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정원대원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효명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헌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
|||
}}}}}}}}} |
전주 이씨 금원군파의 역대 종주 | ||||||
금원군가 역사 시작 | → | 1대 금원군 이령 | → | 2대 하릉군 이린 |
조선 중종의 왕자 금원군 錦原君 |
||
봉호 | 금원군(錦原君)[1] | |
시호 | 효문(孝文) | |
본관 | 전주(全州) | |
이름 | 령(岭 / 岺)[2] | |
자 | 앙지(仰止) | |
부왕 | 조선 중종 | |
생모 | 희빈 홍씨(熙嬪 洪氏) | |
부인 |
파징군부인
해주 정씨 (波澄郡夫人 海州 鄭氏, 1513 ~ 1560) |
|
자녀 |
1녀(+ 양자 1남) 딸 - 이견복(李堅福) 양자 - 하릉군(河陵君, 1546 ~ 1592)[3] |
|
묘소 |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 | |
생몰 기간 |
음력 | 1513년 6월 9일 ~ 1562년 4월 7일 |
양력 | 1513년 7월 21일 ~ 1562년 5월 19일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중종의 3남이자 중종반정의 공신 홍경주의 딸 희빈 홍씨의 장남으로, 전주 이씨 금원군파의 파시조이다. 봉성군의 친형이며, 복성군의 이복동생이자 인종과 명종, 덕흥대원군의 이복형이다.2. 생애
8살이던 1520년(중종 15년) 12월 27일에 금원군(錦原君)으로 책봉받았다. 1535년(중종 30년) 문소전도제조[4][5]를 역임하고 1552년(명종 7년)에는 연은전의 도제조를 겸했다.[6] 이후 사옹원[7]과 종부시[8]의 도제조를 추가로 겸직했고 1557년(명종 12년)에는 종친부까지도 관장하는 막대한 중책을 맡았다.그런데 이 시기 승려들과 관련 된 논란에 휩싸였다. 1559년(명종 14년) 11월, 명색이 숭유억불을 주장한 조선에서 왕족 신분으로 승려들과 내통하고 불사를 올린 것을 문제로 대간들이 그를 탄핵한 것이다. 근데 자세히 내막을 보면, 단순히 불교 행사가 문제가 아니고 ' 문정왕후의 언문교지를 위조한 승려 성청(性淸)의 일에 관련된 것으로 의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종은 이를 쿨하게 씹고(...) 단순히 추고하는 선에서 끝내는 등 이복 형 금원군을 옹호하여 그대로 관직에 머물 수 있었다.[9]
3. 여담
- 금원군의 묘갈명을 지은 송인은 그를 사람이 순하고 소박하며 꾸밈이 없었으며 주색잡기에는 관심이 없었고, 다른 사람들과 내통하지 않고 깊은 곳에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했다(公爲人質淳無矯飾 不好聲色狗馬, 喜幽僻 深居屛容 亦自爲適 涉歷 累朝.)고 평했다.
-
하지만 주색잡기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해도 성격은 좀 괄괄했던 것 같다.(...) 1535년(중종 30년) 1월 4일에 자신의 노비를 시켜 사헌부에 들어가 서리를 끌어내는 일을 저지르는 바람에(...)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던 것. 당시 대신들은 금원군을 벌할 것을 요청했으나, 중종은 윤허하지 않았다.
문제있는 자식을 감싸는 게 꼭 서손자와 비슷하다.[10]
- 중종은 자녀들이 장성할 무렵, 한 동안 왕자, 왕녀들의 집을 지어주는 공사를 계속했는데 정도가 좀 지나쳤는지(...) 일부 신하들이 너무 사치스러운 것 아니냐는 지적을 어쩔 수 없이 중종이 감시관을 통해 법을 위반하는지 조사하게 했는데 금원군의 집에 고려 시절에도 으리으리하다고 비판받았던 서청(書廳)이 있는 게 밝혀졌고, 중종은 서청을 철거시켰다.[11]
- 문소전도제조 시절에도 제대로 일을 안했는지(...) 신하들이 파면시키라고 주장했으나 중종은 허락하지 않았다.[12]
4. 사망
1562년(명종 17년) 4월 7일에 향년 5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장지는 풍수 문제로 두 번이나 바꾼 후 다음 해인 1563년(명종 18년) 3월 7일에 경기도 양주의 불광산 기슭에 안장되었다. 이 곳은 훗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갈현동[13]으로 편입되었는데, 1970년 서울특별시의 택지 개발 확장 사업으로 인해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심곡리로 그 묘를 이장했다.1871년(고종 8년) 3월 16일, 고종이 '효문(孝文)'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5. 대중매체에서
<colbgcolor=#94153e> 〈여인천하〉의 금원군 |
6. 가족 관계
자식이 없어 이복 동생 덕흥대원군의 아들 하릉군을 양자로 들였다. 그런데 그 하릉군도 적자를 두지 못해(...)[14] 덕흥대원군의 장남 하원군의 아들 영제군을 입양해 대를 이었다. 그래서 사실상 덕흥대원군파로 봐야 하고 항렬자도 역시 같이 쓴다.- 정부인 : 파징군부인 해주 정씨[15](波澄郡夫人 海州 鄭氏, 1513 ~ 1560)
- 딸 : 이견복(李堅福)
- 사위 : 남관(南琯)
- 외손자 : 남이성(南以聖, 1558 ~ ?)
