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00:32:06

안빈 이씨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정식 후궁 첩지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조선 효종의 후궁
안빈 이씨 | 安嬪 李氏
파일:안빈이씨묘.jpg
안빈이씨묘 전경
출생 1622년 9월
사망 1693년 11월 20일 (향년 72세)
능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 66
재위기간 조선 숙원
1656년 ~ 1661년 9월 1일
조선 숙용
1661년 9월 1일 ~ 1661년 12월 11일
조선 숙의~귀인
1661년 12월 11일 ~ 1686년 5월 27일
조선 안빈
1686년 5월 27일 ~ 1693년 11월 2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9236A><colcolor=#ffd400> 본관 경주 이씨
부모 부친 이응헌(李應憲)
배우자 효종
자녀 슬하 1녀
장녀 - 숙녕옹주(淑寧翁主, 1649 ~ 1668)
봉작 숙원(淑媛) → 숙용(淑容) → 숙의(淑儀)
→ 귀인(貴人) → 안빈(安嬪)
}}}}}}}}} ||

1. 개요2. 생애
2.1. 봉림대군의 첩2.2. 대접받지 못하는 후궁2.3. 말년
3. 일화4.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효종의 후궁이자 그 중 유일하게 자녀를 낳은 후궁이다.[1] 아버지는 공조 참의를 지낸 이응헌(李應憲)이며,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다.

2. 생애

2.1. 봉림대군의 첩

효종이 봉림대군이던 시절부터 모셨는데 효종이 청나라로 끌려갈 때도 따라갔다. 정확히 언제 효종을 만났고 승은을 입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정조 때, 예조판서 민중현의 말에 의하면 정축년(1637, 인조15)에 안빈이 효종을 모시고 심양까지 갔으며, 남자 옷을 입고 10년 동안 섬겼다고 한다.[2]

2.2. 대접받지 못하는 후궁

1649년(인조 27)에 숙녕옹주를 낳았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 효종이 즉위하고 7년 동안 후궁 봉작을 받지 못했다.[3] 효종이 숙녕옹주를 아끼고 안빈이 효종을 따라 청나라까지 가서 고생했던 정을 생각하면 빨리 봉작하지 않은 점이 의아하긴 하다.
“옛적에 효종조(孝宗朝)에 안빈(安嬪) 이씨(李氏)가 옹주(翁主)를 낳은 지 7년만에야 비로소 숙원(淑媛)으로 봉작했었습니다.[4][5] 성의(聖意)에 지체하시며 기다렸던 것이 무슨 일이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마는, 항간(巷間)에 전파되는 말로는, 그의 성자(姓字)를 혐의하여 그랬다고 했었습니다.”

영조실록》 영조 3년 2월 6일

이는 영조 때, 부제학 이병태가 한 말이다. 성자(姓字)를 혐의했다는 말은 같은 이씨였기 때문에 꺼렸다는 뜻이다. 안빈 이씨는 경주 이씨라서 효종과 동성동본은 아니지만, 원래 본관이 달라도 이씨는 왕비, 세자빈, 부마, 후궁(궁녀 출신 승은 후궁은 제외) 등을 뽑는 간택에도 참여할 수 없었으므로 그럴싸한 이유로 보인다.

7년 만에 내명부 종4품 숙원(淑媛)이 되었으나 좋은 대접은 못 받았던 모양이다. 《 연려실기술》의 효종조 고사본말에는 《공사견문록》의 일부 내용이 실려 있는데, 안빈 이씨가 옹주를 낳았으나 효종 생전에는 숙원에 머물렀고 생활비는 호조에서 나오는 것 외에는 없어서 늘 부족하게 생활하는 지경이었다고 한다. 오죽하면 친아들도 아닌데 당시 세자였던 현종이 그녀한테 궁중의 남은 물자를 주자고 여러 번 요청하였다. 그러나 효종은 현종의 요청을 모두 거절하면서 "네가 다른 날에 은혜를 베풀도록 남겨두는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6]

2.3. 말년

아무튼 이씨의 형편이 좋아진 건 현종 즉위 이후다. 아버지보다 아들이 낫다 앞서 《공사견문록》의 일화처럼 현종이 은혜를 베풀게 된 셈이다. 《승정원일기》를 참고하면 1661년(현종 2) 윤7월에 종3품 숙용[7], 같은 해 10월에 종2품 숙의가 된다.[8][9]

1686년(숙종 12)에는 청나라까지 따라가서 보필한 공을 높이 사서 정1품 안빈으로 책봉된다. 그야말로 수직상승.

