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를 뜻하는 일본어에 대한 내용은 바카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근대 동아시아의 호칭 개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80ff><colcolor=#fff> 본명 | 성 | 씨 | 명 | |||
개념 | 시법 | 경칭 | 피휘 | ||||
호칭 종류
|
|||||||
}}}}}}}}} |
1. 개요
아호( 雅 號, an elegant name)는 피휘의 관습 때문에 사람의 이름을 직접 부르면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긴 유교 문화권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지위나 연소의 위아래를 막론하고 본 휘(諱)이나 자(字) 외에 별명처럼 편하게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이다. 중국 당나라 때부터 사용[1]되기 시작했으며 그 후 한국에서도 많이 사용하였다.별호(別號), 당호(堂號), 호(號)라고도 하는데 사실 대중들 사이에서 역사 인물을 칭할 때 호라고 하면 주로 이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아호라는 말 대신 그냥 호라는 말이 널리 알려져 있다.
원래 본명을 불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字)를 사용했으나 자 또한 손윗사람이 지어주는 것이 풍조가 되면서 자도 직접적인 친분이 있지 않으면 직접 불리지 않게 되어 또 다른 이름으로 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대엔 호가 일반적이지 않았고 아주 높은 학문적 명망이 있거나 높은 학식을 지녔다고 자칭하는 이만이 호를 가졌다.[2][3]
2. 용법
어디까지나 사적인 이름이므로 가까운 사람, 동년배 같은 사석에서 주로 사용되며 공적인 자리나 부모와 같은 손윗사람 등을 모시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자 또한 마찬가지이다.자와의 차이점은 자는 성년 이후 한번 정하면 바뀌지 않으나 호는 별명답게 마음대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호가 많기로 유명한 사람으로는 조선 후기의 서예가인 김정희인데 그가 생전에 사용한 아호는 완당, 노과, 예당, 시암, 선객, 불노, 방외도인 등 수십 가지에 이른다. 참고로 김정희의 자는 원춘(元春)과 추사(秋史).
자는 때때로 성과 함께 칭하지만 호를 칭할 때는 성, 명은 쓰지 않고 호만으로 칭하는 것이 관습이다. 굳이 성명을 붙여주고 싶다면 율곡 이이나 퇴계 이황처럼 호가 지칭하는 인물이 누구인지 확실히 지정해 주기 위해 쓸 수도 있다. 가령 권율의 호는 만취당(晩翠堂)인데, 호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기에 다짜고짜 '만취당'이라고 하면 누구인지 아는 사람이 거의 없으니 어쩔 수 없다. 이 역시 관습적 용법과는 다른 것으로 피휘가 거의 사라진 오늘날이기에 가능한 것이다.
허나 21세기 현대인들은 실생활에서 이퇴계나 이율곡이라는 표현도 자주 쓰고 한호를 가리킬 때 한석봉을 썼지 석봉 한호라고 부를 일은 거의 없다. 이는 조자룡이나 제갈공명 등 성+자의 조합과 같은 사용례인 셈. 오히려 호+성명이야말로 자+성명으로 쓰이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용법이라 할 수 있다. 현덕 유비나 맹덕 조조 같은 표현은 쓰지 않으니까.
조선 시대에 나온 문집 제목은 알고 보면 저자의 호가 들어간 경우가 많다.
3. 오늘날
현대 시인 중에는 이름보다 호가 훨씬 더 익숙한 사람들이 많다. 박목월은 목월 박영종, 김소월은 소월 김정식, 조지훈은 지훈 조동탁, 이육사는 육사 이원록, 김영랑은 영랑 김윤식등. 하지만 자신의 수인번호로 호를 지었다는 사실이 잘 알려진 이육사를 제외하면 그것을 호가 아니라 본명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근현대에 활동한 인물들 가운데에서도 조선 말기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호를 사용한 사람들이 매우 많다. 우남이라는 호를 사용했던 이승만 대통령과 백범이라는 호를 사용했던 김구 선생을 비롯해서 해공, 우양, 유석, 옥계, 몽양, 우사, 인촌, 창랑, 만송, 의송 등.[4]
현대에도 많은 대학 교수들이 호를 가진다. 통상 박사 학위를 받으면 집안의 어른, 지도 교수나 스승이 학계에 큰 인물이 되길 기원하면서 내려주는 경우가 많으며 본인이 직접 짓는 경우도 적지 않다. 대중에 잘 알려진 인기인 중에 도올 김용옥, 태건 설민석처럼 호를 가진 인물들이 있다.
