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1:17:27

타이론 우즈

타이론 우즈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 (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 (3) (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 (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 (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 (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발라조빅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니퍼트 (5)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제러드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빈 파일:미국 국기.svg
해치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브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은퇴식 특별 엔트리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타이론 우즈의 KBO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1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신설 전 양세종
OB 베어스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박승호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형석
OB 베어스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로마이어
한화 이글스
우즈
두산 베어스
양준혁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기태
SK 와이번스
김재현
SK 와이번스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홍성흔
두산 베어스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병규
LG 트윈스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김태균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박용택
LG 트윈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양의지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22 2023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시상식 로고.svg KBO 리그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ba628>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투수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포수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투수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투수· 내야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rowcolor=#dba628>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투수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rowcolor=#dba628>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내야수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상호
OB 베어스 / 외야수
구대성
빙그레 이글스 / 투수
<rowcolor=#dba628>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우즈
OB 베어스 / 내야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포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rowcolor=#dba628>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투수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rowcolor=#dba628>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투수
김광현
SK 와이번스 / 투수
김상현
KIA 타이거즈 / 내야수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내야수
윤석민
KIA 타이거즈 / 투수
<rowcolor=#dba628>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테임즈
NC 다이노스 / 내야수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김재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투수
로하스
kt wiz / 외야수
미란다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페디
NC 다이노스 / 투수
김도영
KIA 타이거즈 / 내야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4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svg 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유동
OB 베어스 / 외야수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유두열
롯데 자이언츠 / 외야수
-[a] 김정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 외야수
문희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장채근
해태 타이거즈 / 포수
1992 1993 1994 1995 1996
박동희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김민호
OB 베어스 / 내야수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구대성
한화 이글스 / 투수
퀸란
현대 유니콘스 / 내야수
우즈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지명타자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2007 2008 2009 2010 2011
김재현
SK 와이번스 / 지명타자
최정
SK 와이번스 / 내야수
나지완
KIA 타이거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정수빈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한동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양의지
NC 다이노스 / 포수
박경수
kt wiz / 내야수
2022 2023 2024
김강민
SSG 랜더스 / 외야수
오지환
LG 트윈스 / 내야수
김선빈
KIA 타이거즈 / 내야수
[a]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인한 한국시리즈 미개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홈런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7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3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1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30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28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35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41개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8개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25개
김상호
OB 베어스 / 25개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30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2개
우즈
OB 베어스 / 42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4개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40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9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47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6개
박경완
SK 와이번스 / 34개
서튼
현대 유니콘스 / 35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26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31개
김태균
한화 이글스 / 31개
김상현
KIA 타이거즈 / 36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44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30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1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7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2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3개
테임즈
NC 다이노스 / 40개
최정
SK 와이번스 / 40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 46개
김재환
두산 베어스 / 44개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 33개
로하스
kt wiz / 47개
최정
SSG 랜더스 / 35개
<rowcolor=#fff> 2022 2023 2024
박병호
kt wiz / 35개
노시환
한화 이글스 / 31개
데이비슨
