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5:27:31

스즈키 이치로

이치로 스즈키에서 넘어옴
스즈키 이치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스즈키 이치로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6블루웨이브우승.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1996

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2006 2009

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06 WBC ALL-WORLD TEAM AWAR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F

파일:미국 국기.svg OF

파일:일본 국기.svg OF

파일:미국 국기.svg SS

파일:쿠바 국기.svg 2B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3B

파일:일본 국기.svg 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B

파일:쿠바 국기.svg DH

파일:일본 국기.svg C

파일:쿠바 국기.svg 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4~2000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4~2000년 퍼시픽 리그 수위타자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5년 퍼시픽 리그 최다 타점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5년 퍼시픽 리그 최다 도루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4~1996, 1999, 2000년 퍼시픽 리그 최고 출루율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94~1998년 퍼시픽 리그 최다 안타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선정 20세기 베스트9

외야수

외야수

외야수

유격수

2루수

3루수

투수

1루수
{{{#!wiki style="background-color:#008275; margin : 2px ; border-radius : 3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00264F; font-style: normal ; width:80px ; text-align: center"
포수

파일:2001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2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3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4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5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6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7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8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9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10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c2c56>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시애틀 매리너스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앨빈 데이비스 데이브 니하우스 제이 뷰너 에드가 마르티네즈 랜디 존슨
댄 윌슨 켄 그리피 주니어 루 피넬라 제이미 모이어 스즈키 이치로
펠릭스 에르난데스
}}}}}}}}} ||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Mariners Hall of Fame
시애틀 매리너스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스즈키 이치로 시애틀 명예의 전당.png
스즈키 이치로
鈴木一朗 | Ichiro Suzuki
<colbgcolor=#fff> 헌액 연도 2022년
헌액 순번 10번째
포지션 RF
소속년도 2001~2012, 2018~2019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제이슨 지암비
(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미겔 테하다
(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사사키 가즈히로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에릭 힌스키
( 토론토 블루제이스)

마이클 영
( 텍사스 레인저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J.D. 드류
(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매글리오 오도녜즈
( 시카고 화이트삭스)
매니 라미레즈
( 보스턴 레드삭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매니 라미레즈
( 보스턴 레드삭스)
후안 곤잘레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매글리오 오도녜즈
( 시카고 화이트삭스)
버니 윌리엄스
( 뉴욕 양키스)
개럿 앤더슨
( 애너하임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블라디미르 게레로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매니 라미레즈
( 보스턴 레드삭스)
저메인 다이
( 시카고 화이트삭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매글리오 오도녜즈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카를로스 쿠엔틴
( 시카고 화이트삭스)
조쉬 해밀턴
( 텍사스 레인저스)
그래디 사이즈모어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9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카를로스 쿠엔틴
( 시카고 화이트삭스)
조쉬 해밀턴
( 텍사스 레인저스)
그래디 사이즈모어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토리 헌터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제이슨 베이
( 보스턴 레드삭스)
칼 크로포드
( 탬파베이 레이스)
조쉬 해밀턴
( 텍사스 레인저스)
호세 바티스타
(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201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저메인 다이
( 캔자스시티 로열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닉 마카키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파일:MLB 로고.svg 2006년 메이저 리그 우익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초대 수상자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알렉스 리오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로고.svg 2009~2010년 메이저 리그 우익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프랭클린 구티에레즈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저스틴 업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노마 가르시아파라
( 보스턴 레드삭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매니 라미레즈
(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빌 밀러
( 보스턴 레드삭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마이클 영
(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알폰소 소리아노
( 뉴욕 양키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4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버논 웰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마이클 영
(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6~200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마이클 영
( 텍사스 레인저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더스틴 페드로이아
(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더스틴 페드로이아
( 보스턴 레드삭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9~201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더스틴 페드로이아
( 보스턴 레드삭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아드리안 곤잘레스
( 보스턴 레드삭스)
마이클 영
(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
조니 데이먼
( 캔자스시티 로열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알폰소 소리아노
( 뉴욕 양키스)

파일:MLB 로고.svg 200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커미셔너 역사적 공로상
로저 클레멘스
(2004)
스즈키 이치로 로베르토 클레멘테
(2006)
}}} ||
스즈키 이치로의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MLB 보유 기록[1]
데뷔 시즌 최다 안타 242안타[2]
한 시즌 최다 안타 262안타[3]
최다 연속 시즌 200안타 10시즌[4]
통산 최다 시즌 200안타 10회[5]

