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안의공주[[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정화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명숙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대한제국 태조의 황녀
경신공주 | 慶愼公主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녀
경신공주 | 慶愼公主 |
|||
|
|||
출생 | 1382년 추정 | ||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
|||
사망 | 1426년 5월 8일[1] (향년 44세 추정) | ||
묘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산40-11 | ||
재위기간 | 조선 경신궁주 | ||
1392년 8월 25일 ~ 1426년 5월 8일[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부모 |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
||
형제자매 |
부황 기준 8남 5녀 중 차녀 모후 기준 6남 2녀 중 장녀 |
||
배우자 |
상당부원군
이애 (上黨府院君 李薆, 1363 ~ 1414) |
||
자녀 |
|
||
봉호 |
경신궁주(慶愼宮主) → 경신공주(慶愼公主) |
[clearfix]
1. 개요
조선 태조와 신의왕후 사이의 6남 2녀 중 장녀[3]이자 정종과 태종의 동복 여동생. 세종에게는 고모, 문종과 세조에게는 고모할머니가 된다.《태조실록》을 보면 1393년 당시 태조의 11명의 적자녀들 중 경신, 경선, 이방석만 어리다고 적혀있으며 경신공주는 1396년에 결혼한 것으로보아 1381년 생인 이방번보다 어렸던 것 같고 1387년에 쓰여진 《이자춘신도비》에는 등장한 것으로 보아 1382년 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남편인 이애(李薆)[4][5]의 초상과 함께, 현재 유일하게 초상이 남아있는 공주이다. 세종 8년(1426년)에 사망하여 세종이 고모의 죽음에 지극한 슬픔을 드러내기도 했다.
2. 생애
2.1. 출생과 혼인
태조의 둘째 딸이자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이다.[6] 역사서에서는 태조의 적장녀로 기록되어 있고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도 장녀로 기록되어 있다. 신덕왕후 강씨의 딸인 경순공주는 셋째 딸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자춘 신도비 및 정릉 신도비명을 통해 경신공주가 경순공주보다 늦게 태어났음을 알 수 있다.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나, 1388년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 조정에서 요동 정벌에 출정한 장수들의 가족들을 인질로 심으려 하자 오빠인 태종이 가족들을 대피시켰는데, 동생 경선공주와 함께 나이가 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7]
1396년 3월 19일, 이거이의 장남 이백경과 결혼하였다.[8] 이백경은 당시 33세로 아들 이비를 둔 상태였기에 나이라던가 아들의 존재가 있던 걸로 보면 재혼 상대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백경과의 사이에서 아들 이후를 두었다.
1404년, 시아버지인 이거이가 모반을 품었다 하여 남편인 상당부원군 이저와 함께 태종에 의해 서인으로 강등되었다.[9] 이거이의 두 아들이 왕실의 부마가 되면서[10]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였기 때문이다.[11] 종친과 공신들이 이거이 부자를 처형할 것을 청하자 태종은 이거이와 이저가 왕자의 난 당시 큰 공을 세웠고, 이거이의 또다른 아들인 이백강이 정순공주의 남편이기 때문에 이들을 차마 죽일 수 없다며 거절하였다.[12]
이후 태종에 의해 죄를 용서받고 서울에 올라와 살게 하였다.
2.2. 사망
1426년 3월 22일 졸하였다. 경신공주가 죽자 세종은 내관 이용년을 보내어 조문하게 한 뒤, 다음날 쌀과 콩 각50석과 종이 2백권을 부조하고, 상등의 예로 장사지내게 하였다.[13]1872년, 조선 초기 궁주들의 봉작을 공주로 바꾸면서 경신공주로 봉해졌다.[14]
3. 가족 관계
4. 대중매체에서
남편인 이애가 〈 용의 눈물〉 등에 출연한 것과 대조적으로 사극에 등장한 적이 없었으나[15], 2021년 KBS1 드라마 〈 태종 이방원〉에서 처음으로 나왔으나 초반 단역 출연에 불과했다. 배우는 김채린.
[1]
음력
세종 8년
3월 22일
[2]
음력
태조 1년
8월 7일 ~
세종 8년
3월 22일
[3]
태조에게는 차녀, 신의왕후에게는 장녀.
[4]
이거이의 아들. 초명은 이백경이었다가 정종의 이름인 이경과 피휘하여 이저(李佇)로 개명했고, 세자였던
양녕대군의 이름인 '이제'와 발음이 비슷하여 '이애'로 다시 개명했다.
[5]
이 둘이 거의 20살 가까이 차이나는 것으로 보아 경신공주는 이애의 재취인 것으로 보인다.
[6]
신명호, 조선왕비실록, 역사의아침, 2007, 53p
[7]
태조실록 1권, 총서
[8]
태조실록 9권, 태조 5년 3월 19일
[9]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24일
[10]
이거이의 장남인 이저는
태조의 딸 경신공주에게, 넷째 아들인 이백강은
태종의 딸
정순공주에게 장가들었다.
[11]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24일
[12]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 10월 18일
[13]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22일
[14]
승정원일기 2783책 고종 9년 12월 1일
[15]
해당 드라마에서 남편인 이애(극에서는 이저) 등장할 시 이미 고인이 된 상태였다고 나레이션에서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