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4:32:59

이기 팝

파일:Iggy pop logo.png
Iggy Pop Discograph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he Idiot
1977
Lust for Life
1977
kill City
1977
New Values
1979
Soldier
1980
Party
1981
Zombie Birdhouse
1982
Blah-Blah-Blah
1986
Instinct
1988
Brick by Brick
1990
American Caesar
1993
Naughty Little Doggie
1996
Avenue B
1999
Beat 'Em Up
2001
Skull Ring
2003
Préliminaires
2009
Après
2012
Post Pop Depression
2016
Free
2019
Every Loser
2023
}}}}}}}}}
이기 팝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373a3c,#373a3c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The Stooges
1969
Fun House
1970
Raw Power
1973
The Weirdness
2007
Ready to Die
2013
}}}}}}}}}}}}
}}}}}} ||

이기 팝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폴 매카트니
발트 3국
디지 길레스피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퀸시 존스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엘튼 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조니 미첼
피에르 불레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에릭 에릭슨
레이 찰스
라비 샹카르
스티비 원더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밥 딜런
아이작 스턴
버트 배커랙
로버트 무그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미리엄 마케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키스 재럿 비비 킹
리게티 죄르지
지우베르투 지우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레드 제플린
발레리 게르기예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소니 롤린스
스티브 라이히
핑크 플로이드
르네 플레밍
피터 가브리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엘 시스테마
비요크
엔니오 모리코네
크로노스 콰르텟
패티 스미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폴 사이먼
요요마
유수 은두르
카이야 사리아호
척 베리
피터 셀라스
에밀루 해리스
에벌린 글레니
맥스 마틴
체칠리아 바르톨리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스팅
웨인 쇼터
메탈리카
아프가니스탄 국립 음악 연구소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안네 소피 무터
플레잉 포 체인지
안나 네트렙코
다이앤 워런
없음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기 팝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 보니 레잇
2023년 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23년 빌보드 직원들이 록 밴드의 리드 싱어 50위를 선정했다. 따라서 솔로 아티스트는 포함되지 않았다. 링크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믹 재거 스티비 닉스 프레디 머큐리 로버트 플랜트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데이비드 번 데비 해리 조지 클린턴 보노 액슬 로즈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로버트 스미스 로저 달트리 헤일리 윌리엄스 스티븐 타일러 크리시 힌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이클 스타이프 크리스 코넬 잭 화이트 캐슬린 한나 데이비드 리 로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짐 모리슨 에디 베더 캐런 오 롭 핼포드 재니스 조플린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톰 요크 루 리드 앤서니 키디스 앤 윌슨 스티브 페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로라 제인 그레이스 오지 오스본 구스타보 세라티 체스터 베닝턴 그레이스 슬릭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조 스트러머 그웬 스테파니 이기 팝 폴 매카트니 브리트니 하워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리암 갤러거 세르이 탄키안 코트니 러브 제리 가르시아 코리 글로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폴리스티렌 폴 웨스터버그 데이브 그롤 루벤 알바란 잭 데 라 로차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VH1이 2000년 발표한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순위.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레드 제플린 블랙 사바스 지미 헨드릭스 AC/DC 메탈리카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너바나 밴 헤일런 더 후 건즈 앤 로지스 KIS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에어로스미스 섹스 피스톨즈 사운드가든 핑크 플로이드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크림 라몬즈 오지 오스본 더 클래시 앨리스 쿠퍼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펄 잼 딥 퍼플 주다스 프리스트 아이언 메이든 칩 트릭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모터헤드 이기 팝 러시 머틀리 크루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데프 레파드 도어즈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앨리스 인 체인스 제인스 애딕션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프랭크 자파 야드버즈 MC5 닐 영 & 크레이지 호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Ted Nugent 킹크스 Nine Inch Nails ZZ Top 판테라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스콜피온즈 The Rollins Bird 재니스 조플린 Smashing Pumpkins 슬레이어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Thin Lizzy Faith No More Korn Sonic Youth 블루 오이스터 컬트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White Zombie Heart 앤스랙스 Bad Company New York Dolls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제쓰로 툴 Ministry 보스턴 Steppenwolf The Cult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Joan Jett & The Blackhearts 롤링 스톤스 Husker Du 메가데스 Living Colour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레너드 스키너드 푸 파이터즈 Twisted Sister Pat Benatar Spinal Tap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본 조비 Hole Marilyn Manson Ratt Green Day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Pixies Queensryche King's X UFO Whitesnake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포리너 킹 크림슨 Tool Lita Ford 레인보우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Danzig Black Crowes Lenny Kravitz 예스 Fugazi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Meat Loaf Primus Mountain Bed Brains Quiet Riot
}}}}}}}}} ||
같이 보기: 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 ||
<colbgcolor=#1D1D1D><colcolor=#fff> 이기 팝
Iggy Pop
파일:iggy.jpg
본명 제임스 뉴웰 오스터버그 주니어
James Newell Osterberg, Jr.
출생 1947년 4월 21일 ([age(1947-04-21)]세)
미국 미시간주 머스키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싱어송라이터, 배우
서명 파일:iggy pop signature .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1D1D1D> 부모님 제임스 뉴웰 오스터버그 시니어 (1921~2007)
루엘라 크리스텐슨 (1917~1996)
배우자 웬디 웨이스버그 (1968년 결혼 ~1968년 이혼)
수치 아사노 (1984년 결혼 ~1999년 이혼)
니나 알루 (2008년 결혼)
자녀 에릭 벤슨 (1970년~)
학력 포드슨 고등학교 (졸업)
미시간 대학교 (중퇴)
신장 171cm, 65 kg
데뷔 1969년 8월 5일 < The Stooges>
사용 악기 기타, 보컬, 드럼, 피아노
장르 , 프로토 펑크, 펑크 록, 하드 록
활동 기간 1960년 - 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1. 개요2. 생애
2.1. 출생2.2. 스투지스 활동2.3. 솔로 활동
3. 음악적 특징과 평가4. 여담5. 디스코그래피
5.1. 스투지스 활동5.2. 솔로 활동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robertmatheu.com/1.jpg
<rowcolor=#fff> 1977년, 디트로이트의 코보 아레나(Cobo Arena) 공연
미국 록 음악 가수이자, " 펑크의 대부"라 불리는 인물.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출생