NPB 보유 기록[6]
최다 수위타자 7회[7]
1경기 최다 2루타 4개
연속 경기 출루 69경기
연속 타석 무삼진 216타석
}}} ||
스즈키 이치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51번
야기 마사요시
(1988~1991)
이치로
(1992~2000)
준영구결번[8]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1번
랜디 존슨
(1989~1998)
스즈키 이치로
(2001~2012)
결번
뉴욕 양키스 등번호 31번
하비에르 바스케스
(2010)
스즈키 이치로
(2012~2014)
그레고리오 페팃
(2015)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1번
데릭 디트릭
(2013)
스즈키 이치로
(2015~2017)
벤 마이어
(2018)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1번
결번 스즈키 이치로
(2018~2019)
결번
}}} ||
}}} ||
파일:Ichiro Suzuki.jpg
<colbgcolor=#0c2c56> 시애틀 매리너스 인스트럭터
스즈키 이치로
鈴木一朗[9] | Ichiro Suzuki
출생 1973년 10월 22일 ([age(1973-10-22)]세)
아이치현 니시카스가이군 토요야마정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아이치공업대학 메이덴 고교[10]
신체 180cm | 77kg | B형
포지션 우익수[11]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1991년 드래프트 4라운드 ( 오릭스)
소속팀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2~2000)
시애틀 매리너스 (2001~2012)
뉴욕 양키스 (2012~2014)
마이애미 말린스 (2015~2017)
시애틀 매리너스 (2018~2019)
프런트 시애틀 매리너스 구단주 특별 보좌관 (2018~)[12]
지도자 타코마 레이니어스 타격코치 (2019)
시애틀 매리너스 인스트럭터 (2021~)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회 (2006, 2009)
응원가 I'm A Yankee Doodle Dandy[13][14]
가족 형 스즈키 카즈야스, 아내 후쿠시마 유미코(1999년 ~ 현재)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후 경력4. 평가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6. 독특한 타격 매커니즘7. 수상 내역8.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8.1. 그 외 망언 논란과 실상
9. 여담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노력하지 않고 무언가를 잘 해낼 수 있는 사람이 천재라고 한다면, 저는 절대 천재가 아닙니다. 하지만 피나는 노력 끝에 뭔가를 이루는 사람이 천재라고 한다면, 저는 천재가 맞습니다.

천재의 손끝에는 노력이라는 핏방울이 묻어 있기 마련입니다. 제가 일본 최고의 선수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일본에서) 저보다 많이 연습한 선수가 한 명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단 한 번도 저 자신과 맺은 약속을 어긴 적이 없습니다.
스즈키 이치로. "스스로를 천재라고 생각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일본의 전 야구 선수. 성보다는 일본 활동 당시 등록명이었던 '이치로(イチロー)'로 널리 알려져 있다.[15]

1991년 일본프로야구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해 9시즌 동안 NPB를 평정한 뒤, 200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하여 한 시즌 최다 안타[16]를 비롯한 수많은 대기록들을 써내려갔으며 아울러 MLB 역사상 최초로 3000안타-500도루- 골드 글러브 10회 수상[17]을 달성한 선수이기도 하다.[18] MLB 단일 시즌 안타 기록에 이치로가 2004년이 1위, 2001년이 10위에 등극되어 있다.[19] 또한 세계 프로야구 최다 안타[20] 기록과 10년연속 200+ 안타 기록 역시 보유하고 있다.

이런 명성을 바탕으로 ESPN이 선정한 21세기 아시아 스포츠 스타 랭킹 3위에 등극했으며,[21] 시애틀 매리너스 명예의 전당에도 오른 선수이다.

은퇴 5년 후 시점이 되는 2025년에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투표에 입후보 자격을 얻게 되며, 성적과 MLB 한 시즌 최다 안타 기록 갱신으로 따졌을 때는 첫 턴 입성이 거의 확정적[22]이라 역대 최초의 아시아 출신 MLB 명예의 전당 입성 선수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면 시애틀 매리너스의 영구 결번 조건[23]을 충족하므로 MLB 최초의 아시아 출신 영구결번 선수가 될 것이다.[24]

2. 선수 경력

스즈키 이치로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스즈키 이치로/선수 경력
파일:NPB 로고.svg
아마추어 시절 1992~2000년
파일:MLB 로고.svg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12 SEA 12 NYY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은퇴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006 WBC 2009 WBC

3. 은퇴 후 경력

2019년 현역 은퇴 이후 회장 특별보좌라는 직함은 일단 가지고 있었는데, 코로나로 2020년은 아무것도 못하고 놀았고 2021년에는 시애틀 매리너스 회장 특별보좌 겸 인스트럭터로서 다시 시애틀 매리너스에 복귀함으로 장래는 프런트 쪽이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2022년 일본시리즈 오릭스 버팔로즈의 우승을 축하하였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키 이치로/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연도 득표율(%)
2025 .

메이저리그 3000안타 달성, 단일 시즌 최다 안타, 10년 연속 200안타 및 골드 글러브 10회 수상, 신인왕 및 MVP 등의 커리어를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알버트 푸홀스, 미겔 카브레라 등과 함께 명예의 전당 첫 턴 입성이 확실시된다.

첫 후보 등재는 2025년에 예정되어 있다. 입성에 성공할 경우 아시아인 최초의 명예의 전당 입성자가 되며 쓰고 가게 될 모자는 전성기를 보낸 시애틀 매리너스일 것으로 보인다. 등번호인 51번은 현재까지 시애틀에서 결번이며 명예의 전당에 입성할 시 영구 결번이 유력하다.[25]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 그레이잉크 HOF 모니터 HOF 스탠다드
스즈키 이치로 43 142 235 44
HOF 입성자 평균 27 144 100 50
career WAR 7yr-peak WAR JAWS
스즈키 이치로 60 43.7 51.9
우익수 HOF 입성자 평균 71.1 42.4 56.7

6. 독특한 타격 매커니즘[26]


일단 위의 영상을 반드시 볼 것.

타격 매커니즘이 상당히 특이하다. 물론 각자에게 맞는 타격 매커니즘이 있기 마련이고 그렇기에 특이한 매커니즘이 당연히 있을 수 있지만 이치로의 매커니즘은 그 중에서도 상당히 특이한 편으로 꼽힌다. 야구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대개 타격 시에 간결한 스윙을 가져가길 당부하고 퍼져나오는 스윙을 지양하라고 하지만 이치로는 특이하게도 퍼져나오는 스윙을 하고 있다. 즉, 이치로의 타격 이론은 기존의 타격 이론을 완전히 반(反)하는 이론인 것.

