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9:57:22

밴 헤일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000"
{{{#!wiki style="margin:0 -10px -0px"
{{{#00B3FA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Van Halen
1978.02.10
Van Halen II
1979.03.23
Women and Children First
1980.03.26
Fair Warning
1981.04.29
Diver Down
1982.04.14
1984
1984.01.09
5150
1986.03.24
OU812
1988.05.24
For Unlawful Carnal Knowledge
1991.06.17
Balance
1995.01.24
Van Halen III
1998.03.17
A Different Kind of Truth
2012.02.10
}}}}}}}}}
}}}}}} ||
밴 헤일런의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로큰롤 명예의 전당 로고.pn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밴 헤일런
VAN HALEN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에디 밴 헤일런, 알렉스 밴 헤일런,
데이비드 리 로스, 마이클 앤소니, 새미 해이거
입성 연도 2007년
후보자격 연도 2004년
후보선정 연도 2007년 }}}}}}}}}

역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mtv+moon+man+vid-atlantic.jpg
올해의 비디오상
<rowcolor=#ededed> 1991년 1992년 1993년
R.E.M. 밴 헤일런 펄 잼
Losing My Religion Right Now Jeremy

파일:월스트리트 저널 로고.svg 선정
가장 인기 있는 록 밴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월스트리트 저널이 2018년 음반 판매량, 유튜브 조회수, 차트 및 음원 성적 등을 종합하여 통계 산출을 통해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록밴드를 선정했다.
<rowcolor=#fff,#000>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rowcolor=#fff,#000>6위 7위 8위 9위 10위
AC/DC 이글스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에어로스미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000>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플리트우드 맥 린킨 파크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마룬 5 본 조비
<rowcolor=#fff,#000>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U2 밴 헤일런 저니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산타나
<rowcolor=#fff,#000>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시카고 너바나 더 후 비치 보이스 콜드플레이
<rowcolor=#fff,#000>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도어즈 레너드 스키너드 그린 데이 펄 잼 포리너
<rowcolor=#fff,#000>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블랙 사바스 니켈백 데프 레파드 푸 파이터스 하트
<rowcolor=#fff,#000>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폴 아웃 보이 더 폴리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ABBA 원리퍼블릭
<rowcolor=#fff,#000>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제네시스 R.E.M. 키스 러시 ZZ TOP
<rowcolor=#fff,#000>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고릴라즈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패닉! 앳 더 디스코 blink-182 다이어 스트레이츠
5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
파일:UCRlogo.jpg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파일:Evening_Standard_logo_투명.png
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 밴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1D1D1B, #1D1D1B 20%, #1D1D1B 83.9%, #DD052B 83.9%);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000,#fff> 2018년 이브닝 스탠더드 The 25 greatest American rock bands of all time를 발표.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너바나 비치 보이스 에어로스미스 이글스 R.E.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건즈 앤 로지스 라몬즈 플리트우드 맥 본 조비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토킹 헤즈 스틸리 댄 메탈리카 펄 잼 스트록스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더 밴드 픽시즈 벨벳 언더그라운드 버즈 블론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밴 헤일런 도어즈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앤 영 푸 파이터스 레드 핫 칠리 페퍼스
같이 보기: 영국 밴드, 미국 밴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0000, #1D1D1B, #000000 20%, #000000 83.9%, #000000 83.9%);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rowcolor=#000,#fff> ※ 2021년에 미국의 음악지인 스핀 매거진이 MTV 개국 40주년을 기념해 발표한 리스트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미시 엘리엇 비요크 마돈나 위어드 알 얀코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비욘세 아웃캐스트 피터 가브리엘 버스타 라임즈 칸예 웨스트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나인 인치 네일스 자넷 잭슨 레이디 가가 건즈 앤 로지스 비스티 보이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데이비드 보위 밴 헤일런 토킹 헤즈 너바나 톰 페티
}}}}}}}}}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롤링 스톤스 밥 딜런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지미 헨드릭스 프린스 엘비스 프레슬리 제임스 브라운 스티비 원더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데이비드 보위 더 후 너바나 비치 보이스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돈나 핑크 플로이드 U2 마빈 게이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더 클래시 AC/DC 벨벳 언더그라운드 척 베리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닐 영 아레사 프랭클린 엘튼 존 라디오헤드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존 레논 블랙 사바스 건즈 앤 로지스 티나 터너 조니 캐시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폴 매카트니 플리트우드 맥 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 킹크스 폴리스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밴 헤일런 메탈리카 레이 찰스 조니 미첼 알 그린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라몬즈 JAY-Z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팔리아멘트-펑카델릭 샤데이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빌리 조엘 비욘세 리틀 리처드 퍼블릭 에너미 피터 가브리엘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키스 스투지스 칩 트릭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크림 제네시스 노토리어스 B.I.G. 토킹 헤즈 도어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 콜드플레이 오티스 레딩 투팍 샤커 데프 레파드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R.E.M. 재니스 조플린 밴 모리슨 더 큐어 러시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Run-D.M.C. 레너드 스키너드 주다스 프리스트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ABBA 스틸리 댄 어스 윈드 & 파이어 커티스 메이필드 더 밴드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N.W.A. 조지 마이클 비 지스 비스티 보이즈 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그린 데이 LL Cool J 펄 잼 머라이어 캐리 아웃캐스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저니 프리텐더스 디페시 모드 홀 앤 오츠 앨리샤 키스
출처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VH1이 2000년 발표한 가장 위대한 하드 록 아티스트 순위.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레드 제플린 블랙 사바스 지미 헨드릭스 AC/DC 메탈리카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너바나 밴 헤일런 더 후 건즈 앤 로지스 KIS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에어로스미스 섹스 피스톨즈 사운드가든 핑크 플로이드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크림 라몬즈 오지 오스본 더 클래시 앨리스 쿠퍼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펄 잼 딥 퍼플 주다스 프리스트 아이언 메이든 칩 트릭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모터헤드 이기 팝 러시 머틀리 크루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데프 레파드 도어즈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앨리스 인 체인스 제인스 애딕션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프랭크 자파 야드버즈 MC5 닐 영 & 크레이지 호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Ted Nugent 킹크스 나인 인치 네일스 ZZ Top 판테라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스콜피온즈 The Rollins Bird 재니스 조플린 Smashing Pumpkins 슬레이어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Thin Lizzy Faith No More Korn 소닉 유스 블루 오이스터 컬트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White Zombie 하트 앤스랙스 Bad Company 뉴욕 돌스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제쓰로 툴 Ministry 보스턴 Steppenwolf The Cult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Joan Jett & The Blackhearts 롤링 스톤스 허스커 두 메가데스 Living Colour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레너드 스키너드 푸 파이터즈 Twisted Sister Pat Benatar Spinal Tap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본 조비 마릴린 맨슨 Ratt 그린 데이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픽시즈 Queensryche King's X UFO 화이트스네이크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포리너 킹 크림슨 Tool Lita Ford 레인보우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Danzig Black Crowes 레니 크래비츠 예스 푸가지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미트 로프 프라이머스 Mountain 배드 브레인즈 콰이어트 라이어트
}}}}}}}}} ||
같이 보기: 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칸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AC/DC 비욘세 펄 잼 토비 키스 더 후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폴 사이먼 무디 블루스 저스틴 비버 노라 존스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넬리 두비 브라더스 핑크 조쉬 그로반 닐 영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프랭크 시나트라 그린 데이 더 칙스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하트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레이디 가가 R. 켈리 보이즈 투 멘 케니 지 비 지스
출처 }}}}}}}}}

