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22:58:03

라울 알칸타라

라울 알칸타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 kt wiz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마이크 파일:미국 국기.svg
시스코 파일:미국 국기.svg
어윈 (2) 파일:미국 국기.svg
저마노 (3) 파일:미국 국기.svg
시스코 (2) 파일:미국 국기.svg
댄블랙 (3)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마르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와트 파일:미국 국기.svg
피노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피어밴드 (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몬 (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로위 (3) 파일:미국 국기.svg
로치 파일:미국 국기.svg
모넬 (2)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알몬테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잉 (3) 파일:미국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쿠에바스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 (3)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알포드 (3) 파일:미국 국기.svg
슐서 (2)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 파일:미국 국기.svg
알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 (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 (3) (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 (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 (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 (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발라조빅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니퍼트 (5)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제러드 (3) 파일:캐나다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은퇴식 특별 엔트리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1990 1991
박철순 장호연 김진욱 장호연 김진욱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호연 이진 김상진 장호연 진필중
1997~1998 <rowcolor=#FFD700> 1999 2000~2001 2002~2003 2004
김상진 강병규 조계현 박명환 키퍼
<rowcolor=#FFD700> 2005 2006~2007 2008 2009 2010
랜들 리오스 레스 김선우 히메네스
<rowcolor=#fff> 2011~2014 2015 2016~2017 2018~2019 2020
니퍼트 마야 니퍼트 린드블럼 알칸타라
<rowcolor=#fff> 2021 2022 2023~2024
로켓 스탁 알칸타라
}}}}}}}}} ||

라울 알칸타라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황태환
OB 베어스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이상훈
LG 트윈스
구대성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신윤호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송진우
한화 이글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류현진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김광현
SK 와이번스
로페즈
KIA 타이거즈
류현진
한화 이글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니퍼트
두산 베어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미란다
두산 베어스
<rowcolor=#d0ad67> 2022 2023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페디
NC 다이노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KIA

두산

두산

KIA

두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두산

두산

두산

SSG

NC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팀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2016~2020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6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9월 10월
니퍼트
두산 베어스
김재환
두산 베어스
최승준
SK 와이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2017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맨쉽
NC 다이노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켈리
SK 와이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김재환
두산 베어스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2018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유한준
kt wiz
정우람
한화 이글스
김재환
두산 베어스
로맥
SK 와이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한동민
SK 와이번스
2019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윌슨
LG 트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최정
SK 와이번스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페게로
LG 트윈스
2020 시즌
<rowcolor=#fff>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구창모
NC 다이노스
로하스
kt wiz
허경민
두산 베어스
소형준
kt wiz
양의지
NC 다이노스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다승 1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24승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30승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7승
김시진· 김일융
삼성 라이온즈 / 25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4승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3승
윤학길
롯데 자이언츠 / 18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승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승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송진우
빙그레 / 19승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7승
이상훈
LG 트윈스 / 18승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8승
이상훈
LG 트윈스 / 20승
구대성
한화 이글스 / 18승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18승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20승
김용수
LG 트윈스 / 18승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20승
김수경· 임선동·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8승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5승
신윤호
LG 트윈스 / 15승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키퍼
KIA 타이거즈 / 18승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17승
레스
두산 베어스 / 17승
리오스
KIA 타이거즈 / 17승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7승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18승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승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22승
김광현
SK 와이번스 / 16승
로페즈
KIA 타이거즈 / 14승
윤성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조정훈
롯데 자이언츠 / 14승
김광현
SK 와이번스 / 17승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승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 17승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승
세든
SK 와이번스 / 14승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 20승
해커
NC 다이노스 / 19승
니퍼트
두산 베어스 / 22승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헥터
KIA 타이거즈 / 20승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18승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20승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20승
뷰캐넌
삼성 라이온즈 / 16승
요키시
키움 히어로즈 / 16승
<rowcolor=#fff> 2022 2023 2024
켈리
LG 트윈스 / 16승
페디
NC 다이노스 / 20승
곽빈
두산 베어스 / 15승
원태인
삼성 라이온즈 / 15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승률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베어스 / 0.857
이길환
MBC 청룡 / 0.682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0.833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환
OB 베어스 / 0.833
최일언
OB 베어스 / 0.826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윤석환
OB 베어스 / 0.813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75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6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26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오봉옥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0.813
김홍집
태평양 돌핀스 / 0.800
이상훈
LG 트윈스 / 0.800
구대성
한화 이글스 / 0.857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0.909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0.750
김용수
LG 트윈스 / 0.750
문동환
롯데 자이언츠 / 0.810
송진우
한화 이글스 / 0.867
갈베스
삼성 라이온즈 / 0.714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0.714
신윤호
LG 트윈스 / 0.714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현욱
삼성 라이온즈 / 1.000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0.895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0.895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0.909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 0.778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 0.815
채병용
SK 와이번스 / 0.815
김광현
SK 와이번스 / 0.857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0.833
윤석민
KIA 타이거즈 / 0.773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탈보트
삼성 라이온즈 / 0.824
류제국
LG 트윈스 / 0.857
소사
넥센 히어로즈 / 0.833
해커
NC 다이노스 / 0.792
니퍼트
두산 베어스 / 0.880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헥터
KIA 타이거즈 / 0.800
후랭코프
두산 베어스 / 0.857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0.870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0.909
수아레즈
LG 트윈스 / 0.833
<rowcolor=#fff> 2022 2023 2024
엄상백
kt wiz / 0.846
쿠에바스
kt wiz / 1.000
박영현
kt wiz / 0.833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50번
맥스 먼시
(2015)
라울 알칸타라
(2016~2017)
마이크 파이어스
(2018~2021)
kt wiz 등번호 45번
김태훈
(2018)
<colcolor=#fff> 알칸타라
(2019)
김태훈
(2020~2022)
두산 베어스 등번호 43번
후랭코프
(2019)
<colbgcolor=#ed1c24> 알칸타라
(2020)
유재유
(2021)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44번
우메노 류타로
(2014~2020)
라울 알칸타라
(2021~2022)
토이 레이지
(2023~)
두산 베어스 등번호 43번
박소준
(2022)
알칸타라
(2023~2024.7.3.)
발라조빅
(2024.7.11.~)
}}} ||
}}} ||
파일:알깐따라.png
라울 알칸타라
Raul Alcántara
출생 1992년 12월 4일 ([age(1992-12-04)]세)
바라호나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93cm | 100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BOS)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6~2017)
kt wiz (2019)
두산 베어스 (2020)
한신 타이거스 (2021~2022)
두산 베어스 (2023~2024)
등장곡 Rochy RD - 《Ay Si Ñiño》
가족 아내, 슬하 3남
기록 무결점 이닝 (2020.10.8.)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우완 투수.