위 영상에서도 보이듯이 이치로는 그립 위치를 뒤에 남겨놓는 것이 좋다고 했는데 이렇게 되면 히팅 포인트를 다양하게 가져갈 수 있긴 하지만 스윙이 퍼져나올 수밖에 없다. 그러면 당연히 배트 스피드가 느려질 수밖에 없고 특히 사회인 야구인 같이 근력이 기본적으로 낮은 사람이라면 공을 맞히더라도 배트가 밀려 땅볼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이치로가 이런 스윙으로 메이저리그에서 3000안타를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말 그대로 피나는 노력과 선천적으로 타고난 손목 힘에 기반한 것이다.

이러한 타격 스타일 때문에 하나의 그만의 타격 지론이 있는데 바로 "상대 투수의 가장 느린 볼을 노리고 속구에 대응하는 점이다" 이유는 어떤 리스크에도 대응할 수 있는 타격법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선 선수들마다 상대법이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인 접근법과는 반대이다. 일반적인 경우 느린 볼을 기다리다가 치면 갑작스러운 속구에 손도 못 쓰고 당해버리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2015년 216안타를 기록한 아키야마 쇼고한테 이치로 스타일에 대해서 물어봤더니 "기본적으로 속구를 기다리고 변화구에 대응하는 게 이상적이지 않을까요? 변화구를 기다리다 치면 전 변화구밖에 못 칠 것 같습니다."라고 했다.

그럼에도 이치로는 상대의 브레이킹 볼에 중점을 맞춘다.[27] 그리고 속구는 그의 타격 지론대로 그립위치를 남겨서 타이밍을 맞추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헛스윙 비율이 급감한다고 본인은 생각한다고 한다. 본인이 인터뷰에서 밝히기를 "속구를 노리면 좋은 체인지업이나 스플리터에 손도 못쓰고 당해버리기 때문이다"라는 대답을 했다.

그래서 PD가 "만약에 공이 너무 빨라서 대응 못하면 어떻게 합니까?"라고 하자 이치로는 "스트라이크 존을 지나간다면 못 치는 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 컨디션이 나쁘면 못 치겠지만 노멀(컨디션이 정상)이라면 속구에 못 쫓아간 적은 거의 없습니다. (그립을 뒤로 남기기 때문에)아무리 빨라도 아슬아슬하게 파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단타형 타자들이 보통 배트를 짧게 잡아 컨택에 더더욱 힘을 실어주는 반면 이치로는 특이하게도 슬러거 유형의 타자들처럼 배트의 노브 부분에 새끼 손가락을 걸쳐서 잡는다. 다른 단타 유형의 타자들과는 매우 차별화된 부분이었다.

다만 이렇게 변화구를 노려서 때리는 슬랩히터 유형의 선수가 구위와 구속이 전부 급상승한 그 반작용으로 타자들이 풀히팅으로 배럴을 양산해서 맞부딪히는 현 메이저 판도에서는 통하기 쉽지 않은게 사실이기도 하다. 즉, 이치로가 2011년부터 내리막을 빨리 타게 된 이유엔 단순히 본인의 노쇠화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타격론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정도로 투타간 플레이문화가 많이 달라진 점도 있다. 하지만 사실 당시 이치로는 일반적으로는 거의 은퇴에 가까운 만 38세였기 때문에 언제 급격하게 하향세를 타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긴 했다. 구속의 증가는 매년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왔는데 11년의 하향세는 갑작스러웠던데다가 이후로도 3년 정도는 약간 반등에 성공했으며 또 이치로가 하향세를 타게 된 요인 중 하나로 2010년대초부터 유행탄 극단적 수비시프트를 꼽는다. 특히 이치로같이 좌타자이면서 단타가 많은 유형의 선수가 가장 큰 피해를 본 케이스인데 이 극단적 수비시프트가 이치로가 은퇴 한 뒤인 2020년대초부터 MLB에서 금지를 당해 여러모로 이치로에겐 운이 좋지 않았던 케이스라고 볼수 있다.

7. 수상 내역

7.1. MLB

파일:MLB 로고.svg
스즈키 이치로의 MLB 수상 경력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MVP (200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2001)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10회 (2001~2010)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전 MVP (2007)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골드 글러브 10회 (2001~201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3회 (2001, 2007, 2009)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2회 (2001, 200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도루왕 (200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최다안타 7회 (2001, 2004, 2006~2010)
파일:MLB 로고.svg MLB 커미셔너 역사적 공로상 (2005)

8.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의 야구 경기 중계 방송에서 선수들의 이름이 나올 때 다른 일본 선수들은 후쿠도메, 조지마처럼 성만 나오는데 비해 스즈키 이치로만 이치로라고 이름만 나오는데, 등록명 자체를 이치로로 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스즈키라는 성이 워낙에 흔하기 때문에 오기 아키라 감독이 특이하게 이름을 등록명으로 하길 권했고 이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도 그대로 썼다. 물론 이치로라는 이름도 매우 흔하다.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을 상대로 명성에 걸맞지 않는 부진한(?) 모습을 보여 많은 한국인에게 그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한국에서는 입치로, 입치료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한일전에서는 땅볼만 친 것[28][29][30]으로 봐서 ' 츤데레가 아니냐'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여담으로 이치로의 망언은 일본 대표팀에게 매우 큰 디버프로 작용한다는 특징이 있다.(30년 망언 후의 WBC 1회 대회에서 2연패 등)

