 할 정도로 엄청나게 불었다. [103] 성안동, 중앙동, 탑대성동, 사직동, 모충동, 우암동, 내덕동 [104] 전자는 미원면, 오송읍 상봉리 등. 시가지와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 후자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이 있다. [105] 남북 방향인 상당로와 서쪽 방향 사직대로가 상당사거리에서 ㅓ자를 형성한다. [106] 서청주IC·청주역 방향 1개로, 한국폴리텍 청주대학 방향 1개로, 오송·세종 방향 1개로, 복대2동 방향 1개로, 충북대학교 정문 방향 1개로, 사창사거리 방향 1개로. 다만 충북대학교 정문 방향과 복대2동 방향의 길은 왕복 2차선의 작은 도로이다. 과거 명칭인 '공단오거리'로 부르는 사람들이 꽤 많다. 시내버스 이용객인 경우, '산업단지입구'. [107] 길은 6개 방향으로 나 있으나 2개는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으로 통하고 있어 차량통행을 할 수 없고, 나머지 4개 차로( 충청북도청 방향 1개로, 금천동 방향 1개로, 남일·문의 방향 1개로, 분평동·대전 방향 1개로)로만 차량통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흔히 청주에서 육거리라고 언급할 경우 여기를 뜻한다. [108] 진천 방향 1개로, 증평 방향 1개로,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방향 1개로, 청주시청 방향 1개로, 청주농고 방향 1개로, 내덕동 우체국 방향 2개(2개 모두 교차로 진출의 일방통행)로까지(...). [109] 대농지구, 오창, 강서지구, 오송 [110] 타지역민들이 청주를 경험하고 흔히들 하는 말인 발전 정도가 너무 분산되어 있다의 이유가 되는 부분이다. 통합 이전 청주시를 살펴 보면, 현재의 구도심이 위치하고 위에 열거된 신시가지들이 시의 경계에 따라 도넛 모양으로 나열되어 있다. 즉 어느 한 곳을 집중적으로 키울만한 부지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았던 것. [111] 다만 비슷한 체급의 도시인 전주와 천안의 경우 최근 신시가지의 개발이 국가 주도의 대대적인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이루어졌기에 애초에 그 규모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각각 혁신도시, 2기 신도시의 일환으로 전북 혁신도시와 천안, 아산 신도시가 들어섰다. [112] 비슷한 시기 청주는 대승적 관점에서 혁신도시는 진천에 양보하였고, 국가 신도시의 아쉬움은 청원군의 오송 신도시, 오창 신도시 개발로 달랬다. 이후 2014년 청주와 청원이 통합하며 결과적으로 청주도 오송과 오창이라는 신도심을 얻게 되었다. 하지만 위의 전주, 천안의 사례와 다르게 청주 본시가지와 연담화가 되어있지는 않다. 이는 청주시의 표면상 인구인 85만에 비해 본시가지의 규모가 작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113] 산업단지 규모는 절반 아래로, 택지지구의 규모는 거의 3분의 1로 축소되었다. [114] 청주시에서 구도심으로 분류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중앙동, 성안동, 탑대성동(이상 상당구), 사직1,2동, 모충동(이상 서원구), 운천동(이상 흥덕구), 우암동(이상 청원구). 보다시피 원도심 구역이 네 구에 모두 걸쳐 있다. [115] 용암동(상당구), 산남동, 성화동(서원구), 가경동, 복대동(흥덕구) 율량동, 사천동, 오근장동(청원구) 등 [116] 21년도 매매가 기준 오른쪽부터 선광로즈웰과 호반 베르디움, 한라비발디가 4억 초반대부터 시작하며 그 옆에 대원 칸타빌과 e편한세상은 대형평수가 6억 대까지 올라왔다. 그리고 청주가로수도서관 밑의 가경자이와 아이파크단지는 매매가가 기본 4억 후반대부터 시작하며 대형평수는 최고가가 9억을 넘어섰다... 이는 청주시 내에서도 매매가로는 손에 꼽을 정도이며, 전국적인 부동산시장 과열에 따라 시장이 안정되기 전까지는 계속 오를 것으로 보인다. [117] 가경동은 사실상 동네가 발전된 정도로만 따지면 분평동 정도이며 아파트 단지도 시가지 끝에 있어 존재감이 부족한 것이 흠이다. 