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4:39:29

박철우(야구)

박철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김용만 (2) 장진범
조종규
(4명)
강정남
김윤환
조도연
문희수
(7명)
김기철
김태업
선동열
신태순
이순철
최상주
허세환 (1)
(10명)
강상진
김경호
김대현
김정수
김평호
백재우 (1)
신동수
이건열
장채근
차동철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백인호
박철우
김만후
송영복 (1)
조계현
한경수 (1)
이광우
이강철
장호익
정회열
이호성
오희주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박재홍 이종범 최재영 김동호 김종국
(고졸)
김상훈
김상진
서재응 (1)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오철민
(고졸)
김병현 (1)
김원 (1)
김준희 (1)
최희섭 (1)
(고졸)
강철민
김정진 (1)
이현곤
정성훈
(고졸)
류찬
김성호 정원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김진우 고우석 김주형 곽정철 한기주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정영일 (1)
오준형
전태현 정성철 심동섭 (2) 한승혁 (2)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박지훈 (2) 손동욱 (2) 차명진 이민우 김현준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유승철 한준수 김기훈 정해영 이의리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김도영 윤영철 (2) 조대현 (2) 김태형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연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박철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3.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4.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5.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7.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1987 1988 1989 1991 1993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4.svg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코치
2015 2016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신설 전 양세종
OB 베어스
김용희
롯데 자이언츠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박승호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김형석
OB 베어스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박재용
해태 타이거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로마이어
한화 이글스
우즈
두산 베어스
양준혁
LG 트윈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김동주
두산 베어스
김기태
SK 와이번스
김재현
SK 와이번스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홍성흔
두산 베어스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홍성흔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병규
LG 트윈스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김태균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박용택
LG 트윈스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양의지
NC 다이노스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NC 다이노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4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svg 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유동
OB 베어스 / 외야수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유두열
롯데 자이언츠 / 외야수
-[a] 김정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 외야수
문희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장채근
해태 타이거즈 / 포수
1992 1993 1994 1995 1996
박동희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김민호
OB 베어스 / 내야수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구대성
한화 이글스 / 투수
퀸란
현대 유니콘스 / 내야수
우즈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지명타자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2007 2008 2009 2010 2011
김재현
SK 와이번스 / 지명타자
최정
SK 와이번스 / 내야수
나지완
KIA 타이거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정수빈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한동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양의지
NC 다이노스 / 포수
박경수
kt wiz / 내야수
2022 2023 2024
김강민
SSG 랜더스 / 외야수
오지환
LG 트윈스 / 내야수
김선빈
KIA 타이거즈 / 내야수
[a]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인한 한국시리즈 미개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정유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1)
방수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김봉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
장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09)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rowcolor=#fff> 16대 [1] 17대 [1] 18대 [1] 19대 20대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용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회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rowcolor=#fff> 21대 [1] 22대 23대 [1] 24대 25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명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손승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rowcolor=#fff> 26대
진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초대 2대 3대 4대
강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배수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
이충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감독 대행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5대 6대 7대 8대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 대행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윤동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정연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4)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김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3)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6)
14대 15대 16대 17대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김광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감독 대행
김우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송일수 파일:일본 국기.svg
(2013)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이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23대 24대 25대 26대
강석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이복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4번
김경호
(1986)
<colbgcolor=#000> 박철우
(1987~1993)
최희창
(1994~1995)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번
김기태
(1991~1993)
박철우
(1994~1998)
이민호
(1999)
SK 와이번스 등번호 80번
팀 창단 박철우
(2000)
양승관
(2001~2002)
해태/ KIA 타이거즈 등번호 87번
김봉연
(1998~2000)
박철우
(2001~2005)
김종모
(2006~2007)
KIA 타이거즈 등번호 88번
황병일
(2008~2011)
<colcolor=#ffffff> 박철우
(2012~2013)
박재용
(2014~2018)
두산 베어스 등번호 87번
고다
(2013~2014)
박철우
(2015~2022)
이광우
(2023~2024)
}}} ||
}}} ||
파일:박철우감독.png
박철우
朴哲祐 | Park Cheol-Woo
출생 1964년 4월 12일 ([age(1964-04-12)]세)
전라남도 광주시 월산동
(現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월산초 - 전남중 - 광주제일고 - 동국대
신체 181cm, 91kg, AB형
포지션 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87년 1차 지명 ( 해태)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 (1987~1993)
쌍방울 레이더스 (1994~1998)
지도자 SK 와이번스 1군 타격코치 (2000)
해태-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2001~2003)[1]
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03~2004)[2]
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2004)[3]
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05)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6)
서울 해치 감독 (2010~2011)
KIA 타이거즈 2군 총괄코치 (2012)
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2013)[4]
KIA 타이거즈 3군 타격코치 (2013)[5]
고양 원더스 타격코치 (2014)
두산 베어스 1군 타격코치 (2015~2017)[6]
두산 베어스 잔류군 타격코치 (2017)[7]
두산 베어스 1군 벤치코치 (2018~2019)[8]
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19~2021)[9]
두산 베어스 재활군 타격코치 (2022)[10]
두산 베어스 1군 벤치코치 (2022)[11]
가족 배우자 장은미, 아들 박세혁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논란
4.1. 정영일 혹사 논란4.2. 경기 중 욕설 파문
5. 여담6. 연도별 주요 성적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82599589.2_99_20170126053113.jpg
아들 박세혁과 함께.

