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3:15:25

이산해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48대

류순
제49대

박원종
제50대

김수동
제51대

류순정
제52대

성희안
제53대

송질
제54대

류순
제55대

정광필
제56대

김전
제57대

남곤
제58대

정광필
제59대

장순손
제60대

한효원
제61대

김근사
제62대

윤은보
제63대

홍언필
제64대

윤인경
제64대

윤인경
제65대

홍언필
제66대

이기
제67대

심연원
제68대

상진
제69대

윤원형
제70대

이준경
제70대

이준경
제71대

권철
제72대

이탁
제73대

홍섬
제74대

권철
제75대

홍섬
제76대

권철
제77대

홍섬
제78대

박순
제79대

노수신
제80대

류전
제81대

이산해
제82대

류성룡
제83대

최흥원
제84대

류성룡
제85대

이원익
제86대

윤두수
제87대

이원익
제88대

이산해
제89대

이항복
제90대

이덕형
제91대

이항복
제92대

윤승훈
제93대

유영경
제94대

이원익
제95대

이덕형
제96대

이원익
제97대

이덕형
제98대

기자헌
제99대

정인홍
제100대

박승종
}}}}}}}}}
이산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제133대

기자헌
제134대

이항복
제135대

이덕형
제136대

이항복
제137대

정인홍
제138대

한효순
제139대

박승종
제140대

박홍구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제150대

심희수
제151대

이항복
제152·153대

정인홍
제154대

정창연
제155대

정인홍
제156대

한효순
제157대

민몽룡
제158대

박승종
제159대

박홍구
제160대

조정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광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 (1등)
유홍 윤근수 황정욱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 (2등)
윤두수 윤섬 윤형 이후백
한응인 홍성민 홍순언
수충공성광국공신 (3등)
기대승 김주 류성룡 윤탁연
이산해 이양원 정철 최황
황림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평난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90년 8월 1일 선조에 의해 책록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 (1등)
박충간 이축 한응인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 (2등)
김귀영1 남절 류전 민인백
유홍 이산해 이수 이준
정철2 조구 한준 홍성민
추충분의평남공신 (3등)
강신 김명원 이정립 이증
이항복 이헌국 최황
1 1593년 임해군, 순화군을 보호하지 못한 혐의로 인한 제명, 1664년 현종 때 복권
2 1594년 탄핵으로 인한 제명, 1624년 인조 때 복권, 1691년 정무서 등의 상소로 인한 제명, 1694년 숙종 때 복권
}}}}}}}}}

동인
東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림파
선조
(1575 ~ 1591)
서경덕 조식 이황 허엽 신중엄
정언신 최영경 정개청 김우옹 김효원
정여립 허봉
온건파 강경파
김성일 류성룡 정인홍 이산해 이발
우성전 이원익 이이첨 기자헌 류희분
허성 이덕형
남인 북인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북인
北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인
선조
(1591 ~ 1608)
서경덕 조식 최영경 정인홍 이산해
김면 이발 홍여순 곽재우 이이첨
대북 (광해군파) 소북 (영창대군파)
정인홍 이산해 정구 류영경 박승종
홍여순 이이첨 기자헌 류희분 남이공
광해군
(1608 ~ 1623)
대북
육북 중북
이산해 이이첨 정인홍 정구 곽재우
허균 기준격 정창연 류몽인 정온
대북 소북
골북 청북 (남당) 탁북 (유당)
홍여순 류희분 남이공 김신국 류영경
인조
(1623 ~ 1649)
남이공 정창연 정온 김신국 김세렴
남인 서인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 문충공(文忠公)
이산해
李山海
<nopad> 파일:이산해 초상.jpg
출생 1539년 9월 12일[1]
(음력 중종 34년 윤7월 20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 1609년 9월 20일 (향년 70세)
(음력 광해군 1년 8월 23일)
한성부
재임기간 제81대 영의정
1590년 3월 17일 ~ 1592년 6월 10일
(음력 선조 23년 2월 12일 ~ 선조 25년 5월 1일)
제88대 영의정
1600년 3월 7일 ~ 6월 9일
(음력 선조 33년 1월 12일 ~ 4월 28일)
봉호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
시호 문충(文忠)
본관 한산 이씨[2]
여수(汝受)
아계(鵝溪), 종남수옹(終南睡翁), 죽피옹(竹皮翁), 시촌거사(枾村居士)
붕당 동인 북인
부모 부친 - 이지번(李之蕃, 1508 ~ 1575)
모친 - 의령 남씨 남수(南修)의 딸(1509 ~ 1581)
부인 양주 조씨(1542 ~ 1604) - 조언수(趙彦秀)의 딸
자녀 슬하 4남 4녀
장남 - 이경백(李慶伯, 1561 ~ 1580)
장녀 - 이상홍(李尙弘)의 처
차남 - 이경전(李慶全, 1567 ~ 1644)
차녀 - 이덕형의 처
3녀 - 전주 류씨 류성(柳惺)의 처
4녀 - 이씨
3남 - 이경신(李慶伸)
4남 - 이경유(李慶愈)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 서예가.