1947년 4월 21일 미국 미시건 주 출생. 고등학교 야구부 교사였던 아버지[1]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가난하지만[2] 화목한 가정에서 자랐다고 한다. 2007년 아버지가 돌아가셨을때 롤링 스톤과 회고 인터뷰를 했는데 음악에 관심을 보이며 연주를 시작하자 부모님이 방을 넘겨줬다고 얘기했을 정도. 부잣집 아이들 부럽지 않았다고 하는걸 보면 사이가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

2.2. 스투지스 활동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투지스
,
,
,
,
,

고등학교 졸업 후 앤아버 미시간 대학교로 진학하지만 중퇴하고 블루스를 배우기 위해 시카고로 떠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돌아온다. 이후 ' 스투지스'를 결성하고 밴드의 리더로서 펑크 록과 하드 록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원래는 리드싱어가 아니라 드러머였으나, 도어즈 짐 모리슨의 공연을 직접 관람하고 깊은 인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이기 팝 자신도 광기 넘치는 프론트맨이자 리드보컬로 변신했다. "이기"라는 이름은 학창 시절 드러머로 활동했던 지역 블루스/개러지 록 밴드인 '이구아나스 (The Iguanas)'에서 따왔다. 그리고 "팝"은 그와 닮은 지역 캐릭터의 이름에서 따왔다. 1969년 The Stooges로 데뷔한 스투지스는 Fun House 발매 후 이기 팝의 헤로인 중독으로 해체되었다.

1971년, 레코드사와의 계약 없이 남은 밴드 멤버들은 자그마한 클럽들을 돌며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해 이기는 뉴욕의 나이트클럽에서 데이비드 보위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데이비드 보위는 이기의 커리어를 살려주고자 앨범의 프로듀싱을 맡아주기로 했다. 데이비드와 잉글랜드로 간 이기는 밴드 멤버를 물색하지만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자 기존 스투지스 멤버들과 재결합을 한 뒤 Raw Power을 발매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비드 보위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이기의 헤로인 중독으로 다시 해체되었다. 스투지스는 당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해 해체되었지만 훗날 펑크 록 밴드들이 상업적인 성공을 얻고선 자신들이 영향받은 뮤지션으로 하나같이 이기 팝을 꼽으면서 재조명되었고, 펑크의 대부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가 된다.

2.3. 솔로 활동

1973년 스투지스 해체 이후 마약 문제로 괴로워하다 친구 데이비드 보위의 도움을 받아 1977년 솔로 앨범 The Idiot을 발매했다. 당시 보위는 크라프트베르크, 노이! 등 독일의 전위적인 전자 음악 그룹에 영향을 받고 있어 그들의 사운드가 어느정도 묻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같은 해 발매된 솔로 2집 Lust For Life는 이기 팝 솔로 디스코그래피 중 최고로 평가받는 앨범. 타이틀 곡인 Lust for Life를 비롯해 The Passenger같은 곡은 지금까지도 이기 팝 최고의 싱글로 불리고 있다.