- 외손녀 : 남란(南蘭, 1561 ~ ?)
- 외손자 : 남이현(南以賢, 1564 ~ ?)
- 양자 : 하릉군(河陵君) 이인(李鏻, 1546 ~ 1592) - 덕흥대원군의 차남, 선조의 형
- 며느리 : 신여종(申汝悰)의 딸 평산군부인(平山郡夫人) 평산 신씨(平山 申氏)
- 양손자 : 영제군(寧堤君) 이석령(李錫齡) - 하원군의 차남
- 며느리(측실) : 억금(億今) - 양민 출신
- 서손자 : 교성도정(交城都正) 이선(李善)
- 서손자 : 이현(李賢, 1591 ~ ?)
- 며느리(측실) : 순화(順花) - 노비 출신
- 서손녀 : 이팔옥(李八玉, 1585 ~ ?)
6.1. 역대 종주(宗主)
1. 금원군 이령(錦原君 李岭).2. 하릉군 이린(河陵君 李鏻). - 금원군파 1대 사손. 사손(嗣孫)의 댓수는 종주의 댓수에서 '-1' 하면 된다.[16]
3.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李錫齡)
4. 호안군 이오(湖安君 李澳).
5. 이두한(李斗漢).
6. 이홍집(李弘集).
7. 이익희(李益熙).
8. 이철규(李哲奎).
9. 이종인(李鍾寅).
10. 이동렴(李東濂).
11. 이내현(李來賢).
12. 이주응(李周應).[17]
13. 이재종(李載琮).
14. 이황용(李璜鎔).
6.25 전쟁 이후의 계대는 전해진 바 없다.
[1]
봉호는
전라남도
나주시의 별호인 금성(錦城)에서 유래했다.
[2]
조선왕조실록 - 인종실록에는 '岭'으로, 명종실록에는 '岺'으로 이름이 다르게 나온다. 단 '岭'과 '岺'은 같은 글자로, '山'이 왼쪽 변에 있는 지, 윗쪽 머리에 있는 지의 차이일 뿐이다. '齡' 이라고 적힌 것도 있는데 이건 잘못 쓴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 선조실록 194권, 1605년(선조 38년) 12월 26일 병인 2번째 기사.
[3]
이복 동생
덕흥대원군의 차남.
[4]
都提調. 쉽게 말해 부서의 총책임자를 말한다.
[5]
文昭殿. 조선
태조의 비인
신의왕후 한씨를 모시던 사당이다.
[6]
延恩殿. 조선
성종의 아버지
덕종(의경세자)를 모시던 사당이다.
[7]
司饔院. 조선 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8]
宗簿寺. 조선시대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했던 관서.
[9]
《명종실록》 25권, 1559년(명종 14년) 11월 9일 병자 1번째기사
[10]
《중종실록》 79권, 1535년(중종 30년) 1월 5일 병인 2번째 기사
[11]
《중종실록》 79권, 1535년(중종 30년) 1월 5일 병인 2번째 기사
[12]
《중종실록》 80권, 1535년(중종 30년) 8월 1일 기축 2번째 기사.
[13]
현
은평구.
[14]
단, 서자는 둘이나 있었다. 교성도정 이선과 이현.
[15]
경혜공주의 증손녀,
경혜공주 →
정미수 → 정승휴 → 파징군부인
[16]
실제로는
덕흥대원군의 적차남.
[17]
11대 종주 이내현의 양자로, 생부는
인성군의 8대손인 이내준(李來俊)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