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조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목조 | ||||||
│ | |||||||
익조 | |||||||
│ | |||||||
도조 | |||||||
│ | |||||||
환조 | |||||||
│ | |||||||
초대 태조 고황제 |
|||||||
├ | ─ | ┬ | ─ | ┐ | |||
제2대 정종 |
제3대 태종 |
||||||
┌ | ─ | ┤ | |||||
제4대 세종 |
|||||||
┌ | ─ | ┤ | |||||
제5대 문종 |
제7대 세조 |
||||||
│ | ├ | ─ | ┐ | ||||
제6대 단종 |
덕종 |
제8대 예종 |
|||||
│ | |||||||
제9대 성종 |
|||||||
┌ | ─ | ┤ | |||||
제10대 연산군 |
제11대 중종 |
||||||
│ | ├ | ─ | ┬ | ─ | ┐ | ||
폐세자 이고 |
제12대 인종 |
제13대 명종 |
덕흥대원군 | ||||
│ | │ | ||||||
제14대 선조 |
|||||||
┌ | ─ | ┬ | ─ | ┤ | |||
제15대 광해군 |
원종 | 흥안군 | |||||
│ | │ | ||||||
폐세자 이지 |
제16대 인조 |
||||||
┌ | ─ | ─ | ─ | ┼ | ─ | ┐ | |
제17대 효종 |
|||||||
│ | │ | │ | |||||
경안군 |
제18대 현종 |
복녕군 | |||||
│ | │ | │ | |||||
임창군 |
제19대 숙종 |
의원군 | |||||
│ | ┌ | ─ | ┤ | │ | |||
밀풍군 |
제20대 경종 |
제21대 영조 |
안흥군 | ||||
┌ | ─ | ┤ | │ | ||||
진종 소황제 | 장조 의황제 | 이진익 | |||||
┌ | ─ | ┬ | ─ | ┤ | │ | ||
제22대 정조 선황제 |
은언군 | 이병원 | |||||
┌ | ─ | ┤ | │ | │ | |||
제23대 순조 숙황제 |
전계대원군 | 남연군 | |||||
│ | │ | │ | |||||
문조 익황제 |
제25대 철종 장황제 |
흥선대원왕 | |||||
│ | │ | ||||||
제24대 헌종 성황제 |
제26대 고종 태황제 |
||||||
┌ | ─ | ┤ | |||||
제27대 순종 효황제 |
|||||||
[범례] 실제 혈통 기준 · 세로선(│): 부자 관계 · 가로선(─): 형제 관계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관련 문서 | 사회 · 역사 · 왕조 · 궁궐 · 국호 · 행정구역 · 평가 ( 고려와의 비교) · 오해 · 인물 ( 왕비· 후궁· 왕세자빈· 왕실) · 창작물 · 기타 관련 문서 |
관련 틀 | 국왕 · 왕비 · 대비 · 왕대비 · 대왕대비 · 중앙정치기구 · 4대 명필 · 반정 · 5대궁 ( 정문· 정전) · 문묘 배향 18현 · 종묘 배향공신 · 조선왕조실록 · 4대 사화 · 무기 · 별궁과 궁가 · 붕당 · 쟁송제도 · 수영 · 천주교 박해 · 대외 전쟁 · 실패한 내란 · 환국 · 공신 · 10대 대로 · 일본과 맺은 수교 · 타국과 맺은 통상조약 | }}}}}}}}} |
조선 왕실 {{{#ffd700 朝鮮 王室 | House of Yi}}} |
|
|
|
어기(御旗)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 전라북도 전주시 |
창업군주 | 태조 이성계 |
중시조 |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중종, 선조, 인조 |
주요인물 | 역대 조선 국왕, 의경세자, 덕흥대원군, 정원대원군, 소현세자, 효장세자, 사도세자, 효명세자, 전계대원군, 흥선대원군 |
1. 태조
- 정비: 신의왕후 신의 고황후(神懿高皇后) 한씨(韓氏)[1]
- 진안군 (鎭安君) 이방우 (李芳雨), 태조 2년(1393년) 사망. 세종 19년 진한정효공(辰韓定孝公) 추증.
- 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
- 장남 봉녕군 이복근
- 장녀: 경혜옹주
- 외손자 이원증
- 외손자: 이형증
- 첩
- 차남 원윤 이덕근
- 손녀: 전주 이씨
- 차녀: 옹주
- 외손자 안숙
- 영안군 이방과 (永安君) 이방과(李芳果) - 조선 제2대 국왕 정종
- 익안대군 이방의 (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
- 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 [2]
- 장남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안량공(安良公) 이석근
- 며느리 진한국대부인 화숙옹주 경주 김씨
- 장손 신의군 이인[3]
- 손자 원윤 이의
- 며느리 진한국대부인 김씨
- 손자 반남도정 이례
- 손자 종남도정 이지
- 손자 양진정 이신
- 손자 대림도정 이강
- 손자 백파도정 이상
- 딸: 회인현주(懷仁縣主, 사후 선혜옹주(善惠翁主)로 추증됨.) - 광주 김씨(光州金氏) 첨총제(僉摠制) 김한(金閑)에게 출가(出嫁)
- 외손자 김유돈, 김유장
- 외손녀 김경재, 정철반(鄭鐵攀)
- 딸
- 외손자 한선(韓善)
- 첩 고성 이씨
- 영가정 이승
- 회안공 이방간(懷安公) 이방간(李芳幹)
-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 장남 의령군 이맹중
- 장손 영평군 이온
-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 차남 창녕군 이태
- 손자 덕림정 이백
- 손자 호산정 이회
- 장녀 성혜옹주
- 외손자 조묵
- 차녀 신혜옹주
- 삼녀 양혜옹주
-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 삼남: 금성군 이선
- 손자 장산정 이형
- 손자 평산정 이말
- 4남 금산군 이중군
- 손자 정안정 이분
- 손자 정평군 이종
- 손녀
- 정안공 이방원 (靖安公) 이방원(李芳遠) - 조선 제3대 국왕 태종
- 덕안대군 이방연 (德安大君) 이방연(李芳衍)
- 경신공주(慶愼公主), 하가(下嫁)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이애(李薆)
- 경선공주(慶善公主), 하가(下嫁)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
- 계비: 신덕왕후, 대한 신덕 고황후(神德 高皇后) 강씨(康氏)
- 무안군(撫安君) 이방번(李芳蕃) - 태종 6년 공순군(恭順君)으로 추시
- 삼한국대부인 개성 왕씨[4]
- 첩 원주 변씨 [6]
- 소도군(昭悼君) 이방석(李芳碩) - 태종 6년 소도군(昭悼君)으로 추시
- 현빈 유씨[폐출]
- 삼한국대부인 현빈 심씨(? ~ 1448년)[8]
- 경순공주(慶順公主), 하가(下嫁) 개국공신(開國功臣) 흥안군 이제(興安君 李濟)
- 후궁: 성비 원씨(誠妃 元氏)[12]
- 후궁: 정경궁주 유씨(貞慶宮主 柳氏)
- 후궁: 화의옹주 김씨(和義翁主 金氏)[13]
- 숙신옹주(淑愼翁主), 하가(下嫁) 당성위(唐城尉) 홍해(洪海)
- 후궁: 찬덕 주씨(贊德 周氏)
- 의령옹주(宜寧翁主), 하가(下嫁) 계천위(啓川尉) 이등(李䔲)
- 후궁: 궁인 이씨(宮人 李氏)
- 후궁: 무협아(巫俠兒)[14]
태조는 꽤 자식복이 많은 편이다. 장남 진안대군 이방우는 음서로 벼슬할 능력이 있고, 차남 정종 이방과는 무인의 기질을 타고나 태조를 따라다니며 활약했다. 그리고, 속도 썩였지만 결론적으론 가장 많이 효도했다고 볼 수 있는 5남 태종 이방원은 능력이 아주 뛰어났다.
