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정구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1999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차영화 해태 타이거즈 |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
정구선 삼미 슈퍼스타즈 |
정구선 청보 핀토스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강기웅 삼성 라이온즈 |
박종호 LG 트윈스 |
이명수 OB 베어스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박정태 롯데 자이언츠 |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김종국 KIA 타이거즈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박종호 삼성 라이온즈 |
안경현 두산 베어스 |
정근우 SK 와이번스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고영민 두산 베어스 |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
정근우 SK 와이번스 |
조성환 롯데 자이언츠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정근우 한화 이글스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안치홍 KIA 타이거즈 |
박민우 NC 다이노스 |
박민우 NC 다이노스 |
정은원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2024 |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73600> |
한화 이글스 2군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
정연희
(1988) |
백기성
(1994) |
감독 대행 정구선 (1994) |
이희수
(1995~1996) |
김충
(1997)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
김정무
(1999) |
유승안
(2000) |
박용진
(2001~2003) |
차동열
(2003) |
유종겸
(2004) |
|
<rowcolor=#fff>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
손상대
(2005) |
백기성
(2006) |
최동원
(2007~2008) |
우경하
(2009) |
정영기
(2010~2012) |
|
<rowcolor=#fff> 15대 | 16대 | 17대 | 18대 | ||
이정훈
(2013~2015) |
전대영
(2016) |
최계훈
(2017~2019) |
최원호
(2020) |
감독 대행 전상렬 (2020) |
|
<rowcolor=#fff> 19대 | 20대 |
21대
|
|||
최원호
(2021~2023) |
김성갑
(2023) |
이대진
(2024~) |
{{{#ffffff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청보 핀토스]] 등번호 23번}}}
|
||||
결번 | → |
정구선 (1983~1986) |
→ |
이진우 (1987)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 ||||
이진우 (1982~1986) |
→ |
정구선 (1987~1990) |
→ |
김민재 (1991~1992) |
빙그레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5번 | ||||
결번 | → |
정구선 (1991~2000) |
→ |
장종훈 (2007~2011) |
}}} ||
|
|
{{{+2 정구선}}} 鄭求善 | Koo-seon Jung |
|
출생 | 1956년 12월 15일 ([age(1956-12-15)]세)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대전고 - 동국대 |
포지션 | 2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3년 1차 지명 ( OB)[1] |
소속팀 |
한국화장품 야구단 (1979~1980)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1983~1986) 롯데 자이언츠 (1987~1990) |
지도자 |
빙그레-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1991~1994) 한화 이글스 2군 감독대행 (1994)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1995~2000) 대전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0~2007) |
병역 | 육군 경리단 (1980~1982) |
본관 | 연일 정씨[2] |
상훈 | 체육훈장 백마장 |
[clearfix]
1. 개요
前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야구 선수. 주포지션은 2루수.3년 연속 골든 글러브 2루수 부문을 수상한, 약체팀이 배출한 80년대 대표 2루수이다.
2. 생애
1956년 12월 15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천면(현 대전광역시 서구) 대전비행장(현 둔산신도시)에서 대한민국 해병대 대위로 예편한 아버지 정관용(鄭寬溶)과 어머니 부안 임씨(扶安 林氏) 임강수(林康洙)[3] 사이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대전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를 졸업했다.2.1. 선수 경력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1983~1985) |
동국대학교 졸업 후 1979년부터 한국화장품 실업팀에서 뛰다가, 1980년 말에 군에 입대해서 경리단 야구팀에서 활약했다. 실업야구에서도 준수한 2루수로 평가를 받았던 선수로, 1982년 국가대표에 발탁되어 한국에서 열린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우승 멤버로 활약했다.
1982년을 끝으로 군에서 제대한 후에는 OB 베어스의 1차 지명을 받았지만, 프로 원년 우승을 차지한 OB가 조건없이 정구선의 지명권을 풀어주면서 삼미로 가게 되었다. 이는 하도 전력이 약했던 삼미를 배려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한다.
어쨌든 그렇게 삼미로 들어간 정구선은 삼미의 주전 2루수 자리를 차지했다. 당시 58경기 연속 무실책 신기록을 비롯한 탁월한 수비와 괜찮은 공격력을 바탕으로 초창기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2루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83년 삼미의 돌풍에 장명부의 초인적인 활약이 단연 1등 공신이었지만, 정구선의 활약도 결코 부정할 수 없었다. OB가 김광수라는 대안이 있었기에 망정이었지, 아니었다면 OB가 놔준 걸 상당히 아쉬워했을 선수.
공격력은 세이버로 보면 1984년에는 스탯티즈 기준 무려 wRC+ 150 을 넘겼다.(84년, 156.4)
2루수 중에 이것보다 좋은 wRC+를 기록한 선수는 김성래(87년 184.7, 88년 191.3), 박정태(92년 167.9), 강기웅(93년, 163.2) 정근우(07년 158.8), 최주환(18년 160) 5명밖에 없을 정도로 뛰어난 성적.