NC 다이노스 / 46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타점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69타점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74타점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80타점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 85타점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74타점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76타점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89타점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 85타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91타점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14타점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19타점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91타점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87타점
김상호
OB 베어스 / 101타점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108타점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14타점
우즈
OB 베어스 / 103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3타점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115타점
우즈
두산 베어스 / 113타점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26타점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44타점
이호준
SK 와이번스 / 112타점
서튼
현대 유니콘스 / 102타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88타점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101타점
가르시아
롯데 자이언츠 / 111타점
김상현
KIA 타이거즈 / 127타점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33타점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18타점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05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17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24타점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146타점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44타점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러프
삼성 라이온즈 / 124타점
김재환
두산 베어스 / 133타점
샌즈
키움 히어로즈 / 113타점
로하스
kt wiz / 135타점
양의지
NC 다이노스 / 111타점
<rowcolor=#fff> 2022 2023 202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13타점
노시환
한화 이글스 / 101타점
오스틴
LG 트윈스 / 132타점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82c6b>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 KBO 올스타전
역대 미스터 올스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용희
롯데 / 동군
신경식
OB / 동군
김용희
롯데 / 동군
김시진
삼성 / 동군
김무종
해태 / 서군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김종모
해태 / 서군
한대화
해태 / 서군
허규옥
롯데 / 동군
김민호
롯데 / 동군
김응국
롯데 / 동군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성한
해태 / 서군
이강돈
빙그레 / 서군
정명원
태평양 / 서군
정경훈
한화 / 서군
김광림
쌍방울 / 동군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유지현
LG / 서군
박정태
롯데 / 동군
박정태
롯데 / 드림
송지만
한화 / 매직
우즈
두산 / 동군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박재홍
현대 / 서군
이종범
KIA / 서군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홍성흔
두산 / 동군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안치홍
KIA / 웨스턴
홍성흔
롯데 / 이스턴
이병규
LG / 웨스턴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황재균
롯데 / 이스턴
전준우
롯데 / 이스턴
박병호
넥센 / 웨스턴
강민호
롯데 / 드림
민병헌
두산 / 드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정
SK / 드림
김하성
넥센 / 나눔
한동민
SK / 드림
양의지
NC / 나눔
-[a]
2022년 2023년 2024년
정은원
한화 / 나눔
채은성
한화 / 나눔
최형우
KIA / 나눔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82c6b>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 KBO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삼성 / 동군
김기태
쌍방울 / 동군
마해영
롯데 / 동군
심재학
LG / 서군
박재홍
현대 / 서군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양준혁
삼성 / 동군
박재홍
현대 / 드림
우즈
두산 / 드림
양준혁
LG / 서군
브리또
삼성 / 동군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동주
두산 / 동군
박용택
LG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이택근
현대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박재홍
SK / 동군
이대호
롯데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박정권
SK / 이스턴
김태균
한화 / 웨스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이승엽
삼성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황재균
롯데 / 드림
히메네스
LG / 나눔
로사리오
한화 / 나눔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대호
롯데 / 드림
로맥
SK / 드림
양의지[a]
NC / 나눔
-[b] 이대호
롯데 / 드림
2023년 2024년
채은성
한화 / 나눔
오스틴
LG / 나눔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됨에 따라 언택트 올스타전으로 진행.
[b]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1731> 파일:KBO 40주년 레전드 TOP4 로고.svg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다 득표자 TOP 4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tablebgcolor=#061731><tablewidth=100%>
파일:KBO_40주년_선동열_B.png
파일:KBO_40주년_최동원_B.png
파일:KBO_40주년_이종범_B.png
파일:KBO_40주년_이승엽_B.png
1위 2위 3위 4위
선동열 최동원 이종범 이승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원년의 스타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박철순_B.png
파일:KBO_40주년_이만수_B.png
파일:KBO_40주년_백인천_B.png
파일:KBO_40주년_김성한_B.png
11위 12위 24위 25위
박철순 이만수 백인천 김성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불굴의 의지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이상훈_B.png
파일:KBO_40주년_박정태_B.png
파일:KBO_40주년_니퍼트_B.png
파일:KBO_40주년_배영수_B.png
27위 32위 33위 35위
이상훈 박정태 니퍼트 배영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82 세계선수권 주역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장효조_B.png
파일:KBO_40주년_김시진_B.png
파일:KBO_40주년_한대화_B.png
파일:KBO_40주년_김재박_B.png
6위 20위 28위 31위
장효조 김시진 한대화 김재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선발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이강철_B.png
파일:KBO_40주년_정민철_B.png
파일:KBO_40주년_정민태_B.png
파일:KBO_40주년_조계현_B.png
9위 13위 18위 26위
이강철 정민철 정민태 조계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성실함의 대명사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김태균_B.png
파일:KBO_40주년_박재홍_B.png
파일:KBO_40주년_박경완_B.png
파일:KBO_40주년_홍성흔_B.png
14위 17위 23위 36위
김태균 박재홍 박경완 홍성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근성의 야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전준호_B.png
파일:KBO_40주년_이순철_B.png
파일:KBO_40주년_정근우_B.png
파일:KBO_40주년_박진만_B.png
34위 37위 38위 39위
전준호 이순철 정근우 박진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최강 좌타자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양준혁_B.png
파일:KBO_40주년_박용택_B.png
파일:KBO_40주년_이병규_B.png
파일:KBO_40주년_김기태_B.png
7위 15위 19위 22위
양준혁 박용택 이병규 김기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우타 거포 계보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장종훈_B.png
파일:KBO_40주년_김동주_B.png
파일:KBO_40주년_심정수_B.png
파일:KBO_40주년_우즈_B.png
10위 29위 30위 40위
장종훈 김동주 심정수 우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nt-size: 18px;"
{{{#!folding 전천후 투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14px;"
파일:KBO_40주년_송진우_B.png
파일:KBO_40주년_구대성_B.png
파일:KBO_40주년_김용수_B.png
파일:KBO_40주년_임창용_B.png
5위 8위 16위 21위
송진우 구대성 김용수 임창용
}}}}}}}}} ||
득표 순위
}}}}}}}}} ||