해태 타이거즈, 쌍방울 레이더스 소속의 지명타자. 前 두산 베어스 코치.

2. 선수 경력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1989)

광주제일고등학교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후 해태 타이거즈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입단 동기인 백인호와는 동국대학교 시절부터 동기였으며, 해태 타이거즈 입단 - 쌍방울 레이더스에서도 같이 생활했다.

좌타자가 대대로 부족했던 해태 타이거즈에 굉장한 청량감을 주던 선수였다.[12] 왼손잡이 덕후였던 김응용 감독의 지지를 얻어 많은 기회를 얻었으며, 별명이 작은 코끼리였을 정도. 큰 덩치와 아주 느린 발에 비해[13], 거포라고 하기엔 약간 모자란 중장거리 타자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타이거즈의 우타자 일색[14]인 타선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선수였다. 그 덕에 우승반지도 5개나 꼈고. 그리고 그 때 그 시절 해태 선수들 대개가 그랬듯 술을 아주 좋아했던 것 같다. 이병훈이 이야기하는 일화 그래도 이병훈의 썰에 의하면 김성한, 이순철을 비롯 무서운 고참 선수들이 즐비했던 해태 선수들 가운데서 성격도 둥글둥글해서 사람은 좋았던 듯 싶다.

특히 1989년에는 팀내 유일한 3할 타자로서 빙그레 이글스 고원부, 삼성 라이온즈 강기웅과 함께 시즌 막판까지 타격왕 경쟁을 벌였고, 같은 해 빙그레 이글스와의 1989년 한국시리즈에서는 18타수 7안타(타율 3할 7푼 7리)의 기록으로 팀의 4연패에 기여하며 1989년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파일:external/www.donga.com/mvp_89.jpg
1989년 한국시리즈 MVP 수상 모습.

1993 시즌이 끝나고 송인호를 댓가로 윤재호와 함께 쌍방울로 트레이드되었다.[15] 여기서도 주로 지명타자, 1루수로 활동했다. 특히 95년도 중반까지는 타격 10걸에 들 정도로 타격감 하나는 좋았는데, 체력이 받쳐주지 못한 케이스.

그리고 쌍방울의 첫 포스트시즌 진출이었던 현대 유니콘스와의 1996년 플레이오프에서는 1차전에서 9회말에 대타로 나와 끝내기 결승 홈런을 치기도 했지만, 팀의 리버스 스윕 탈락으로 빛이 바랬다.

1998 시즌 후에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1999년 시즌 후 현역 마지막 팀이었던 쌍방울 레이더스의 타격코치로 선임되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2000년 1월 쌍방울이 해체되었고, 이후 쌍방울 선수단을 기반으로 창단한 신생팀 SK 와이번스에 고용승계 형태로 합류했다. SK 창단 첫 해인 2000년 한 시즌 동안 이건열과 함께 타격코치를 맡다가, 시즌 종료 후 SK 구단이 쌍방울 출신 코칭스태프들을 대거 해고해버리면서 쌍방울의 마지막 감독이기도 한 김준환 수석코치, 박상열 투수코치, 함학수 수비코치 등과 함께 1년만에 SK에서 해임됐다.

하지만 바로 김성한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01년부터 친정 팀 해태 타이거즈의 타격코치로 합류했다.[16] 이후 팀명이 KIA 타이거즈로 바뀐 뒤에도 1군과 2군을 오가면서 5년간 코치직을 유지해 오다가 2005년 시즌 후 팀이 최하위를 하면서 재계약에 실패했다.[17]

KIA에서 나온 뒤 2006년 한 해 동안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으나 얼마 못 가서 물러났고[18], 휴식기를 거쳐 2010년부터 2년간 일본 간사이 독립리그 구단인 서울 해치(코리안 해치)[19]의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재정난으로 팀이 해체되면서 야인이 되었다.

3.1. KIA 타이거즈 2기

조범현 전 감독의 라인이었던 김대진 2군 감독이 같이 물러나고 선동열 감독이 취임하면서 KIA 타이거즈에 영입되었다.