동인이었다가 같은 동인인 류성룡과 갈라지며 북인의 당수[3]가 된 인물이자, 세 번이나 영의정을 지낸 인물이다. '조선시대 서예 8대가'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

2. 생애

고려 말 유학자인 목은 이색의 7대손이다. 이산해의 고조부이자 이색의 증손자인 이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개와 사촌 관계이다. 아버지 이지번은 청풍현감을 지냈고 토정비결의 저자로 알려져 있는 이지함이 숙부이다.[4]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한음 이덕형의 장인[5][6]인데 이산해의 둘째 딸이 이덕형의 부인이었고 임진왜란 중에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었다. 동갑의 사촌 형제인 이산보는 이산해와 달리 서인이었는데 이이와 친구였기 때문. 게다가 사위 이덕형은 남인이 된다.[7]

어려서 글씨에 능했으며 이산해의 총명함이 궁궐에 전해져 명종의 귀에까지 들어갔다고 전해진다. 5살 때에 시를 지었고 6살 때에는 장문의 글을 지어 신동으로 알려졌다. 1545년 을사사화가 일어나 그의 집안이 화를 입게 되자 고향인 충청도 보령으로 이주하였다.[8] 숙부 이지함이 직접 글을 가르치다가 남명 조식에게 보내고 이어 이황의 서원에도 출입하여 제자가 되었다. 그 뒤 초시를 거쳐 성균관에 입학해 학문을 배우고 156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이량 이감의 탄핵을 받았으나 극적으로 기사회생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다. 동서 분당 때 동인에 가담하고 대사간과 이조참의를 반복해서 역임하다가 1578년 서인인 윤두수, 윤근수와 그의 조카 등의 죄를 탄핵하여 파직시켰다. 이후 병조참판, 이조참판, 이조판서, 형조판서를 지내고 다시 이조판서가 됐으나 서인들의 반발로 순탄치 않은 관직 생활을 하면서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대제학, 판의금부사 등을 겸직하였다. 우찬성, 좌찬성, 대제학을 거쳐 1588년 우의정에 올랐고 1590년 영의정에 올라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에 책록되었다.

1591년 음력 1월에 정철 류성룡과 더불어 세자 책봉을 건의하려 했으나 이 때 이산해는 병을 핑계로 회의에 나오지 않았다. 때문에 세자 책봉 건의안을 올리는게 자꾸 늦어졌는데 갑자기 음력 1월 29일에 건의안을 올리기로 했던 부제학 이성중이 충청 감사로 전임되었고 이 바람에 세자 책봉 건의안은 공중 분해가 되어버린다.[9] 정철 또한 좌의정 지위에서 물러나고 영돈녕부사로 체직되었다가 파당을 만들어 명경, 사대부들을 모함한 죄로 유배당한다. 급작스럽게 전개된 이 사건을 보면 정철이 자행한 기축옥사로 피해를 입은 동인들이 이산해를 중심으로 치밀한 반격을 준비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서인 세력이 몰락하고 동인이 집권했는데 서인 세력 처리 과정에서 온건파였던 류성룡 등과는 달리 이산해는 강경한 태도를 보여 이로 인해 결국 동인은 온건파인 남인과 강경파인 북인으로 분당된다. 이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낸 뒤 영돈녕부사, 영중추부사, 대제학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한양이 함락되자 좌의정 류성룡, 우의정 이양원과 함께 파직되었으며 본인은 평해로 유배보내졌다. 영의정은 최흥원, 좌의정은 윤두수, 우의정은 유홍이 임명되었다가 이후 다시 복귀한다.