파일:미국 국기.svg
음악가별 미국 내 총 음반 판매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위 – 9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위 비틀즈 <colcolor=#333,#fff>183,000,000+장
2위 가스 브룩스 157,000,000+장
3위 엘비스 프레슬리 139,000,000+장
4위 이글스 120,000,000+장
5위 레드 제플린 112,500,000+장
6위 마이클 잭슨 89,000,000+장
7위 빌리 조엘 86,500,000+장
8위 엘튼 존 79,000,000+장
9위 AC/DC 75,000,000+장
9위 핑크 플로이드 75,000,000+장
9위 머라이어 캐리 75,000,000+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2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2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colcolor=#333,#fff>71,000,000+장
13위 에어로스미스 69,500,000+장
13위 조지 스트레이트 69,500,000+장
15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68,500,000+장
16위 롤링 스톤스 66,500,000+장
17위 마돈나 64,500,000+장
18위 메탈리카 63,000,000+장
19위 에미넴 61,500,000+장
20위 휘트니 휴스턴 61,000,000+장
21위 밴 헤일런 56,500,000+장
22위 플리트우드 맥 54,500,000+장
23위 셀린 디옹 53,000,000+장
24위 저니 52,500,000+장
25위 U2 52,000,000+장
26위 이하로는 출처를 참고하십시오.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밴 헤일런 로고 (2012~).png 밴 헤일런
Van Halen
}}}
파일:D4CA09D2-FB7B-4BA9-9F42-79A22D784EAE.jpg
▲ 왼쪽부터 에디 밴 헤일런 · 마이클 앤소니 · 데이비드 리 로스 · 알렉스 밴 헤일런[1]
<colbgcolor=#000><colcolor=#00B3FA>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결성 1972년
미국 캘리포니아 패서디나
데뷔 1978년 2월 10일
정규 1집 " Van Halen"
해체 2020년[2]
멤버
(해체 직전)
에디 밴 헤일런 (기타)
알렉스 밴 헤일런 (드럼)
데이비드 리 로스 (보컬)
볼프강 밴 헤일런 (베이스)
구 멤버 마크 스톤 (베이스)
마이클 앤소니 (베이스)
새미 헤이거 (보컬)
게리 셰론 (보컬)
장르 하드 록, 헤비 메탈, 글램 메탈, 팝 록
레이블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멤버4. 역사
4.1. 초창기4.2. 데이비드 리 로스 시절 (1978년~1984년)4.3. 새미 헤이거 시절 (1986년~1995년)4.4. 이후 & 데이브 시즌2 (1995~2020)
5. 음악적 특징과 평가6. 음반 목록7. 싱글 목록8. 개별 문서가 있는 곡들9. 여담