1.1. 목조
1.2. 익조
1.3. 도조
- 경순왕후
- 후처 조씨
- 이완자불화(李完者不花)
- 이나해(李那海)
- 그외 1남 3녀
1.4. 환조
2. 정종
- 정안왕후 김씨
- 성빈 지씨 (誠嬪 池氏)
- 순흥 안씨 (順興 安氏)
- 숙의 지씨 (淑儀 池氏)
- 장남 의평군
- 군부인 동주 최씨
- 장남 우산부정 이효손[18]
- 차남 재전부정 이효온
- 삼남 아인부정 이효영
- 사남 도개부정 이효장
- 오남 이성부정 이효공
- 장녀
- 차녀
- 삼녀
- 선성군
-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
- 장녀
- 안강군부인 광산 김씨
- 장남 춘산도정 이귀손[명선대부]
- 평산군부인 평산 한씨
- 차남 추천부수 이숭덕
- 3남 명산도정 이금정[명선대부]
- 4남 창선대부 풍안부수 이옥석[창선대부]
- 5남 설성부정 이철정[광휘대부]
- 6남 석보부수 이은정
- 7남 승헌대부 병산군 이말정[23]
- 8남 도성수 이천정[명선대부]
- 9남 덕양부수 이귀정
- 차녀
- 3녀
- 11남 임성군
- 군부인 평창 이씨
- 양장남 곡성군 이금손
- 첩부인
- 장녀
- 숙의 기씨 (淑儀 奇氏)
- 차남 순평군
- 군부인 순창 설씨
- 장남 의성군
- 차남 의신부정 이숙평
- 장녀
- 차녀
- 삼남 금평군
- 군부인 남양 홍씨
- 첩부인 매소월
- 장녀
- 정석군
- 충원군부인 충주 권씨
- 장녀
- 차녀
- 3녀
- 첩 연경(蓮卿)
- 장남 허천부수 이유
- 차남 차성부수이연
- 3남 : 마천부수 이이
- 4남 횡천부수 이겸
- 무림군
- 장남 명천도정 이장손
- 차남 신평도정 이종손
- 장녀
- 차녀
- 3녀
- 숙의 문씨 (淑儀 文氏)
- 숙의 윤씨 (淑儀 尹氏)
- 7남 수도군
- 여성군부인 여산 송씨
- 장남 어산부정 이검
- 차남 동림부정 이암
- 3남 풍산부정 이외
- 장녀
- 8남 임언군
- 영천군부인 고령 박씨
- 장남 장택군 이효자[29]
- 장녀
- 차녀
- 첩
- 차남 달성부수 이효의
- 3녀
- 석보군
-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
- 장천군
- 산양군부인 화순 최씨
- 장남 부림부정 이형
- 차남 악양부정 이혼[34]
- 3남 진안부정 이요
- 4남 삼양부정 이석동
- 장녀
- 숙의 이씨 (淑儀 李氏)
- 가의궁주 유씨 (嘉懿宮主 柳氏)
- 함양옹주
- 숙신옹주
- 덕천옹주
- 고성옹주
- 상원옹주
- 전산옹주
- 인천옹주
- 함안옹주
15남 8녀라는 어마어마한 수의 자녀를 두었으나, 정작 정실인 정안왕후와는 자녀를 두지 못했다. 금슬이 좋았다고 해서 왕비가 불임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금슬이 좋은 것과는 별개로, 후궁들에게서 엄청 많은 자녀들이 탄생했다.(...) 이 점이 동생 방원에게 큰 장점으로 받아들여져[38] 사실상 장자라는 점[39]과 더불어 정종의 즉위에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성빈 지씨에게서 2남, 숙의 지씨에선 3남, 숙의 기씨로부턴 4남, 숙의 문, 윤, 이씨로부턴 각각 1, 4, 3남을 득남했다. 한 명의 아들도 빠짐없이 자손을 많이 두며 왕위에 오르지 못한 정종의 가계는 번성했다.[40] 그외 특이점은 중종반정을 일으킨 3훈 중 한 명인 성희안이 10남 덕천군의 손자, 즉 정종의 증손자라는 것.
3. 태종
자세한 내용은 태종(조선)/가족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4. 세종
자세한 내용은 세종(조선)/가족 관계 문서 참고하십시오.5. 문종
- 폐빈: 휘빈 김씨
- 폐빈: 순빈 봉씨
- 정비: 현덕왕후 권씨
- 후궁: 숙빈 홍씨
- 딸: 왕녀(1441년~1444년 12월 4일)[43]
- 후궁: 숙의 문씨
- 후궁: 소용 정씨
- 후궁: 소용 유씨
- 후궁: 소용 권씨
- 후궁: 소용 윤씨
- 후궁: 궁인 장씨
- 아들: 왕자(?~?)[46]
- 후궁: 사칙 양씨
현생 후손이 없다.
