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다시 시작해'의 등장 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병철(다시 시작해) 문서
, 가수 '강병철과 삼태기'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강병철과 삼태기
문서
참고하십시오.강병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동메달(코치) |
2000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감독 |
|
1984 | 1992 |
1991, 1992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감독상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ed1c24> 초대 | 2대 | 3대 | 4대 | |
박영길
(1982~1983) |
감독 대행 강병철 (1983) |
강병철
(1984~1986) ★ ☆ |
성기영
(1987) |
어우홍
(1988~1989) |
|
<rowcolor=#ed1c24> 5대 |
6대
|
7대
|
|||
김진영
(1990) |
감독 대행 도위창 (1990) |
강병철
(1991~1993) ★ |
김용희
(1994~1998) ☆ |
감독 대행 김명성 (1998) |
|
<rowcolor=#000> 8대 | 9대 |
10대
|
|||
김명성
(1999~2001) ☆ |
감독 대행 우용득 (2001) |
우용득
(2002) |
감독 대행 김용희 (2002) |
백인천
(2002~2003) |
|
<rowcolor=#fff>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
감독 대행 김용철 (2003) |
양상문
(2004~2005) |
강병철
(2006~2007) |
로이스터
(2008~2010) |
양승호
(2011~2012) |
|
<rowcolor=#fff> 15대 | 16대 |
17대
|
18대 | ||
김시진
(2013~2014) |
이종운
(2015) |
조원우
(2016~2018) |
양상문
(2019) |
감독 대행 공필성 (2019) |
|
<rowcolor=#fff> 19대 |
20대
|
21대 | |||
허문회
(2020~2021) |
서튼
(2021~2023) |
감독 대행 이종운 (2023) |
김태형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 |
한화 이글스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f2023,#ddd |
1대 | 2대 | 3대 | 4대 | |
배성서
(1986~1987) |
김영덕
(1988~1993) ☆ ☆ ☆ ☆ |
강병철
(1994~1998) |
감독대행 이희수 (1998) |
이희수
(1999~2000) ★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
이광환
(2001~2002) |
유승안
(2003~2004) |
김인식
(2005~2009) ☆ |
한대화
(2010~2012) |
감독대행 한용덕 (2012) |
|
<rowcolor=#fff> 9대 | 10대 | 11대 | |||
김응용
(2013~2014) |
김성근
(2015~2017) |
감독대행 이상군 (2017) |
한용덕
(2018~2020) |
감독대행 최원호 (2020) |
|
<rowcolor=#fff> 12대 | 13대 |
14대
|
|||
수베로
(2021~2023) |
최원호
(2023~2024) |
감독대행 정경배 (2024) |
김경문
(20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e0e2d> |
SSG 랜더스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
강병철
(2000~2002) |
조범현
(2003~2006) ☆ |
김성근
(2007~2011) ★ ★ ☆ ★ |
감독 대행 이만수 (2011) ☆ |
이만수
(2012~2014) ☆ |
|
<rowcolor=#fff> 5대 | 6대 | 7대 | 8대 | ||
김용희
(2015~2016) |
힐만
(2017~2018) ★ |
염경엽
(2019~2020) |
감독 대행 박경완 (2020) |
김원형
(2021~2023) ★ |
|
<rowcolor=#fff> 9대 | |||||
이숭용
(202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570514><tablebgcolor=#570514> |
고양 히어로즈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72c,#d3dade |
초대 | <rowcolor=#fff> 2대 | 3대 | 4대 | 5대 |
강병철
(2008) |
윤학길
(2009) |
정인교
(2010) |
박흥식
(2011) |
양승관
(2012) |
|
<rowcolor=#fff> 6대 | 7대 | 8대 | 9대 | ||
김성갑
(2013~2015) |
스펜서
(2016~2019) |
오규택
(2019) |
설종진
(2020~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 ||||
결번 | → |
강병철 (1983~1984) |
→ |
김종석 (1987)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결번 | → |
강병철 (1985~1986) |
→ |
김성관 (1987~1989) |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71번 | ||||
이희수 (1987) |
→ |
강병철 (1988~1990) |
→ |
최웅연 (1997~2000)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김성관 (1987~1989) |
→ |
강병철 (1991~1993) |
→ |
오대석 (1997~1998)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0번 | ||||
김영덕 (1991~1992) |
→ |
강병철 (1994~1998) |