[clearfix]

1. 개요

전성기 시절 그들의 대표곡인 " Jump"의 라이브 영상
지난 10년간 미국 서부 록씬에서 제대로 된 록 밴드는 밴 헤일런이 마지막이었다.
액슬 로즈
미국 하드 록, 팝 메탈, 헤비 메탈, 글램 메탈 밴드.

2. 상세

하드락, 헤비 메탈의 상징으로 불리는 전설적인 밴드. 록 밴드중에서 미국 내 음반 판매량이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3] 전설적인 록 밴드이다. 1970년대 말, 태핑 기법을 대중화시킨 천재 기타리스트 에디 밴 헤일런이 소속되어있던 밴드이며, 그들의 데뷔 앨범 Van Halen은 다양한 기타 주법과 명곡들을 통해 록 음악계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4] 헤비 메탈 하드 록에는 그렇게까지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밴 헤일런과 주다스 프리스트 이후 등장한 헤비 록 밴드들은 대체로 헤비 메탈 밴드로 취급한다. 즉 하드 록과 헤비 메탈의 차이를 가장 크게 벌려놓은 밴드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팝 메탈을 시도하면서 팝 메탈의 상업화 및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나 그들의 싱글이자 대표곡인 Jump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5주 연속 1위를 한 것은 미국 내 팝 메탈 열풍을 일으킨 사건중 하나로 평가받았고, 적극적인 신디사이저 사용 및 팝적인 멜로디로 후대의 글램 메탈에 크게 기여했다[5]. 밴 헤일런은 1991년 너바나의 등장으로 인한 얼터너티브 열풍으로 인해 글램 메탈이 쇠락한 이후에도 꾸준히 그 인기를 유지하였다. 1990년대 후반 Van Halen III가 상업적으로 실패한 이후 신보를 발매하는 밴드보다는 투어를 뛰는 노익장 밴드에 가깝게 변했으나, 아직도 남녀노소 불문하고 미국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록 밴드중 하나로 꼽힌다.

3. 멤버

파일:VH 밴드 구성.png
형(1953년생)인 알렉스 밴 헤일런( 드럼), 동생인 에디(에드워드, 1955년생) 밴 헤일런( 일렉트릭 기타)을 주축으로 하여 결성되었다.[6] 이 형제의 아버지[7] 네덜란드인이며[8], 어머니는 네덜란드인과 인도네시아인의 혼혈[9]이다.[10][11] 형제가 어렸을 적(1962년) 밴 헤일런 일가는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아버지는 형제에게 피아노 교습을 시켰지만 알렉스와 에디는 그것을 즐기지 않았고 결국 드럼과 기타를 시작하게 된다. 피아노를 다뤄 본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밴 헤일런 형제의 건반악기 연주 실력 또한 수준급이다.

이 밴드를 거쳐 간 보컬리스트는 데이비드 리 로스(1974~1985, 2006~),[12] 새미 헤이거(1985~1996)[13], 게리 셰론(1996~1999)[14]이 있으며 베이시스트는 데뷔 때부터 2006년까지 마이클 앤서니였다가 에디 밴 헤일런의 아들인 볼프강 밴 헤일런으로 교체되었다. 다만 몇십 년 간 밴드를 같이 지켜온 베이시스트를 갈았다고 한때 욕 좀 먹은 적도 있다.[15] 아들인 볼프강 밴 헤일런의 실력은 안정적인 연주와 부드러운 고음역대의 코러스가 모두 가능한 마이클 안소니보단 약간 떨어지는 편이다. 마이클 안소니가 탈퇴당한 후 인터뷰에서 노발대발한 적도 있을 정도로 앙금이 있다. 무대매너가 뛰어났던 1대 보컬인 데이빗 리 로스하고도 상당히 껄끄럽게 결별했고 새미 해거 이후 게리 셰론을 넣었으나 세일즈면에서 처참하게 망한 관계로 결국은 새미 해거를 다시 넣네마네 하다가 데이빗 리 로스와 재결합을 했다.