파일:16c0bc10e564fc522.jpg
앞으로 30년 동안 일본 야구를 이기지 못하게 해주겠다.
2006 WBC 지역예선 중에 나온 말이다. 사실 이치로가 한 인터뷰 전문은 다음과 같다.
ただ勝つだけじゃなく、すごいと思わせたい。戦った相手が “向こう30年は日本に手は出せないな” という感じで勝ちたいと思う。
단순히 이기는 게 아니라 엄청나다는 생각이 들게 해주고 싶다. 대결한 상대가 "앞으로 30년은 일본의 상대가 안 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기고 싶다.
사실 저 발언은 딱히 한국을 대놓고 비하한 것은 아니고 "우리 일본은 이렇게 강하다." 정도로 가벼운 도발성 멘트를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일본인들은 상대방이 실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릴 때 "너희들이 우리에게 도전하려면 몇 년은 이르다." 같은 표현을 일종의 관용어처럼 사용한다. 한국에서 비슷한 표현 중에 "너 같은건 한 손가락만 쓰고도 이겨" 같은 표현이 진짜 손가락만으로 상대하겠다는 뜻이 아니고 "아이고, 죽겠다"처럼 힘들다는 표현이 진짜로 죽는다는 뜻이 아닌 것과 비슷하다. 그런데 이 말이 한국의 언론을 거치는 과정에서 그 뉘앙스가 왜곡되면서 "30년 동안 한국 야구가 일본을 이기지 못하게 해주겠다."라는 식으로 와전된 것이다. 그리고 김병현은 이치로의 말을 듣고 "그냥 만화를 많이 봐서 그런 말을 하는 것 같은데..."라고 시큰둥하게 반응했다. 게다가 "나도 일본 만화 재미있어서 많이 본다"라는 농담은 덤이었다.
정작 이치로 본인은 이 발언을 한 것에 대해 계속 마음이 걸렸는지, 2012년에 오릭스 버팔로즈에 입단한 이대호한테 인사를 하면서 "한국 팬들이 나를 안 좋아할 것 같다. 아직도 나를 미워하지 않느냐?"라고 질문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대호는 깜짝 놀라서 어떻게 대답을 할지 고민하다가 "승부의 세계니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고 한국인들도 이해해 주실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 말을 들은 이치로는 기분 좋은 듯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31] 그리고 그 대가로 배영수에게 아주 혼쭐이 났다.[32][33][34]
내 야구인생에서 가장 굴욕적인 날.
2006 WBC에서 한국에게 2연패를 당한 뒤. '똑같은 상대(한국)에게 같은 방식으로 연거푸 진 게(역전패) 굴욕이다'라는 뜻이다.[35]
한국을 이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WBC 1회 대회 준결승에서 일본과 한국의 3차전이 성사되자 이치로가 한 말. 한국 대표팀 감독이었던 김인식은 저 말을 듣고 "인생에서 강하게 나가다 보면 자기가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가 많더라"라며 응수했다. 그리고 그 준결승은 우에하라 고지의 호투를 앞세운 일본이 6:0으로 승리, 그대로 일본이 2006 WBC 우승을 차지했다.
없어. 그런 거 없어.
2009 WBC 2라운드 한국전을 앞두고. '한국과 함께 아시아 야구 수준을 높여갈 의식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실제로 그리 답변한지는 알 수 없지만 보도된 바로는 상당히 비아냥거리는 말투(ね~よ)다. 하지만 이 발언은 박동희 기자의 취재에 따르면 현장에 있던 기자들 중 아무도 이 말을 들은 사람은 없었다고 한다. 그냥 이 기사를 올린 산케이 신문 기자의 날조라고 밝혀졌다.
WBC 2회 대회 2라운드 한국과의 경기에서 봉중근의 견제 모션에 슬라이딩을 하는 걸 보고 아래의 망언 논란, 당시 한일전 해설 특유의 반일 감정 등이 겹쳐 '원숭이 조련', '이치로의 굴욕' 등으로 조롱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렇게 귀루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플레이다.[36] 오히려 투수가 빠르게 견제 모션을 취하는데 신경쓰지 않거나 설렁설렁 귀루하는 게 안일하고 잘못된 플레이다. 실제로 이치로를 보나 한국 선수들을 보나 웃음기 없이 담담한 걸 볼 수 있다.( 관련 자료

봉중근의 공은 정말 치기 어렵다고 인정하기도 했다.[37] 실제로 이치로는 2009 WBC에서 봉중근을 상대로 9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38] 하지만 2009 WBC 결승 연장 10회에서 임창용을 상대로 결승 2타점 2루타를 때려내며 일본의 우승의 일등공신이 되었다.

