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체의 확대 개량형인 F/A-18E/F 슈퍼 호넷에 대한 내용은 F/A-18E/F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
민항기 | |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 DC-9 ‧ MD-80 ‧ MD-90 ‧ MD-95(B717) | |
3발기 | DC-10 ‧ MD-11 | |
4발기 |
DC-8 ‧ |
|
군용기 | ||
전투기 |
FH 팬텀 ‧
F2H 밴시 ‧
F3H 데몬 ‧
F3D 스카이나이트 ‧
F-6(F4D) ‧
F5D 스카이랜서 ‧
F-4 팬텀 II F-101 ‧ F-15 ‧ F/A-18 ‧ F/A-18E/F |
|
공격기 | BTD 디스트로이어 ‧ A-1 ‧ A-3 ‧ A-4 ‧ AV-8B | |
폭격기 | B-18 ‧ A-20 ‧ A-26 | |
급강하폭격기 | SBD 돈틀리스 | |
뇌격기 | TBD 데버스테이터 | |
수송기 | C-17 ‧ C-47 ‧ C-54 | |
공중급유기 | KC-10 | |
훈련기 | T-45 | |
헬리콥터 | ||
군용 | MD 500 ‧ AH-64 | |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 ||
쌍발기 | DC-1 ‧ DC-2 ‧ DC-3 ‧ DC-5 | |
4발기 | DC-4 ‧ DC-6 ‧ DC-7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Teen Series ]]
틴 시리즈 ''' |
|||
[[F-14| |
[[F-15| |
[[F-16| |
[[F/A-18| |
F-14 | F-15 | F-16 | F/A-18 |
|
|
McDonnell Douglas F/A-18 Hornet |
1. 개요
미국의 노스롭 그루먼에서 개발한 다목적 전투기로, 별명은 호넷.[1] 개량형 F/A-18E/F은 슈퍼 호넷이 되었다.[2]2. 제원
F/A-18A/B/C/D 호넷 | ||
길이 | 17.1m | |
폭 | 12.3m | |
높이 | 4.7m | |
자체중량 | 10,400kg | |
적재중량 | 16,700kg | |
최대이륙중량 | 23,500kg | |
엔진 |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402 터보팬 × 2 | |
출력 | 22,000 lbf ( AB: 35,500 lbf) | |
최대속도 | 마하 1.8 | |
항속거리 | 2,000km (1,089 nmi) | |
전투행동반경 | 535km (290 nmi) | |
실용상승한도 | 50,000피트 | |
레이더 | AN/APG-65[3], AN/APG-73[4] | |
초도비행 | 1978년 11월 8일 | |
도입 | 1983년 (해병), 1984년 (해군) | |
무장 | 고정 | M61A1, M61A2[5] 20mm 개틀링 기관포 1문(578발) |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32 ASRAAM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6] IRIS-T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7 스패로우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공대지 미사일 |
AGM-62 월아이 AGM-65 매버릭 AGM-84 하푼/ 슬램 AGM-88 HARM AGM-154 JSOW AGM-158 JASSM KEPD 350 타우러스 |
|
폭탄 |
Mk.82/83/84 자유낙하폭탄 GBU-10/ 12/16,24 페이브웨이 II/III GBU-32/38/54/55 JDAM CBU-99/Mk-20 클러스터 폭탄 |
3. 개발 과정
F/A-18의 원형은 YF-17 코브라이며, F-5의 방계 후속 모델이다. 노스롭(현 노스롭 그루먼)은 F-5 전투기의 확대/개량형으로 P530 코브라라는 전폭기를 개발 중이었다. 이후 미 공군이 차세대 경전투기 획득 사업, 즉 LWF을 벌였는데 이때 노스롭은 P530에서 지상공격 능력을 빼고 공중전 능력을 강화한 모델인 YF-17 P600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결국 LWF 사업에서 가격 문제 등에 의해 F-16에 밀리게 된다.그러나 YF-17에게 다시 한번 기회가 찾아왔다. 이번에는 미 해군이 예산 삭감 폭풍에 경전투기를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원래 미 해군은 F-14, A-6만으로 항공모함을 꾸리려고 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계획이었기 때문에 F-14 다운그레이드 형으로 부족한 전력을 메꾸려고 했다. 허나 이마저도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미합중국 해군은 결국 싼 값에 F-14와 A-6의 임무를 보조하고 F-4와 A-7을 대체할 경전투기를 개발하기 위해 NACF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원래는 VFAX라는 이름으로 완전히 새로운 전투기를 개발하려고 했지만 이미 F-14 프로그램만으로도 벅찼던 해군은 의회의 권고에 따라 미 공군 LWF 사업에 제출되었던 F-16과 YF-17의 함재기형을 검토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노스롭은 맥도넬 더글라스와 손을 잡고 YF-17을 함재기로 뜯어고친 전투기를 제안하였다. 이것이 바로 F/A-18 호넷이다. LWF 사업에서 선정된 F-16을 개발한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함재기를 만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F-8, A-7 등을 개발한 LTV와 손을 잡고 미 해군 전투기 사업에 참여했다.