4. 역사

4.1. 초창기

에디 밴 헤일런 알렉스 밴 헤일런이 결성한 동네 밴드로 시작되었다. 밴드의 뿌리는 1964년, 밴 헤일런 형제가 어릴때 만든 밴드인 브로큰 콤브스(Broken Combs)이지만 프로급이 된건 1972년 밴드 이름을 맘모스로 바꾸면서다. 이전에는 밴드 이름이 제네시스였는데, 1972년 밴 헤일런 밴드가 대서양 건너편에 같은 이름의 밴드 Foxtrot이라는 앨범을 냈다는 소식을 듣고 착오를 피하기 위해 맘모스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아무튼 이 시기의 맘모스에서는 에디 밴 헤일런이 보컬과 드럼을, 알렉스 밴 헤일런이 기타를, 그리고 마크 스톤이 베이스와 백보컬을 맡고 있었다. 하지만 에디 밴 헤일런이 기타를 잘치고 알렉스가 반대로 기타에 흥미를 잃고 드럼에 더 적성을 보이면서 두 사람이 포지션을 바꿨다. 마크 스톤은 1974년경까지 밴드에 머물렀다가 모종의 사유로 밴드를 탈퇴하고, 대신 마이클 앤소니가 신임 베이스로 오디션을 보고 들어오게 되었다. 비슷한 시기 보컬을 하기 힘들어했던 에디를 대체해 데이비드 리 로스가 보컬로 밴드에 들어오면서 4인조 밴드가 만들어졌다. 사실 데이비드는 가창 실력이 그렇게 우수한 편은 아니었지만, 집이 정말 엄청난 부자였던데다가 데이비드가 음악 외적인 부분에서 천재적이었기 때문에 에디와 알렉스가 밴드에 영입시킨 것이라고 한다.[16]

밴드가 이래선 안되겠다는 데이비드 리 로스의 지적 하에 맘모스는 대개편이 이뤄졌다. 우선 밴드 이름이 맘모스에서 밴 헤일런으로 바뀌었다. 또 홍보 차원에서 밴드 연주 제의가 들어오는 곳마다 나가서 공연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밴 헤일런은 캘리포니아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며, 그야말로 닥치는대로 모든 곳에서 연주를 하면서 지역에서 인지도를 쌓았다. 그러다가 KISS 진 시몬스에게 눈이 들어 앨범 발매를 제의받지만 진 시몬스와 갈등을 빚으면서 무산되었다.[17] 하지만 1977년 워너 브라더스사 소속의 프로듀서였던 테드 템플먼이 어느날 우연히 밴 헤일런의 공연을 보게 되었고, 밴드가 성공할 것을 직감하여 워너 브라더스사에 밴 헤일런과의 계약을 요청했다. 그렇게 워너 브라더스와 밴 헤일런이 계약을 맺고 밴 헤일런은 동네 밴드가 아닌 어엿한 록 밴드로 1집을 내게 되었다.

4.2. 데이비드 리 로스 시절 (1978년~1984년)

1978년 발매한 앨범 Van Halen은 이전까지 재즈와 프로그레시브 록[18]에서만 일부 사용되던 태핑 기법을 록 음악에 적극적으로 도입했고 강력하고 빠른 비트를 선보여 당시 음악계에 큰 파란을 몰고왔다. 혹자는 이 앨범을 지미 헨드릭스 1집과 잉베이 말름스틴 1집 사이에 있었던 헤비 메탈의 2차 기타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수식어는 과장된 감은 있지만 밴 헤일런 1집이 헤비 메탈과 록 음악의 차이를 크게 벌린, 그러니까 메탈의 방향성을 제시한 명반이라는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사실이다. 이 앨범에서 유명한 곡은 태핑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Eruption, 글램 메탈의 시초로도 불리는 Ain't Talkin' 'bout Love가 있다. 상업적으로는 킹크스의 곡을 커버한 You Really Got Me가 가장 성공하였다.

뒤이은 2집인 Van Halen II는 주로 1집에서 탈락된 곡을 수록한 음반이었다. 이 음반은 1집만큼은 아니지만 역시나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 대표곡으로는 Dance the Night Away 등이 있다. 1집과 2집을 통해 밴 헤일런은 당시 영국에 비해 밀리던[19] 아메리칸 하드 록의 자존심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3집, 4집, 5집 역시 상업적으로는 1, 2집보다는 못했지만 평론적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20] 하지만 이때까지 밴 헤일런의 상업적 전성기는 오지 않았다.