6. 단종
- 왕비: 정순왕후 송씨
- 후궁: 숙의 권씨
- 후궁: 숙의 김씨
7. 세조
- 왕비: 정희왕후 윤씨
- 후궁: 소용 박덕중(朴德中)- 폐출
- 아들: 이아지(1459년 ~ 1465년 9월 5일)[49]
8. 예종
9. 성종
- 정비 : 공혜왕후 한씨
- 1계비 : 폐비 윤씨 윤씨
- 2계비 : 정현왕후 윤씨
- 후궁 : 명빈 김씨[57]
- 딸 : 휘숙옹주
- 딸 : 경숙옹주
- 딸 : 휘정옹주[58]
- 아들 : 무산군
- 군부인 평산 신씨
- 장남 영선군 이구수
- 차남 영천정 이미수
- 3남 영안정 이학수
- 4남 영풍정 이기수
- 5남 태안군 이팽수
- 6남 부안군 이석수
- 7남 중모수 이담수
- 8남 영원군 이덕수
- 장녀
- 차녀
- 3녀
- 4녀
- 아들 : 왕자[59]
- 아들 : 왕자
- 후궁 : 귀인 정씨
- 딸 : 요절한 왕녀 혹은 숙신옹주[60][61]
- 아들 : 안양군
- 면천군부인 능성 구씨
- 아들 : 봉안군
- 의춘군부인 평양 조씨
- 장남 : 흥원군 이경
- 양손자 기성군 이현[62]
- 딸 : 정혜옹주
- 후궁 : 귀인 엄씨
- 딸 : 공신옹주
- 후궁 : 귀인 권씨
- 후궁 : 귀인 남씨
- 후궁 : 소의 이씨
- 후궁 : 숙의 하씨
손자: 은양군(恩陽君) 량(諒)
- 후궁 : 숙의 홍씨
- 딸 : 혜숙옹주
- 아들 : 완원군
- 면천군부인 전주 최씨
- 장녀
- 정선군부인 양천 허씨
- 장남 이성군 이수강
- 손자 의원군 이억
- 손자 의천군 이인
- 차남 이천군 이수례[64]
- 차녀
- 3녀
- 아들 : 회산군
- 영원군부인 죽산 안씨
- 장녀
- 양장남 계산군 이수계[65]
- 손자 풍성군 이전
- 손자 의성부정 이강
- 손자 단성군 이진
- 손자 창성부수 이명
- 손녀
- 손녀
- 아들 : 견성군
- 영양군부인 평산 신씨
- 장남 완산군 이수함
- 손자 선성군 이흠
- 손자 평성부정 이균
- 손자 여성군 이석
- 차남 계산군 이수계
- 장녀 : 이정묘
- 딸 : 정순옹주
- 아들 : 익양군
- 순천군부인 영일 정씨
- 장남 용천군 이수한(1505년 6월 18일~1569년 2월 20일))
- 며느리 청주 한씨(1504년 7월 14일~1566년 4월 3일)
- 손자 청성군 이걸
- 손자 원성군 이탁
- 손자 화성군 이준
- 손자 춘성부정 이위
- 손자 인성군 이경
- 손자 기성군 이현
- 차남 광천군 이수기(1510년~1588년)
- 삼남 황양군 이수린(1512년 5월 10일~1541년 3월 14일)
- 며느리 청송 심씨
- 손자 청원군 이간(1539년~1592년)
- 사남 장천군 이수효(1519년 5월 7일~1607년 1월 23일)
- 며느리 양천 허씨(1520년 11월 14일~1593년 11월 4일)
- 손자 양성군 이륜
- 장녀 이의환
- 차녀 이계환
- 삼녀 이필환(李畢環)
- 첩 화순 최씨
- 단천군 이수곤
- 화천부정 이수붕
- 아들 : 경명군
- 강양군부인 파평 윤씨
- 장녀 : 이연환
- 장남 안성군 이수령
- 손자 평원군 이일
- 차녀 이옥녀
- 차남 안남군 이수련
- 손자 금천군 이보
- 손자 능성군 이신
- 손자 영천군 이정
- 손자 문성군 이건
- 아들 : 운천군
- 학성군부인 안동 권씨(1489년 01월 01일~1565년 09월 04일)
- 장녀 이계영
- 차녀
- 3녀 이주영
- 4녀
- 장남(양자) 이천군 이수례(1508년 12월 10일~1568년 06월 14일)
- 서손 의령부정 이전
- 서손 의흥부수 이급
- 서손 의양군 이수
- 서손 의신군 이비
- 아들 : 양원군
- 문천군부인 풍양 조씨
- 양근군부인 문화 유씨
- 장남 : 함녕군 수선(1524년 03월 24일 ~ 1579년 01월 12일)
- 양손자 영천군 이정
- 양녀
- 차남 연성부정 이옥정
- 손자 의창부수 이숙
- 장녀
- 차녀 이명복
- 3녀 이말종
- 양녀
- 3남 화령군 이옥명
- 손자 무창군 이효생
- 손자 익창부수 이충생
- 손자 평창군 이만수
- 첩
- 4남 강양수 이옥호
- 손자 낙청령 이인서
- 4녀
- 5녀
- 6녀
- 7녀
- 8녀
- 딸 : 정숙옹주
- 후궁 : 숙의 김씨
- 딸 : 요절한 왕녀 혹은 숙신옹주[66]
- 후궁 : 숙의 정씨
- 후궁 : 숙용 심씨 [67]
- 딸 : 경순옹주[68]
- 딸 : 숙혜옹주
- 아들 : 이성군
- 곤산군부인 남평 문씨
- 계부인 : 풍산군부인 안동 권씨
- 장남 경양군 이수환
- 손자 영평군 아구(1529~1577)
- 손자 영성부정 이질
- 손자 영해부수 이모
- 차남 금구정 이수붕
- 손자 광릉부정 이기
- 3남 운성군 이수철
- 손자 해풍군 이기
- 손자 월성도정 이방
- 4남 한원수 이인수
- 양자 순원령 이저
- 5남 화산군 이수경
- 손자 명원도정 이효
- 손자 순원령 이저
- 손자 흥원군 자 이자
- 손자 의원군 이모
- 아들 : 영산군
-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 [69]
- 장녀 이의정
- 차녀 이경정
- 계부인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
- 양녀
- 3남 장흥군 이상
- 차녀
- 첩
- 장남 은천군 이정
- 첩 향이
- 4남 음성도정 이유(1534년 04월 13일~1588년 01월 14일)
- 첩 어여분
- 차남 양산군 이록(1517년 07월 03일~1573년 05월 12일)
- 3녀 이종개
- 첩
- 장녀 이막지
- 후궁 : 숙용 권씨
- 아들 : 왕자[70]
- 딸 : 경휘옹주
- 후궁 : 숙원 윤씨
- 생모 미상의 왕자녀
9.1. 덕종
- 소혜왕후 한씨
- 월산대군
- 독자 덕풍군 이이(1485 ~ 1506) / 자부 현부인 파평 윤씨(1482 ~ 1536)
- 장손 파림군 이주(1500 ~ 1541)
- 증손 양천도정 이성(1526∼1587)
- 증손 양원도정 이혜(1538∼1591)
- 현손 이사인
- 현손 이호인(1562∼1599)
- 6대손 이희맹(1591∼1653)
- 7대손 이석번
- 8대손 이강