8.1. 그 외 망언 논란과 실상

위와 같은 인터뷰들이 이어지면서 이치로 = 망언 제조기라는 공식이 따라 붙게 되었다. 그 때문에 이후에 인터뷰가 왜곡되어 전해지는 경우가 있다. 말하자면 이치로가 망언을 안 했는데 언론이 했다고 하는 사례들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3년 6월 20일 " 류현진의 공을 눈감고 홈런쳤다." 라고 했다는 기사가 떴는데 이건 전형적인 왜곡 기사다. 우선 산케이스포츠와의 인터뷰를 보자.
「(七回、左前に2点適時打)何もアイデアはなかった。振ったら?たった。(狙い打ったように見えたのは)普段の僕がそう見せているということ。(八回の好捕は)?後ろの打球だったので難しかった。点差があったので(積極的に)いってみようと。そしたらうまく入ったという感じ」
(7회 좌전 2타점 적시타) 아무 생각없이 휘둘렀는데 맞았다. (노려친 것처럼 보인 것은) 평소의 내가 그렇게 보인다는 것. (8회의 호수비는) 바로 뒤로 날아가는 타구여서 어려웠다. 점수차가 있었기 때문에 포구를 적극적으로 가져갔고 그 결과 잘 들어간 느낌.
이다. 여기에선 어디에도 눈을 감고 쳤다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데, 기자가 떡밥을 문 "눈을 감았다"라는 표현은 MLB와의 인터뷰에서 등장한다.
"I haven't changed anything," Suzuki said through a translator. "I haven't done anything different. To be honest, I just closed my eyes and swung."
"바꾼 것 없다". 이치로가 통역사를 통해 말했다. "난 달리 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 그냥 눈을 질끈 감고 스윙했을 뿐이다.'" 원문 출처
하지만 여기서 "closed my eyes"는 표현상 "운에 맡기고 혹은 마음을 비우고" 정도의 뜻이다.[39] 눈을 감고 칠 정도로 쉬웠다는 뜻이 아니라, 치기 힘들 것 같아서 '눈 딱 감고' 스윙했는데 운이 좋아서 칠 수 있었다는 워딩으로 보는 것이 맞다. 오히려 인터뷰 내용은 국내 기자들이 쓴 내용과는 전혀 다른 것. 이렇게 이치로는 또 까입니다. 결국 다른 기자가 나서서 기자를 까는 기사를 올렸다. 거기다 위의 문구는 류현진의 공을 친것에 대한 말이 아니라 파코 로드리게스의 공을 친 것에 대한 말이며, [40] 최근 타격감이 올라온 것에 대한 질문 이었던 거다. [41]

이치로 망언 논란의 시작은 97년 마늘냄새 발언이다. 1997년 10월 31일 인터콘티넨탈 호텔의 한·일 골든시리즈 기자회견에서 양군의 감독 4명(천보성, 김재박, 오오기, 호시노)과 선동열, 이치로, 야마모토, 이종범, 이상훈, 김동수 등이 참여한 기자회견 자리에서 기자가 한국에 대한 인상을 물어보자, "공항에 내리자 마늘 냄새가 진동했다."고 대답한 것이 그 시초이며, 거기에 덧붙인 발언이 "금년('97) 올스타전 때의 일입니다. 선동열 선배와 대결을 하였는데, 마운드에서 뿜어대는 선 선배의 마늘 냄새는 타석에 있는 나를 혼수상태에 빠지게 하여 볼카운트를 잃어버릴 정도였어요."라고 말하였다. 이에 당시 통역을 맡았던 조희준 씨는 "이치로가 농담을 할 의도였다는 부분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는 의사를 몇 차례 밝힌 적이 있다. 기사 일본에선 '~~냄새가 난다'가 장난으로 많이 쓰이는 관용구이기도 하지만 이는 한국인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생각을 하지 않은 경솔한 발언이고, 마늘 냄새 발언은 혐한들이 한국인을 비하하는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한 만큼 이는 큰 실수였다.

정리하자면 예전에 무심코 실언을 내뱉은 것은 사실이고, 이후에 그 일 때문에 까이는 것도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별개로 미쉐린 쓰리스타 쉐프 안성재가 일식당을 그만두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는데, 유명 일식당에서 일하던 그의 앞에서 "한국팀 에 져서 기분이 너무 나쁘다. 한국팀을 죽여버리겠다."라고 이치로가 욕설을 했는데, 이때 기모노를 입고 나막신을 신은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고 자신만의 가게를 만드는 계기가 된다.

9. 여담

파일:이치로부부.jpg
파일:이치로부부2.jpg
* 이치로는 1999년 TBS 아나운서였던 8살 연상 후쿠시마 유미코와 결혼했다. 유미코는 게이오기주쿠대학을 졸업한 인재이며, 유창한 영어로 이치로의 빅리그 진출을 도왔다. 슬하에 자녀는 없다.
파일:27DA1160-C617-4AB7-B987-FC3FC2AB2400.jpg
* 시애틀의 ABC 가맹 지역방송사인 KOMO-TV의 Komo News 4 건물에는 이치로의 타격 사진이 크게 새겨져 있으며 시애틀 시내의 명물 중 하나로 알려져있어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이외에도 시애틀 곳곳에 이치로의 사진이 붙어있는데가 있다.
파일:3E7111B6-DDDE-4214-BB0E-D497982B2DF6.jpg
파일:236A8999-6476-44AF-83A3-25974F39C9C1.jpg 파일:EC0CEA2B-5C03-4173-95AE-A618901D9814.jpg
파일:0003657569_002_20211206025001164.gif
* 2021년 12월 4일 후배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은퇴식에 팬들의 박수 속에서 마쓰자카가 야구장을 한 바퀴 돌며 마지막 인사를 하려는 찰나, 전광판에 이치로가 나타났다. 그리고 1루 더그아웃에서 꽃다발을 들고 깜짝 등장했다. # 꽃다발과 축하 인사만 잠깐 한 뒤 곧바로 퇴장했는데, 스포트라이트가 은퇴식을 하는 후배에게 쏠리게 하기 위해 칼같이 퇴장한 것으로 보인다.