}}} ||
타이론 우즈의 NPB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7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4, 2006, 2007 센트럴리그 1루수 부문 베스트 나인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3, 2004, 2006 센트럴리그 홈런왕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6 센트럴리그 타점왕
}}} ||
타이론 우즈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OB/ 두산 베어스 등번호 33번
김광현
(1997)
우즈
(1998~2002)
쿨바
(2003~2003.6.10.)
{{{#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등번호 44번}}}
마츠야마 히데카즈
(2002)
타이론 우즈
(2003~2004)
코이케 마사아키
(2005~2007)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44번}}}
맥 발베즈
(2003~2004)
타이론 우즈
(2005~2008)
코이케 마사아키
(2009~2011)
}}} ||
}}} ||
파일:attachment/e0036358_4a158869269c8.jpg
타이론 우즈
Tyrone Woods
본명 타이론 윌리엄 우즈
Tyrone William Woods
출생 1969년 8월 19일 ([age(1969-08-19)]세)
플로리다 주 브룩스빌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허낸도 고등학교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8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28번, MON)
소속팀 페트롤레로스 데 미나티틀란[1] (1997)
OB- 두산 베어스 (1998~2002)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3~2004)
주니치 드래곤즈 (2005~2008)
등장곡 프란츠 폰 주페 - 경기병 서곡
응원구호 우~즈, 홈런![2]
응원가 [요코하마시절][주니치시절]

1. 개요2. 선수 경력3. 주요 기록4. 평가5. VS 이승엽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우즈세리머니.jpg
프로야구 레전드 40인/프로야구 첫 외인, '충격과 공포'의 우즈

OB- 두산 베어스 소속의 외국인 선수. 본명은 타이론 윌리엄 우즈(Tyrone William Woods)로 '흑곰'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일본 시절 애칭은 'T'

KBO 역사상 가장 뛰어난 활약을 한 외국인 선수 중 한 명이며 펠릭스 호세, 제이 데이비스, 클리프 브룸바, 야마이코 나바로, 에릭 테임즈, 멜 로하스 주니어와 함께 가장 강한 인상을 남긴 외국인 타자. 5년 간의 활약만으로 2010년대를 지배했던 니퍼트와 더불어 두산 용병 소속으로 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에 선정되었다. 외국인 선수 제도가 최초로 도입된 1998년에 OB 베어스를 통해 드래프트를 통해 첫 국내 땅을 밟았다.

역대 최초로 잠실 야구장을 홈으로 40홈런을 기록한 선수이자[5] 사상 최초의 외인타자 잠실 홈런왕, 외국인 시즌 KBO MVP, 사상 두번째 외국인 한국시리즈 MVP를 달성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2001년 한국시리즈 문서 참고. 또한 잠실구장에서 한시즌 홈런 20개를 기록한 최초의 인물이다.[6]

8~90년대 팬덤과 08년 이후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금메달 이후 유입된 초보 팬덤 사이에 상당한 단절이 있는 두산 팬들 사이에서 올드팬덤과 밀레니엄팬덤을 구분할 때 자주 언급되는 선수.[7]

2. 선수 경력

타이론 우즈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타이론 우즈/선수 경력
MILB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파일:NPB 로고.svg
요코하마 시절 주니치 시절
}}}}}}}}} ||

3. 주요 기록

파일:KBO 로고(세로형).svg KBO 주요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기록 비고
1998년 한 시즌 최다 홈런 경신 [8]
1998년 최초 외국인 선수 MVP
2001년 타자 트리플100 달성 [9]

4. 평가

아시아 프로야구를 거쳐간 용병 선수 중 최상급의 커리어를 자랑하는 선수로, 한화 이글스의 레전드 제이 데이비스와 더불어 용병 제도 도입 초기 최고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

야구는 기록의 스포츠라고 불릴 정도로 온갖 다양한 스탯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선수의 평가가 매우 활발하다.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낸 것 같은 선수도 별별 부분에서 비판적인 지적, 논쟁이 끊이지 않는다. 그런데 우즈는, 한국 프로야구에서 활동한 외국인 타자들 중에서 이런 논쟁에서 자유로운, 순수하게 자신의 실력으로 입증해내어 뛰어난 평가를 받는 몇 안되는 이들 가운데 하나다.

물론 우즈도 수비가 부족했다는 한계는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우즈와 비교할 수준의 타자들이 수비가 엄청난 선수들은 아니었기 때문에 별로 고려되지 않는다.[11] MLB 성적이 없지만 직전의 마이너리그 두 해 성적과 황혼기 NPB 성적이 워낙 뛰어나고, KBO 리그 타자들 중 테임즈 외에는 MLB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경우가 드물어서 이것도 별로 고려되지 않는다. 이미 MLB에서도 스타였다가 1년 한국에서 뛰었던 훌리오 프랑코라면 모를까.

