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
주니치 드래곤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감독 | 89 이노우에 카즈키 |
1군 |
76
오츠카 아키노리 (투수코치) · 83
야마이 다이스케 (투수코치) — 마츠나카 노부히코 (타격코치) · 80 오다 코헤이 (포수코치) 71 도노우에 나오미치 (내야수비·주루코치) · 79 오니시 다카유키 (외야수비·주루코치) |
|
2군 |
오치아이 에이지 (2군감독) · 82
아사오 타쿠야 (투수코치) 78 모리노 마사히코 (타격코치) · 84 후쿠다 노부마사 (타격코치) · 72 오노 쇼타 (포수코치) 81 모리코시 유토 (내야수비·주루코치) · 87 나카무라 유타카 (외야수비·주루코치) · 85 와타나베 히로유키 (육성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마쓰나카 노부히코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1999 | 2003 | 2011 | 2014 |
1996 애틀랜타 올림픽 {{{#8c8c8c 은메달}}}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 반지}}} |
2006 |
오치아이 히로미츠 ( 롯데 오리온즈, 1985년, 1986년) 랜디 바스 ( 한신 타이거스, 1985년, 1986년) |
→ |
마쓰나카 노부히코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2004년) |
→ |
무라카미 무네타카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2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니시자와 미치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래리 패리쉬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짐 파쵸렉 한신 |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조지 아리아스 한신 |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크레이그 브라젤 한신 |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토니 블랑코 DeNA |
마우로 고메즈 한신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호세 로페즈 DeNA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제프리 마르테 한신 |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카와이 코조 한큐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오카모토 켄이치로 한큐 |
스탠리 하시모토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키 타카시 킨테츠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에노모토 키하치 오리온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카토 히데지 한큐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카토 히데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온 리 롯데 |
사카기바라 준이치 닛폰햄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부머 웰즈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리처드 데이비스 킨테츠 |
부머 웰즈 한큐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부머 웰즈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짐 트레버 킨테츠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훌리오 프랑코 롯데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훌리오 줄레타 소프트뱅크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
이대호 오릭스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타 쇼 닛폰햄 |
긴지 라쿠텐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나카타 쇼 닛폰햄 |
브랜든 레어드 롯데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톤구 유마 오릭스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레론 리 롯데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레론 리 롯데 |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트로이 닐 오릭스 |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프랭크 볼릭 롯데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터피 로즈 오릭스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이대호 소프트뱅크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 |
[br] 2006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베스트 나인 |
2004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1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 ||||
후쿠우라 카즈야 ( 치바 롯데 마린즈) |
→ |
마쓰나카 노부히코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 |
후쿠우라 카즈야 ( 치바 롯데 마린즈) |
2004, 2006년 퍼시픽 리그 수위타자 |
2004, 2005년 퍼시픽 리그 최다 홈런 |
2003~2005년 퍼시픽 리그 최다 타점 |
2004년 퍼시픽 리그 최다 안타 |
2004~2006년 퍼시픽 리그 최고 출루율 |
보유 기록(NPB) | |
3년 연속 120타점 | 2003~2005년 |
{{{#ff6b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등번호 26번}}} | ||||
야마자키 켄이치 (1994~1996) |
→ |
마쓰나카 노부히코 (1997~1999) |
→ |
마토바 나오키 (2000~2009) |
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번 | ||||
요시나가 코이치로 (1998) |
→ |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0~2015) |
→ |
마쓰다 노부히로 (2017~2018) |
}}} ||
<colbgcolor=#003595><colcolor=#fff> 주니치 드래곤즈 No. | |
마츠나카 노부히코 松中信彦 | Nobuhiko Matsunaka |
|
생년월일 | 1973년 12월 26일 ([age(1973-12-26)]세)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출신지 | 구마모토현 야츠시로시 |
학력 | 야츠시로제일 고교 (구마모토) |
신체 | 183cm, 97kg |
포지션 | 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입단 | 1996년 드래프트 2라운드 (다이에)[역지명] |
소속팀 | 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 (1997~2015) |
지도자 |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즈[2] 감독 겸 단장 (2020) 치바 롯데 마린즈 임시타격코치[3] (2021) 주니치 드래곤즈 1군 타격코치 (2025~) |
등장곡 | EXILE - Fly Away |
응원가 | [구단자작곡] |
[clearfix]
1. 개요
전 일본프로야구 선수. 다이에 시절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만 뛴 호크스를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플레이어이다. 2020년 시점까지 일본 프로야구 최후의 타격 트리플 크라운 타이틀 보유자이며, 헤이세이 시대에 타격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유일한[6] 선수이다. 또한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유일하게 3년 연속 120타점(2003 ~ 2005년) 기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화려한 전성기에도 불구하고 2006년 NPB 일본인 선수로서는 사상 최장기간인 7년의 장기계약을 맺은 뒤로는 먹튀라 불러도 할말없을 극심한 기복을 보여줘 끝이 좋지 않게 호크스를 떠난 선수이기도 하다.