오늘날 일반인 중에서 아호를 가진 사람들은 전통취미인 서예, 한국화를 배운 사람인 경우가 많다. 호를 도장에 새긴 낙관을 찍는 것이 우리나라 서예작품이나 그림을 끝내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대개 그림이나 서예를 배운 스승님과 상의해서 만든다. 시조 시인도 호를 짓는 일이 많다.
한국에서는 일본이나 서구권과 달리 성을 제외한 창업주의 본명을 기업이나 단체의 사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창업주의 호를 사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빈번하다. 대표적인 예시가 금호그룹.
오늘날의 닉네임이나 필명, 예명도 호의 일종으로 볼 여지가 있다. 남이 붙여주기도 하지만 자기가 짓기도 한다는 점에서는 상통한다.
태국에서도 '츠렌'이라 하여 본명 대신 부르는 이름을 즐겨 사용하는 일종의 호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사실 아호나 자 같은 것은 본명을 부르기를 피하는 피휘에서 기원한 것인데, 오늘날에는 본명을 부르는 것이 매우 일상적이기 때문에 역할이 사뭇 달라졌다. 본명을 부르면 되는데 호나 자를 짓는 것은 무언가 의미를 담고 싶어하는 취지가 있고, 다른 사람들도 그 사람을 대접해주려는 의도에서 본명 대신 그런 이름들을 불러주기 때문이다. 위에서 보듯 전근대 시절에는 오히려 부모님 등 높은 사람들이나 격식적인 자리에서 본명이 쓰였던 것과 약간 반대가 되었다.
4. 여담
-
호가 범용으로 쓰이자 자의 사용처가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에[5] 아무리 유명인이더라도 자는 낯선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이이(호: 율곡/자: 숙헌).
이황(호: 퇴계/자: 경호),
송시열(호: 우암/자: 영보),
정철(호:
송강/자: 계함) 등만 봐도 호는 익숙하지만 자는 확실히 낯설다.
이순신(호: 기계, 덕암/자: 여해) 정도가 호보다 자가 그나마 더 많이 알려진 예외적인 사례.
하지만 그분은 시호가 훨씬 유명하다[6] - 소설 금시조에서는 서예가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이다 보니 본명은 나오지 않고 아호만으로 등장인물들을 호칭한다.
- 상술했듯 현대에는 인터넷 상의 닉네임, 연예인들의 예명이 호와 아주 유사한데, 닉네임을 사용하는 인터넷 방송인들이나 소속사에서 예명을 지어준 연예인들끼리 교류할 때 기본적으로 서로를 별명과 예명으로 지칭하다가 서로간에 사적인 친분이 생기면 본명으로도 지칭하는 식으로 이어지는 것이 그 쓰임새가 거의 같다. 심지어 부모뻘 어른 앞이나 완전히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자리에선 쓰지 않는다는 것 까지 똑같다. 이 때문에 예명을 쓰는 방송인들끼리만 처음 만나게 되면 본명이 들리는 일이 거의 없다.