원래 의회는 내심 해군이 공군하고 같이 F-16을 쓰는 걸 원했었지만 해군의 사정은 조금 달랐다. 미 해군은 함재기의 엔진이 꺼질 경우 엔진이 두 개인 쌍발기는 나머지 엔진 하나로 계속 비행할 수 있지만 엔진이 하나뿐인 단발기는 그대로 바다에 불시착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F-16보다는 쌍발기인 YF-17을 선호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미 해군에서 활약한 함상 전투기나 함상 공격기 중에는 F9F, F3H, F-6, F-8, F-11, A-4처럼 단발기도 많았지만 대부분은 50년대에 개발되었던 기종들이었고 60년대부터는 F-4, A-6, F-14처럼 쌍발기들의 비중이 늘어나게 되었다. 몇 안 되는 예외가 A-7과 F-35C 정도.
하지만 흔히 알려진 것처럼 YF-17이 오로지 쌍발기였기 때문에 채택된 것은 아니었다. F-16과 YF-17은 모두 지상기지에서 운용하기 위해 만든 전형적인 공군기였기 때문에 함재기로 만들려면 굉장히 많은 부분을 수정해서 거의 새로 만드는 수준이 되어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한계점이 단발기라는 정체성과 함께 F-16의 결정적인 패인으로 작용했다. F-16의 노즈기어는 공기흡입구 바로 아래쪽에 장착되었기 때문에 캐터펄트를 사용해 사출하는 과정에서 버틸 수 있게 보강하고 노즈휠을 1개에서 2개로 늘리면 공간이 부족한 만큼 공기흡입구 자체를 재설계하거나 아래쪽으로 공간을 추가로 만들어야 했다. 여기에 F-16의 고질병인 택싱 중에 지나치게 빠른 속도에서 방향을 틀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한쪽으로 넘어져버리는 현상도 문제였다. 지상에서라면 그냥 속도 제한을 거는 것만으로도 이런 사고를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지만 항공모함에서는 착륙할 때 어레스팅 와이어에 의해 횡력이 걸리는 상황이 생길 수 있었던 만큼 안전성이 상당히 떨어졌고, 이를 예방하고자 랜딩기어 간격을 늘리고 더 폭이 넓은 바퀴를 사용하려면 무게가 추가로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사실 미 해군이 공식적으로 F-16의 문제로 지적했던 것은 FBW 시스템이 피격 시에 안전하지 않다는 것과 착함 과정에서 받음각 제한기가 문제가 될 수 있었다는 점인데, 둘 다 잘못된 지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YF-17이 F-16보다 함재기로 적합했다는 것만큼은 확실했다. 단순히 해군이 공군하고 같은 전투기를 쓰고 싶지 않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F-16을 거절했다는 이야기도 오랫동안 돌았지만 별 근거는 없는 이야기이다.