하지만 세종BRT가 가경동까지 연결되고, 청주고속터미널 현대화사업으로 주상복합과 아울렛이 들어오는 등 계속 발전하고 있다. [118] 다만, 수암골 가는 길을 보다 보면 여전히 으리으리한 단독주택들이 꽤 있다. 도심과 가까우면서 이상하리만큼 동네가 조용하고 산을 끼고 있어 전망도 좋다. [119] 청주 타운하우스의 원조격으로 뽑힌다. [120] 2021년 현재 용암동 현대아파트는 1차를 제외하곤 그냥 1억 후반대의 집들도 있을 정도로 저렴한 구식 아파트에 불과하며 당장 가좌마을 단지만 봐도 현대 아파트와 비슷한 1억 후반대이다. 그보다는 왼쪽 위에 새로 지어진 서희 스타힐스나 강변 뜨란채 쪽이 낫다. 또한 용담·용정·용암동의 오른쪽에 자리 잡고 있는 동남지구는 개발이 거의 끝나감에 따라 4억 초반대~7억 초반대까지 아파트들이 줄을 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용담동 우미린 에듀파크(호미지구)의 평균 매매가는 4억 4천에서 최고 매매가 6억을 갱신했고, 용정동 한라비발디는 지금 평균 매매가가 3억 9천 최대 5억 5천을 돌파 중이니... 동산빌리지를 부촌이라고 하는 건 옛말이다. 그리고 용정동 동부종점 근처 쪽 주택단지를 가보면 동산빌리지나 수암골 쪽 보다 잘 갖춰진 전원주택들이 모여있다. 단, 강 건너 분평동 주변에는 최근까지 신축아파트가 거의 지어지지 않아, 적어도 해당 지역에서 현대대우아파트의 위상은 여전한 편이다. 그래도 인근지역의 신축 대형평수 아파트(남양휴튼, 계룡리슈빌 등등.)에는 크게 밀린다. [121] 이는 가경동도 마찬가지. [122] 21년도 기준 기본 4억 초반에서 6억까지 찍는 아파트 단지들이 모여 있으며 단지 맞은편 거리에 상가들이 꾸준히 들어서고 있다. 아파트 자체는 복대동 지웰시티와 비교가 안 되더라도 신시가지의 구획들을 보면 오히려 복대동보다 더 깔끔한 편이다. [123] 용암동·용정동·용담동 [124] 이쪽은 세종시 성장의 방어를 위해 키울 필요도 현저하다. [125] 1923년 발행된 오오쿠마 슌포의 청주연혁지에서는 "때는 메이지 41년 6월 5일, 그날은 청주 시민의 잊어서는 안 될 기념일로 (중략) 자자손손 전해 특별히 청주 데이로서 영원히 기억해야만 하지 않을까 하고 절실히 권고하고 싶다."(時維れ明治四十一年六月五日此日は清州市民の忘れべからざる記念日で、苟も居を此地に構ふる者は子々孫々に傳へ、特に清州デーとして永遠に記憶せねばならぬ事を痛切に勸告したい, 굵음 처리는 원문의 방점)(17장: 관찰부의 이전(觀察府の移轉), 28쪽)라고 하고 있다.(...). 여담으로 6월 5일이라는 날짜는 오늘날 청주 시민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일제강점기의 잔재와 더불어 충주시와 희비가 엇갈리는 날이니 너무 대놓고 환호하기도 그렇기는 하다. [126] 청주 역시 과거 한양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교통의 도시였다. (예시로 임진왜란 당시 한양으로 가기 위해 일본군의 고니시 유키나가 가토 기요마사는 충주, 구로다 나가마사는 청주를 경유하였다.) 대신 과거부터 한강 상류인 남한강에서 한양까지 가기 vs 금강 상류에서 한양까지 갈 때의 교통 접근성을 따졌을때 충주쪽이 청주보다 확실한 우위를 점했었다. 그러다가 기술 혁명과 내륙 교통이 발달하기 시작한 개화기 시기에 들어서부터 충주가 북동쪽으로 좀 치우친 위치라는 점과 금강의 주요 거점도시였던 공주와 비슷하게 경부선을 비롯한 각종 정책들에서 배제되는 등의 소외를 받기 시작하고, 반대로 청주는 대전(한밭)과 함께 급부상하게 되었다. 청주연혁지에서도 "경성에서 충주에 가는 데 조치원 청주를 경유하면 ( 경부선을 타고) 3일,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일주일을 소모해 도 행정 중심으로서 불편하다"(같은 장, 27쪽)라고 언급한 부분에서 나오듯 완벽하게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127] 바로 옆의 대전광역시와 비교되곤 하는데, 대전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빵집인 성심당이 있고, 한화 이글스도 인지도가 있다 보니 노잼도시라고 해도 대전하면 이거다라는 생각은 있는데, 청주는 성심당 없는 대전이라는 드립이 있다. [128] 아랍 문자로 '청주'를 تشونغجو라고 표기하는데, 이를 다시 읽으면 ' 충주'가 된다. 