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0:31:20

차영화

차영화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2.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3.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4.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83 1986 1987 1988 1989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7.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8.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91 1993 1996 1997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차영화
해태 타이거즈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정구선
청보 핀토스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박종호
LG 트윈스
이명수
OB 베어스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안경현
두산 베어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김종국
KIA 타이거즈
안경현
두산 베어스
박종호
삼성 라이온즈
안경현
두산 베어스
정근우
SK 와이번스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고영민
두산 베어스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정근우
SK 와이번스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안치홍
KIA 타이거즈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정근우
한화 이글스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안치홍
KIA 타이거즈
안치홍
KIA 타이거즈
박민우
NC 다이노스
박민우
NC 다이노스
정은원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정유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1)
방수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김봉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
장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09)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rowcolor=#fff> 16대 [1] 17대 [1] 18대 [1] 19대 20대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용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회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rowcolor=#fff> 21대 [1] 22대 23대 [1] 24대 25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명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손승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rowcolor=#fff> 26대
진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

{{{#fff [[해태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5번}}}
팀 창단 차영화
(1982~1989)
홍현우
(1990~2000)
{{{#fff [[해태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36번}}}
신태순
(1985~1987)
차영화
(1990~1995)
최희창
(1996~1998)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76번
결번 차영화
(1996~2000)
이광우
(2006~2009)
KIA 타이거즈 등번호 82번
이케우치
(2005)
차영화
(2006~2013)
타케시
(2015~2018)
}}} ||
파일:/image/410/2013/12/05/20131205_1386202369.jpg_59_20131205091610.jpg
차영화
車榮華 | Cha Younghwa
출생 1957년 6월 27일 ([age(1957-06-27)]세)
전라남도 광주시
(現 광주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광주서림초 - 전남중 - 광주제일고 - 동신전문대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2년 해태 타이거즈 창단멤버
소속팀 롯데 자이언트 (1976~1981)
해태 타이거즈 (1982~1989)
지도자 해태 타이거즈 1군 수비코치 (1990~1996)
해태 타이거즈 2군 수비코치 (1996)[1]
해태 타이거즈 1군 수비코치 (1996~1999)[2][3]
해태 타이거즈 감독대행 (1999)[4]
해태 타이거즈 1군 수비코치 (1999~2000)[5]
광주충장중학교 야구부 감독 (2001~2004)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06~2007)[6]
KIA 타이거즈 1군 주루·작전코치 (2007)[7]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08~2009)
KIA 타이거즈 3군 야수코치 (2010)
KIA 타이거즈 3군 총괄코치 (2011~2013)
가족 아들 차정구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프로 경력
3. 지도자 경력
3.1. 불의의 낙상사고 후 근황
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해태 타이거즈의 우투우타 내야수. 해태의 원년 멤버이자, 원년 골든글러브 2루수 수상자[8]다. 은퇴 이후 해태- KIA 한 팀에서만 23년간 코치를 하다가 불의의 낙상 사고를 당해 투병 중이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광주일고에 다니던 그는 고교시절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다가 1976년 실업구단 롯데 자이언트에 입단하게 된다. 1977년 전지훈련에서 롯데 오리온즈의 감독인 가네다 마사이치의 관심을 받기도. 이후 프로 입단 전까지 올스타전에 여러 번 출전도 하고 국제대회서 활약하기도 하였다.

2.2. 프로 경력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1982)

그렇게 실업야구 생활을 하다가 프로 원년에 고향팀인 해태 타이거즈에서 뛰게 되었다.

