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9:12:59

이희수(야구)

이희수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1.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84

파일:Eagles_Champion_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감독
1999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한화 이글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f2023,#ddd
1대 2대 3대 4대
배성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7)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3)
강병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8)
감독대행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유승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4)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9)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2)
감독대행
한용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김응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감독대행
이상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한용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0)
감독대행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rowcolor=#fff> 12대 13대
14대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파일:한화 이글스 원정 워드마크.svg
수베로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1~2023)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감독대행
정경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김경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한화 이글스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정연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백기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
감독 대행
정구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
이희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김정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유승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3)
차동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종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rowcolor=#fff>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백기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최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우경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정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2)
<rowcolor=#fff> 15대 16대 17대 18대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5)
전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최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감독 대행
전상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최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3)
김성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이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8번
결번 이희수
(1984~1986)
허구연
(1987)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71번
결번 이희수
(1987)
강병철
(1988~1990)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73번
결번 이희수
(1988)
명승철
(1991)
빙그레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1번
결번 <colbgcolor=#000><colcolor=#fff> 이희수
(1989~2000)
김인식
(2005~2009)
}}} ||
파일:fUIKLKl.jpg
이희수
李熙洙 | Hee soo Lee
출생 1948년 1월 17일 ([age(1948-01-17)]세)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동신초등학교 (졸업)
대동중학교 (졸업)
성남고등학교 (졸업)[1]
포지션 2루수
소속팀 농협 야구단 (1967~1976)[2]
지도자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77)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1977~1981)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82~1983)
롯데 자이언츠 수비코치 (1984~1986)
빙그레 이글스 수비·주루코치 (1987~1990)
빙그레- 한화 이글스 1군 수석코치 (1991~1994)
한화 이글스 2군 감독 (1995~1996)
한화 이글스 1군 작전코치 (1997)
한화 이글스 1군 수석코치 (1998)[3]
한화 이글스 감독대행 (1998)[4]
한화 이글스 감독 (1999~2000)
성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3~2006)
경력 KBO 상벌위원 (2003)
KBO 경기운영위원 (2007)
KBO 기술위원 (2007)
KBO 육성위원장 (2008~2011)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이자, 前 야구감독.

2. 선수 경력

1948년 당시 미군정기하의 부산부[5] 에서 태어났다. 부산 대동중학교 1학년까지는 배구를 했으나 키가 작아서 중학교 2학년 때 야구선수로 전향했고, 부산공고에 진학하나 이 후 서울 성남고에 전학했다. 졸업 이 후 농협 야구단에 입단해 주전 2루수로 활약했고 국가대표 상비군으로도 뽑혔다.

3. 지도자 경력

1977년 천안북일고등학교 야구부의 창단 감독으로 지도자의 길에 들어섰으나 1년 뒤인 1978년 김영덕 감독이 부임하면서 코치로 밀려났다. 이 때 4년간 코치로 경험을 쌓으면서 1980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도 일궜다. 1982년 초 김영덕 감독이 OB 베어스 창단 감독으로 자리를 옮기자 다시 북일고 감독직에 복귀해서 1982년~1983년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2연패와 1983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우승을 달성하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1984년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의 코치로 부임해 강병철 감독과 함께 호흡을 맞추면서 팀의 첫 우승을 일군다.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에는 3루 주루 코치로 활동했는데 유두열이 결승 역전 3점 홈런을 때려내자 너무나 흥분한 나머지 유두열을 업고(...) 홈으로 들어가려고 했다. 그러나 1986년 강병철 감독이 롯데와 재계약에 실패하자[6] 롯데를 떠나 빙그레 이글스 수비코치로 부임했다. 그 시기의 감독이 김영덕, 강병철로 모두 그와 호흡을 맞춘 적이 있었던 인물이기 때문에 감독의 변화와 상관없이 계속하며 중간에 잠깐했던 2군 감독직을 포함한 코치직을 장기간 수행할 수 있었다.

1998년 7월, 강병철 감독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한화 감독직에서 중도 해임되자 감독 대행에 부임해 시즌을 마무리하고, 그 해 11월에 정식으로 후임 감독에 부임한다. 1999 시즌은 양대리그로 치러진 첫 시즌인데, 단일리그 기준으로는 리그 4위에 불과한 성적이었지만, 양대리그 체제에서 크로스 토너먼트로 치러진 PO의 특성이 팀에게 대단히 유리하게 작용했다. 바로 정민철, 송진우, 이상목으로 이어지는 막강 선발진과 최강의 마무리 구대성을 비롯해 장종훈, 이영우, 송지만, 댄 로마이어, 제이 데이비스 등 신구 조화를 이룬 야수진의 활약이 있었기 때문이다. 플레이오프에서 4연승으로 두산 베어스를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올랐다. 여기서 롯데를 상대로 4승 1패를 거둬 1992년 한국시리즈의 참패를 복수함과 동시에 이글스 프랜차이즈 사상 최초로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머 쥔다. 이 우승은 현재까지 빙그레-한화 이글스의 최초이자 현재로서는 유일한 한국시리즈 우승 기록이다.