이러한 이유로 우즈는 한국을 거쳐간 외국인 타자뿐만 아니라, 한국 프로야구 역사를 빛낸 장타자들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존재로 평가할 수 있다. 과거에야 '국민타자'라는 타이틀로 국내 팬들의 전폭적 응원을 받은 이승엽과의 라이벌 구도가 있어서 우즈에 대한 평가가 인색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 이승엽이 은퇴하고 우즈가 일본에서 거둔 호성적이 주목받으면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뤄졌다.

5. VS 이승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승엽 vs 타이론 우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7. 관련 문서


[1] 멕시코 서머리그 팀. 소속은 되었으나 공식경기 출장은 없었다. [2] 응원가는 아니고 응원구호다. 응원용 막대풍선을 빙글빙글 돌리면서 반복하는 방식. 우~즈를 반복해서 외치며 이승엽의 홈런 구호, 이병규의 'LG의 이병규'와 더불어 초기 야갤에서 3대 응원구호로 취급받았다. [요코하마시절] 目の前にいる敵を 一撃で蹴散らせ 飛ばせ遥か彼方 見せつけろタイロン눈 앞에 있는 적을 일격으로 쓸어버려라 날려라 저 멀리 저편에 보여줘라 타이론 [주니치시절] 전주: ホームランかっ飛ばせタイロンレフトへライトへ T! x8 홈런 날려버려 타이론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T!x8 가사: 歓声を背にして みんなの歌に乗って ここでホームラン 蹴散らせタイロン 함성을 등뒤로 하고 모두의 노래에 타고 여기서 홈런 쓸어버려 타이론 [5] 이 기록은 2018년 김재환이 기록할 때까지 무려 20년 동안이나 유일한 기록이었다. 다만, 김재환은 도핑 경력이 있는 선수이기 때문에 청정타자로는 아직까지 우즈가 유일하다. [6] 다른 선수로는 2017년의 김재환과 2024년의 양석환이 있다. [7] 1990~2000년대 초반 LG 트윈스가 잘 나가던 시절 OB-두산 베어스는 서울 야구 팬덤에서 소수 세력이었다. 2000년대 후반 이후 두산의 재도약을 계기로 야구에 입문한 신세대 두산팬들은 그 이전의 베어스 선수들(우즈는 물론이고 원년 스타 박철순조차)에 대해 잘 모른다. 하기야 그들이 활동할 때는 태어나지도 않았거나, 초등학교도 안 들어갔을 때의 나이였을 테니. 이건 홍성흔에 대해서도 두 팬덤이 완전히 상반된 편이다. 올드팬덤은 넘칠 만큼 최강의 포수 라인업을 뚫고 주전을 따낸 1999년 신인왕, 2001년 한국시리즈의 우승 주역, 하위 타선에서 상위 타선으로 올라올 정도의 준수한 타격을 기록한 점에서 스타 대접을 해주지만, 밀레니엄팬덤은 한동안 타팀에서 뛰다가 돌아온 말년의 부진, 지명타자 철밥통, 부전드 발언등의 부정적 기억 때문에 스타 대접을 별로 해주지 않는다. [8] 42홈런 [9] 127안타-113타점-101득점 [10] 2021년 현 시점에서 두산은 총 6회 우승으로 KBO 리그 우승 순위 3위에 랭크되어 있는 우승을 많이 한 팀이지만 이는 훗날의 이야기고 우즈가 뛰던 시절에는 총 3회 우승에 그쳤다. [11] 이승엽의 1루 수비는 매우 뛰어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수비 부담이 적은 포지션인 1루수의 수비는 아무리 잘 하더라도 선수의 종합적인 평가에 반영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12] 두산 시절 잠실 홈경기때 만원 관중이 아닌 날을 제외하면 우중간 외야석에는 <Woods home run zone>이라는 플래카드가 항상 걸려있었다. 우타자 슬러거의 홈런이 대부분 좌측 펜스를 넘기지만 우즈가 잠실에서 치는 홈런은 대부분이 우중간을 넘기는 홈런이었기 때문에 생긴 일. [13] 다만 타이거 우즈의 성인무대 데뷔 년도가 타이론 우즈의 한국 데뷔년도보다 2년 빠르다. 세대차이로 보긴 타이론 우즈 전성기와 타이거 우즈 전성기는 겹친다. 