1989년까지 내야를 골고루 보며 상당히 매끄러운 수비를 보여주면서 육군 경리단 야구부 시절부터 키스톤 콤비를 이뤘던 유격수 서정환과 함께 해태에서도 센터라인을 담당하였고[9] 수비율로만 뽑았던 원년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었다. 타격으로는 평균 이하의 똑딱이 타자로, 주로 김일권 이순철의 뒤를 받쳐주는 2번과 9번을 맏았다. 종종 찬스에 강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해태의 5회 우승에 힘을 보탠 후 1989년에 은퇴를 선언한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이후 1990년부터 해태 타이거즈의 코치로 선임되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주로 수비, 작전, 주루코치를 맡다가[10] 2000년 시즌 후 김응용 삼성 라이온즈 감독으로 옮겨가고 1년 후배 김성한이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재계약에 실패해 팀을 떠났다. 잠시 팀을 떠나있던 시절에는 광주 충장중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다.[11]

이후 2006년 시즌을 앞두고 왕년의 키스톤 콤비였던 서정환 KIA 타이거즈 새 감독에 취임하자 그의 부름을 받고 5년만에 다시 KIA 유니폼을 입게 되었고, 2군 감독 겸 수비코치를 맡았다. 2007 시즌 초반 잠시 1군에 올라와서 주루, 작전 코치를 맡다가 다시 2군 감독으로 돌아갔고, 2009 시즌까지 2군 감독을 맡다가 2010 시즌부터는 3군 총괄코치를 지내게 되었다.[12]

3.1. 불의의 낙상사고 후 근황

이렇게 3군 총괄코치를 하던 2013년도에 큰 부상을 입었는데, 10월 4일 낙상사고로 경추골절상을 입었다. 선수단과 팬들은 이런 날벼락 같은 소식에 혼란을 겪으면서도 선수단은 아직 재활중인 김동재 코치를 겸해서 돕는 일일호프 행사를 열기도 했다. 2013년 12월 즈음 소식에 따르면 눈만 깜빡이다 손도 조금씩 움직인다고 한다. 이듬해 2014년에도 차영화 전 코치를 돕는 일일 호프 행사를 열었는데 소식에 따르면 아직도 투병 중이라는 듯.

2016년 9월 초, 한국프로야구은퇴선수협회에서 투병중인 차영화와 김동재 전 코치를 병문안 했다는 기사가 떴는데, 안타깝게도 아직도 의식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9년에도 병상에 있다는 기사만 떴다. #

4. 기타

5. 관련 문서


[1] ~6월 24일 [2] 1996년 6월 25일~1999년 5월 21일 [3] 2001 한국프로야구 인명록 참조. [4] 5월 22일~6월 4일 [5] 6월 5일~ [6] ~6월 17일 [7] 6월 18일~ [8] 원년에는 골든글러브를 오로지 수비율과 수비평가로만 선정했다. [9] 포수는 김무종, 중견수는 김일권이 주로 맡았다. [10] 특히 3루 주루코치로 오랫동안 일했다. 1990년대 해태 왕조 시절의 영상을 보면 3루 코처스 박스에서 열심히 사인을 보내고 팔을 돌리는 사람으로 차영화가 등장한다. [11] 이 시절 키워낸 대표적인 제자가 다름아닌 두산 베어스 허경민인데, 인터뷰에서 1~2학년 때 차영화 감독 밑에서 강도높은 기본기 훈련을 받아 자신이 성장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12] 원래는 구단에서 2010 시즌부터 2군 수비코치로 기용할 방침이었지만 3군이 신설되면서 그냥 3군 총괄코치로 눌러앉게 되었다. [13] 1980~1990년대 해태 타이거즈가 선후배간 엄격한 규율과 강한 군기, 구타와 폭력으로 유명한 팀이었고 이 분위기가 2000년대 초반까지 남아있던 걸 생각해 보면 특이한 케이스다. [14] 이게 얼마나 대단한 기록이냐면, 선동열, 이순철, 조계현, 이강철, 이종범 등 해태를 대표하던 간판급 선수들도 해보지 못한 기록이다. [15] 유남호는 20경기 출장정지 및 제재금 3백만원, 김응용은 12경기 출장금지 및 제재금 2백만원, 장진범은 10경기 출장금지 및 제재금 1백만원의 징계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