하지만, 그 이듬해에는 매직리그 3위로 추락하는데, 꼴찌였던 SK 와이번스는 당시 쌍방울 레이더스의 선수를 가지고 시즌을 꾸리던 절대 약체였고, 따라서 이는 사실상 꼴찌라는 말과 같았다. 그래서 전년도 우승에도 불구하고 재계약에 실패, 팀을 떠나게 된다. 여기에는 1999년 당시 일어난 한 사건도 영향을 끼쳤다. 1999년 5월 21일 경기에서 구대성이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 판정에 불만을 품고 항의를 하다가 퇴장당한 사건이 있었는데, 경기 후에 이희수 감독이 당시 구심이었던 이영재 심판의 얼굴을 때린 것이다.[7] 이 때문에 12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게 된다. 그런데 당시 2위였던 LG와 7경기 차로 뒤지던 한화는 이때부터 치고 나가기 시작 결국 매직리그 2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8](1984년 롯데 코치 이후 한화 감독으로서 첫 15년 만에 우승을 기여했다.)

가뜩이나 당시 프런트와 반목하고 있던 차에 2000년의 급추락은 프런트에 좋은 구실을 안겨주었다. 이희수는 원래 불 같은 성격 때문에 프런트에 책이 잡힌 상태였다고 한다. 98시즌 이후 프런트 독단으로 코칭스태프 구성과 노장진 트레이드가 이뤄질 때 이희수는 불만만 표시할 수밖에 없었다. 1999년 5월 출장정지 당시 감독을 대행했던 유승안이 좋은 성적을 내자 가뜩이나 좁던 이희수의 입지는 더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2000년에는 감독을 경질하고 완전 프런트 야구를 한다느니, 아니면 유승안을 감독으로 선임한다느니[9] 하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 고의태업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고... 건강 문제까지 겹쳐서 결국 2000년 시즌을 끝으로 이희수는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많은 이들의 예상과 달리 유승안이 지도자 연수로 팀을 떠나며 감독직은 이광환에게 넘어간다.

한화 감독에서 물러난 뒤 모교인 성남고 감독을 맡으며 고교야구계에 복귀, 2004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10] 당시 제자였던 대표적인 선수가 바로 고교야구 최초의 4연타석 홈런으로 이름을 날린 박병호이다. 2006년 지도자 은퇴를 선언하고 홍우태 코치에게 성남고등학교 감독직을 넘겼으며, 같은 해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시타로 나온 바 있다. 구대성의 은퇴식 당시에도 초대받아 참석했으며, 2011년에는 KBS대전에서 한화 이글스 라디오 중계 해설을 맡았으며, 한동안 KBO 육성위원장으로 일하다가 물러났다.

한국시리즈 우승 경력이 있는 감독 중 경력이 가장 짧았다. 1999년 당시 귀뒷부분에서 종양이 자라나기 시작하고 결국 이듬해 수술을 했던 것. 우승이라는 대업을 이루었으나 하필 그때 건강상의 문제가 터진데다 성적 추락까지 겹치면서 재계약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 이후 트레이 힐만 감독이 경력 2년만에 우승을 하고도 가족 건강 문제 때문에 팀을 떠나게 되어 우승 감독중 최단기 감독 경력을 넘겨주게 되었다.

2015년 10월 1일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 한화 이글스 경기 전에 열린 송지만의 은퇴식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밖에도 한화 이글스 관련 야구 다큐에도 종종 얼굴을 비춘다.

2018년 10월 19일 11년만에 열리는 한화의 포스트시즌 경기의 첫 번째 시구자로 참석했다.

4. 관련 문서


[1] 원래 부산공고를 다녔으나 야구부 해체로 전학. 부산공고는 오랜 시간이 지나고 야구부를 재창단한다. [2] 70~72년은 해병대에서 군복무 [3] ~7월 7일 [4] 7월 8일~ [5] 위키피디아 한국어판에서는 충남 출신이라고 되어 있다. 1999년 우승 당시 한겨레 신문에 부산출신이라 나옴. [6] 당시 롯데 프런트는 강병철과는 재계약할 예정이었으나, 이희수 대신 이광환을 수석코치로 영입하려고 했다가 강병철의 반발로 접었다. 그러나 이희수의 재계약 협상을 앞두고 강병철이 "희수 계약금을 애 과자값 정도로 생각하면 곤란하다"고 농담삼아 말했는데 강병철의 이 말이 곡해돼 전달되는 바람에 박종환 당시 단장과 신준호 당시 구단주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특히 '과자값'이라는 단어가 모기업을 모욕했다고 오해하는 바람에 강병철과 이희수의 목을 동시에 날려버리게(...) 된다. [7] 그것도 야구공으로 폭행하였다. 상당히 불만이 컸던 모양이다. [8] 이 당시 감독대행으로 경기를 지휘한 인물이 당시 수석코치였던 유승안이었다. [9] 당시 한화 이글스의 이남헌 사장은 강병철 감독을 시즌 중 경질한 전적이 있었다. 덕분에 이희수가 감독으로 승진할 수 있었지만, 그랬기에 이희수라고 시즌 중에 안 자르리라는 법이 없었으니... 게다가 이남헌 사장은 강성으로, 프로야구 선수협 사태 때 구단측을 대표하여 사태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기도 했다. [10] 준우승팀은 광주동성고였으며 3학년 이원석이 주장 겸 유격수, 2학년 한기주와 1학년 양현종이 투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