90년대 초반부터는 후배 뮤지션의 메이저 진출을 도와주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롭 좀비가 속한 밴드 화이트 좀비. 너바나로 유명한 레코드사 게펜 레코드에 이기 팝이 화이트 좀비를 강력 추천해서 메이저 데뷔를 하게 도와줬으며, 정규 1집의 여러 트랙에서 나레이션을 맡기도 했다.

2013년 시티브레이크로 내한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물론 이기 앤 더 스투지스로. 60대 후반이라는 나이가 무색할 만큼 여전한 광란의 퍼포먼스를 선보여 관객들을 뻑 가게 만들었다. 공연 도중에 벨트를 풀긴 했는데 아쉽게도 바지는 벗지 않았다. 라인업이 대단한 2013 시티브레이크 공연 중에서도 최고였다는 평가. #

2016년에는 퀸즈 오브 더 스톤 에이지의 보컬인 조쉬 하미와 같이 작업한 앨범 "Post Pop Depression"을 발표했다. 반응이 상당히 좋아서 그동안 이기 팝의 차트 순위를 갈아치운데다 평단의 호평을 들었다.

2017년엔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와 함께 굿타임(영화) 엔딩 주제가인 'The Pure and the Damned'를 만들고 불렀다.

2019년 짐 자머시의 영화 데드 돈 다이좀비로 캐스팅되었다. 자머시랑 꽤 친한 사이라 옴니버스 영화 커피와 담배에도 출연한 적이 있으며[3], 자머시가 라이브 다큐멘터리를 만든 적이 있다.

3. 음악적 특징과 평가

그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는 바로 거칠고 자유분방한 무대 매너. 일례로 라이브 공연에서 막춤은 기본에 관객들에게 "Come on you Nazi freaks! Kiss my ass! You can have my dick in your face!"라고 한다거나, 관객들을 무대로 올라오게 해서 무대를 관객들로 꽉 채운다거나, 관객이 한 곡 전체를 부르게 한다거나(!), 무대 위에서 병을 깨뜨리고는 그 위에 상의 탈의 후 구른 적도 있다 . 심지어는 아직 슬램댄스에 대한 정의도 없던 시절 관객들에게 뛰어들어서 크라우드 서핑[4]을 시도해서 뼈가 부러진 적도 많다.

그가 활동했던 밴드인 스투지스 시절의 앨범과 솔로 앨범 몇 장이 명반으로 대우받고 있다. 히트곡은 딱히 없다. 빌보드 차트에 제대로 진입한 적이 없으면서 왕고참 또는 선배 대접을 극진히 받는 뮤지션이다. 그야말로 무관의 제왕인듯. 그나마 " I Wanna Be Your Dog"이 상당히 유명한 편이다. 물론 명장으로 대우받는 요즘에는 옛 명곡들이 많이 발굴되어 특히 사랑받는 곡들이 몇개 있다. The Passenger TV eye(비교적 최근에 부른 라이브이다. 물론 사정없이 날뛰는건 여전.) I'm a real wild one 등등..

스투지스의 2집인 " Fun House"는 당시의 록 음반 중에서 가장 거친 음악이었으며, 훗날 펑크 록/ 개러지/ 하드 록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이 앨범을 당시 펑크, 개러지 음악에서 최고 수준의 명반으로 추앙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 이기 팝의 회고록

4. 여담

몇 음반을 프로듀싱해주었던 데이비드 보위의 음악 취향이 상당히 특이한데, 레젠더리 스타더스트 카우보이에 영향을 받았다고 공공연히 이야기를 하거나, 살짝 머리가 돈 로큰롤 스타 빈스 테일러[5]를 모델로 지기 스타더스트 앨범을 만들었다. 그래서인지 이기 팝의 특이함에 매력을 느낀 데이빗 보위는 빠르게 친구가 될 수 있었다. 데이빗 보위의 피쳐링 무대 이기 팝의 거만함과 괴상함은 당시로서도 파격적이었다. TV 토크쇼에 출연해 공공연히 "내가 위대한 점은 1960년대를 날려버렸다는 것이다."이라고 말할 정도니까.