2012 시즌에는 KIA 타이거즈 2군 총괄코치를 담당하면서 전년도 2군 꼴찌였던 팀을 NC 다이노스에 이어 남부리그 2위에 안착시키면서 당시 2군 타격코치였던 홍세완과 함께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시즌 종료 후 코칭스태프 개편에 따라 한대화 한화 이글스 감독이 2군 총괄코치로 부임했고, 동시에 동국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선임된 이건열을 대신하여 2군 타격코치로 보직이동되었다.

3.2. 고양 원더스

2013 시즌이 끝난 후 성적 부진의 책임을 물어 스카우트 팀으로 전보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고양 원더스의 타격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3.3. 두산 베어스

고양 원더스가 해체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김성근 감독이 한화 이글스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그를 따라 타격코치로 합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 때 두산 베어스의 새 사령탑이 된 김태형 감독 또한 1군 타격코치로 박철우 코치를 필요로 했고, 김성근 감독이 인스트럭터 시절에 제자였던 김태형 감독을 위해 흔쾌히 동의하면서 박철우 코치의 두산 베어스 합류가 확정되었다. 한편 아들 박세혁이 2013 시즌 종료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군 복무 중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부자가 코치-선수로 한 팀에서 함께 뛸 가능성도 생겼다. 결국 16시즌 박세혁이 1군에 등록되면서 부자가 덕아웃에서 같이 출퇴근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같은 팀에 아들이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인 듯하다. 박세혁이 홈런을 치고 들어오면 활짝 웃지 못하고 하이파이브만 한다.

베어스포티비에서는 박세혁의 노안에 대한 장난으로 박세혁과 박철우 코치를 동일인물로 헷갈려 만들게 한다.

2022 시즌이 끝나고 감독 교체의 여파로 인해 재계약에 실패했다. 이 때 아들인 박세혁도 같이 NC 다이노스로 떠나면서 부자가 동시에 두산 베어스를 떠나게 된 셈이다.

4. 논란

4.1. 정영일 혹사 논란

파일:정영일 고교시절 혹사.png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재임 시절 3학년생이던 정영일을 혹사시킨 감독이였다. 2006년 4월 대통령배 1회전에서 경기고등학교 야구부를 상대로 13⅔이닝 242구를 던지게 했다. 혹사가 최고조에 올랐을 때는 청룡기인데, 9일 동안 50⅔이닝[20] 741구를 던지는 말도 안되는 투구수를 기록했다. 동료들의 대학 진학을 위해 광주 무등기에서도 많은 공을 던지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후 정영일 미국에 가서도 팔꿈치 부상 탓에 제대로 못 던지고 이리저리 방황하다가 2014년 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에 겨우 지명되어 상무에서 군 복무 후 SK 소속으로 2021년까지 뛰고 은퇴했다. 이 때문에 이 사실을 알고있는 팬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으며 늘 까이고 있다. 극단적으로 까는 사람들은 아들 박세혁이 투수였어도 그렇게 백정처럼 보냈을 거냐며 까기도 한다. 정영일은 은퇴 후 스톡킹에 출연하여 정용검 심수창이 고3 당시의 투구수에 대해 이야기하자 '본인이 원해서 던진 것이며 던지기 싫은 투수에게 투구를 강요하는 것이 혹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018년 한국시리즈에서 정영일이 두산 타선을 5경기 6이닝 무실점으로 완벽하게 막아내고 MVP급 활약으로 SK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머쥐면서 소소하게나마 복수를 하게 됐다.

4.2. 경기 중 욕설 파문

2015년 5월 9일 한화전에 정근우에게 욕설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하지만 임수민 코치에게 했다는 설도 있다.

5. 여담

6.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사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1987 해태 29 47 .234 11 1 0 1 4 3 0 4 9 .294 .319 .613
1988 36 69 .188 13 4 0 0 7 7 1 2 10 .208 .246 .455
1989 112 340 .318
(3위)
108 15 1 13
(5위)
59 47 0 35 41 .381 .482 .864
1990 114 363 .284 103 21
(5위)
1 10 45 40 0 53 46 .373 .430 .803
1991 125 422 .282 119 24 2 14 80
(5위)
41 0 60 55 .371 .448 .819
1992 116 362 .271 98 21 0 9 66 39 1 43 44 .346 .403 .749
1993 81 197 .264 52 6 0 2 17 19 0 28 28 .356 .325 .680
<rowcolor=#00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사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1994 쌍방울 89 179 .291 52 9 0 2 25 11 0 17 34 .350 .374 .725
1995 95 287 .265 76 12 1 5 35 21 3 28 42 .330 .366 .696
1996 28 32 .188 6 0 0 1 2 1 0 11 7 .395 .281 .677
1997 77 103 .340 35 6 0 1 18 9 2 18 14 .438 .427 .865
1998 59 118 .237 28 2 0 1 14 9 0 18 26 .336 .280 .615
KBO 통산
(12시즌)
961 2519 .278 701 121 5 59 372 247 7 317 356 .358 .401 .758