정작 진짜 충주는 تشنغجو로 표기하며, 이를 다시 읽으면 '층주'다. 아랍어에서 외래어를 표기할 때 ㅏ는 ا, ㅣ는 ي, ㅜ는 و에 대응시키는데, 아랍어 자체가 모음이 3가지밖에 없어서 ㅗ 계통의 발음도 ㅜ와 마찬가지로 و로 표기하다 보니 저렇게 된 것. [129] 지금이야 로마자 표기법이 개정되어 두 도시의 앞글자가 "J"와 "Ch"로 차이를 보이나 과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시절에는 청주가 "Ch'ŏngju"였고 전주가 "Chŏnju"였다. 'ㅈ'과 'ㅊ'을 구분하는 요소는 어깨점(')의 유무였으나 입력의 편의상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고, 외국인들이 거센소리(ㅊ)와 예삿소리(ㅈ)를 비슷하게 발음하는지라(ㅊ과 ㅈ의 차이는 같은 무성음끼리의 강도 차이로, 이걸 구별하는 언어가 흔치 않다.) 전주(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전주시외버스터미널) 가는 외국인이 청주( 청주고속버스터미널 청주시외버스터미널)행 버스 표를 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일본어에선 아예 두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チョンジュ)가 동일하다. 평안북도 정주시 정읍시의 동 지역을 관할했던 정주시도 마찬가지. 그래서 한자가 없으면 구분을 못 한다. 淸州, 全州 이렇게. 후지타 사유리처럼 한국에 오래 산 사람도 헷갈린다! 단, 일본어 음독으로는 청주는 セイシュ, 전주는 ゼンシュ. [130] 행정동으로는 성안동으로 묶이는 청주의 구도심 지역의 동이다. [131] 프랑스가 진짜 강제로 가져간 건 병인양요 때 외규장각에서 약탈한 조선왕실의궤 등이다. [132] 참고로 해당 아파트는 철거가 완료되었고 다른 신설 아파트 단지의 건설이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133] 전체 인구의 약 40% 정도가 3대 이상 살아온 본토박이다. [134] 예시: "뭐여~", "그려?", "아녀~", "밥 먹을 겨?", "밥 먹을려?" 등 [135] 예시: "죽겄다", "괜찮겄어?" 등 [136] 예시: "이거 아닌 거 같은디..", "그거 아닌디" 등 [137] 이는 대부분의 충청도 지역이 해당되며 충청권 대표 도시인 대전에서도 현재까지 남아있는 사투리이다. [138] 예시: "잘 좀 햐~", "연락 좀 햐~!" 등 [139] 예시: "언제 온댜?", "그랬댜?" 등 [140] 예시: "밥이나 드슈", "아 그런 거유?" 등 [141] 충청남도 충청북도보다 훨씬 사투리를 심하게 쓰며, 구사자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에 속해 있었던 대전광역시야 말할 것도 없다. [142] 복대동, 봉명동, 송정동 등 산업단지와 청주 지웰시티 부근 [143] 대전(과거 회덕, 진잠, 대전 일대), 논산(과거 노성, 임천, 은진, 연산 일대) 일대에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며, 전라북도 또한 상당히 많이 사용된다. [144] 자매품으로 "기야?"도 있음. [145] 유성구 서구 둔산동에 가면 거의 못 듣는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지역들은 주로 외지인들이 주를 이룬 동네라 충남 사투리뿐만 아니라 충청도 사투리 자체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이다. [146] 전국적으로 올갱이라 많이 알려졌는데, 충북에서도 지역마다 다르다. 청주에서는 '올갱이', 충주에서는 '올뱅이'라고 한다. [147] 이 곳에서 매년 삼겹살 축제를 열고 있다. 