진정한 밴 헤일런의 전성기는 1984년 발매한 음반 1984와 이보다 몇주 전에 발표한 싱글 Jump로 찾아왔다. Jump는 당시까지의 밴 헤일런과 스타일이 크게 다른 곡이었다. 기타 신동이라 불리던 에디의 기타를 뒤로 빼고 신디사이저 인트로를 앞으로 내세운 구성은 파장을 몰고왔다. 상업적으로 망할거라는 데이비드 리 로스 테드 템플먼의 반대를 비웃듯이 이 곡은 단숨에 빌보드 1위를 차지했고, 무려 5주간[21] 연속으로 1위를 유지하였다. 현재까지도 가장 인기있는 80년대 팝송중 하나이며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았다. 뒤이어 발매된 앨범도 빌보드 200 2위를 차지하며[22] 크게 히트쳤다. 또다른 싱글로는 Panama가 16위를, I'll Wait가 16위를 차지. Hot for Teacher도 인기를 끈 히트 트랙이었다.

하지만 데이비드 리 로스는 이런 밴드의 음악적 노선 변화에 반발해 탈퇴를 결심했다. 그 외에도 이유가 많았는데 영화 제작 관련한 데이비드와 타 멤버의 갈등, 독선적이고 자기 과시적이었던[23] 데이비드의 밴드 운영, 그리고 개막장 파티광이었던 데이비드 리 로스의 사생활 등이 주요한 이유로 꼽힌다. 데이비드 리 로스는 이후 빌리 시언, 스티브 바이, 그리고 밴 헤일런 시절 프로듀서였던 테드 템플먼과 힘을 합쳐 솔로 활동을 시작했고 이쪽으로도 큰 성공을 거뒀다.

4.3. 새미 헤이거 시절 (1986년~1995년)

이 시기 밴 헤일런은 데이비드 시절 추구했던 정통 헤비 메탈을 벗어던지고 글램 메탈(팝 메탈)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특히나 신디사이저의 사용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어릴때 피아노를 배웠던 에디의 취향 때문이었다. 상업적인 성공은 이 시기에 더 크게 거뒀고, 빌보드 1위 앨범도 전부 이 시기에 나왔다.[24]

84년도 데이비드의 탈퇴 이후 밴 헤일런은 새 보컬을 찾아나섰는데, 당시 미국 내에서 어느정도 인기를 얻고 있던 가수인 새미 헤이거가 밴 헤일런의 새 보컬이 되었다. 새미 헤이거는 단독 아티스트로도 활동한 음악가였기 때문에 영입을 한다기보다는 거의 모셔오는 것에 가까웠다고 한다. 데이비드 리 로스와는 어느정도 차별화되는데 데이비드가 블랙 사바스, 레드 제플린, 크림의 영향을 받아 정통 헤비 메탈에 가까운 음색을 들려준다면 새미 헤이거는 소울 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그러니까 팝에 어울리는 가창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원래의 밴 헤일런의 스타일과 맞지 않는 보컬이라는 악평도 많았고, 보컬이 바뀐 밴드는 망한다는 설이 있어 모두가 밴 헤일런이 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특히나 데이비드 리 로스가 회계에 마케팅, 홍보까지 다했던 실질적인 리더였던만큼 더욱 그러하였다. 하지만 1986년 발매한 5150가 빌보드 200 1위까지 오르고 싱글 Why Can't This Be Love가 3위에 오르며 상업적으로 대성함에 따라 이런 예측은 쏙 들어가버렸다.

1988년에는 사망한 밴 헤일런 형제의 아버지에게 바치는 헌정 앨범 OU812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서는 When It's Love가 가장 유명한데, 핫 100 5위를 기록한 히트 싱글로 새미 헤이거 시절의 대표 곡으로 손꼽힌다. 앨범 자체도 4주동안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하며 대성공. 1990년에는 For Unlawful Carnal Knowledge 앨범(속칭 FUCK)을 발매했고 이 앨범도 빌보드 1위를 겨며쥐었다. 이 시기 밴 헤일런은 전미에서 가장 큰 밴드중 하나였다. 하지만 평론적으로 FUCK은 영 좋지 못한 평가를 얻었고 1991년 그런지의 시대가 도래하고야 말면서, 밴 헤일런도 위기에 처했다.

이런 위기에도 불구하고, 1995년작 Balance 앨범은 얼터너티브와 팝 펑크로 바뀐 당시 록 음악의 메인스트림을 거슬러 올라가 빌보드 200 1위를 유지하며 여전히 밴 헤일런이 건재하다는 것을 밝혔다. Can't Stop Lovin' You가 핫 100의 30위에 오르면서 히트했다.