- 8대손 이위
- 8대손 이수
- 8대손 이온
- 8대손 이휘
- 8대손 이계
- 8대손 이소
- 8대손 이표
- 8대손 이영
- 8대손 이찰
- 8대손 이미
- 8대손 이곡
- 7대손 이석만
- 8대손 이구
- 8대손 이집
- 8대손 이기
- 8대손 이치
- 8대손 이종
- 6대손 이희안
- 7대손 이석무
- 8대손 이찬
- 8대손 이적
- 8대손 이담
- 7대손 이석훈
- 8대손 이경
- 8대손 이현
- 8대손 이진
- 7대손 이석형
- 8대손 이회
- 8대손 이륜
- 8대손 이천징
- 현손 이유인(1567∼1609)
- 현손 이응인
- 6대손 이희질
- 7대손 이석총
- 7대손 이석조
- 8대손 이두산
- 7대손 이석대
- 8대손 이두우
- 8대손 이두명
- 7대손 이석창
- 차손 계림군 이유(1502 ~ 1545)
- 증손 연양군 이시
- 증손 금양수 이형
- 증손 운양수 이후
- 증손 정양군 이회
- 현손 회은군 이덕인
- 6대손 이팽형
- 7대손 이득춘
- 8대손 이봉림
- 8대손 이흥림
- 8대손 이경림
- 8대손 이취림
- 8대손 이무림
- 8대손 이계림
- 8대손 이성림
- 8대손 이승림
- 8대손 이태림
- 8대손 이효림
- 8대손 이동림
- 8대손 이신림
- 8대손 이원림
- 6대손 이복형
- 7대손 이수문
- 8대손 이최량
- 현손 회덕정 이처인
- 6대손 이재형
- 7대손 이종뢰
- 8대손 이계량
- 증손 은양군 이량
- 현손 일선도정 이숭인
- 6대손 이동형
- 6대손 이시형
- 7대손 이수방
- 7대손 이수화
- 7대손 이수춘
- 7대손 이수창
- 8대손 이경승
- 현손 적선군 이득인
- 현손 숭선부정 이부인
- 현손 정선부정 이안인
- 6대손 이유형
- 7대손 이수문
- 7대손 이수번
- 7대손 이수전
- 8대손 이경만
- 8대손 이경윤
- 8대손 이경우
- 8대손 이경흥
- 8대손 이경점
- 7대손 이수장
- 8대손 이경조
- 8대손 이경유
- 8대손 이경지
- 8대손 이경복
- 8대손 이경록
- 7대손 이수완
- 8대손 이경창
- 8대손 이경태
- 8대손 이경만
- 현손 영선군 이순인
- 현손 회인정 이애남
- 6대손 이동함
- 현손 회의군 이철남
- 6대손 이정정
- 7대손 이복뢰
- 7대손 이덕뢰
- 8대손 이상량
- 7대손 이몽뢰
- 8대손 이무량
- 7대손 이두뢰
- 8대손 이사량
- 7대손 이필뢰
- 6대손 이태형
- 7대손 이순뢰
- 8대손 이몽량
- 8대손 이득량
- 6대손 이익형
- 7대손 이성뢰
- 8대손 이수량
- 8대손 이최량
- 6대손 이득형
- 7대손 이하뢰
- 7대손 이은뢰
- 8대손 이성량
- 8대손 이차량
- 7대손 이진뢰
- 8대손 이숙량
- 6대손 이재형
- 6대손 이응형
- 6대손 이창형
- 7대손 이웅뢰
- 8대손 이기량
- 8대손 이표량
- 6대손 이만형
- 삼손 전성부정 이리(1506 ~ 1545)
- 증손 영천수 이심(1524∼1542)
- 현손 이영사
- 6대손 이유경(1569∼1616)
- 7대손 이영진
- 8대손 이수준
- 8대손 이수창
- 8대손 이수담
- 7대손 이명진
- 8대손 이수기
- 8대손 이수벽
- 성종
- 명숙공주(1455년~1482년)
- 귀인 권씨
- 귀인 윤씨
- 숙의 신씨
10. 연산군
- 폐비 신씨
- 숙의 이씨 淑儀 李氏
- 숙의 윤씨 淑儀 尹氏
- 숙의 곽씨 淑儀 郭氏
- 숙의 권씨 淑儀 權氏
- 숙의 민씨 淑儀 閔氏
- 숙용 장씨 淑容 張氏 : 장녹수
- 숙용 전씨 淑容 田氏 : 전비
- 숙용 조씨 淑容 趙氏
- 숙원 최씨 淑媛 崔氏
- 숙원 장씨 淑媛 張氏
- 숙원 이씨 淑媛 李氏
- 숙원 김씨 淑媛 金氏
- 숙원 정씨 淑媛 鄭氏
- 나인 최전향 內人 崔田香
- 나인 수근비 內人 水斤非
- 나인 정금 內人 鄭今
- 나인 김숙화 內人 金淑華
- 여완 월하매 麗婉 月下梅
- 여원 안씨 麗媛 安氏
- 장씨 張氏
11. 중종
- 왕비: 단경왕후 신씨
- 왕비: 장경왕후 윤씨
- 왕비: 문정왕후 윤씨
- 후궁: 경빈 박씨
- 후궁: 희빈 홍씨
- 후궁: 창빈 안씨
- 영양군
- 경양군부인 순흥 안씨(1522년 8월 10일~1594년 7월 25일)
- 양장남 흥녕부정 이수전(1554~1605)
- 양손자 풍해군 이잠(1585~1648)
- 양서손자 풍릉수 이혼
- 정신옹주
- 덕흥군( 덕흥대원군)[83]
- 하동부대부인 정씨(1522년 9월 4일~1567년 5월 18일)
- 장남 하원군
- 남양군부인 홍씨(1544년~1569년)
- 신안군부인 이씨(1556년~1616년)
- 풍천 임씨
- 삼녀 이계령(1572년~?년)
- 사남 성해부정 이종령(1573년~?년)
- 장월당(長月堂) 수원 백씨(水原 白氏)
- 차녀 이경령(1571년~?년)
- 삼녀 이숙령(1572년~?년)
- 사녀 : 이영령(1574년~?년)
- 오남 장림도정 이덕령(1575년~1638년)
- 안산 안씨(安山 安氏)
- 육남 연성수 이복령(1578년~1613년)
- 진산 이씨(珍山 李氏)
- 칠남 진산군 이유령(1584년~1643년)
- 팔남 진성군 이해령(1595년~1655년)
- 구남 진양군 이담령(1598년~1662년)
- 오녀 이옥령(1583년~?년)
- 장녀 이명순(李明順)
- 외손자 안응원(安應元)
- 차남 하릉군
- 평산군부인 신씨
- 장남 영제군(1568년∼1623년)[86]
- 첩 양녀 억금(億今)
- 차남 교성도정 이선(1578년~?년)
- 삼남 이현(1591년~?년)
- 첩 순화(順花)
- 딸 이팔옥(1585년~?년)
-
삼남 선조[87] - 숙의 홍씨
- 후궁: 숙의 이씨
- 덕양군
- 영가부부인 권씨
- 장남 풍산군 이종린(1538~1611)
- 첩
- 풍성수 이희린
- 풍천도정 이명린
- 숙의 나씨
- 숙원 이씨
12. 인종
- 인성왕후 박씨
- 숙빈 윤씨
- 혜빈 정씨
- 귀인 정씨(1520년~1566년)
- 양제 윤씨
세자 자리에 오래 있었음에도 자식이 없다.
13. 명종
33세에 사망했지만, 재위가 23년이었음에도 별다른 자식을 두지 못했다. 그나마 있던 순회세자도 13세에 요절.