관련 기사 [148]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출연진 김성주가 청주 옥산면 출신이어서 파절이 얘기가 나올 때 "파절이 하면 역시 청주가 유명하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149] 이 음식점의 짜글이야말로 진짜 짜글이다. [150] 사직동에 터미널이 있던 시절부터 이미 유명했고, 제빵왕 김탁구 방영 직후부터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151] 2010년대 중후반부터 유튜버들에 의해 급속도로 유명해졌다. [152] 겉 표지에 미원면, 가덕면 등 생산한 지역명이 표시되어있다. [153] 정확히는 농협은행 청주지부와 소나무길 상점가 근방 [154]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낮과 밤이 다른 그녀 등. [155] 가령 서울특별시청 같은 유리궁전은 요즘에 지었다는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작중 설정과 잘 어우러지지 않을 수 있다. [156] 중부내륙 산성군》의 일원으로 세계유산 후보에 올랐다. [157] 오송역 일대에 각종 부스를 설치하여 실시하며, 향후에는 청주OSCO에서 열릴 예정이다. [158] 비슷한 처지로 완주군 전주시의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이쪽도 통합 얘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는 있지만 계속 태클을 먹는 실정. 세계적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여 있는 소국 레소토 등을 들 수 있다. [159]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남도 창원시, 충청북도 청주시 [160] 화성 연쇄살인 이후 청주로 이사와 처제를 살해했으며, 청주 여공 강간 살인사건, 청주 부녀자 피살사건, 청주 처제 살인사건을 저질렀다. [161] 청주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범행은 제주도에서 저질렀다. [162] 이곳의 상태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안 좋다. [163] 심지어 이런 식으로 나올 거면 가지고 있었으면 되었을 것을 왜 기부했느냐고 막말까지 했다. [164] 원래 청주시 측이 기증품 사진 목록을 보관하고 있었으나 이 사진목록조차 언제 없어졌는지도 모르는 채 분실된 상태다. [165] 재무장관을 지냈던 사람이라고 한다. [166] 53명의 탑승객을 전수조사하였다. # 마스크를 쓰고 일한 덕인지 천만다행히도 이 확진자를 통한 확산은 없었다. # 택시 기사 확진자는 확진 판정 14일 만인 3월 8일 무사히 퇴원했다. # [167] 청주시에서 첫 확진자가 나오자 한범덕 청주시장 주재로 열린 대책회의에서 참석자 중 6급 팀장이 확진자의 신상정보와 동선이 작성된 회의록을 촬영하여 카카오톡으로 지인들에게 보내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터졌다. 해당 공무원은 경찰에 자진 출석하여 조사를 받았고 그 후 법원에서 징역 4개월의 선고유예를 받았고 정직처분도 받았다. [168] 인근 천안시에서는 2월 중후반 경에 줌바댄스 강습실 집단감염이 발생했으며 동쪽의 괴산군에서는 인구가 200명밖에 안 되는 장연면 오가리에서 갑작스럽게 11명의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169] 청원경찰이라 표현한 기사들도 있다. [170] 이에 청주시는 최근 행정 재량권을 행사하여, 폐기물 소각장이 밀집한 북이면 지역에 더 이상 신규 소각장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다. # [171] 청주시의 미세먼지 자체배출량은 평균적으로 약 20% 정도이며 나머지 약 80%가 서쪽의 중국과 수도권·서해안 화력발전소 등지에서 유입되는 것이라고 한다. [172] 지역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증진을 위해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할 예정이며,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의 청주도심통과를 주장하고 있다. 