10. 둘러보기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4년 8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마크 테세이라
( 텍사스 레인저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 애너하임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4~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신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조시 타워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8~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CC 사바시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카를로스 페냐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 그 외 나머지 기록은 참조. [2] 종전 기록은 로이드 워너의 1927년 223안타. [3] 2004년 시애틀 매리너스. 종전 기록은 1920년 조지 시슬러의 257안타. [4] 2001년-2010년 시애틀 매리너스. 종전 기록은 1894년-1901년 윌리 킬러의 8년. [5] 피트 로즈와 타이 기록. 단, 이치로는 10년만에 달성했다. [6] 그 외 나머지 기록은 참조. [7] 장훈과 타이기록이다. [8] 이치로가 오릭스를 떠난 후 해당 팀에서 이 번호를 단 선수는 아무도 없다. [9] NPB 등록명은 イチロー 이다. [10] 愛工大名電. 아이치현 지역의 야구 명문고등학교이다. 일본프로야구 200승 좌완투수 쿠도 키미야스가 선배다. '나고야 전기'가 세운 공대. [11] 주 포지션은 우익수이지만 일본 시절이나 메이저리그에서 사정상 간간히 중견수로도 뛰었다. 메이저리그에서는 2007년 풀타임을 포함해서 중견수로 약 330경기 출장. [12] 2018년 5월부터 잠시 선수 현역 생활을 중단하고 프런트로 이동했으나 2019시즌 개막 이전에 현역 선수로 복귀했다. [13] 走れ疾風のように 全速力で 塵巻き上げて 走れイチロー(달려라 질풍과도 같이 전속력으로 모래바람을 날리며 달려라 이치로) [14] 원래 이 응원가는 팀의 대선배격이자 대도였던 후쿠모토 유타카의 응원가였다. [15] 이 등록명을 권유한 건 당시 타격코치였던 아라이 히로마사였다. 스즈키라는 성이 너무 흔해 이름을 등록명으로 권유한 것. 이치로 본인은 이 제안을 처음 들었을 때 난감했다고 한다. 20살이 넘었는데 어린애처럼 이름을 쓰라고 했기 때문. 하지만 이치로는 나중에 미국에서도 ICHIRO라고 등록해 활동했다. [16] 2004년, 262안타. [17] MLB에서 3000개 이상의 안타와 10회 이상의 골드 글러브 수상을 달성한 야수는 이치로를 포함해서 윌리 메이스(3283안타 12GG), 알 칼라인(3007안타 10GG), 로베르토 클레멘테(3000안타 12GG) 단 4명뿐이고, 3000개 이상의 안타와 500개 이상의 도루를 달성한 야수는 이치로를 포함해서 타이 콥(4189안타 892도루), 호너스 와그너(3415안타 722도루), 에디 콜린스(3315안타 744도루), 루 브록(3023안타 938도루), 리키 핸더슨(3055안타 1406도루), 폴 몰리터(3316안타 504도루) 단 7명뿐이다. 참고로 여기에 언급된 모든 선수들은 전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18] 적어도 MLB의 아시아 출신 선수들 중 이치로에 비견되는 선수는 오타니 쇼헤이 외에는 없다. 이치로의 경우 알버트 푸홀스, 미겔 카브레라와 더불어 명예의 전당 첫 턴 입성이 확실시되는 선수이며, 다른 선수들의 경우 한 턴을 버티는 것은 고사하고 입회 후보 추천을 받을 아시아 선수도 얼마 없다. 오직 MLB에서 투타 양면으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자국 후배 오타니만이 이치로와 비교될 수 있다. 오타니는 만장일치 MVP 3회, MLB 양대리그 MVP와 홈런왕이라는 독보적인 기록을 세웠기에 충분히 이치로와 비교될 만 하다. 여전히 누적은 이치로가 앞서지만 그 격차가 많이 좁혀진 상태이며, 오타니의 4+년은 야구사에서도 길이 남을 퍼포먼스로 인식된다. 일례로 샌디 코팩스의 사례처럼 압도적인 고점과 임팩트로 부족한 누적을 상쇄하는 케이스도 존재하기에 현재까지의 퍼포먼스가 이어진다면 충분히 넘을 수 있다. [19] 심지어 나머지는 쳐주라고 던지는 베팅볼을 던지던 1900년대 초반의(정확히 말하면 라이브볼 시대가 갓 시작했을 당시 타신투병 시즌들의) 기록이기 때문에 현대 야구에서는 범접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셈이다. [20] NPB+MLB합산 [21] 1위 매니 파퀴아오, 2위 야오밍. 