14. 선조
- 의인왕후 박씨
- 인목왕후 김씨
- 공빈 김씨
- 장남 임해군[92]
- 군부인 양천 허씨(1571년 7월 26일~1644년 10월 15일)
- 차남 광해군
- 장녀 정신옹주(1582년~1653년)
- 차녀 정혜옹주(1584년~1638년)
- 3녀 정숙옹주(1587년~1627년)
- 5녀 정안옹주(1590년~1660년)
- 6녀 정휘옹주(1593년~1653년)
- 인빈 김씨
- 순빈 김씨(?~1647년)
- 정빈 민씨(1567년 - 1626년)
- 7남 인성군[대북]
- 군부인 윤씨
- 12남 인흥군
- 여산 송씨
- 장남 낭선군 이우
- 차남 낭원군 이간
- 4녀 정인옹주(1590년~1656년)
- 7녀 정선옹주 (1594년~1614년)
- 9녀 정근옹주(1599년~1613년)
- 정빈 홍씨(1563년 - 1638년)
- 9남 경창군
- 창녕 조씨(1594년~1648년)
- 장남 창원군 이준(1614년~1639년)
-
차남 양녕군 이경(1616년~1644년)[109] -
3남 평운군 이구(1624년~1662년)[110] - 4남 창성군 이필
- 장녀
- 차녀
- 3녀 [111]
- 첩
- 5남 창림군 이일(1629년~1690년)
- 6남 창흥군 이수(1638년~1704년)[20]
- 4녀
- 5녀
- 8녀 정정옹주(1595년 - 1666년)
- 온빈 한씨(1581년 - 1664년)
- 10남 흥안군[이괄의난]
- 청주군부인 청주 한씨
- 양자, 차남 해양군 이희(1620년~1682년)
- 파평군부인 파평 윤씨
- 장남 이영세(1617년∼1668년)
- 11남 경평군
- 군부인 삭녕 최씨
- 장남 영양군 이현
- 첩 3명
- 차남 영흥군 이창
- 3남 영주군 이파
- 4남 영림군 이희
- 장녀
- 차녀
- 13남 영성군
- 회산군부인 창원 황씨
- 장남 회원군 이윤(1636년~1731년)[113]
- 정화옹주(1604년~1667년)
- 귀인 정씨(1557년 - 1579년)
- 숙의 정씨(1564~1580)
- 숙의 김씨
- 숙의 한씨
- 폐소원 윤씨(?~1632년[사사])
선조의 자식들은 하나같이 다 인성이 안 좋거나 역모에 연루되어 있다.
15. 광해군
- 정비 : 문성군부인 류씨
- 첫째 : (성별불명, 요절)[115]
- 아들 : 왕자(요절)
- 아들 : 폐세자 이지
- 며느리: 폐세자빈 박씨[116]
- 손녀 : 군주(요절)
- 손녀 : 현주[117] 이아기 - 김문거(金文擧)의 처
- 아들 : 왕자[118]
- 후궁 : 소의 윤씨(昭儀尹氏)
- 딸 : 왕녀 - 박징원(朴澂遠)의 처
- 후궁 : 소의 홍씨(昭儀洪氏)
- 후궁 : 소의 권씨(昭儀權氏)
- 후궁 : 숙의 허씨(淑儀許氏)
- 후궁 : 숙의 원씨(淑儀元氏)
- 후궁 : 소용 정씨(昭容鄭氏)
- 후궁 : 소용 임씨(昭容任氏)
- 후궁 : 소원 신씨(昭媛辛氏) - 인빈 김씨의 조카
- 후궁 : 숙원 한씨(淑媛韓氏)
- 후궁 : 상궁 이씨(尙宮李氏)
- 후궁 : 상궁 최씨(尙宮崔氏)
- 후궁 : 궁인 조씨(宮人趙氏)
- 후궁 : 궁인 변씨(宮人邊氏) - 변상궁으로 알려져 있다.[119]
16. 인조
- 인열왕후 한씨
- 장남 소현세자
- 세자빈 강씨
- 차남 효종
- 3남 인평대군
- 4남 용성대군
- 장렬왕후 조씨
- 귀인 조씨[사사]
- 귀인 장씨(1619년~1671년)
- 숙의 나씨
- 숙의 박씨
- 숙의 장씨
16.1. 원종
- 인헌왕후 구씨 [추존]
- 장남 인조
- 삼남 능원대군
- 문화부부인 문화 유씨
- 자녀 모두 요절
- 부부인 영암 김씨(1610년~1690년)
- 장남 영풍군 이식(?~1692년)
- 차남 영은군 이함
- 3남 영신군 이형
- 4남 영춘군 이정
- 5남 영순정 이유
- 장녀
- 차녀 이영정(1639년~1657년)
- 3녀
- 4남 능창대군[신경희]
- 양자 인평대군
- 첩 김씨
- 능풍군
- 양장남 영풍군 이식(1628년 ~ 1692년)
- 양차남 성평군 이탁
- 양3남 광천부정 증광천군 이정(1652년 8월 19일~1735년 3월 12일)
- 손자 평원군 이표(1685년 11월 24일~1725년 11월 6일)
17. 효종
18. 현종
19. 숙종
- 인경왕후 김씨
- 인현왕후 민씨
- 인원왕후 김씨
- 희빈 장씨
- 장남 경종
- 차남 : 왕자 성수 - 요절
- 숙빈 최씨
- 명빈 박씨
- 6남 연령군 이훤
- 상산군부인 상산 김씨(1698 년 6월 26일~1725년)
- 영빈 김씨
- 귀인 김씨
- 소의 유씨
20. 경종
21. 영조
- 정성왕후 서씨
- 정순왕후 김씨
- 정빈 이씨
- 장녀 화억옹주(和憶翁主, 1717년 4월 22일 - 1718년 4월 8일) - 조졸
- 장남 효장세자
- 차녀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 3월 8일 - 1758년 1월 17일) - 월성위(月城尉) 김한신(金漢藎)에게 하가
- 영빈 이씨
- 3녀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4월 27일 - 1748년 6월 24일) -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에게 하가
- 4녀 화덕옹주(和德翁主, 1728년 8월 3일 - 1731년 2월 18일) - 조졸
- 5녀 옹주(翁主, 1729년 12월 12일 - 1731년 3월 21일) - 조졸
- 6녀 옹주(翁主, 1732년 1월 1일 - 1736년 4월 12일) - 조졸
- 7녀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년 3월 7일 - 1752년 11월 27일) - 영성위(永城尉) 신광수(申光綏)에게 하가
- 차남 사도세자
- 9녀 화완옹주(和緩翁主, 1738년 1월 19일 - 1808년 5월 17일) - 일성위(日城尉) 정치달(鄭致達)에게 하가
- 귀인 조씨(貴人 趙氏, 1707년 10월 16일 - 1780년 10월 5일)
- 8녀 옹주(翁主, 1735년 9월 19일 - 1736년 9월 3일) - 조졸
- 10녀: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년 9월 29일 - 1777년 5월 21일) -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에게 하가
- 숙의 문씨(廢 淑儀 文氏, 생년 미상 - 1776년 8월 10일)
- 11녀: 화령옹주(和寧翁主, 1753년 3월 3일 - 1821년 9월 3일) - 청성위(靑城尉) 심능건(沈能建)에게 하가
- 12녀: 화길옹주(和吉翁主, 1754년 5월 19일 - 1772년 12월 18일) - 능성위(綾城尉) 구민화(具敏和)에게 하가
21.1. 진종
21.2. 장조
- 혜경궁 홍씨
- 장남 의소세손 - 조졸
-
차남 정조[134] - 장녀 청연공주 (1754년 ~ 1821년) - 광은위 김기성에게 하가
- 차녀 청선공주 (1756년 ~ 1802년) - 흥은위 정재화에게 하가
- 숙빈 임씨
- 3남 은언군
- 상산군부인 송씨(1753년 10월 15일~1801년 3월 17일)
- 첩 전산군부인 이씨(1764년~1819년)
- 4남 은신군
- 경빈 박씨
- 수칙 이씨(守則 李氏)
- 가선(假仙)
22. 정조
23. 순조
- 순원왕후 김씨
- 장자 효명세자
- 장녀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년 ~ 1832년). 안동 김씨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에게 하가(下嫁).