야나기타 유키가 2010년대 중반 이후 호크스의 대표 타자였다면 마츠나카는 2000년대 초중반 호크스를 대표하는 타자였다.
2. 선수 경력
구마모토현에 위치한 야츠시로 제일고교를 졸업하고 사회인야구팀인 신일본제철 기미쓰에 입단하였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야구 결승전에서 쿠바를 상대로 동점 만루 홈런을 기록했지만 팀이 패배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림픽을 마치고 드래프트에 참가해, 당시 존재하던 역지명제도를 통해 올림픽 대표팀 동료이던 이구치 타다히토와 함께 대형 야수 유망주 듀오로 다이에 호크스 유니폼을 입는다.[7]1997년 신인 첫 해에는 나무배트 적응[8]에 애를 먹으며, 1군 20경기 출장, 홈런 0, 타율 .209에 그친다. 1998년에는 1군 34경기 출장, 프로 데뷔 홈런을 포함해 3홈런을 기록했다.
1999년에는 본격적으로 1루수 주전으로 정착했다. 23홈런을 기록하며 팀의 퍼시픽리그 우승과 1999년 일본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9] 그리고 9월에 서울에서 열린 시드니올림픽 아시아예선에도 참가해 일본의 올림픽티켓에 힘을 보탠다[10]
2000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전성기에 돌입. 데뷔 첫 타율 3할 이상을 기록했고 2년 연속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2000년 일본시리즈에서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2승 4패로 패배했다. [11] 타율 .312, 33홈런, 106타점으로 시즌 MVP에 선정되었다.
2001년에는 타율 .334, 36홈런, 122타점을 기록. 44홈런을 친 4번 고쿠보 히로키, 30홈런 타자인 조지마 겐지와 이구치 타다히토 등과 함께 203개의 팀홈런을 합작했다. 하지만 리그 우승은 다이에보다도 더 막강한 클린업을 자랑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에 내주었다.
2002년에는 호크스 구단 통산 6500호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퍼시픽리그 타고투저가 잠시 완화된 영향이 겹치면서 타율 .260, 28홈런, 83타점으로 전년도보다 성적이 떨어졌다.
2003년에는 시범경기에서 시즌 아웃 부상을 입은 고쿠보의 4번타자 자리를 차지하여 타율 .324, 30홈런, 123타점을 기록했다. 123타점은 본인의 첫 타격 타이틀이다. 팀은 이구치 타다히토-마쓰나카- 조지마 겐지- 페드로 발데스의 '100타점 4중주'가 고쿠보의 부상 공백이 무색하게 장타를 가동했으며 무라마츠 아리히토, 가와사키 무네노리, 시바하라 히로시 등의 똑딱이들과 시즌 도중 영입된 훌리오 줄레타도 불을 뿜으며 팀타율 기록을 세웠고, 여기에 기존의 불안 요소이던 선발진에도 사이토 카즈미- 스기우치 도시야- 와다 츠요시- 아라카키 나기사 등의 영건들이 자리잡으며 파리그를 제패하고 2003년 일본시리즈에서도 옆 리그에서 센세이션을 일으킨 호시노 센이치 감독의 한신 타이거즈를 무찌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은 커리어 하이를 달성. 오프시즌의 고쿠보 히로키 무상 트레이드와 시즌 도중 이루어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해체, 이에 반발한 선수회의 파업 등으로 폭발한 퍼시픽 리그 존속 위기 등이 불거지며 팀 안팎이 어수선해진 상황에서도 팀의 주장으로서 선수단의 중심을 잡으며 .358 .464 .715 (OPS 1.179) 44홈런 120타점 118득점 171안타 84볼넷(67삼진)이란 공포의 스탯을 찍었다. 트리플 크라운 + 최다안타왕, 최고출루율, 득점왕 등을 차지했으며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 MVP 등 도루왕 빼고 타자로 탈 수 있는 정규시즌 상은 죄다 수상하는 최고의 활약을 보였다. 팀은 정규시즌 리그 1위를 차지했지만 이 해부터 도입된 플레이오프에서 이토 츠토무 감독이 이끄는 2위팀 세이부 라이온즈에 패배해 2004년 일본시리즈 도전은 실패했다.