그러나 역시 이때도 불화는 피해 갈 수 없었던지 편집 앨범 제작과 영화 트위스터의 OST 제작에 참여하는 거에 대해 의견 대립이 심해지고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 새미 헤이거 역시 밴드를 떠나게 된다. [25]

4.4. 이후 & 데이브 시즌2 (1995~2020)

이후 공석이 된 보컬 자리를 익스트림 출신의 개리 셰론을 데려와 Van Halen III이라는 앨범을 냈지만, 스타일이 이질적이어도 너무 이질적이라 결국 상업적으로 대실패한다. 빌보드에서 4위, 월드와이드 판매량 50만장(...)을 기록. 게다가 에디의 건강 악화까지 겹쳐 사실상 밴 헤일런의 커리어는 여기서 끝나고 말았다.

게리 셰론도 나가리되고 새미를 다시 부르냐 마냐로 몇년간 혼란을 겪다가, 데이비드 리 로스가 다시 영입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밴 헤일런 형제와 갈등을 겪었던 원년 멤버 마이클 앤소니가 탈퇴하고(사실상 해고) 에디의 아들인 울프강 밴 헤일런이 베이시스트로 들어왔다.[26] 2007년 명예의 전당 입성에 이어 2009년 에디가 기타리스트 수상을 하고 2015년 엘렌 쇼, 지미 키멜 쇼에 나가기도 했다.

하지만 2020년 10월 6일 에디 밴 헤일런이 암 투병 도중 사망했다. 이에 따라 밴 헤일런은 48년간의 여정을 뒤로 하고 해체되게 된다.

5. 음악적 특징과 평가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의 음악 스타일과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의 음악 스타일이 차이가 난다. 전자가 정통 헤비 메탈을 들려줬다면 후자는 상업적인 글램 메탈을 추구한 편. 평가는 전자가 더 좋지만 상업적으로는 글램 메탈 시절이 더 크게 성공해서 빌보드 200 1위 앨범이 무려 4개나 나왔다. 팬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갈리지만 아무래도 대중적으로는 글램 메탈 시기가 더 잘 각인되어있는 편이다.

이것 저것 한게 많지만 시기별로 나누어서 그 영향력을 평가하자면, 초창기의 정통 헤비 메탈 시기에는 블루스를 벗어나 더욱 다양한 기타 주법과 이펙트를 이용하여 헤비 메탈 하드 록의 차이를 벌려놓았고, 후반기 글램 메탈 시기에는 Jump 등의 히트곡을 통해 글램 메탈의 시대를 연 밴드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굳이 연주 테크닉을 강조하지 않아도 에디 밴 헤일런이 애용하는 기타 사운드 메이킹 자체가 상당히 특이한 편인데, 일반적으로 저음과 고음을 강조하고 중음을 깎아서 세팅을 하는 다른 록 기타리스트들과 달리 중음을 많이 살려서 연주하는 편이다. 그래서 매우 또렷하고 앞으로 튀어나오는 사운드가 나온다. 곡 중에서는 대부분 솔로 이외엔 튀는 주법으로 연주하진 않으나 기본적으로 적재적소에 연주가 배치되어 있다는 평이다. 실제로 장비에도 관심이 많아서, 샤벨의 기타 공방에서 얻은 부품을 조립하여 " 프랑켄슈타인 스트랫(줄여서 프랑켄스트랫)"[27]이라는 기타를 만들어 쓰기도 하였고, 이후 제작 및 튜닝 과정에 대거 참여한 기타들인 " 뮤직맨 EVH"[28], "피베이 볼프강"[29] 등도 명기로 알려져 있다.[30] 또한 그가 직접 주문제작 및 튜닝해서 사용한 앰프인 "5150"[31]은 최고 품질의 드라이브 사운드로 헤비메탈 기타리스트들에게 애용되기도 하였다. 일명 마약 드라이브톤이라 불리는데, 그 이유는 5150을 쓰던 뮤지션들이 다른 앰프를 쓰게 되면 드라이브톤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렇다.

또한 에디 밴 헤일런은 전동드릴을 실제 연주에 쓴 걸로도 유명하고 # 한때 폴 길버트와 드릴피킹 원조 논장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나 에디는 기타 픽업에 전동드릴을 작동하는 음만을 출력하여 사용했을 뿐(그러므로 피킹이 아니다) 폴 길버트가 드릴촉에 피크를 달아 피킹용 도구로 사용한 것과는 다르다. 그런데 이게 병림픽인 이유가, 앞에서 이야기했듯 에디는 "드릴로 연주"한게 아니라 픽업에 드릴의 모터의 작동음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일렉트릭 기타라는 악기의 전기적 특성을 활용한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맞기 때문이다.[32] 기타의 전기적 특성을 활용한 연주를 하였다는 것만 봐도 에디의 일렉트릭 기타에 대한 이해력와 창의성을 엿볼 수 있다.