5. 실존인물의 호
===# 근대 전의 인물 #===- 김국광: 서석
- 김만기: 서석, 정관재
- 김만중: 서포
- 김석주: 식암
- 김수항: 문곡
- 김수흥: 퇴우당
- 김안로: 희락당
- 김익훈: 광남
- 김정호: 고산자
- 김창집: 몽와
- 김병연: 난고, 이명, 지상
- 남구만: 약천
- 류희분: 화남
- 민유중: 둔촌
- 민정중: 노봉
- 민진원: 단암
- 민진후: 지재
- 박세채: 남계, 현석
- 박승종: 퇴우당
- 박연: 난계
- 박제가: 초정, 정유
- 박지원: 연암[7]
- 송시열: 우암
- 신숙주: 보한재, 희현당
- 유봉휘: 만암
- 윤근수: 월정
- 윤두수: 오음
- 윤지완: 동산
- 이건명: 한포재
- 이관명: 병산
- 이광좌: 운곡
- 이규경: 오주
- 이규보: 백운거사, 춘경, 지헌, 삼혹호선생
- 이덕형: 한음
- 이상진: 만암
- 이성계: 송헌
- 이수광: 지봉
- 이숙: 일휴정
- 이순신: 기계
- 이순신(무의공): 입부
- 이완용: 일당
- 이이: 율곡
- 이이명: 소재
- 이이첨: 관송
- 이항복: 백사
- 이황: 퇴계
- 정도전: 삼봉
- 정몽주: 포은
- 정약용: 다산
- 정인지: 학역재
- 정창손: 동산
- 정철: 송강
- 정치화: 기주
- 정지화: 남곡
- 정태화: 양파
- 정호: 장암
- 조사석: 만회
- 조태구: 소헌
- 조태억: 겸재, 태록당
- 조태채: 이우당
- 최석항: 손와
- 최익현: 면암
- 최치원: 해운[8]
- 최한기: 혜강
- 한명회: 압구정
- 한석봉: 석봉[9]
- 한용운: 만해
- 홍대용: 담헌
- 홍처량: 북정
- 홍치중: 북곡
5.1. 근현대의 인물
====# 사망 #====- 곽윤직: 후암
- 구인회: 연암[10]
- 구자경: 상남
- 권영우: 민송
- 김구: 백범
- 고종황제: 주연
- 김규식: 우사
- 김두한: 의송
- 김대중: 후광
- 김성수: 인촌
- 김정식: 소월
- 김소희: 만정
- 김영삼: 거산
- 김윤식: 영랑
- 김원봉: 약산
- 김윤환: 허주
- 김재규: 덕산
- 김정덕: 귀암
- 김종필: 운정
- 김종희: 현암
- 김좌진: 백야
- 김증한: 청헌
- 노태우: 용당
- 문익환: 늦봄
- 박동진: 인당
- 박두병: 연강
- 박영종: 목월
- 박승직: 매헌
- 박인천: 금호
- 박정희: 중수
- 박태준: 청암
- 배상면: 우곡
- 서병수: 우진
- 성재기: 심헌
- 손양원: 산돌 (living stone)
- 손용기: 목민
- 신격호: 상전
- 신동준: 학오
- 신익희: 해공
- 신춘호: 율촌
- 안중근: 도마
- 안창호: 도산
- 안희제: 백산
- 양세봉: 벽해
- 여운형: 몽양
- 유진산: 옥계
- 윤보선: 해위
- 윤봉길: 매헌
- 이관술: 학암
- 이광수: 춘원
- 이기붕: 만송
- 이만섭: 청강
- 이병철: 호암
- 이상재: 월남
- 이승만: 우남
- 이양구: 서남
- 이원록: 육사
- 이회영: 우당
- 장택상: 창랑
- 전두환: 일해[11]
- 정주영: 아산
- 조광현: 녹야
- 조만식: 고당
- 조동탁: 지훈
- 조병옥: 유석
- 조봉암: 죽산
- 조양호: 일우
- 조용은: 소앙
- 조중훈: 정석
- 최규하: 현석
- 최남선: 육당
- 최종건: 담연
- 한경직: 추양
- 한용운: 만해
- 홍명희: 벽초
- 황신덕: 추계
- 노덕술: 해촌
- 정태수: 정암
- 김우중: 주산
- 오세창: 위창
- 안재홍: 민세, 우헌
- 방응모: 계초
- 고광문: 일석
- 권상경: 석당
- 류래완: 이운
- 문윤국: 금산
- 박헌영: 이정, 이춘
====# 생존 #====
- 고민시: 예담
- 김봉곤: 몽양
- 김용옥: 도올
- 김준수: 시아
- 문희상: 산민
- 박지원: 단재
- 박명수: 거성[12]
- 백은종: 초심
- 설민석: 태건
- 신영희: 계정
- 양승조: 긍당
-
윤보미: 풍자 - 우영제: 용곡
- 윤석열: 율산
- 윤세영: 서암
- 이길여: 가천
- 이낙연: 조강
- 이명박: 청계[13]
- 전한길 (본명 전유관): 산돌
- 정수근: 해담
- 조명섭: 명천
-
허경영:
본좌우석 - 홍문종: 승태
- 황결: 난고
- 황농문: 몰입
6. 여담
- 전국시대 일본에서는 햣칸나(百官名)라고 하여 관직명을 호 대신 사용하기도 했다. 중세 일본의 관위와 역직 문서로. 이는 에도 막부 성립 후에는 금지되었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해운(海雲)'은 원래 신라의 문인 최치원의 호다. 최치원이 이 일대를 지나가다 해운대해수욕장 근처 경치가 너무 좋아서 거기서 좀 머무르다가 자신의 호를 따서 ' 해운대'라고 바위에 글씨를 새겼던 것. 그 글씨는 지금도 동백섬에 있는데 가운데 雲 자가 풍화가 심해 많이 지워진 상태다. 사실 이 글씨가 최치원이 직접 파서 남긴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 시대 인물인 정포가 이 글씨를 언급한 기록이 남아있으므로 적어도 고려시대나 그 이전부터 해운대라는 이름이 바위에 새겨져 있었던 것은 맞다.