소생은 외동딸 숙녕옹주만 있으며 숙녕옹주는 효종의 막내딸이자 유일한 서녀였다고 한다. 숙녕옹주가 1668(현종 9)년 19살의 젊은 나이에 일찍 죽는 바람에 이씨는 25년을 홀로 살다가 1693년(숙종 19)에 사망하였다.

3. 일화

후궁은 자녀를 낳아도 어머니를 자칭할 수 없었다. 후궁에게서 태어났지만 고귀한 왕의 핏줄을 이었기 때문에 신분이 생모인 후궁보다 높고, 친어머니인 후궁보다 왕의 정실인 중전을 어머니로 모시는 것이 궁중 예법이었기 때문이다. 모친의 신분이 어떻든 왕의 서자·서녀는 무품 하계[10]이며, 후궁은 가장 높은 지위에 오르더라도 정1품이다. 물론 후대의 수빈 박씨 같은 무품 후궁이 없지는 않았으나 이는 지극히 예외적 사례.

그런데 안빈 이씨가 문안 인사를 온 친딸 숙녕옹주에게 "너"라고 했다가[11] 효종이 죽이네 살리네 하는 걸 인선왕후가 중재해서 넘어간 일이 있다고 한다.[12] 일부러 그런 것도 아니고 실수로 나온 말에 그 난리를 친 것.[13] 이러한 사실을 보면 효종이 얼마나 엄격한 사람인지를 알 수 있다.[14]

안빈에 대한 제사와 관련해서는 숙녕옹주의 남편인 금평위 박필성이 가문의 대종(大宗)인지라 사위 집안에서 안빈의 제사를 지내기가 여의치 않자 대신 외손녀(숙녕옹주의 딸)의 남편인 이수철 가문에서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그러나 정조 무렵에 이씨 집안이 제사를 지내기 어려울 정도로 가난해져 나라에서 안빈의 제사 비용을 대주도록 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

4. 대중 매체

은근히 그녀에 대한 일화는 잘 알려지기는 했지만 왕위계승이나 후궁 암투 같은 드라마틱한 삶은 아닌지라 그녀의 삶을 다룬 대중 매체는 없다.


[1] 효종에게는 후궁이 모두 3명이 있었다. 그러나 안빈 이씨를 제외하면 특별한 기록도 없고 자녀도 없다. [2] 정조실록 45권, 정조 20년 8월 9일 신사 6번째기사. # [3] 이 때문에 후궁의 봉작이 너무 후하거나 빠르면 효종 때는 그렇지 않았다는 비교 대상으로 거론된다. [4] 효종의 부마인 정재륜이 쓴 《공사견문록》에도 효종의 살아생전에는 숙원(淑媛)이었다고 썼다. [5]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공사견문록》 등 동시대 기록을 대조해보면 그녀가 효종 시절에 후궁이 되지 못하고 승은상궁이었다는 이야기는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6] 《연려실기술》 제30권, 효종조 고사본말. # [7] 승정원일기 9책 (탈초본 169책) 현종 2년 윤 7월 8일. 先祖의 後宮 淑媛李氏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라는 비망기. # [8] 승정원일기 9책 (탈초본 170책) 현종 2년 10월 20일. 先王의 後宮 淑容李氏를 淑儀로 임명한다는 등의 비망기. # [9] 숙녕옹주가 옹주로 책봉된 걸 기념한 것으로 추측된다. [10] 원래는 정1품이었으나 격상되어 무품이 되었다. [11] 사극에서 흔히 범하는 고증 오류이다. 이를 지킨 몇 안되는 작품이 붉은 달. 영빈 이씨가 아들( 사도세자), 딸( 화완옹주), 며느리( 혜경궁 홍씨)에게 존대하는 장면이 나온다. [12] 後宮於所産子女不敢呼爾汝盖不敢自母於其子之意而安嬪李氏於淑寧翁主爾汝之, 孝廟將加重罪, 仁宣王后屢請得免焉. 공사견문 전집. [13] 그래서 안빈 이씨는 조선시대 후궁들은 자기 자식한테도 반말을 할 수 없다는 예시로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14] 비슷한 일화로 영조의 딸인 화유옹주는 당시 세자빈 혜경궁 홍씨와 나란히 앉았다가 당시 대왕대비였던 인원왕후에게 혼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