F/A-18은 본래 전투기 버전인 F-18과 공격기 버전인 A-18 두 가지 모델이 개발되려 했다는 말도 있으나, 이후 이를 하나로 합쳐 F/A-18이라는 기종명을 쓰게 되었다. 사실 F-15 제공형이나 Su-27 같은 전투기[7]가 아닌 다음에야, 요즘 전투기들은 대부분 공중전과 지상공격 모두를 할 수 있지만 F/A-18은 특이하게도 기종명에 이를 대놓고 광고하고 있는 셈이다.[8]
함재기인 F/A-18 호넷은 전적으로 맥도넬 더글라스가 판매하기로 했고[9] 노스롭은 F/A-18의 지상운용형인 F/A-18L을 팔기로 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노스롭이 맥도넬 더글러스에 합의 내용을 위반했다며 해외 판매 금지 신청을 법원에 내는 등 소송에 휩싸인 데다, 해외 구매국들도 미 해군이 사용하고 있어 향후 예비부품 등의 수급에 더 유리한 일반 F/A-18쪽에 관심이 많다 보니 미국 정부가 중재에 나서 맥도넬 더글러스가 5천만 달러를 노스롭에 지불하기로 하고, 노스롭은 F/A-18L 개발을 폐지하는 것으로 매듭지었다. 이후에 맥도널 더글러스는 보잉에 합병됐기 때문에, 현재 F/A-18은 보잉에서 제작하고 있다. F/A-18은 F-35 때문에 JSF 사업에서 탈락한 보잉의 대표적인 효자 상품 중 하나이다. 하지만 F/A-18의 판매량은 경쟁 기종이기도 했던 F-16에는 한참 미치지 못한다.[10]
4. 특징
호넷의 유명한 이른바 "하이 알파 기동".[11] 높은 받음각에서도 실속에 빠지지않고 마치 해리어의 수평비행을 보는 듯한 기동이 가능하다.[12][13]
테이퍼익 형태의 주익에 대형 스트레이크를 조합한 것이 특징으로서 이는 현대의 전투기들이 대체적으로 후퇴익이나 델타익을 채용하는 것이 보통임을 생각해 보면 꽤 특이한 설계인데, F-5의 유산을 물려받은 기종임을 생각해 보면 어느 정도 이해는 간다.[14]
공력기술 특성상 F-5의 유산을 물려받은 기종답게 LEX(앞전연장부)와 높은 종횡비와 낮은 후퇴각의 주익이 조합되었다. 초음속 전투기치고는 주익 후퇴각이 상당히 작아서 아음속에서 유리하고 천음속 영역에서는 불리한 형상이지만 LEX의 높은 후퇴각이 이러한 불리함을 커버해 준다. 추가적으로 Flight Control System이 수준 높은 제어를 하기 때문에 40°가 넘는 극단적인 고받음각에서도 Departure가 일어나지 않는 조종성을 가진다.[15] LWF 사업 경쟁 기종이었던 F-16이 고받음각 기동과 순간 선회보다는 전통적인 지속 선회율을 중시한 비행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하면 재미있는 대조라고 할 수 있다.
최고속도는 고정식 공기 흡입구를 장착하여 초음속에서의 외부 공기 압축[16]에 불리한 항공기들이 으레 그러하듯이 마하 2 아래인 1.8에 머물러 있다. 최고속도와 가속력이 늘 일맥상통하지는 않지만, F/A-18의 경우 주익부터 후퇴각이 낮은 테이퍼익이라는 점까지 합쳐져 경쟁 기종 F-16에 비해 최고속도와 가속력 모두 처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면고도에서의 한계속도 역시 마하 1.2까지 견딜 수 있는 F-14/15/16과는 달리 마하 1.0 수준이다.
