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12:12:00

심효생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관학파
官學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신진사대부(급진파)
고려말
( ~ 1392)
권근 김사형 김인찬 남은 남재
배극렴 심효생 윤소종 정도전 조준
태조
(1392 ~ 1398)
의안대군파 정안군파
남은 심효생 권근 남재 민무구
이방석 이제 이거이 이방원 이숙번
정도전 조준 이화 조영무 하륜
정종 - 태종
(1398 ~ 1418)
권근 남재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제 박포 이거이 이숙번 이제
이지란 이화 조준 조영무 하륜
세종 - 문종
(1418 ~ 1452)
김종서 맹사성 성삼문 신숙주 심온
류정현 이순지 정분 정인지 정창손
조말생 최만리 황보인 황희 허조
단종 - 세조
(1452 ~ 1468)
친수양대군 반수양대군
구치관 권람 신숙주 김종서 박팽년
양정 정인지 정창손 성삼문 안평대군
최항 한명회 홍윤성 정분 황보인
훈구파 멸문
( 계유정난)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沈孝生
(1349~1398)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조선의 개국공신이다.

2. 생애

본관은 부유 심씨(富有 沈氏). 고려조 금주지사 심인립의 아들로 전주에서 태어났고 1380년 성균시에 합격하여 1383년 을과에 제2인에 올라 당후관을 지내다가 장령이 되었다. 매우 아이러니하게도 1383년 심효생과 함께 과거에 급제한 이들 가운데 김한로(양녕대군의 장인), 정역(효령대군의 장인), 그리고 태종 이방원이 있다. 이방원은 심효생과 동방인 셈이다. 하지만 같은 과거 급제 동기인 이숭인과 정도전의 관계처럼, 얄궂은 운명은 심효생과 이방원의 운명을 갈라 놓는다. 1391년 3월 문하사인을 지냈으며 1392년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개국공신에 임명되면서 부성군에 봉해졌다. 이후 사헌중승에 임명되어 경상도로 파견되었고 경상도 안렴사를 지냈다. 1393년 3월 절제사를 각 도에 파견해 왜구의 침입을 방어할 것을 청했고 12월 대장군을 지내면서 태조의 명에 따라 계룡산에 새로운 도읍을 건설하는 것을 중지했다.

1394년 왕씨의 역모가 드러나자 1월 왕화, 왕거 등을 체포해 안동옥에 가두었으며 4월 첨절제사를 지내면서 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한 일로 손흥종과 함께 거제도에 파견되었다. 10월 이조전서를 지내다가 심효생의 딸 현빈 심씨를 세자빈으로 삼게 되자 외척이 되었다. 1395년 2월 중추원학사가 되었고 심효생의 부인 전주 유씨는 정경옹주가 되었다. 정경옹주의 친정 아버지는 유습(고흥 유씨 유습과 동명 이인)인데, 유습의 아들들 중 한 명이 하윤린(하륜의 아버지)의 딸과 결혼했다. 정리하면 하륜의 매부의 매부가 심효생이다. 9월 경상도 관찰사를 지내다가 12월 지중추원사에 임명되었고 이후 예문관 대제학에 임명되었다. 1397년 6월 정도전, 남은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국경에 나아가려고 했지만 조준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7월 동지중추원사를 지냈고 태조가 김주, 김사행 등을 시켜 서경에 궁궐을 지으려고 하자 이를 간언해 중지하도록 했고 1398년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면서 살해당했다. 하지만 표면상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의 죄명 자체가 역모죄가 아닌 '종친모해죄'였고, 심지어 남은은 태종 재위기에 태조 묘정 배향 공신으로 선정되기까지 했다. 정도전도 그의 글들을 모은 문집 삼봉집이 후일 간행되는 것이 가능했고, 그의 증손자 정문형은 연산군 대에 정승까지 지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심효생의 아들 심도원은 해를 입지 않고 무사히 살아남아 활동했고, 심도원의 여동생 세자빈 심씨도 남편 이방석 사후 수십년 동안 생존했다. 심효생의 외손자 - 세자빈 심씨와 방석의 아들(1398년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에 탄생함)은 조선왕조실록에 탄생 기록만 적혀 있고 그 이후의 동향에 대해서는 일체 기록이 없다.

3. 대중매체

제1차 왕자의 난을 다룬 작품마다 꾸준히 등장하지만 항상 중점인물로 특별대우를 받는 정도전과 그 조력자의 비중을 가지는 남은에 비해 비중은 극히 낮고 덕분에 최후 장면도 둘에 비해 심히 굴욕적으로 허접하게 묘사된다.



[1] 이 이경영과는 동명이인인 배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