KBO 리그 시절에는 kt wiz 두산 베어스에서 뛰었는데, 특히 두산 시절 다니엘 리오스 - 더스틴 니퍼트 - 조쉬 린드블럼의 계보를 잇는 두산 베어스의 외국인 에이스로 활약했다.[1] 2024년에는 팔꿈치 부상 여파로 인해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7월 4일 웨이버 공시되며 정든 두산을 떠나게 되었다.

최고 구속 160km/h에 달하는 포심 패스트볼이 위력적인 파이어볼러이다.

2. 선수 경력

라울 알칸타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라울 알칸타라/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6년 2017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9년 2020년 2023년 2024년
파일:NPB 로고.svg
2021년 2022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갓칸타라킹칸타라.gif
2019년 5월 18일 삼성전 강민호를 잡아낸 154km 패스트볼

페르난도 로드니가 연상되는 돌팔매 같은 투구폼과 평균구속 150km/h대 중반, 최고 158km/h까지 찍히는 강속구[2][3]가 인상적인 파워피쳐 스타일이며 준수한 이닝 소화 능력까지 갖춘 투수이다. 다만 변화구 구사가 약점으로 꼽히는데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싱커와 스플리터를 구사할 수 있다.

미국 시절 알칸타라에 대한 분석글

스카우팅 리포트에는 좋은 패스트볼과 슬라이더를 구사하지만, 커맨드 불안에 시달린다고 적혀 있었다. 그러나 AAA에서 커맨드를 잡으면서 현재 KBO에서는 9이닝당 볼넷 1.3개를 기록하며 조쉬 린드블럼에 이어 9이닝당 볼넷 개수 2위를 기록하고 있다.

90~95마일에서 형성되는 싱커성의 패스트볼, 88마일까지 찍히는 슬라이더를 던진다고 한다. 85마일의 잘 떨어지는 체인지업은 긁히면 좋은 위닝샷이라고 평가 받은 듯. 다만 커브등의 변화구는 별로라고. 2016년까지 AA에 있으면서도 커맨드가 불안해서 장타를 맞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AAA에서는 이 커맨드가 개선되었다고. 메이저리그와 달리 KBO 리그는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기 때문에 레다메스 리즈, 헨리 소사, 키버스 샘슨처럼 구위를 앞세워서 성공한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구위로 찍어 누른다면, kt wiz에서 든든한 이닝 이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문제는 2018년에는 32경기에 나와서 10경기를 제외하면 22경기를 세스 후랭코프처럼 불펜으로 뛴 선수이기 때문에 이닝을 얼마나 먹어줄 지는 미지수였었다. 2019 시즌 초반에는 평균적으로 7이닝 이상을 던져주는 좋은 활약을 했었으나, 후반기 들어서 체력이 부치는 모습을 보여주며 전반기의 모습이 나오지 않았다. 2020 시즌에는 변화구를 가다듬고 공격적인 투구를 통해 이닝 소화력을 눈에 띄게 향상시켰다.