각각 밴드의 정통 헤비 메탈 시기와 글램 메탈 시기를 대표하는 보컬인 데이비드 리 로스 새미 헤이거 중 누가 더 낫냐를 따지는건 밴 헤일런 팬들에게 영원한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데이비드와 새미가 사이가 좋은게 결코 아니고 양쪽 보컬들의 스타일도 완전히 다르다 보니 양쪽의 팬들 사이에서의 논쟁은 AC/DC 본 스콧vs 브라이언 존슨 논쟁보다도 더 격하게 벌어지곤 한다.[33]

마이클 잭슨, 마돈나, 피터 가브리엘, 다이어 스트레이츠 등과 함께 MTV 시대를 대표하는 뮤지션으로 꼽힌다. 밴 헤일런의 뮤비중 가장 높은 평을 받는 것은 Jump인데, 이 곡의 뮤직비디오는 16인치 카메라 하나만 들고 찍었음에도 인상적인 연출로 큰 반향을 얻었다. 이 외에도 Hot for Teacher, Can't Stop Lovin' You, Right Now 등이 유명한 편이며 MTV 어워드도 받은 밴드다.

6. 음반 목록

7. 싱글 목록

Van Halen Billboard HOT 100 차트인 목록
년도 곡명 최고 순위 수록앨범
<colbgcolor=#000> 1978년 You Really Got Me 36위 Van Halen
Runnin' With The Devil 84위
1979년 Dance The Night Away 15위 Van Halen II
Beautiful Girls 84위
1980년 And the Cradle Will Rock... 55위 Women and Children First
1982년 (Oh) Pretty Woman 12위 Diver Down
Dancing In The Street 38위
1984년 Jump 5주 1위 1984
I'll Wait 13위
Panama 13위
Hot For Teacher 56위
1986년 Why Can't This Be Love 3위 5150
Dreams 22위
Love Walks In 22위
1988년 Black And Blue 34위 OU812
When It's Love 5위
Finish What Ya Started 13위
1989년 Feels So Good 35위
1991년 Top Of The World 27위 For Unlawful Carnal Knowledge
1992년 Right Now 55위
1995년 Can't Stop Lovin' You 30위 Balance
Not Enough 97위
2012년 Tattoo 67위 A Different Kind of Truth

8. 개별 문서가 있는 곡들

분류:밴 헤일런 노래 참조.

9. 여담


* 1980년대를 대표하는 메탈 밴드인만큼 밴 헤일런의 노래는 이곳 저곳에서 드라마, 영화, 광고 등의 BGM으로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인 레디 플레이어 원에서 Jump가 예고편의 주제가로 쓰이면서 밴 헤일런이 다시금 화제를 받기도 하였다.