1609년 병이 들어 광해군 이이첨을 문병보내기도 하고 어의까지 내려줬으나 1609년 음력 8월 사망했다.

3. 기타

4. 대중매체


[1] 율리우스력 9월 2일 [2] 양경공파. '아성'과 호인 '아계' 모두 본관인 충청도 한산(현 충남 서천군 한산면)의 별칭이다. [3] 당연히 류성룡은 남인의 당수가 되었다. [4] 토정비결은 이지함의 이름을 빌어 다른 누군가가 지은 것으로 본다. 야담에는 이지번과 이지함의 부친이 죽고 묏자리를 알아보던 중 지관이 말하기를 "이 자리는 장남 이지번의 후손은 부귀영화를 누리나 이지함의 후손은 단명하고 끊긴다"는 얘기를 했다. 이 때 이지함이 나서서 자기는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으니 그대로 강행했다. 훗날 이지번의 아들 이산해는 정승까지 올라 영달했으나 이지함의 아들들은 요절하거나 호환으로 죽고 유일하게 오래 산 아들 이산겸도 임진왜란 중 모함을 받아 죽었다. 토정비결의 저자라면 어떻게든 위험을 피하려 했을 것이지만 묏자리 잘못 써서 그렇다는 것은 투탕카멘의 저주 같이 과장된 것이다. [5] 일화에 따르면 숙부 이지함이 한양에 온 이덕형을 보고 판서이던 조카를 찾아가 불문곡직 사위로 맞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숙부가 지인지감이 있는 것을 아는 이산해로서는 따를 수밖에 없었다. 물론 실제로도 인재라 장인인 이산해도 만족했겠지만 이덕형은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당할 때 북인의 영수인 장인과는 달리 남인이 된다. 물론 이덕형은 남인으로 분류되기는 하나 당색이 약한 무당파에 가까운 사람이었다. [6] 참고로 오성 이항복의 장인은 임진왜란의 전설적인 영웅으로 유명한 권율 장군이다. 근데 사실 권율은 원래 쭉 문신이었는데, 전쟁이 나서 전세가 위급해지자 사람이 없어서 급하게 장수를 시켰던 건데 이치 전투 행주대첩에서의 놀라운 활약으로 정식 장군으로 임명되다 못해 무려 조선 전체에서 제일 높은 장군인 도원수가 된 엄청난 케이스이다. 전쟁이 아니면 나올 수도 없고, 전쟁 중에도 보통 거의 안 나오는 극도로 드문 케이스. [7] 이는 오성 이항복도 유사하다. 그의 처가 안동 권씨 집안은 따지고 보면 동인인데, 이항복은 서인이다. 물론 장인 권율은 벼슬을 40대 후반의 늦은 나이에 한만큼 동인으로 당파싸움에 참여한 적은 없고, 젊을때부터 벼슬을 한 권율의 부친(권철)과 친형들은 큰 싸움까지는 안 했어도 어느정도 동인의 활동을 했었다. 후대의 권씨 집안은 일부는 동인 중 북인으로도 들어가고 남인으로도 들어간다. [8] 윤원형이 그의 재주를 알아보고 사위삼으려 했으나 정난정의 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아버지 이지번이 거절했다. [9] <송강연보> 등의 문집에는 정철이 선조 앞에서 세자 책봉을 건의했다가 노여움을 샀다고 나오는데 정작 <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런 말이 없다. 정철이 탄핵당한 죄목 중에도 세자 책봉과 관련된 말은 단 1마디도 나오지 않는다. [10] 남명의 5대 수제자라는 남명5현에는 이산해가 들어가지 않지만, 그건 라이벌인 퇴계 문하에도 들어갔었기 때문이고 능력치 자체는 그들보다 더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