- 3녀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년 ~ 1832년). 안동 김씨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에게 하가.
- 차남 왕자(1820년 2월 23일 ~ 1820년 5월 26일) - 조졸
- 4녀 덕온공주(1822년 ~ 1844년). 해평 윤씨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에게 하가.
- 양자 철종
- 숙의 박씨
- 차녀(서장녀): 영온옹주(永溫翁主, 1817년 ~ 1829년)
자식복이 없는 수준을 넘어서 처참하다. 순조가 1834년에 죽었는데, 아들은 물론이고 딸까지 5명이나 순조 생전에 죽었다. 심지어 막내 덕온공주도 순조 생전에 죽지 않았을 뿐,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149] 자식 1명만 죽어도 부모된 입장으로서 피가 말리는 기분인데, 순조 입장에서는 그걸 5번이나(그것도 말년에 연달아서) 겪어야 했으니 비통함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실제로 1832년에 애지중지하던 두 딸마저 요절해버리자 '왕의 얼굴에 미소가 사라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순조마저도 세상을 등진 데에는 자식들의 연속된 요절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23.1. 문조(익종)
24. 헌종
25. 철종
그나마 오래 산 영혜옹주를 제외하면 다들 갓 태어나자마자 사망했다. 박영효의 후손들이 있지만 영혜옹주 사이에서 태어난 후손들이 아닌 첩에게서 태어난 후손들이다.
26. 고종, 순종
자세한 내용은 대한제국/황실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신의왕후 소생들은 당시엔 '
대군'이라는 칭호가 없어서 그냥 군(君)으로만 호칭했다. 대군이라는 작위는
태종 시기에 등장한 작위이므로
정종과 태종은 실제 대군이 된 적은 없었다. 나머지는 후세에 추증받은 것이다.
[2]
지간성군사(知杆城郡)이자 증찬성(贈贊成事)인 최인두의 딸
[3]
진안대군의 차남 이덕근에게 입양.
[4]
공양왕의 동생인
왕우의 딸이다.
[5]
세종과
소헌왕후의 오남으로 1436년 봉사손이 되었다.
[6]
여말선초의 무장이자 친
최영파, 그리고
공양왕 시기엔
우왕과 연루되 죽은
변안열의 딸이다.
[폐출]
내시 이만과 부적절한 관계를 가져 이만은 참수되고 유씨는 페출.
[8]
심효생이 아버지이다. 심효생은
정도전파이자,
1차 왕자의 난 때
태종에게 죽은 사람이다.
[9]
출생 기록만 남겨져있고 언제 죽었는지는 확실치 않아 요절한 것으로 보인다.
[10]
세종의 6남인데,
단종 복위 역모에 연루되어 순흥부로 유배된 뒤 부사 이보흠을 반협박으로 봉기를 일으키려다 이보흠의 밀고로 죽었다.
[11]
금성대군의 역모 후 파양이 된 뒤 세조가 자신의 이복동생인
밀성군의 차남인 춘성군을 봉사손으로 삼았다.[156]
[12]
태상왕이 된 이후에 정식 봉작되는 바람에 후궁으로 분류되었다.
[13]
김해의 관기 출신으로 이름은 칠점선이다. 외모가 출중해서 태조의 눈에 들었다고 한다
[14]
임금과 세자가 일어나 춤추니, 태상왕이 총애하는 기생 무협아(巫峽兒)를 불러 내어 잔치에 참여하게 하였다. 임금이 표리(表裏)를 하사하고, 세자가 단(段) 1필을 하사하고, 지극히 즐기다가 파하였다. - 《
정종실록》, 정종 2년 8월 21일 계축 3번째기사
[15]
완창대군의 양자.
[16]
중종반정의 3훈 중 한 명인 그 사람이다.
[17]
정여창에게 출가했다.
[18]
효도 효(孝)자가 돌림자.
[명선대부]
[명선대부]
[창선대부]
[광휘대부]
[23]
승헌대부
[명선대부]
[25]
정종의 7남
수도군의 차남이다.
[26]
수도군의 3남인 풍산부정의 차남
[27]
수도군의 11대손.
[28]
진남군의 4남.
[29]
이름이 효자(孝慈)인데, 당연하지만 효자는 아들 자를 쓴다. 장택군 이효자는 사랑 자. 이 사랑 자를 써도 뭐 효자란 뜻은 딱히 변하지 않는다.
[30]
놀랍게도 그
연산군의 燕山이다!
[31]
경상북도
예천군 다인현의 옛 이름인 仁陽을 쓰고 있다. 조선의 체제에
외왕내제가 섞여있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32]
당연히
곡성군의 곡성은 아니다. 다만, 금손(金孫)은 손자할 때 그 손을 쓴다.
[33]
11남인
임성군의 양자.
[34]
광해군의 이름과 똑같지만, 한자가 무엇인지 모른다.
[35]
율곡 이이와 동명이인이다. 다만 율곡 이이는 귀고리 珥, 봉성군 이이는 무리 侇를 쓴다.
[양자]
[37]
선조는 해 다닐 연이란 안 쓰이는 한자를 쓰고, 금산군은
연희궁의 넓을 衍을 쓴다.
[38]
위 태조의 가계를 보면 알겠지만 죽은 첫째형
진안대군을 제외하고도
익안대군과
회안대군은 적자가 있다.
[39]
진안대군이 죽은 뒤 사실상 장자이다. 즉 장자가 죽은 뒤 차자가 가통을 이어받은, 체이부정이 되는 것. 조선 초에는 이런 문제가 중요하지 않았고. 제사 예법도 꽤 널널한 편이었으나 이 점 때문에 200년 뒤엔
예송논쟁이 발발한다.
[40]
왕실의 자손이 귀해져 강화도에 있는 죄인의 아들을 데려오고, 17촌을 왕위에 앉히는 조선 후기를 생각하면...
[41]
동궁의 딸이 죽었다.