소프트뱅크에 팀이 매각된 원년인 2005년에는 무릎부상 우려 때문에 주로 지명타자로 출전했으며 46홈런을 치며 2년 연속 홈런왕, 3년 연속 타점왕을 차지했다. 그리고 이 해 일본프로야구 최초가 되는 3년 연속 120타점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에 2006년에는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장 다년 계약인 7년짜리, 보장 연봉 5억에 옵션 포함 추정 총액 45억엔의 계약을 맺는다. 이는 2022년 콘도 켄스케의 7년 50억엔[12]이 나오기 전까지 최고금액이다.
2006년 제1회 WBC에 출전해 준결승전에서 한국의 전병두를 상대로 2루타를 기록했다. 이 해 2년 만에 타격왕 자리에 복귀하지만 홈런이 19개로 크게 감소하며 이후의 불안을 암시했다. 2007년에는 타율 0.266, 15홈런, 68타점으로 크게 부진했으나 2008년에는 3년만에 20홈런 이상을 기록했고 통산 300호 홈런도 기록했다. 2009년에는 통산 1,000타점과 1,500안타를 기록했으며 시즌 종료 후 무릎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2010년에는 무릎과 손목의 부상과 타격 부진이 겹쳐 12년만에 100경기 이하 출전했으며 규정타석도 채우질 못했다. 시즌 후 계약 갱신 시 무려 50%(2억엔)나 삭감된 연봉 제시를 받아들였다.
2011년 부상의 여파와 저반발 통일구 도입, 경쟁자 우치카와 세이이치의 등장으로 역시 부진했다. 그래도 팀의 주축 지명타자로 활약하며 8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함께한다.
2012년 1군 65경기 출장, 4홈런, 타율 .221을 기록했고 연봉은 1억 3000만엔이나 감소한 7000만엔으로 조정된다. 2013년에는 기용방법에 불만을 품고 수뇌진에 불만을 표시했다가 2군으로 강등되었다. 1군에선 불과 9경기 출장 그리고 데뷔 시즌 이후 최초 0홈런을 기록한다. 2014년은 타격폼 개조까지 하는 노력끝에 1군에 이름을 올렸으나, 1군 33경기 출장 타율 .111, 0홈런, 4타점으로 부진.
2015년은 1군 9경기 출장 타율 0.067, 1안타, 1타점. 3년 연속 시즌 0홈런을 기록했다. 소프트뱅크와 계약이 종료되면서 다른 구단들을 통해 현역 연장을 모색했지만 오퍼가 없었고 2016년 3월 1일, 은퇴를 선언했다.
3. 지도자
은퇴 후 해설자 등의 활동을 하며 한동안은 현장에 오지 않다가 2019년 9월 독립리그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즈의 감독 겸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카가와에서 1시즌을 보낸 후 2021년 스프링캠프 임시타격코치로 치바 롯데 마린즈에 부임했으며, 정규 시즌에도 타격코치를 맡는 것으로 계약이 연장되었다. 시즌 후 계약만료로 퇴단.2024시즌 종료후 주니치 드래곤즈 타격코치를 맡는다고 기사가 나왔다.
