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03:21:21

신성군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정원대원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효명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

신성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호성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604년 6월 25일 선조에 의해 책록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 (1등)
이항복 정곤수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 (2등)
구성 김응남 류근 류성룡
류영경1 박동량2 박숭원 신잡
심대 심우승 심충겸 안황
윤근수 윤두수 윤자신 이경검3
이경온 이광정 이괵 이기
이부 이산부 이원익 이유징
이충원 이호민 이후 정희번
최흥원 한연 홍진
충근정량호성공신 (3등)
강인 경종지 고희 기효복
김계한 김기문 김봉 김새신
김수원 김양보 김예정 김응수
김응창4 김준영 류조생 류희림
민희건 박몽주 박춘성 박충경
백응범 송강 신대용 신응서
안언봉 양순민 양자검 여정방
오연 오치운 이공기 이사공
이수곤 이연록 이유중 이응순
이춘국 이헌국 이희령 임발영
임우 전용 정대길 정탁
정한기 조귀수 최빈 최세준
최언순 최윤영 최응숙 허준
홍택
1 1608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623년 인조 때 복권
2 유릉 저주 사건이 무고임을 알고도 시인한 혐의로 인한 제명, 1635년 인조 때 복권
3 인목대비를 폐하라는 상소를 올렸던 혐의로 인한 제명
4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한 제명
}}}}}}}}}
파일:전주 이씨 종문.svg 전주 이씨 복성군파의 종주
2대 오강군 이건
2.5대 의안군[1]
3대 신성군 이후 3.5대 능창군 이전[2]
4대 평운군 이구[3]
}}} ||
복성군파 제3대 종주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선조의 왕자
신성군 | 信城君
파일:신성군묘.jpg
신성군묘 전경
출생 1579년 1월 6일
조선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일대)
사망 1592년 12월 8일 (향년 13세)
조선 평안도 의주군
(현 평안북도 의주군)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후(珝)
부모 부왕 선조
모친 경혜인빈
형제자매 14남 11녀 중 4남
배우자 군부인 신제순
(郡夫人 申悌順, 1578 ~ 1622)
자녀 슬하 1녀 2남
장녀 - 안홍량(安弘量, 1590 ~ 1616)의 처
양자 - 능창대군 이전(綾昌大君 李佺, 1599 ~ 1615)
양자 - 평운군 이구(平雲君 李俅, 1624 ~ 1662)
작호 신성군(信城君)[4]
시호 충정공(忠貞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후예5. 기타6. 대중매체에서의 신성군

[clearfix]

1. 개요

조선 왕자. 선조 후궁 인빈 김씨의 아들.

이름은 후(珝). 선조의 서4남이다. 한성부판윤 신립의 사위이다. 인빈 김씨가 선조의 총애를 받고 있으면서 이후(신성군)를 낳았으므로 선조의 사랑을 받았다.

위로 친형 의안군이 있었으나 요절했기 때문에 사실상 인빈 김씨의 장남으로서 세자 후보 중 한명이었다.

2. 생애

1591년(선조 24년) 서인 정철이 먼저 경연에서 광해군을 세자로 세울 것을 건의했으나(건저의 사건), 신성군에게 마음이 가 있는 선조의 의중을 알고 있던 동인 이산해 등이 선조의 분노를 이용해 정철을 실각시킨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한양도성이 위급해지자 종묘 사직의 위패를 모신 종묘관원을 따라 평양부(현 평양시)로 피란했다가 5월 29일 왜군 임진강을 건넜다는 보고를 받고 구사맹, 신잡 등의 호위를 받아 평안북도 영변으로 향하였다. 이해 11월 평안북도 의주에서 병사하였다.

1604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3. 가족 관계

4. 후예

이 한 명 있었으며, 안홍량과 혼인했다. 아들은 없어서, 정원군의 3남 능창군을 양자로 삼았다. 하지만 능창군 역모 혐의로 광해군 때 사사당하자[5] 다시 선조의 9남 경창군의 3남인 평운군을 양자로 삼았다.

하지만 평운군의 적손(嫡孫)이 없어서 양원군의 5대손인 이유석의 3남을 입양했는데, 그가 바로 함릉군 이직(咸陵君 李㮨)이다. 그런데 함릉군 가문의 원래 뿌리는 경명군파로, 양원군파로 입계한 것이다.[6] 현재 남은 신성군의 후손들은 실제로는 경명군, 경창군의 후손들이다.

현대 인물로는, 전 체신부, 농수산부 장관을 역임했던 이재설과 그의 아들이자 의사, 가수로 활동했던 이범용이 있다.[7]

5. 기타

선조가 세자로 책봉할 생각을 할 정도로 총애를 받았던 신성군이 요절하지 않았다면, 이미 장성하였으니만큼 어린 적자 영창대군보다 더 광해군의 강력한 경쟁자가 되어 광해군의 후계자 지위가 상당히 위태로워졌을 가능성이 크며 그로 인하여 조선 조정의 후계자 싸움이 격화되었을 것이다. 광해군 즉위 후 신성군이 영창대군처럼 숙청되었거나 심지어 세자가 광해군에서 신성군으로 교체되어 신성군이 조선의 세자, 그리고 차기 조선 임금으로 즉위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딸이 한 명 있는데 주목할 점은 신성군이 13세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자식이 있었다는 의미다. 선원록을 보면 그 딸이 임진생으로 나와있음으로 1592년생임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는 것은 신성군은 최소 12살 이전에 생식능력을 갖췄다는, 성조숙증이었음을 말해준다.[8]

6. 대중매체에서의 신성군

유력한 세자 후보였기 때문에 사극에서 큰 비중은 없더라도 어머니 인빈 김씨와 더불어 빼놓을 수 없는 왕족 인물인지라 빠지지 않고 나온다.


[1] 선조의 3남으로 요절한 뒤 그의 자리를 신성군이 대신하였다. [2] 선조의 5남 정원군의 적3남으로, 신성군의 양자가 되었다가 1615년 역모로 몰려 사사된 후 파양. [3] 선조의 9남 경창군의 아들로 능창군 파양 이후 새로 입양되었다. [4] 봉호는 황해도 신천군(信川郡)에서 유래했다 [5] 능창군이 역모로 죽지 않았다해도 이 집안 역시 서출인 외동딸 이외에는 후사가 없어 어찌되었든 양자를 다시 들여야 했었다. [6] 함릉군의 고조부인 영천군 이정(靈川君 李侹)은 경명군의 친손자이다. [7] 1980년 제4회 〈 MBC 대학가요제〉에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기인 한명훈과 함께 〈 꿈의 대화〉를 불러 대상을 수상했다. [8] 종5대조인 예종 역시 11세 되던 무렵에 후사인 인성대군을 가진 사례가 있어 드문 일은 아니다. 그만큼 궁궐이나 귀족은 영양상태가 좋았음을 의미하는 방증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 이전 역사)
문서의 r110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