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한반도 | ||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 |
중국 |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 ||
일본 |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쓰강 · 쿠즈류가와 | ||
대만 | 지룽 강 · 아이허 | ||
동남아시아 |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 ||
남아시아 |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 ||
서아시아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 ||
중앙아시아 | 추강 · 일리강 | ||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
|||
북아시아 · 몽골 |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유럽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프리카 | |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메리카 | |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오세아니아 | |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 |||
남극 | |||
오닉스강 · 알프강 | }}}}}}}}}}}} |
미호강 美湖江 | Mihogang River |
|
|
[clearfix]
1. 개요
금강의 제1지류로 갑천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금강의 지류 하천이다. 길이는 89.2km, 유역면적은 1,860.9㎢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 서쪽 우물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진천군, 청주시 및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을 거치며 행정중심복합도시로 흘러 세종동과 합강동의 경계에서 금강에 합류한다.[1] 지류하천으로는 백곡천, 보강천[2], 무심천, 석남천, 병천천, 조천, 칠장천[3], 마송천[4] 등이 있다.
2. 특징
19세기까지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렀다. 청안에서는 반탄(潘灘), 진천에서는 주천(注川), 청주에서는 작천(鵲川) 또는 망천(輞川), 연기에서는 동진강(東津江) 등. 오늘날 쓰고 있는 미호강이라는 이름은 세종시 연동면 예양리에 있는 미꾸지라는 지명이 미곶진(彌串津→美串津)으로 음차되다가 20세기 들어 미호진(美湖津)으로 바뀌고 하천 이름에까지 붙은 것이다.주로 충청북도 중부 지역을 흐르며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청주 일대의 평야는 충북에서 가장 큰 평야라서 농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농사의 흔적으로 공인받인 약 1만 5000년 전의 '소로리 볍씨'도 미호강 주변의 옥산면 농토에서 발굴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상류는 물론 하류 일대까지도 점차 농업이 축소되고 공업 지역이 늘어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상류인 음성군과 진천군 일대는 현재 충북 내에서 가장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지역으로 각종 개별 공장 및 산업단지가 산포해 있다. 이후 중류 지역인 청주 일대는 현재 충북에서 가장 큰 읍인 오창읍에 조성된 오창과학단지, 오송읍 일대의 오송1·2·3산업단지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금강과의 합류 지점인 세종시에서는 미호강변 5·6생활권의 본격 개발을 앞두고 있다. 이 때문인지 수질은 현재 그닥 좋지 못하다. 상류 지역에서 공업 폐수는 물론 축산 오폐수가 유입되기 때문인데 언론에서도 이 점을 지적한 바 있다. 또한 후술된 내용처럼 강 자체에 준설이나 관리를 하지 못해 최근들어서 엄청난 수해를 입고 있다.
청주 일대에서는 오창읍, 오송읍 등과 옛 청주시 지역이 미호강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어있다. 옥산면 등에서는 미호강을 건너는 다리가 오랜 기간 한 개( 청주역로 옥산교)뿐이어서 교통체증을 겪어왔다. 지금은 도로 확장과 입체화로 사정이 많이 나아진 편. 조선 시대에도 이 강을 기준으로 면이 나뉘었으며 '서강내~면', '서강외~면', '북강내~면', '북강외~면' 식으로 이름까지도 서강/북강(미호강)을 기준으로 붙였다. 그 흔적이 지금도 강내면, 옛 강외면(현 오송읍), 강서1·2동에 남아있다.
미호강 일대에만 서식하는 미호종개라는 고유 멸종위기종이 있다.
한국에 도래하는 황오리들의 절반이 미호강에서 겨울을 보낸다.
일제강점기 이래로 '미호천'이라고 불려 왔으나, 2022년 7월 7일 환경부고시 제 2022-132호에 따라 미호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충북 지역민과 정치권에서 개명하자는 여론이 있었으며, 충북도와 청주시 등이 정식 개명 전부터 미호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일제는 한반도에 있는 강에 이름을 붙일 때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중요하천의 본류는 접미사로 강( 江)을,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본류나 중요하천의 제1지류 이하에는 접미사로 천( 川)을 붙였고 이것이 관습으로 굳어지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 하지만 미호강은 임진강과 비슷하게 지류 치고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편이었기 때문에 천을 강으로 개명하자는 여론이 이어져왔던 것이다.
3. 미호강의 교량
- 미호천교, 미호교 등의 이름이 굉장히 많이 중복된다.
- 일부 농어촌 지역의 작은 다리는 생략하였다.