청주시내로 광역철도(지하철)가 뚫리게 된다면 시내권의 교통체증 해소와 청주공항·대전·세종·오송 등지로 이동할 때에도 한층 편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173] 青이 속자이나 한국 외 다른 한자문화권에서는 青 쪽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사실 한국은 한자 사용이 줄어들어 이런 데 별 관심이 없는 편이다. 한편 중국이나 일본 쪽에서는 지자체의 표기 자형을 지정해둔 경우가 많다. 사이타마시 같은 데서는 さいたま(사이타마)의 를 2획으로 이어서 쓰라고 규정해뒀을 정도. [174] 수원, 창원, 고양, 용인, 성남, 부천, 청주, 천안, 세종, 전주 [175] 무역수지(2019년 기준)는 163억5900만 달러로 주요도시 중 1위를 차지하였으며, 2위를 차지한 창원과는 64억7800만 달러의 큰 격차를 보였다. [176] 1992년 분동 [177] 수곡동 당시에는 산미분수곡동이라 했었다. [178] 남청주는 서청주만큼은 아니어도 어느 정도 쓰이는 편이다. [179] 다만 1990년대 가경동 개발 이후로는 2순환로 서쪽 너머로 확장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어서 그 이후부터는 이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180] 제주 고씨의 분파. [181] 단성단본이다. [182] 단성단본이다. [183] 대전 출생이나, 8살 때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로 이사와서 자랐다. 그래서 그의 호를 따서 지어진 도로 단재로 청주시 대전광역시에 모두 존재한다. [184] 지역구: 청주시 청원구 [185] 지역구: 청주시 흥덕구 [186] 지역구: 경기도 하남시 [187] 지역구: 충청북도 충주시 [188]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의 범인 [189] 당시 지역구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이었다. [190] 지역구: 청주시 상당구 [191] 참고로 1박 2일 멤버였던 이승기도 청주, 그것도 나영석의 모교가 있는 율량동에서 산 적이 있다. 서로 모르고 있다가 1박2일 강호동 vs. 이만기 씨름 편에서 청주가 언급될 때 알게 되었다. 하지만 1박2일 시즌1 메인PD 2명이 청주 출신인데 청주 한 번도 안 왔다. [청원군] [청원군] [청원군] [195] 일신여고 재학 중 서울로 전학 [196] 어릴 때 대전광역시로 이주하여 학창시절을 보냄 [197] 어렸을 적 율량동에 산 적이 있다고 밝혔다. [198] 부강면 출신으로, 행정구역은 출생 당시 청원군 부용면,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이다. 시군통합 이전에 청원군에서 세종시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엄밀히는 청주시에 속한 적이 없는 곳이지만, 청원군 시절에 쭉 이곳에서 자랐고 당시 청원군은 사실상 청주시의 외곽지역 취급이였던데다가 고등학교도 청주시내로 다녔기 때문에 사실상 청주 출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199] 고등학교는 대구에서 나왔다. [200] 청주 원평초등학교 졸업. 중학교는 천안에서 다녔고, 고등학교는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이다. 사실상 지금의 집도 천안인데, 초등학교 졸업 직후 천안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 학창시절 잠시 산남초등학교에 재학했다. [202] 사실상 출생지만 다르지 초중고대학교까지 청주 토박이 수준. [203] 1984년부터 2013년까지 30년간 KBS 바둑해설위원으로 역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례시] [특례시] [특례시] [특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