스투지스 시절 앨범인 " Raw Power"[6] 1997년 재발매반은 본인이 리마스터 작업을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악의 리마스터링반으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누렸다. 아마존 가서 검색해 보면 유저 코멘트에 1/2가 리마스터링 욕이다. 막귀 청자들도 욕할 정도면 그 심각함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 가능한 듯. 소위 음량전쟁이 음반 산업의 트렌드가 된지 오래된 지금도, Raw Power 97년 발매반은 음량전쟁의 극단으로 자주 인용되곤 한다. 그러나 보위가 마스터링 작업하기 이전 이기가 원래 의도했던 원초적인 사운드에 가깝다는 이유 등을 들어 97년 반에 호의를 표하는 대중과 평단의 의견도 만만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7] 2010년 4월 16일 원래 데이빗 보위의 믹스 버전이 포함된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었다고 한다.

7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마약 문제로 굉장히 어려웠다고 한다. 다른게 아니라 스투지스와 솔로 활동으로 번 돈을 전부 약으로 날려버려서. 현재는 마약도 안 하고 열심히 웨이트 트레이닝을 해서 노년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파워풀한 무대매너를 보여주고 있다. 아직 마약에 대해 서구 방송업계가 관대하던 시절, 그가 마약을 하고 TV에 출연한 장면이 종종 유투브에 올라오곤 한다. #

위 사진에서 보이듯이 공연을 할때 웃통을 벗고 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젊을 시절에는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나이가 들고 주름이 생기는 등 노화가 진행된 후에는 팬들마저 제발 옷 좀 입고 공연하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대니 보일 감독의 영화 트레인스포팅에서 사용된 "Lust For Life"가 가장 유명하며, 데이비드 보위와 자주 협연하는 "The Passenger"도 나름 유명한 곡이라 할 수 있다.

보위의 생애를 오마주한 1998년작 영화 벨벳 골드마인에서 보위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와 이기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침대에서 진한(?) 모습을 연출하는 장면이 있다. 보위 본인은 그 장면에 대해서 화를 내며 영화에 자신의 곡을 쓰는 것을 거부했다. 다만 이기 팝은 따로 별 말이 없었는지 영화내에 이기 팝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이기 팝의 노래를 그대로 연주한다.

영화 크로우의 원작자 제임스 오바르는 크로우의 주인공 디자인을 이기 팝이 공연을 끝내고 난 다음의 흘러내린 분장에서 따왔다고 밝혔다.[8] 그 외의 영화 출연으로는 리차드 스탠리의 사이보그 하드웨어에서 라디오 DJ로 등장하였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등장인물 이기, 마리오 시리즈 이기의 이름도 이기 팝이 모티브다.

락 밴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보컬인 앤서니 키디스와 닮았다. 앨범 One Hot Minute 수록곡 Coffee Shop의 가사(코러스의 We can dance like Iggy Pop)를 보면 본인도 알고 있는 듯하다.

파일:이기팝 화보.jpg
모델로도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어 최근에는 에이셉 라키,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와 함께 화보도 찍었다.

5. 디스코그래피

5.1. 스투지스 활동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373a3c,#373a3c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The Stooges
1969
Fun House
1970
Raw Power
1973
The Weirdness
2007
Ready to Die
2013
}}}}}}}}}}}}
}}}}}} ||

5.2. 솔로 활동

파일:Iggy pop logo.png
Iggy Pop Discograph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he Idiot
1977
Lust for Life
1977
kill City
1977
New Values
1979
Soldier
1980
Party
1981
Zombie Birdhouse
1982
Blah-Blah-Blah
1986
Instinct
1988
Brick by Brick
1990
American Caesar
1993
Naughty Little Doggie
1996
Avenue B
1999
Beat 'Em Up
2001
Skull Ring
2003
Préliminaires
2009
Après
2012
Post Pop Depression
2016
Free
2019
Every Loser
2023
}}}}}}}}}

[1] 아버지는 입양아 출신이라고 한다. [2] 트레일러 파크에서 살았다고 한다. [3] 연작 단편 중 'Somewhere in California'라는 단편에 또 한 명의 전설적인 아티스트인 톰 웨이츠와 함께 출연했다. [4] 이기 팝이 크라우드 서핑을 처음으로 해본 사람이라고 한다. [5] 이 사람의 대표곡인 Brand New Cadillac을 더 클래시가 리메이크했다. [6] 커트 코베인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50선에서 1위를 차지했다. 스타크래프트 2 OST 음반인 Revolution Overdrive: Songs of Liberty에 리메이크되어 수록되어 있으며, 편곡에 이기 팝 본인이 참여했다. 동봉된 설정상으론 5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1200번이 넘게 리메이크됐다고. [7] https://en.wikipedia.org/wiki/Raw_Power Anthony Fantano의 리뷰 [8] 이기팝 본인은 영화 크로우 2에서 조연급 악당으로 출연한다. [9] 스투지스의 3집 Raw Power에 참여한 정식 멤버였던 제임스 윌리암슨과의 합작 앨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