7. 관련 문서



[1] ~5월 18일 [2] 2003년 5월 19일~2004년 6월 20일 [3] 6월 21일~ [4] ~8월 16일 [5] 8월 27일~ [6] ~4월 17일 [7] 4월 18일~ [8] ~7월 18일 [9] 7월 19일~ [10] ~6월 24일 [11] 6월 25일~ [12] 해태는 원년 시즌에는 좌타자가 1명도 없었고,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좌타라자고는 김일환 송일섭 둘 뿐이었다. [13] 같은 팀의 장채근과 더불어 프로야구 최하위권 주력이었다. 덕분에 둘이 주자로 같이 나갔을 경우 아주 갑갑한 상황이 전개되기도 했다. 재미있게도 아들인 두산 베어스 박세혁은 포수임에도 프로야구 상위권의 주력을 가지고 있어 대주자로도 활용될 정도 [14] 그도 그럴 것이 박철우가 입단하던 무렵은 50년대생 선수들에서 60년대생 선수들로 세대가 바뀌던 시기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두 세대 모두 좌타자가 거의 없다시피 했다. 이후에 김성규를 비롯하여 좌타자가 여럿 입단하지만 박철우 이후로 성공한 좌타자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게다가 트레이드로 OB에서 넘어온 박노준, LG에서 넘어온 김상훈 모두 신통치 않은 모습만 보여주다가 각각 트레이드와 은퇴로 끝났다. 그나마 94년에 입단한 박재용이 박철우가 떠난 이후에 제 몫을 해 주었고, 96년에 입단한 장성호가 1년만에 재능이 만개하면서 좌타자 슬롯이 채워지게 된다 [15] 좌타, 지명타자 자리는 박재용이 물려받는다. [16] 2000년 해태의 타격코치는 김성한 김종모가 역임했는데, 시즌 후 김성한이 해태 감독으로 승격했고, 반대로 김종모는 김응용 감독을 따라 삼성 코치로 자리를 옮기면서 타격코치 자리가 공석이었다. 2군 감독 겸 타격코치였던 김봉연 역시 재계약에 실패해서 물러난 상황. 공교롭게도 박철우와 함께 SK에서 잘린 이건열도 같이 해태 코치로 합류하게 된다. [17] 코치를 역임하던 이 당시에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방영된 일화에 따르면 감독에서 해임된 뒤 경기감독관으로 재직하던 김성한과 저녁 식사를 해야해서 최고루를 운영중인 최해식에 전화를 걸어 주문을 하자 최해식은 운남동에서 무등 야구장까지 오토바이를 타고 음식을 양장피와 소주는 덤 배달했다고 하며 김성한은 최해식이 고생하는 모습을 보고 마음이 아팠다고 밝혔다. 서동욱은 신인이던 2003년 외야에서 훈련 도중 마운드 쪽에 우당탕탕 소리가 들려 마운드를 쳐다보니 박철우 코치가 한바탕 했다고 말했다. [18] 이 당시 정영일 혹사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 때 나성용 - 나성범 형제가 진흥고에서 뛰고 있었고, 이 외에도 강하승, 고영창, 박상현, 정형식이 진흥고에 있었다. [19] KIA 타이거즈의 투수인 신창호 김진우가 이 구단에서 뛰기도 했다. [20] 참고로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의 최동원이 10일동안 40이닝. 단기전 역대급 혹사로 꼽히는 1984년 최동원보다 더 심한 혹사를 당했다는 것이다. [21] 김응용은 김성한 대신 1루수에 이건열과 박철우를 기용하는 식으로 충격요법을 시전하였다. 이건열은 김성한이 계속 주전으로 출전하자 '저 선배는 출근길에 어떻게 교통사고 한 번 안나냐'라고 털어놓았을 정도 였다. 그리고 이건열이 1루수 미트를 들고 수비 연습을 하러가면 '저리 안가!' '아따 너는 저기로 가라잉~'하면서 외야로 내쫓았다. [22] 그나마 박철우는 좌타자여서 지명타자나 외야수 등으로 기용이 가능했지만, 이건열은 우타자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투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을 떠도는 신세가 되었다. [23] 그러나 박철우는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하여 나무위키의 박철우(야구) 문서 캡쳐화면을 지인으로부터 받았으며 이병훈이라는 선수를 모르며 전술한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