오타니 쇼헤이는 9위로 선정되었다. [22] 게다가 쓰고 갈 모자도 시애틀 매리너스로 확정적인 데다가 득표율도 90%는 아득히 넘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언론에서는 이치로의 명예의 전당 입성에 대해 반대표를 던지는 자는 투표권을 빼앗아야 한다고 할 정도로 명예의 전당 만장일치 입성이 당연하다는 논조가 강하다. [23] 시애틀에서만 뛴 선수가 명예의 전당 후보에 이름을 올리거나 시애틀에서 10년 이상 뛴 선수가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것. [24] 이치로 이전 51번을 달았던 랜디 존슨이 이미 첫 턴으로 입성했기에 51번은 공동 영구 결번이 될 것이다. [25] 이치로 이전에 51번을 쓴 랜디 존슨 역시 시애틀에서 제1의 전성기를 보냈으며 시애틀 구단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기에 이치로와 함께 결번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이치로의 시애틀 입단 이전에도 랜디의 51번은 준 영구결번이나 마찬가지였으며, 이치로가 랜디에게 51번의 명예를 더럽히지 않겠다는 편지를 보내고 그의 허락을 얻어 51번을 달 수 있었다. [26] MLB 시절 기준으로 위의 설명에서도 나오듯이 NPB 시절과는 타격 메커니즘이 다르다. 물론 NPB에서도 타격 메커니즘은 특이한 케이스였다. [27] 변화구 공략에 중점을 두었던 강타자들이 없는 건 아니었는데 행크 아론이 대표적이다. 아론 역시 무지막지한 손목 힘에서 나오는 어마어마한 배트 스피드와 속구 대응력으로 유명했다. [28] 물론 이것은 과장이다. 이치로는 2009 WBC 결승 한일전에서 그야말로 맹활약하며 일본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그 외의 경기에서는 땅볼 타구 비율이 높기는 했지만 이를 액면 그대로 정말 땅볼만 쳤다고 받아들이면 곤란하다. [29] 이치로의 타격 자체가 컨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MLB 기록에서도 내야 안타 비율이 다른 선수들에 비해 상당히 높다. [30] 실제로 이치로는 2009 WBC 당시 봉중근에게만 9타수 1안타로 매우 부진했다. 그러나 결승에서 봉중근이 내려간 뒤 불펜 투수들에게 3타수 3안타 결승 2타점까지 뽑아내며 일본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역대 WBC의 명장면을 꼽을 때 결승전 10회초 임창용을 상대로 터트린 결승 2타점 2루타는 아직도 회자될 정도로 굉장한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그리고 당시 결승 자체가 게임 내용이 박진감이 넘쳤고 워낙 명경기인지라 그 끝을 맺는 결승타를 터트린 이치로는 당연스럽게 히어로가 될 수밖에 없었다. [31] 《스포츠동아》, 이대호 “이치로, 내 이름 외치며 환대 깜짝” [32] 후에 인터뷰를 통해서 구대성이 배영수한테 "화나는데 그냥 몸에 맞혀라"라고 이야기했고 고의로 몸에 맞는 공을 던졌다고 고백했다. 이치로의 발언 의도의 진위가 어쨌든 반칙을 한 것도 아닌데 고의로 몸에 맞는 공을 던진 행동이 잘한 것은 아니라는 견해가 있지만, 이것을 그저 몰지각한 행위라고 무작정 비판하는 것도 곤란하다. 배영수가 이치로를 맞힌 경기에서 이미 일본 선발 와타나베 슌스케가 2회 조인성 이종범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졌고, 5회에 이종범을 재차 맞히며 총 세 번 한국 타자들을 맞혔다. 그러다 보니 한국 측에서도 우리 타자들을 더 이상 맞히지 말라는 의미로 일본 타자에게 공을 맞히려 했을 것이고, 마침 당시 30년 발언이 곡해되어 빈축을 사던 이치로가 일본 타자들 중 표적이 되었던 것이다. 이치로를 맞힌 것은 한국 타자들이 세 차례 맞은 후인 7회이다. 그러므로 구대성이 이치로에게 단순히 화가 났거나 이치로를 싫어해서 배영수에게 맞히라고 지시한 것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단기전에서는 우리 팀 에이스가 맞으면 빈볼이든 아니든 상대 팀 에이스를 맞혀 더 이상 우리 팀 타자들을 맞히지 말라는 의미로 빈볼을 되돌려주는 관례 아닌 관례가 있다. 더군다나 우리 타자가 세 번이나 맞은 것이 선행되었기에 당일 일본의 에이스이자 국민 영웅이던 이치로가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언론이나 관계자의 비판 기사나 항의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야구계의 관례와 단기전의 기싸움 측면에 입각해서 구대성은 몸에 맞는 공 지시를 내린 것이고 30년 발언이 그 사유였다는 것은 그에 더해지는 표면의 사유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구대성과 배영수를 상대 선수의 단순한 인터뷰 입씨름에 집착해서 물리적으로 피해를 준 몰지각하고 동료 의식과 스포츠맨십이 결여된 선수라고 무작정 비판할 수는 없다. [33] 이는 스톡킹에서 나온 봉중근의 발언에서 더욱 확실해지는데, 봉중근은 당시를 회상하며 경기 중 불펜에서 구대성이 불펜 투수들에게 "야, 이치로 나오면 무조건 맞혀. 내가 뒤는 막아줄게. 상금은 10만 엔."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곧장 봉중근이 제가 맞히겠다고 자처하였으나 구대성이 "넌 됐어. 125km/h 가지고 맞아봤자 안 아파. 네 공은 느려서 안 아프니까(...) 공 빠른 영수가 나가서 맞혀라"라고 발언했다고 한다. 