→ |
정회열 (2003) |
SK 와이번스 등번호 70번 | ||||
팀 창단 | → |
강병철 (2000~2002) |
→ |
조범현 (2005)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권두조 (2000~2001) |
→ |
강병철 (2006~2007) |
→ |
주형광 (2009~2019) |
우리 /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80번 | ||||
팀 창단 | → |
강병철 (2008) |
→ |
김동수 (2010~2014) |
강병철 姜秉徹 | Kang Byeong-Chel |
|
출생 | 1946년 8월 21일 ([age(1946-08-21)]세) |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 평강리 (現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평강마을)[1]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동신초등학교 (졸업) 부산대신중학교 (졸업)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 52회) 우석대학교 (학사)[2] |
신체 | 180cm, 85kg, A형[3] |
포지션 | 3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소속팀 |
크라운맥주 야구단 (1965) 해병대 야구단 (1966~1969) 한일은행 야구단 (1970~1977) |
지도자 |
동아대학교 야구부 감독 (1978~1982) 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1983)[4] 롯데 자이언츠 감독대행 (1983)[5] 롯데 자이언츠 감독 (1984~1986) 빙그레 이글스 1군 수석코치 (1988~1990) 롯데 자이언츠 감독 (1991~1993) 한화 이글스 감독 (1994~1998) SK 와이번스 감독 (2000~2002)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6~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군 감독 (2008) |
해설위원 | 일간스포츠 야구 해설위원 (2004) |
경력 |
KBO 상벌위원 (2004) KBO 경기운영위원 (2005) |
상훈 | 체육훈장 백마장 |
병역 | 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만기전역 |
종교 | 불교 |
[clearfix]
1. 개요
前 롯데 자이언츠[6],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의 감독.롯데가 기록한 1984년과 1992년 2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모두 이끈 감독으로 제리 로이스터 감독과 함께 팀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꼽힌다. 명과 암이 분명한 감독이지만 리그의 감독 영구결번으로 꾸준히 거론되는 감독 중 하나이다.[7]
2. 선수 경력
부산상고 시절 강병철 |
부산상고를 졸업하고 1965년에 실업팀 크라운맥주에 입단하였다. 이후 1966년부터 1969년까지 해병대 야구단에서 복무하고, 1977년까지 한일은행 야구단[8] 선수로 뛰었다. 실업야구 특성상 회사원 신분이어서, 크라운맥주 시절에는 식당들을 돌며 맥주 판촉을 했었던 적도 있고, 한일은행 시절에는 진짜로 은행원일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일은행 출신 야구 지도자들은 지폐를 잘 센다는 이야기도 있다.
박영길, 김응용[9]과 함께 국가대표팀 클린업 트리오로 이름을 날렸다. 실업야구가 인기를 끌던 1970년대를 휩쓴 3루수 중 하나였다. 당시로서는 장신인 180㎝의 키에 장타력과 수비력을 겸비해서 ‘한국의 나가시마'로 불렸다. 그는 70년 대통령배실업연맹전에서 실업야구 단일 대회 사상 최초로 두자릿수 홈런(10개)을 친 선수이며, 박영길과 함께 10년연속(1965~74년) 실업야구 올스타전에 출전한 기록도 갖고 있다.
3. 지도자 경력
자세한 내용은 강병철/지도자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4. 평가
자세한 내용은 강병철/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5. 그 후
2017년 10월 8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리는 2017년 KBO 준플레이오프 1차전의 시구자로 선정되었다. 이유는 말할 것도 없이 롯데의 2번 우승을 모두 함께한 유일한 감독이기 때문. 더구나 롯데의 당해 포스트시즌 캐치프레이즈가 "마! 함 해보입시다!"[10]인 데서 1차전 시구자로서의 의미부여는 충분하다 하겠다. 그러나 1차전의 결과는 롯데의 패배로 나왔다.2018년 올스타전에서도 시구를 하였다. 시타는 이승엽.
6. 여담
- 해병대 선수 시절 군복무를 40개월이나 한 희귀한 기록을 가지기도 했다.
요즘 육군의 의무 복무기간은 24개월, 딱 2년이다. 하지만 강병철 전
SK 감독은 해병대에 입대, 햇수로 무려 4년을 복무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크라운맥주에서 강타자로 활약하던 강 감독은
66년 해병대에 입대했다. 당시 복무기간은 24개월 정도. 하지만 제대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김신조 부대가
청와대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 바람에 군복무 기간도 36개월로 늘어났다.
68년 억지로 36개월 다 채웠지만 제대는 허락되지 않았다. 아직 중요한 대회가 남아 있다는 황당한 이유에서였다. 강 감독은 “또래들에 비해 상당히 군생활을 오래 했다. 나 말고도 제대를 연기당한 선수들이 몇몇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강 감독은
68년 시즌을 다 뛰고
69년이 돼서야 군복을 벗을 수 있었다.
