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0:37:42

조사석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2대

이건명
제223대

최규서
제224대

최석항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55대

조태구
제256대

최석항
제257대

이광좌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소론
少論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인
숙종
(1674 ~ 1720)
윤증 남구만 조사석 박세채 류상운
서문중 최석정 박세당 오도일 나양좌
최규서 정제두 박태보
경종
(1720 ~ 1724)
급소 준소 완소
김일경 조태구 최석항 이광좌 조문명
목호룡 류봉휘 조태억 조현명 이태좌
영조
(1724 ~ 1776)
<rowcolor=#000> 준론 (강경파) 완론 (온건파)
김일경 박필몽 이광좌 오명항 조문명
정사효 목호룡 송인명 조현명 박문수
이인좌 정희량 이종성 조재호 이광사
이진유 이진검 이태좌
정조 - 순조
(1776 ~ 1834)
<rowcolor=#000> 벽파 (청명당) 시파 ( 탕평당) 실학파
서명응 이성원 김상철 이병모 서유구
서명선 이복원 이시수 이만수 이긍익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충헌공(忠憲公)
조사석
趙師錫
출생 1632년 4월 13일
(음력 인조 10년 2월 24일)
사망 1694년 1월 19일 (향년 61세)
(음력 1693년, 숙종 19년 12월 24일)
시호 충헌(忠憲)
본관 양주 조씨
공거(公擧)
만회(晩悔), 만휴(晩休), 향산(香山), 나계(蘿溪)
부모 부친 - 조계원(趙啓遠, 1592 ~ 1670)[1]
모친 - 평산 신씨(1592 ~ 1655)[2]
형제자매 7남 4녀 중 4남
[ 펼치기 · 접기 ]
형 - 조진석(趙晉錫, 1610 ~ 1654)
누나 - 조효강(趙孝姜, 1612 ~ ?)
형 - 조구석(趙龜錫, 1615 ~ 1665)
형 - 조희석(趙禧錫, 1622 ~ ?)[3]
누나 - 조종강(趙終姜, 1625 ~ ?)
누나 - 조희강(趙喜姜, 1627 ~ ?)
남동생 - 조가석(趙嘉錫, 1634 ~ 1681)
이복 남동생 - 조후석(趙厚錫, 1657 ~ ?)
이복 남동생 - 조유석(趙裕錫, 1658 ~ ?)
이복 여동생 - 조보강(趙保姜, 1663 ~ ?)
부인 권후(權垕)의 딸 안동 권씨
자녀 장남 - 조태로(趙泰老, 1658 ~ 1717)
차남 - 조태구
3남 - 조태기(趙泰耆)
장녀 - 윤재(尹宰)의 처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 사촌누나가 예송논쟁의 한복판에 말려든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이다.

2. 생애

1660년(현종 1) 진사가 되고,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의 관직과 주서 등을 거쳤다. 당적은 서인으로, 1681년(숙종 7)에 시발된 노소분당에서 중립을 지켜 노론에겐 소론으로, 소론과 남인에겐 노론으로 인지되어 공격당했다.

1684년(숙종 10) 판의금부사, 1685년(숙종 11) 병조판서, 예조판서, 1686년(숙종 12) 좌참찬, 호조판서를 지냈다. 1687년(숙종 13)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올랐고, 1688년(숙종 14) 1월 좌의정에 이르렀다. 동년 9월 사촌누나 장렬왕후가 사망하였고, 조사석은 질병을 이유로 24번이나 사직 상소를 올린 끝에 1689년(숙종 15) 1월 정승에서 물러났다. 정승에서 물러난 직후 기사환국이 일어났고, 숙종의 외면을 받던 중에 남인에게 종조카 김석주와 한패라는 이유로 탄핵되었다. 결국은 유배되어 1693년(숙종 19)에 사망하였다.

사후인 숙종 말~경종 때 적장남 조태구가 소론 당수가 되어 소론 완론(온건파) 시조가 됐기에 소론에 자동 합류됐다. 정사 기록이 일반 공개로 전환되기 전까지 《 연려실기술》을 숙종 때까지의 조선사를 연구하는 1차 고증사료로 채택해왔던 구 사학계에서 남인이라 잘못 규정했던 탓에 왜곡된 정보가 널리 퍼져 여전히 잔재하고 있다.[4]
[1]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숙부 [2] 신흠의 차녀. 즉 신흠의 3녀의 아들인 그 소론의 박세채와는 서로 이종사촌이 된다. [3] 조태채의 아버지, 후대 대한민국 기업집단 범한진가의 직계 조상( 조중훈의 9대조) [4] 한편으로는 사촌 누나인 대왕대비 장렬왕후가 남인 출신의 희빈 장씨를 예뻐했기 때문인 것도 있다. 그 때문인지 조사석은 서인임에도 장희빈과 다소 가까웠으며 이는 남인이라 규정된 이유 중 하나이다. 인현왕후의 폐위와 세자 책봉에는 반대했지만 애초에 전자는 남인들도 반대했을만큼 폐출 명분이 억지였던데다 후자라도 당시는 장렬왕후의 상중이기도 했기에 장희빈과 가까운 걸 떠나서 반대하는 게 맞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