- 개그콘서트의 코너 달인에서는 류담이 항상 김병만을 소개할 때마다 매번 호를 바꿔 ○○ 김병만 선생님이라고 했다. 이때 호가 달인한테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라는 게 포인트. 현재는 ' 달인'을 비롯해 정글의 법칙에서 유래한 ' 족장'이라는 별명이 사실상 그의 호로 쓰이고 있다.
- 가요 프로그램에서 버즈 멤버 민경훈이 3집 타이틀 곡 남자를 몰라 활동 당시 2006년 5월 7일 SBS 인기가요에서 라이브를 하던 도중 마지막 부분 '강한 내 사랑을 몰라'가 1절 가사인 '널 지킬 남자를 몰라'와 헷갈리는 바람에 급하게 가사를 바꾸느라 널 지킬 쌈자를 몰라로 부르는 바람에 졸지에 쌈자라는 호를 얻게 되었다.
7. 같이 보기
[1]
삼국지의 등장인물들은 자를 사용하고
수호전의 인물들은 호인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2]
그래서
공자도 호가 있었을 것 같지만 당나라 이전 사람이라 호가 없다.
[3]
높은 학식이나 명망이 있는 사람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부르지 않거나 추가적인 호칭과 함께 부르는 건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상대방에 대한 호칭을 아예 직위나 학위(주로 박사)로 대신하는 문화인 한국은 말할것도 없지만 영어권에서도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들에겐 닥터(Dr.)라고 붙이는 것이 예의인데 이것도 넓게 보면 본명을 부르길 피하려는 문화이다.
[4]
이 시대의 사람들의 경우
야인시대 등에서 그 호로 상대를 호칭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5]
본명은 각종 공적인 자리에서 쓰인다지만 자는 그럴 곳조차 없다.
[6]
다만, 드라마
징비록에서는 등장인물들끼리 서로 자로 호칭하기도 한다. 등장하는 자만 해도
이견,
명보,
자상,
계함,
자앙,
여수 등.
[7]
한자로는 燕巖이며
구인회 회장의 호인 蓮庵과 다르다.
[8]
고운(孤雲)은
자다.
[9]
본명은 한호이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으로.
[10]
한자로는 蓮庵이며
박지원 선생의 호인 燕巖과 다르다.
[11]
다만
1980년대에는
땡전뉴스의 영향으로 전두환의 호가 오늘, 혹은 땡이라는 식의
유머가 물밑에서 많이 나돌아다녔다. 이순자의 호는 또한이라는 농담도 나돌아다녔다.
[12]
호 자체가 자신이나 남이 지어서 붙이는 것이니 호의 기준에 부합한다. 다른 연예인들이 장난 식으로 호라고 하는 데에 비해 이쪽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호라고 하는 편이고 본인이 호라고 표현한다면 호의 기준의 맞는데다 실제로 거의 박명수의 호로 인식 되기에 기입한다.
[13]
원래는 일송이었지만
2005년 10월
청계천 복원을 기념해 아호를 청계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