[1] 1집 Van Halen(앨범)부터 6집 1984(음반)까지의 라인업이다. [2] 기타리스트 에디 밴 헤일런의 사망으로 인하여 해체. [3] 모든 장르를 포함해서 넓혀 보아도 20위권 안에 들어간다. [4] 밴 헤일런의 등장을 지미 헨드릭스 이후의 기타 연주 제2차 대혁명이라고 부른다. [5] 80년대 전반, 나아가 90년대 밴드의 기타리스트들은 모두 에디의 영향을 받았다고 이야기 할 정도로 판도를 바꾸어 버렸다. 에디의 연주법은 당시 장르 불문 기타리스트들의 기본 소양 정도였다 [6] 결성 당시의 이름은 매머드. 당시엔 에디가 드럼이고 알렉스가 기타였으나 서로 포지션을 바꿨다. 참고로 동생이 열심히 드럼 키트 대금을 갚고 있는 판국에 형은 기타가 금세 싫증이 나서 드럼을 치고 있었다고 한다. [7] 클라리넷, 색소폰, 피아노 등 여러 악기를 다루었다. [8] van은 영어의 from과 대응하는 단어로 출신지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9]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다. [10] 비슷한 케이스의 인도네시아인 혼혈 네덜란드 록 뮤지션으로 음악과 비슷한 오페라틱 록을 하는 발렌시아가 있다. [11] 그리고 밴 헤일런 가족들 종교는 모두 로마 가톨릭. 원래 살았던 네덜란드 동부 네이메헌이 남부 지방처럼 가톨릭을 고수한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12] 밴 헤일런 형제와 대학생 때부터 친구였다고 한다. 밴드 초기에 금전적으로도 어느 정도 도움을 줬다고 한다. [13]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뛰어난 보컬리스트이자 기타리스트이기도 하다. 가입 이전에도 솔로 하드록 보컬리스트로 활동하였으며, 솔로곡인 "I Can't Drive 55"도 유명하다. 어니볼 기타 스트링 회사의 엔도서로, 기타 스트링 뒷면에 이름이 박혀있기도 하다. 이 시절 발매된 곡들의 리듬 기타 부분은 거의 새미 해거가 연주하기도 하였다. [14] 유명한 팝 메탈 밴드인 익스트림의 보컬리스트. [15] 허나 매우 유쾌한 사람으로 알려진 마이클 안소니는 사실 밴 헤일런을 마치 자기 것인 듯 인터뷰하는 모습이 종종 나왔기에 비슷하게 처신한 새미 해이거와 같이 탈퇴당했다는 것이 정설. 정확히는 데이빗 리 로스의 복귀를 반대하며 나왔다. [16] 당시 에디와 알렉스 형제는 드럼 키트를 산 돈을 갚기 위해 신문 배달을 하는 처지였는데, 데이비드 리 로스는 지하실까지 달린 으리으리한 대저택에서 살고 있었다. [17] 이중에서 녹음된 몇몇 곡은 Van Halen II에 수록되었다. [18] 제네시스의 스티브 해킷. [19] 당시 아메리칸 하드 락의 대표 주자였던 에어로스미스는 다소 침체기를 겪고 있었다. [20] 5집<3집<4집 순으로 평가가 좋다. 4집은 밴 헤일런의 팬들에게서 숨은 명반으로 불리니 밴 헤일런의 음악에 관심이 있다면 필청할것. [21] 이 당시의 빌보드 핫 100 5주 연속 1위는 지금의 15주 연속 1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1984년 이후 발매된 1980년대 싱글중 5주 이상 빌보드 핫 100 1위를 지킨 곡은 이 곡을 포함해 When Doves Cry와 Like a Virgin 밖에 없다. [22] 1위는 마이클 잭슨의 Thriller가 차지했다. [23] 인터뷰에서 데이비드 리 로스는 자기가 없었으면 반 헤일런 형제는 캘리포니아 어딘가에서 술집 바텐더나 했을거라는 막말을 한 적이 있다. 어릴적 피아노 대회 콩쿠르에 나가서 상까지 탄 밴 헤일런 형제에게는 이런 데이비드의 자뻑이 모욕적인 언사로 들렸을 것이다. [24] 그러나 데이비드 리 로스의 팬들은 이 시기 팝 메탈로 기운 밴 헤일런을 상업화에 찌든 밴드나 "밴 헤이거" 등으로 부르며 멸시한다. [25] 헤이거 본인은 해고당했다고 호소했지만 밴 헤일런 형제는 그가 어디까지나 헤이거 본인의 의사로 탈퇴한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26] 새미 헤이거도 잠시 콘서트를 위해 들어와 있다가 마이클 앤소니의 해고 이후 아들 울프강을 앉힌 것에 대해 에디 형제에게 너희 마이클 앤소니에게 그렇게 대할 수가 있냐면서 편을 들어서 결국은 밴드가 찢어졌다. [27] 이후 슈퍼스트랫이라는 개념에 한 몫 하게 된다. [28] 훗날 이 기타는 EVH와 더불어 최고의 록 기타 모델로 평가받는 뮤직맨 AXIS의 베이스 모델이 된다. [29] 뮤직맨 EVH를 변형한 기타 [30] 요새는 자기 사이트에서 직접 EVH 이름으로 판매도 하고 있다. [31] 2000년대에는 라이센스가 끊겨서 6505+라는 모델명으로 생산되었다. [32] 드릴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음높이를 조절했다고 한다. [33] 브라이언 존슨의 경우 가입 전부터 팬이었을 정도로 AC/DC라는 밴드, 그리고 본 스콧을 존경했기에 훨씬 나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논쟁보다는 본 스콧과 브라이언 존슨 모두를 찬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34] 사실은 '판 할러' 정도로 소리난다. 두번째 이하 음절이 중설모음으로 약화되는데다 끝에 '-en'식으로 철자된 단어의 'n'은 묵음이기 때문이다. [35] 일본쪽 표기(ヴァン・ヘイレン)를 그대로 가져와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막상 음악적인 본진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현지 양반들도 반 헤일런이라고 하면 대부분 알아먹는다. [36] 마찬가지로 일본을 비롯한 다른 동아시아권 국가에서도 새미의 인기가 데이비드보다 더 높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