실제 당일 경기 계투진은 봉중근 - 배영수 - 구대성 - 박찬호 순으로 마운드를 이어받았으므로 배영수의 몸에 맞는 공은 경기 중에 논의되어 실행된 것이며, 이를 통해 볼 때 한국 타자들이 세 번 맞은 후 이치로를 향한 빈볼이 행해졌기에 정상 참작될 여지가 있다. [34] 또한 경기 시작 전에 미리 계획한 일이 아니라는 것은 배영수의 인터뷰에서도 확실해졌다. 경기 중에 데드볼을 돌려주는 기싸움 측면에서 이뤄진 이유도 있기에 여러모로 단순히 이치로의 발언 때문으로만 이치로를 맞혔다고 보기는 어렵다. 당시 배영수의 인터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호히) 일부러 그런 것 맞습니다. 실은 그때 덕아웃에서 구대성 선배님이 '이치로한테 한번 줘라. (봉)중근이가 때리면 별로 안 아프니까 (공 빠른) 영수 니가 넣어라' 하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선배님 (승부도 박빙인데) 맞히면 어찌합니까'라고 하니까 구대성 선배님이 '뒷처리는 내가 한다'고 답하시더라구요. 제가 이치로 맞히고 내려오니까 그 다음에 구대성 선배님이 등판해서 다 틀어막으면서 싹 정리를 하셨습니다. 그거 보고 전 정말 존경의 마음이 들었습니다. 선배님의 배짱은 대한민국 최고!." [35] 《중앙일보》, 이치로 "야구인생 최대 굴욕" [36] 특히 봉중근처럼 견제 동적이나 퀵 모션이 빠른 투수라면 더더욱 그렇다. [37] 2009년에 방영된 무릎팍도사 허구연 편에서 허구연이 밝혔다. 당시 이치로는 허구연에게 "정말 한국 야구 무섭다. 겁난다. 자신이 없다.", "봉중근은 스니키 패스트볼이라서 공을 알고도 못 치겠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치로 본인도 한국 야구를 상당히 인정하고 있었다는 것. 재미있는 점은 봉중근이 가장 존경하는 선수가 바로 이치로이며, 실제로 이치로의 등번호인 51번을 달고 뛰었다는 점이다.(봉중근은 원래 타자였으나 투구하는 모습을 보고 투수로 전향하였다. 그 때문에 국제 대회에서 구르고 팀에서도 자주 굴렀지만 원래 타자였던 탓에 뒤늦게 과부하가 온 케이스다.) [38] 정확히는 1라운드 순위 결정전 3타수 무안타, 2라운드 승자조 경기 3타수 무안타, 결승전 3타수 1안타였다. [39] close eyes 에 정립된 뜻이나 속어적인 의미는 없다. close eyes to 나 with eyes closed 에는 있지만. [40] http://news1.kr/articles/?1183858 [41] 참고로 반박기사를 올린 사람은 한화 이글스 류현진을 담당하는 이상학기자로 다른 기자들과 달리 개념있는 기사를 쓰는걸로 유명한 기자다. [42] 류현진을 상대로 양키스 시절 홈런을 친적이 있다. 이때 류현진의 상대 선발투수이자 경기 승리투수는 구로다 히로키였다. [43] 마에다는 2013년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44] 이건 이치로의 선배였던 키요하라 카즈히로도 파벌을 만들면서 악행을 저질렀는데 그나마 이치로는 키요하라와는 다르게 심각하게 문제가 된편은 아니었다. 오히려 스즈키 이치로가 키요하라 파벌에 혀를 내두를 정도였으니... [45] 마이너리그 리햅을 뛸 때 아들뻘인 히스패닉 꼬맹이 동료가 홈런을 치자 스페인어로 축하해줬다는 훈훈한(?) 증언도 있다. [46] 원문은 "Kansas City in August is hotter than two rats fucking in a wool sock (8월의 캔자스 시티는 면양말안에서 씹질하는 쥐 두마리보다도 더 뜨겁다)." [47] 과거 2002년 월드컵 당시 국내에서 엄청난 인기를 구사하던 한국 대표팀 선수들에 대한 유머가 마구 돌아다녔던 것이랑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이중에는 아직도 진짜라고 사람들이 믿는 출처 불명의 유머들도 많다. [48] 본래 메이저리그 경기수는 총 162경기다. [49] 통계상 평균으로 매경기 멀티히트 이상을 쳤다는 것이다... [50] 참고로 2020시즌이 종료된 시점에서 mlb 양대리그 최다안타 1위는 트레이 터너가 기록한 78개이다. [51] 오늘도 졌다를 제작한 사람이다. 야빠. [52] 다만 이치로의 말에 따르면 "유부녀인 줄은 몰랐으며 남편에게 지불한 돈은 도리상 지불하였다"고 한다. [53] 유학생 쪽에서 테이프를 녹화하여 주간지에 팔아넘겼다고 한다. [54] 통산 1002경기에 등판해 59승 51패 407세이브 82홀드 평균자책 2.31을 기록했고, 또한 최다 등판, 최다 세이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55] 이는 봉중근 본인도 아쉬워 하는 사항이다. [56] 사실 파워프로나 프로스피 시리즈의 OB 능력 책정 자체가 선수 커리어 중 가장 좋았던 시기의 성적을 반영하는게 일반적이다. 일례로 장훈의 데이터는 타율 .383을 쳤던 1970년, 오치아이 히로미츠는 3관왕을 차지했던 1985년 기준이다. [57] 94mph가 나왔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트위터에서 마치 94mph처럼 보였다는 말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58] 만 27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