금강에 합류 | |||||
세종특별 자치시 |
합강 교차로 |
← |
월산교 ( 연청로) |
→ |
월산 교차로 |
세종청사 방면 |
← |
보롬교 ( 한누리대로) |
→ |
오송역 방면 |
|
연기천 | |||||
월하천 | |||||
조천 | |||||
신탄진역 내판역 |
← |
미호천철교[5] ( 경부선) |
→ | 조치원역 | |
예양리 방면 |
← |
미호교 ( 청연로) |
→ |
오송읍 방면 |
|
예양 교차로 |
← |
미호대교 ( 세종오송로) |
→ |
오송 교차로 |
|
청주시 |
대전역 공주역 |
← |
고속철도철교[6]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
→ | 오송역 |
탑연 삼거리 |
← |
미호천교[7] ( 가로수로) |
→ |
궁평1 교차로 |
|
오송역 | ← |
미호철교 ( 충북선) |
→ | 청주역 | |
수석천 | 병천천 | ||||
옥산 하이패스 |
← |
미호천교 ( 경부고속도로) |
→ |
청주 IC |
|
청주역 방면 |
← |
미호천교 ( 오송가락로) |
→ |
옥산 방면 |
|
청주역 방면 |
← |
옥산교 ( 청주역로) |
→ |
옥산 방면 |
|
석남천 | |||||
서청주 IC |
← |
남촌교 ( 중부고속도로) |
→ |
오창 IC |
|
원평 교차로 |
← |
미호천교 ( LG로) |
→ |
엘지 교차로 |
|
무심천 | |||||
공항 교차로 |
← |
공항대교 ( 오창대로) |
→ |
오창 IC |
|
공항 교차로 |
← |
팔결교 ( 공항로) |
→ |
가곡 삼거리 |
|
팔결교 삼거리 |
← |
팔결교 ( 팔결로) |
→ |
가곡 삼거리 |
|
석화천 | |||||
성암천 | |||||
보강천 | |||||
진천군 |
진암 사거리 |
← |
여암교 ( 중부로) |
→ |
증평 IC |
진암리 방면 |
← |
여암교 ( 구정로) |
→ |
증평 IC |
|
진천 IC |
← |
여천교 ( 중부고속도로) |
→ |
증평 IC |
|
연담리 방면 |
← |
은탄교 ( 은진로) |
→ |
은탄리 방면 |
|
화산리 방면 |
← |
초평교 ( 평화로) |
→ |
평산리 방면 |
|
증평 IC |
← |
초평1교 ( 중부고속도로) |
→ |
진천 IC |
|
농다리 | |||||
백곡천 | |||||
용정 교차로 |
← |
오갑교 ( 신초평로) |
→ |
석탄 교차로 |
|
오갑 삼거리 |
← |
초평교 ( 초평로) |
→ |
석탄 사거리 |
|
영주원 사거리 |
← |
미호1교 ( 교연로) |
→ |
중석 사거리 |
|
한천 | |||||
인산 삼거리 |
← |
가산교 ( 덕금로) |
→ |
가산 삼거리 |
|
산수 교차로 |
← |
가산교 ( 진성로) |
→ |
가산 교차로 |
|
대소 JC |
← |
중부고속도로 교량 |
→ |
진천 IC |
|
신월 교차로 |
← |
중산대교 ( 생거진천로) |
→ |
사곡 교차로 |
|
신월리 방면 |
← |
중산교 ( 중미로) |
→ |
중산리 방면 |
|
신월리 방면 |
← |
장양교 (장양길) |
→ |
장양리 방면 |
|
장양천 | |||||
금곡천 | |||||
신월 교차로 |
← |
사당교 ( 생거진천로) |
→ |
장양 교차로 |
|
미잠리 방면 |
← |
미잠1교 ( 이덕로) |
→ |
사당리 방면 |
|
칠장천 | |||||
미잠리 방면 |
← |
미리실교 (미리실길) |
→ |
미잠리 방면 |
|
음성군 |
진천 IC 금왕 꽃동네 |
← |
대소JC교량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
→ |
북진천 IC 대소 IC |
삼정리 방면 |
← |
삼호교 (한삼로153번길) |
→ |
삼호리 방면 |
|
성산천 | |||||
삼정리 방면 |
← |
오산1교 (오태로116번길) |
→ |
오산리 방면 |
|
대소 면사무소 |
← |
오산교 ( 오태로) |
→ |
대소초 방면 |
|
대소 면사무소 |
← |
태생교 ( 대금로) |
→ |
오산 사거리 |
|
태생리 방면 |
← |
천평교 (대성로) |
→ |
천평리 방면 |
|
도청천 | |||||
천평 보건지소 |
← |
천평3교 (대성로) |
→ |
천평리 방면 |
|
선정리 방면 |
← |
건정교 (선정로) |
→ |
천평리 방면 |
|
덕정리 방면 |
← |
가동교 (대성로546번길) |
→ |
용성리 방면 |
|
김정 사거리 |
← |
덕정교 (금일로) |
→ |
삼성 사거리 |
|
음성군 삼성면에서 발원 |
4. 사건사고
강 하류인 청주시와 세종특별자치시에 개발이 많이 진행된 반면, 강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지 매 해 장마철마다 주변에 홍수를 몰고와 주변지역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4.1. 제방 붕괴 및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때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대 제방이 무너지면서 근처 궁평2지하차도로 물이 유입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해당 사고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는 사실상 인재에 가깝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1]
세종특별자치시 개발 이전에는
연기군 남면 월산리와 동면 합강리, 금남면 봉기리(현 집현리 일부)에 속했다. '합강리(合江里)'라는 이름 자체도 미호강과 금강, 두 강이 합류한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2]
충북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 서편인 중흥리에서 발원
증평군을 지나
청주시 북이면에서 미호강과 합류 괴산군 서쪽인 사리면과 청안면 즉 모래재 서편은 금강수계이며 하천길이는 21.9km이다.
[3]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산에서 발원하여 광혜저수지를 지나
진천군 광혜원면. 음성군 대소면을 거쳐 진천군 이월면에서 미호강과 합류
[4]
충북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한금령 남쪽에서 발원 원남저수지를 지나 진천 초평저수지에서 미호강과 합류 즉 음성 서쪽과 남쪽인 삼성면 대소면 맹동면 그리고 원남면 일부인 보룡리 마송리 문암리는 금강수계이다.
[5]
이 다리는 교각이 22개라 하여 스물두강다리라고도 부른다.
[6]
사실 오송역부터 계속 고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철교라고 하기에는 조금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그래도 도강을 하는 만큼 일단 적어놓았다.
[7]
'미호천교'라는 이름의 교량이 4개 있는데,
청주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와 관련된 미호천교는 이 교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