권 승휘(權承徽)의 몸에서 낳았는데 (중략) "나이가 1살이 차지 못하였는데 어찌 반드시 무덤을 지키오리까.''(후략) -《세종 15년 3월 3일 병진 1번째기사》
[42]
요절한 다른 왕녀들은 사망나이가 정확히 적혀있어 태어난 년도를 알 수 있는 반면, 권씨의 큰 딸은 적혀있지 않았다. 하지만 1살이 차지 못했다는 실록의 기록으로 보아 1433년 1월~3월 이전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즉, 태어난 해에 죽은 것
[43]
승휘 홍씨(承徽洪氏)의 딸이 죽으니, 나이 4살이었다. -《세종 26년 12월 4일 기유 1번째기사》
[44]
(중략) 왕세자빈 권씨는 증 의정부 좌의정 전(專)의 딸인데, 원손과 평창 군주를 낳고 일찍 졸(卒)하였고, 사칙 양씨는 딸 하나를 낳았고, 궁인 장씨는 아들 하나를 낳았고, 정씨도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 (중략) -《세종 28년 6월 6일 임인 2번째기사》
[45]
문종의 요절한 왕녀들은 전부 죽었을 때의 기록이 있는 반면, 요절한 왕자들은 생몰년 기록 자체가 없다.
[46]
(중략) 왕세자빈 권씨는 증 의정부 좌의정 전(專)의 딸인데, 원손과 평창 군주를 낳고 일찍 졸(卒)하였고, 사칙 양씨는 딸 하나를 낳았고, 궁인 장씨는 아들 하나를 낳았고, 정씨도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 (중략) -《세종 28년 6월 6일 임인 2번째기사》
[47]
왕녀가 졸(卒)하였다. 나이는 2세인데 궁인 양씨(宮人楊氏)의 소출이었다. -《문종 1년 8월 12일 정축 1번째기사》
[48]
야사〈금계필담〉에서는 세조의 장녀를 의령공주로, 그 이름을 이세희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조선왕조실록에는 그 존재가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따라서 실존여부 자체가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만 실록의 세종 28년(1446년) 기록에 "수양대군은 윤씨와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두고 있다" 라고 한 부분이 있다. 세종실록의 기록으로 보면 1446년 세조의 슬하에는 의경세자와 이름 미상의 딸, 의숙공주만이 있었고, 예종은 출생 전이었다.
[49]
2경(更)에 아지(阿只) 가 졸(卒)하니, 예조(禮曹)에서 상장(喪葬)의 의식(儀式)을 의논하여서 아뢰었다. 아지(阿只)는 곧 후궁(後宮) 박소용(朴昭容)이 낳은 아들의 이름인데, 2경(更)에 졸(卒)하니, 나이가 5세였다. - 《세조실록》, 세조 9년 11월 24일 무인 1번째기사
[50]
봉작은 생전엔 부수와 정에 이르렀다고 하나, 출처가 없다.
[51]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1874년 판에 언급.
[52]
고종 때 추증.
[53]
왕자(王子)가 졸(卒)하였는데, 폐비(廢妃) 윤씨(尹氏)의 소생이었다. - 《성종실록》, 성종 10년 6월 12일 정유 3번째기사
[54]
(중략) 을사년(1485년) 11월에 9달 만에 공주가 출생하므로 궁중이 깜짝 놀랐었고 (중략) - 《중종실록》, 중종 25년 8월 23일 경진 2번째기사
[55]
승정원에 전교하기를, "새로 낳은 공주가 비록 허무하기는 하나 어제 죽었으니, 내일의 조하(朝賀)는 정지하도록 하라." 하였다. - 《성종실록》, 성종 17년 2월 14일 경인 3번째기사
[56]
(중략) 경술년(1490년) 11월에 공주가 출생하였으며, (중략) - 《중종실록》, 중종 25년 8월 23일 경진 2번째기사
[57]
성종 때에는 숙원이었다가 중중 때 숙용, 숙의를 거치면서 고종 때 빈으로 추증되었다.
[58]
남흔의 아들 남섭원에게 하가하는데 남섭원은 경순옹주의 부마인 남치원과 사촌간이다.
[59]
숙원 김씨(金氏)가 3남 3녀를 탄생하였는데, 휘숙 옹주(徽淑翁主)는 풍원위(豐原尉) 임숭재(任崇載)에게 하가하였고, 경숙 옹주(敬淑翁主)는 아직 하가하지 아니하였으며, 나머지는 어리다. - 《성종대왕묘지문》
[60]
(중략) 숙용(淑容) 정씨(鄭氏)는 2남 1녀를 낳았고 (중략) - 《성종실록》성종 14년 6월 12일 계유 1번째기사
[61]
막내 정혜옹주는 성종 21년(1490년)에 태어났다.
[62]
익양군의 아들의 6남.
[63]
익양군의 차남.
[64]
은천군에게 출계
[65]
견성군의 차남
[66]
(중략) 숙의(淑儀) 김씨(金氏)는 1녀를 낳았고 (중략) - 《성종실록》성종 14년 6월 12일 계유 1번째기사
[67]
세종의 장인
심온의 동생 심정의 손녀, 세종비
소헌왕후의 당질녀
[68]
경순옹주는 남경의 아들 남치운에게 하가하는데 남치원은 휘정옹주의 부군인 남섭원과 사촌간이다.
[69]
세종의 왕자
수춘군(심순로의 장인)의 외손녀, 세종의 장인 영의정
심온 - 영의정 심회 - 병조참의 심인 - 고성군수 심순로의 딸
[70]
숙원 권씨(權氏)가 1남 1녀를 탄생하였는데, 모두 어리다. - 《성종대왕묘지문》
[71]
왕자(王子) 이효신(李孝信)이 졸(卒)하였다. 태어난 지 겨우 다섯 달이므로, 3일만에 장사하고 관곽(棺槨)을 쓰지 말고 제사에 흰 떡을 쓰고 1백일 만에 그치라고 명하였다. - 《성종실록》 55권, 성종 6년(1475년 명 성화(成化) 11년) 5월 20일 무진 4번째기사
[72]
연산군이 성종의 맏이인것으로 보아 연산군보다 더 일찍 태어난 이효신 역시
폐비 윤씨의 아들일 것으로 추측된다.
[73]
숙신 옹주(淑愼翁主)가 졸(卒)하였다. 임금의 딸인데 나이가 어려서 출가하지 않았었다. - 《성종실록》, 성종 18년 8월 20일 정해 5번째기사
[74]
숙신옹주(淑愼翁主)가 졸(卒)하였는데, 나이 12세이다. 임금이 나이가 어린 것 때문에 내수사(內需司)로 하여금 염습(斂襲)하고 빈소(殯所)하는 일을 맡게 하였다. - 《성종실록》, 성종 20년 11월 8일 임술 5번째기사
[75]
(중략) 숙의(淑儀) 김씨(金氏)는 1녀를 낳았고, 엄씨(嚴氏)도 1녀를 낳았고, 숙용(淑容) 정씨(鄭氏)는 2남 1녀를 낳았고, 숙원(淑媛) 홍씨(洪氏)는 3남 1녀를 낳았고, 궁인(宮人) 하씨(河氏)는 1남을 낳았고, 김씨(金氏)는 1녀를 낳았고, 심씨(沈氏)도 1녀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 (중략) - 《
성종실록》성종 14년 6월 12일 계유 1번째기사
[76]
1483년 6월 12일 이전에 태어난 성종의 옹주들은 혜숙옹주(숙의 홍씨 소생), 숙신옹주(생모 미상 소생), 휘숙옹주(명빈 김씨 소생/당시 궁인 김씨), 공신옹주(귀인 엄씨 소생), 경순옹주(숙용 심씨 소생) 이 5명인데 실록의 기록과 대조해보면 숙의 김씨와 숙용 정씨(훗날 귀인 정씨)만 남으므로 숙신옹주의 생모는 이 두 후궁 중 한명으로 추측된다.