3.1. kt wiz

시즌 들어와서의 가장 큰 문제는 위에 언급한 대로 결정구로 쓸만한 변화구의 부재다. 이 때문에 준수한 이닝 소화와 깔끔한 제구력에 비해 이닝대비 삼진 비율이 매우 부실하다. 또한 속구 위주의 투구가 시즌을 거듭하면서 간파되어, 시즌 중반까지 유지하던 2점대 ERA 역시 시즌 끝물 들어서 4점대를 돌파했다. 실제로 시즌 중후반 들어 여러가지 변화구를 던져가며 노력은 하고 있지만 결정구라고 할만한 구종을 찾는데 애를 먹고 있었으며, 일설에 따르면 패스트볼과 변화구를 던질 때의 폼에 차이가 있는, 소위 쿠세가 읽혔다는 소리가 있었다. kt 시절 투구 레퍼토리를 보면 포심 30~40%, 투심 20~30% 등 속구를 중심으로 가져갔고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을 약 15%씩, 커브는 5% 미만 그리고 포크볼은 1% 미만으로 거의 던지지 않았다.

3.2. 두산 베어스

두산 이적 이후에는 플레이 스타일에 다소 변화가 생겼다. 초반에는 5~6회 정도만 되어도 타자들이 타이밍을 잡아서 정타를 날려버리는 모습이 자주 보였는데, 그래도 결정구를 한복판 속구로 던질 만큼 속구의 위력이 엄청난 선수인 데다 KBO에서는 제구 되는 150km대 선발투수는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조금 맞는 모습을 보인다고 해서 폄하하기는 여러모로 어려웠다.

그러나 시즌을 거치면서 박세혁의 조언에 따라 모든 구종을 강하게 던지며 문제를 극복하는 데 성공했고, 변화구 역시 타자의 허를 찌를 만큼은 아니어도 카운트를 잡을 수준으로는 향상되었다. 주무기는 당연히 강력한 패스트볼. 포심의 평균 구속이 약 152km/h로 약 1.7km/h 가량 향상되었고, 고속 슬라이더의 구사율 또한 높였다. kt 시절에는 포심, 싱커, 투심처럼 패스트볼 위주의 피칭을 보여주었다면, 두산에 와서는 투심과 체인지업을 봉인하고 포심과 슬라이더를 기반으로 정재훈 코치와 이용찬을 사사한 포크볼과 스플리터를 곁들여서 던지고 있다. 포심의 구사율을 40~50%까지 끌어올렸고, 투심은 10% 가량의 비율로 던지면서 이전 시즌에 비해 구사율이 줄은 모습이었다. 대신 슬라이더의 비율이 20% 중반대로 대폭 상승했고 포크볼도 약 11% 정도 던지면서 체인지업과 커브는 거의 던지지 않는 등 변화구 레퍼토리에 크게 변화를 준 모습이 데이터로도 확인되었다. # #

또한 거의 매 경기 6~7이닝을 소화하는 이닝 소화력도 작년보다 더욱 향상된 모습이다. 탈삼진 부분 또한 2019 시즌에는 K/9와 탈삼진 모두 리그 평균 이하였지만, 2020년에는 K/9와 탈삼진 모두 리그 2위의 성적을 냈다. 포크볼 장착을 통한 투구 레퍼토리 변경이 리그 장악에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된 셈이다.

4. 여담


파일:334적시타.gif

5. 관련 문서



[1] 2021년엔 아리엘 미란다가 이 계보를 이었다. 2022년에는 미란다가 부상과 부진으로 방출되고 로버트 스탁, 브랜든 와델은 애매한 활약을 보여줘 에이스 계보가 끊겼으나, 2023년에 알칸타라가 두산으로 돌아와 직접 계보를 다시 이었다. [2] 2019 시즌에는 앙헬 산체스를 제치고 리그에서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파이어볼러였다. [3] 스피드건에 160이 찍힌 적이 있었지만 오류였다. [4] # 1분 20초부터 보면 박건우가 알칸타라한테 화내는 장면을 볼 수 있다. [5] 45는 2019년 알칸타라가 kt에 있었을 때 쓰던 번호였지만, 두산으로 이적한 후에는 45번을 이용찬이 달고 있어 43번을 달았다. [6] 이때 홈에서 득점을 한 선수가 넥센- 키움 히어로즈에서 활약했던 제리 샌즈이다. [7] LG 트윈스는 2019년부터 4년동안 피업셋 2번 포함 준플레이오프 탈락 3번, 플레이오프 탈락 1번을 당했을 정도로 가을바보로 유명하다. [8] 다만, 2020 준플레이오프에서는 담 증세 때문에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