4. 플레이 스타일
팀 선배 고쿠보 히로키가 전형적인 어퍼스윙으로 홈런을 날리던 것과 달리, 마쓰나카는 레벨 스윙에 가까우면서도 배트를 공 아래로 가게 함으로써 역회전 스핀을 주는 방법으로 장타를 날렸다. 몸쪽 공 대응 능력이 좋아 나카이 마사히로와 인터뷰 당시 몸에서 30cm 정도의 거리에 기둥을 세운 상태에서 거기에 전혀 건드리지 않고 풀 스윙을 해 보였다. 또한 좌타자임에도 좌투수에 약하지 않았고, 홈런 타자임에도 삼진이 적고 시즌 100 삼진 이상을 기록한 적이 없는 완성형 타자였다.
하지만 장기계약 이후에는 잦은 잔부상에 시달리며 기복 있는 모습을 보였고 빠르게 기량이 쇠했다.
5. 여담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 획득 당시 팀동료들 또한 화려하다. 후쿠도메 고스케, 이구치 다다히토, 다니 요시토모, 이마오카 마코토 등등.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결정전 한국전, 2006년 WBC 본선 한국전 모두 9회에 구대성을 상대로 안타를 치면서 추격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2경기 모두 역전에 실패하고 패배한다.[13]
2004년 당시에도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며 아테네 올림픽 발탁에의 기대를 높였지만, 당시 팀당 2명 차출의 조건에 묶여 대표팀에 입성하지는 못한다.[14] 참고로 마쓰나카를 대신해 차출된 다이에 호크스 팀동료는 와다 츠요시와 조지마 겐지이다.
괌에서 개인 훈련 당시, 선동열 감독이 지휘봉을 잡던 삼성 라이온즈의 스프링캠프에 방문하여 오승환와 조우한 적이 있다.
2024년 이대호의 유튜브에 출연해 오랜만에 이대호랑 인사를 나눴다.
다이에 입단 당시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까지는 다소 호리호리한 체형이었으나 벌크업을 통해 체구가 커졌다. 다이에 시절 벌크업과 함께 왠지 머리카락도 함께 빠지며 우타의 와다 카즈히로와 함께 당대 퍼시픽리그를 대표하는 탈모 강타자의 좌타라인을 맡기도 했다는 슬픈 사연도 있다.
장남이 핸드볼 선수를 한 계기로 핸드볼 리그 엠버서더등을 활동 하다가 2023년에 일본 핸드볼협회 이사로 취임했다.
6.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지명]
[2]
독립리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소속 팀이다.
[3]
원래는 스프링캠프 때만 코치를 맡기로 했으나 2021 정규시즌까지 코치를 하는 것으로 연장계약을 맺었다.
[구단자작곡]
この一打で たたみかけろ それ今叩け力入れ ボールを飛ばせ 이 한 방으로 활짝 게개 해라 그래 지금이다 쳐라 힘을 실어서 볼을 날려라
[5]
일본에서 마쓰나카를 소개할 때 거의 항상 따라붙는 별칭이다.
[6]
헤이세이가 시작된 1989년 ~ 2018년 시즌까지 마쓰나카 외에 타격3관왕을 달성한 선수는 없었고 2019년에는 연호가 바뀌었기 때문에 타이틀 수상 시점에서는 이미 헤이세이가 아니다.
[7]
당시 다이에는
네모토 리쿠오 GM 주도 하에 매우 공격적인 스카우팅 전략으로 유망주들을 수집 중이었다.
[8]
강혁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 90년대에는 성인 무대의 아마추어/실업 야구라도 알루미늄 배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9]
다이에의 전신인 난카이 시절부터 이어오던 B클래스 비밀번호행진에 종지부를 찍었다.
[10]
이듬해 올림픽 본선에도 참가했다.
[11]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과 오 사다하루 감독의 맞대결로 화제를 모은 매치업이었다.
[1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
[13]
대신 2006년
WBC 준결승 한국전은 승리한다.
[14]
당시 일본리그는 올림픽기간 중에도 리그중단 없이 시즌을 강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