출처
- 롯데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이끈 감독은 강병철이었고 우승을 이끈 선수가 둘 다 신인에 안경잡이 에이스였기 때문에 롯데가 우승하기 위해선 강병철 감독(그것도 취임 2년째에[11]), 혹사, 안경 우완 에이스 삼신기가 모여야 한다는 우스개도 있다. #[12]
7. 역대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무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
1983 | 롯데 자이언츠 | 50 | 21 | 29 | 0 | 6위[13] | - |
1984 | 100 | 50 | 48 | 2 | 4위[14] | 우승 | |
1985 | 110 | 59 | 51 | 0 | 2위 | [15] | |
1986 | 108 | 50 | 52 | 6 | 5위[16] | - | |
1991 | 126 | 61 | 62 | 3 | 4위 | 준PO 탈락 | |
1992 | 126 | 71 | 55 | 0 | 3위 | 우승 | |
1993 | 126 | 62 | 63 | 1 | 6위 | - | |
통산 | 746 | 374 | 360 | 12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승 | 패 | 무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1994 | 한화 이글스 | 126 | 65 | 59 | 2 | 3위 | PO 탈락 |
1995 | 126 | 55 | 71 | 0 | 6위 | - | |
1996 | 126 | 70 | 55 | 1 | 3위[17] | 준PO 탈락 | |
1997 | 126 | 51 | 73 | 2 | 7위 | - | |
1998 | 64 | 29 | 33 | 2 | 7위[18] | - | |
통산 | 568 | 254 | 298 | 16 | | ||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무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
2000 | SK 와이번스 | 133 | 44 | 86 | 3 | 4위[19] | - |
2001 | 133 | 60 | 71 | 2 | 7위 | - | |
2002 | 133 | 61 | 69 | 3 | 6위 | - | |
통산 | 399 | 165 | 226 | 8 | |||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무 | 정규리그 | 포스트시즌 |
2006 | 롯데 자이언츠 | 126 | 50 | 73 | 3 | 7위 | - |
2007 | 126 | 55 | 68 | 3 | 7위 | - | |
통산 | 252 | 105 | 141 | 6 | | ||
총계 | 1965 | 914 | 1018 | 33 | |
8. 관련 문서
[1]
김해국제공항 인근의 평강마을 출신(지번 주소상으로는 대저1동이다.)
[2]
전북 완주군의 우석대학교가 아니라
고려대학교에 합병된 우석대학교이다. 해당 문서 참조.
[3]
다음 프로필 기준
[4]
~7월 5일
[5]
7월 6일~
[6]
역대 유일무이하게 한팀에서 세번이나 감독이 되었다. 첫번째 감독 재임당시 1984년 롯데의 첫 우승을 차지했고, 두번째 감독 재임당시 1992년 두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세번째 감독 재임당시에는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8년간 2번의 우승을 이끔.
[7]
대표적으로
타이거즈의 9번의 우승을 함께한
김응용(39, 70),
SK 와이번스의
김성근(38),
베어스의
김인식(81)과
김태형(88),
삼성 라이온즈의
류중일(75)과
이글스의
김영덕(99),
NC 다이노스의
김경문(74) 등이 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존재했다면 하는 가정하에
김재박(70)도 거론이 되었다.
[8]
한일은행이 크라운맥주 야구단을 인수했기 때문이다.
[9]
고등학교 선배이자 크라운맥주, 한일은행의 선배다. 후에 한일은행의 감독까지 했으며, 그러다가 프로야구가 생겨서 프로야구 감독이 된 것이다.
[10]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 강병철이
최동원에게 '동원아. 우짜노. 이까지 왔는데'라고 한국시리즈 등판 지시권유를 하자
최동원이 답한 말이었다.
[11]
첫 롯데 감독 시절인 1983년은 박영길 전 감독의 대행 자격이었다. 두번째 우승하기 전 해인 1991년은 비록 승률은 5할 밑이었지만 롯데는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었다.
[12]
앞서 롯데의 우승을 이끌었던
최동원과
염종석은 나란히 부산 출신이었다.
[13]
전기 4위, 후기 6위
[14]
전후기 통합 순위, 후기 1위로 한국시리즈 진출.
[15]
1985년에 삼성 라이온즈가 전후기 통합우승을 달성하며 한국시리즈 자체가 열리지 않았다.
[16]
전기 3위, 후기 5위
[17]
정규 시즌 4위
현대 유니콘스가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성적은 4위로 밀렸다.
[18]
시즌 도중 경질되었으며 남은 경기는 이희수가 감독대행으로 치렀다.
[19]
매직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