80년대의 대표 2루수로 1983년부터 1985년까지 골든글러브를 3연패하면서 한 시대를 풍미한 최고 선수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1985년 정구선이 수상한 골든글러브는 당시 약체였던 청보 핀토스에서 거둔 유일한 골든글러브. 올스타전에도 꾸준히 출전해서 1983년에는 감독추천으로 출장해 2타수 2안타로 올스타 타격상을 수상. 1984년, 1985년에는 팬투표로 베스트10에 뽑혀 2루수로 선발 출전했고 1986년에는 감독추천으로 출장했다. 1986년도도 골든글러브 수상자인 김성래와 비교하면 WAR는 4.56으로 김성래의 3.23보다 크게 앞선다. WRC+는 120.5 대 139.2, OPS는 0.740 대 0.789, 클래식 스탯에서는 타율을 제외한 전 분야 우세 및 비교우위였으나 4연패에는 실패한다.
당시 청보에서 정구선이 차지한 비중은 가히 절대적이었다. 후신 태평양도 물방망이였지만 초기엔 김일권과 김동기, 후기엔 윤덕규, 김경기, 김동기로 잘치는 타자들이 그나마 조금씩이라도 포진해 있었고 가끔씩 이희성, 여태구같은 무명선수들이 반짝 활약을 해주었던 반면, 청보는 정구선을 제외하면 김진우, 이선웅, 김우근 정도가 잘 치는 타자였다. 청보 2년차가 가장 심각했던 시기로 김우근은 트레이드로 떠나가고 이선웅은 극심한 부진. 김진우하고 정구선밖에 사람다운 성적을 뽑는 타자들이 없었다. 1987년엔 김동기가 본격적으로 주전으로 합류해 쓸만한 타자가 되지만 이쯤 되선 이미 정구선은 롯데로 가버리고 청보엔 없는 시기였다.
정구선은 1986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와 청보 핀토스와의 3:5 대형 트레이드를 통해 팀을 옮기게 되었다. 롯데가 임호균과 양상문을 비롯한 5명을 내주는 조건으로 청보가 정구선을 포함한 야수 3명을 내주는 트레이드였다. 롯데는 투수진 일부를 손해보더라도 야수진을 강화하려는 생각이었지만, 아쉽게도 1980년대 후반부터 그의 기량은 조금씩 하락곡선을 그리게 되었고 1987년 8월 31일 對 청보전에서 기록한 사이클링 히트를 제외하면 롯데에서는 그다지 인상적인 활약을 하지 못했으며, 결국 1990년을 끝으로 은퇴했다.
2.2. 은퇴 후
은퇴 후에는 고향팀인 한화 이글스에서 코치 생활을 했다.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한화가 우승하게 되어 선수 시절에 꿈도 꾸지 못했던 우승을 코치가 되어서 뒤늦게나마 맛보았다.[4] 그러다 2000년 코치직을 그만두고 모교인 대전고에서 2007년까지 감독 생활을 했다. 그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다가 2020년 2월 17일에 박세리와 함께 대전광역시 체육회 부회장으로 임명되었다. 1 23. 여담
- 마구마구 모바일에는 양동연이라는 가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삼미-청보덱에서 쓸만한 몇 안되는 카드.
- 청보 시절 받았던 골든글러브가 경매 시장에 나오면서 화제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는데, 이는 자기 집이 재개발로 인해 이사를 갈 때, 세입자에게 잘 보관하라고 준게 흘러흘러 넘어가게 된 것이라고.
- 통산 BB/K가 1.40이다. 이는 1.51인 양준혁 다음으로 좋은 수치이며, 말년에 폼이 떨어져서도 여전한 선구안 괴물로 이름 날렸던 장성호보다도 좋은 수치이다. 실제로 통산 타율보다 출루율이 정확히 0.099가 높다. 다만, 이미 20대 후반이 되어서야 프로야구가 출범해서 프로에서의 전성기도 짧았고 당시엔 일반적이었던 34세의 나이에 은퇴하게 되어 누적 기록은 부족한 편이다.
-
실제로는 2루수지만, 1987년~1988년 롯데 시절이 스탯티즈 상에서는 유격수로 잘못 나와있었다. 때문에 실제로는 유격수를 본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롯데 역대 유격수 얘기가 종종 등장하곤 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출장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3 | 삼미 | 97 | 356 | .256 | 91 | 11 | 0 | 15 | 35 | 44 | 1 | 39 | .413 | .329 |
1984 | 97 | 351 | .293 |
103 (4위) |
14 | 1 | 12 | 46 | 41 | 3 |
66 (1위) |
.442 |
.405 (4위) |
|
연도 | 소속팀 | 출장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5 | 청보 | 110 | 387 | .261 | 101 | 14 | 0 |
14 (5위) |
53 | 50 | 2 |
76 (1위) |
.406 | .382 |
1986 | 108 | 389 | .262 | 102 | 15 | 1 | 13 | 42 | 48 | 3 | 44 | .406 | .334 | |
연도 | 소속팀 | 출장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7 | 롯데 | 99 | 331 | .254 | 84 | 14 | 2 | 9 | 42 | 44 | 4 |
57 (2위) |
.390 | .362 |
1988 | 107 | 335 | .221 | 74 | 9 | 1 | 12 | 52 | 38 | 4 | 44 | .361 | .309 | |
1989 | 90 | 278 | .230 | 64 | 12 | 0 | 5 | 29 | 25 | 1 | 51 | .327 | .346 | |
1990 | 60 | 147 | .170 | 25 | 4 | 0 | 4 | 17 | 18 | 0 | 21 | .279 | .274 | |
KBO 통산 (8시즌) |
768 | 2574 | .250 | 644 | 93 | 5 | 84 | 316 | 308 | 18 | 398 | .388 | .3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