물론 타이거 우즈가 미국 유럽 일본 한국 을 제외한 전세계적인 인지도를 얻게된 사건은 2009년 터진 불륜 스캔들이였지만 하지만 타이론 우즈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이름을 얻었지만 타이거 우즈는 미국에서 전국적으로 유명한 운동선수중 하나다. 2020년 현재도 전미에서 타이거 우즈랑 비교할 수 있는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현역 운동선수는 미식축구 선수인 톰 브래디와 농구선수 르브론 제임스를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야구선수 중 가장 인기 있다는 마이크 트라웃의 인지도도 LA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판이다. [14] 특히 투수들이 몸쪽으로 던질때 이런 행동을 보여주며, 투수들이 바깥쪽으로만 던지도록 유도했다. [15] 2005년 5월 야쿠르트의 후지이 쇼고의 공이 얼굴 근처로 오자 바로 달려들어 얼굴에 주먹을 날렸는데, 대부분의 야쿠르트 선수들은 반격은 커녕 겁을 먹어서 바로 마운드에 오지도 않았고 그나마 1루수와 포수만이 조심스럽게 와서 우즈를 달래려고 쩔쩔매는 벤치클리어링이 벌어졌었다. 이 사건 이후 우즈는 마음먹고 상대 투수들을 위협했고 투수들은 우즈에게 알아서 기었다. [16] 당시 코치였던 양승호가 의자를 집어던지면서 기강을 잡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17] 우즈가 뛰던 당시 한국프로야구는 이물질 투척은 기사거리도 되지 않았고, 선수단 버스 습격, 경기장 기물파손, 경기 후 항의시위와 난동 등 관중폭동이 일상이던 이른바 낭만의 시대였기 때문에 경기장 분위기를 험악하게 만들어서 좋을 것이 없었다. 무조건 관중폭동으로 이어져서 경기 자체가 개판이 되고, 한번 난동이 벌어지면 선수들이 자정까지 퇴근을 못해서 다음날 일정에 지장이 갈 정도였기 때문에 선수들이 소동을 일으키지 않기위해 노력했던 시절이기도 했다. 애초에 우즈는 너무 영악해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려고 주먹을 무기로 쓴것이지 패싸움이나 격투를 즐겨서 주먹을 쓴 것이 아니기에 한국프로야구의 막장 관중문화를 몸소 경험하며 이를 깨달았을 가능성이 크다. [18] 사실 일본인 선수들의 신체조건이 한국인 선수들에 비해 상당히 왜소한 것도 한몫 단단히 했을 것이다. 이대호만 해도 한국에서는 우유돼지와 같은 푸근하고 친근한 이미지였지만 일본에서는 아군 일본인 선수들 위에 대장으로 군림하면서 상대팀 선수에게는 거대한 체격으로 위압감을 풍기는 두려운 최종보스와도 같은 이미지였다. 실제로 이대호가 오릭스시절 퇴장처분 쳐먹고 심판에게 달려들때 심판은 겁을 단단히 먹었다. [19] 일본야구는 이미 80~90년대부터 연말예능프로에서 덩치 큰 용병선수들이 작고 호리호리한 일본 선수들을 위협하거나 때리는 영상특집프로를 할 정도로 힘 쎈 용병선수들을 겁내하는게 일상화 되었다. 일단 덩치의 차이도 있었고, 실력이 좋은 선수들도 많았기 때문에 투수들이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례로 일본에서 무섭기로 소문났던 근육질의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브락스 같은 경우엔 인코스 바짝 붙는 볼에 투수가 연신 90도로 사과를 할 정도였고, 어떤 투수는 농담조로 자기는 방출되는 한이 있더라도 브락스에게 인코스는 절대 안 던지다고 할 정도로 겁을 냈었다. 정말 기요하라 정도 되는 선수들이나 되어야 용병과 맞장을 뜨지 다른 선수들은 전체적으로 무서워했다. 다만, 일본도 체격이 점점 커지고 리그수준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면서 이런 문화가 많이 완화되었다. [20] 링크, 19분 40초 부터. 여담으로 옆에 쭈그리고 앉아서 티배팅볼을 던져주고 사진 찍어주는 사람은 당시 두산 1군 배터리코치였던 김경문 감독이다. [21] 원곡은 김세환의 목장길따라. 신서유기에서 강호동이 동료들을 힘으로 제압할 때마다 '화면조정시간입니다'라는 자막과 함께 나온다. [22] 사실 두산 구단은 이전부터 우즈의 시구를 위해 계속 연락을 취해봤으나 번번히 실패하였다. [23] 먼저 수상한 김동주의 말에 따르면 부동산 사업으로 매우 바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