[77]
성화 22년(1486년) 12월 초6일 해시에 태어난 왕자 견석의 태실을 성화 23년(1487년) 4월 초7일 조성 - 《울진삼달리태실》
[78]
이복동생인
덕흥대원군의 3남인 그 선조다. 이후 당연 파양.
[79]
해안군의 아들.
[80]
선조의 아들.
[81]
선조의 아들이고 둘다
귀인 김씨 소생이며 공교롭게도 둘 다 요절했다.
[82]
명종비
인순왕후의 남동생 심충겸의 부인
[83]
선조의 부친
[84]
하릉군의 양자로 감.
[85]
기자헌의 부인.
[86]
상술했던 하원군의 아들
[87]
명종에게 입적.
[온양]
[동래]
[계축옥사]
계축옥사.
[91]
양자로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다.
[92]
임해군의 옥사
[93]
경창군의 차남.
[94]
인조의 부친.
[허균]
허균의 옥사.
[96]
덕흥대원군의 손자인 익성군의 삼남이다.
[97]
인성군의 차남이다.
[대북]
대북 역모 외 많은 역모 연루.
[99]
상술한 순화군의 양장남
[100]
능풍군의 양자로 갔다.
[101]
흥안군의 양자
[102]
능풍군 이명에게 양자로 갔다.
[103]
서손
[104]
서손이다.
[105]
낭선군에게 양자로 갔다.
[106]
서손.
[107]
서손
[108]
서손
[109]
임해군에게 출계.
[110]
신성군에게 출계.
[111]
심의겸의 고손 심약하의 부인
[이괄의난]
이괄의 난.
[113]
이 시대 태생 치고 꽤 장수한 편이다. 그
효령대군보다 5살 더 살았으니.
병자호란이 발발한 연도에 태어나 오촌
소현세자의 죽음과
효종의 즉위와
대동법 시행,
예송논쟁을 바왔다. 또한 종질
숙종
환국,
노론-
소론 갈등과 무려 육촌인
경종-
영조의 갈등, 그리고 영조의 즉위까지 본 후에도 7년을 더 살았다. 더 쉽게 말하자면 사촌의 재위 기간 때부터 사촌의 내손자 즉위 기간에 사망한 것이다.
[사사]
1632년 사사됨.
[115]
정탁의 잡저인 피난행록의 기록에 1592년 5월 12일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184A_0050_020_0080_2014_002_XML
[116]
박승종의 손녀
[117]
이름 미상의 후궁소생.
[118]
선조실록 168권, 선조 36년 11월 11일 계해 4번째 기사에 마마(천연두)에 걸려 요절했다고 나온다.http://sillok.history.go.kr/id/kna_13611011_004
[119]
변개똥, 변아무개 등으로 불렸다. 그녀는 광해군 재위 말년에 반정의 움직임, 기미가 보여 상소가 올라왔음에도 불구하고 변상궁이 광해군을 아첨(설득)해 능양군을 주축으로 해서
김자점,
김류 등이 이끄는 반정군이 잘 들어오게 해주게 했다. 그러나
인조반정을 성공시킨 반정군은 광해군의 궁인이라며 오히려 도와준 궁인 변상궁을 처형(참수)시킨다.
[120]
양자로 갔으나, 후손이 없어서 또 양자를 들였다.
[121]
은신군에게 입적.
[122]
완은군에게 입적.
[사사]
효종 2년인 1651년 폐서인된 뒤 사사.
[양자]
[추존]
[신경희]
신경희의 옥사에 연루되어 자결.
[127]
효종이 즉위하고 7년만에야 숙원으로 봉작, 현종 때 숙용, 숙의, 귀인을 거쳐 숙종 때 빈이 되었다.
[128]
승정원일기 354책 (탈초본 18책) 숙종 19년 10월 10일 경진 13/18 기사
[129]
승정원일기 18책 (탈초본 354책) 숙종 19년 12월 13일 임오 7/11 기사
[130]
새로 탄생한 왕자(王子)가 졸(卒)하였다. 《숙종실록 32권, 숙종 24년 7월 10일 임오 1번째기사》
[131]
밀풍군의 차남으로,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었다 파양.
[132]
항렬로 보면 은신군은 영조의 손자기에 연령군의 손자뻘이여서 양자인 낙천군의 아들로 입적해야 했다. 그런데 봉사손으로 삼는다고만 했다. 비록 연령군의 봉사손이 됐다해서 자동으로 낙천군의 양자가 되는 것은 아니었기에 정식 입적은 아니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은신군을 사도세자의 아들로 봐서 남연군의 자손들이 종친 대우를 받고 왕이 될 수 있었다. 다만, 현재 은신군의 자손들은 연령군 - 낙천군 - 은신군으로 이어오는 계보를 확립하여 자신들을 연령군의 후손으로 인식하고 있다.
[133]
세자빈 시절 요절하여 경종이 왕위에 올라 왕비로 추존
[134]
큰아버지 진종에게 출계.
[135]
풍계군의 서장남.
[136]
중종 서7남
덕흥대원군의 12대손.
[137]
은전군에게 출계.
[경창군]
선조 서9남
경창군의 10대손.
[139]
큰아버지 흥녕군에게 출계.
[경창군]
선조 서9남
경창군의 10대손.
[141]
세종 적5남
광평대군의 17대손.
[142]
문조에게 출계.
[143]
인조 적3남
인평대군의 9대손.
[144]
이완용의 이복 형.
[파양]
[146]
원종 적2남
능원대군의 8대손.
[147]
선조 서9남
경창군의 9대손.
[148]
상계군에게 출계
[149]
다르게 말하면 순조의 왕비인 순원왕후 입장에서는 본인의 자녀들이 모두 본인보다 먼저 죽었다는 것도 의미한다. 심지어 장손인 헌종도 먼저 죽었다...
[150]
신시(申時)에 원자가 창덕궁 대조전에서 탄생하였다. -《철종실록》10권, 철종 9년 10월 17일 기미 1번째기사
[151]
진시(辰時)에 원자가 졸서하였다. -《철종실록》11권, 철종 10년 4월 23일 계해 1번째기사
[152]
아들을 낳은 궁인 박씨를 귀인으로 봉작하게 하다. -《철종실록》6권, 철종 5년 7월 10일 정미 1번째기사
[153]
궁인 조씨가 아들을 낳았다. -《철종실록》11권, 철종 10년 10월 13일 기유 1번째기사
[154]
인시(寅時)에 귀인 조씨가 아들을 낳았다. -《철종실록》 13권, 철종 12년 1월 15일 갑진 1번째기사
[155]
미시에 궁인 이씨가 남아를 낳았다. -《철종실록》 14권, 철종 13년 윤8월 8일 무자 1번째기사
[156]
항렬상으론 의안대군이 빨리 죽어서 그렇지 증손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