F/A-18의 가속력은 다음과 같다. 3만 피트 기준이다. 보다시피 원형인 F-5와 개량형인 F/A-18E/F보다는 가속력이 좋지만 라이벌 기종인 F-16에 비해 크게 밀린다. 이곳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상승률 역시 F-16에게 밀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틴 시리즈 기체들 중에서 가장 처진다.[17]
5. 실전
기본적으로 함재기라 동시대의 공군 기체들과 비교하면 실전 경험이 많지는 않다. 다른 틴 시리즈 기체들과 마찬가지로 걸프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았다. 걸프전 때는 두 가지 진기록을 세운다.한 가지는 1991년 1월 17일 USS 새러토가의 F/A-18 4기 편대가 Mk.84 폭탄 4발씩을 탑재한 채로 출격, 이라크의 MiG-21 2기를 격추한 기록이다. 그것도 폭탄을 버리지 않고! 격렬한 선회전을 벌인 것은 아니지만 정면 접근하는 MiG-21 분대에게 AIM-7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단거리 미사일인 AIM-9으로 교전하여 교차(merge) 직전 두 기를 모두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 DCS World와 실제 교신 기록을 활용한 재현 영상. 이 F/A-18 편대는 그렇게 공대공 전투를 마치고 본래 예정된 표적인 이라크 H3 비행장에 폭탄까지 제대로 투하하고 돌아왔다. 'F/A'라는 이름에 정말 걸맞은 전과라고 할 수 있겠다.
걸프 전쟁 당시 해당 전투기가 MiG-25에 의해서 격추당하는 것을 DCS 월드로 재현한 동영상
또 한 가지는 연합군 전투기 중 유일하게 공대공에서 격추 '당한' 전투기라는 점이다. 개전 첫날 밤에 F/A-18 1기가 실종되었는데 미군은 처음에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했다고 생각했다. 이후 걸프전 당시 U-2가 정찰했던 사진들을 분석하다가 1994년경에(전쟁이 끝난 뒤다) 사막 지대에서 이 실종된 F/A-18의 잔해를 발견, 이라크에 요청해 미군이 실제 잔해 수거 및 유해 발굴에 나섰다. CIA 보고서도 그렇고, 러시아 언론 매체도 그렇고 이라크 공군의 MiG-25가 발사한 R-40RD(NATO 분류 AA-6) 미사일에 의해 격추당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잔해 조사에 따르면 조종사 스콧 스파이처(Scott Speicher) 소령이 마지막 순간 비상탈출을 시도했는지 캐노피는 사출되었으나 조종사는 살아남지 못했다고 한다. 당시 동료 조종사들도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MiG-25의 접근 사실 자체를 몰랐던 듯하다.
후일 공개된 MiG-25 조종사 주하이르 다우드(Zuhair Dawoud) (당시 계급) 중위의 인터뷰 내용과 미 해군의 분석에 따르면 조종사가 AGM-88 HARM 발사에 집중하느라 터널 비전 상황에 빠졌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결과 RWR 경보와 공격 징후를 인식하지 못했고,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데 실패하여 무방비 상태로 피격당했다는 것. 스파이처 소령이 03시 49분 43초에 HARM 발사를 위해 오토파일럿을 해제, 하강 가속한 뒤 1분도 지나지 않은 03시 50분 피격됐으며, 기체 잔해에서도 HARM이 한 발만 발견된 것을 고려하면 가장 가능성 높은 추측이다.
6. 파생형
6.1. X-53 액티브 에어로엘라스틱 윙(AAW)
|
X-53 Active Aeroelastic Wing (AAW) |
6.2. F-18 HARV
|
F-18 High Alpha Research Vehicle (HARV) |
추력 편향 노즐을 장착한 실험기 버전이다. HARV는 High Alpha Research Vehicle의 약자로, 번역하면 '고받음각 실험기' 쯤 되겠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단계를 거치며 순차적으로 개량되고 시험 비행을 수행했으며, TVC와 기수의 액티브 스트레이크, 추력 편향용 패널 등 다양한 개조가 가해진 결과 기존의 F/A-18으로는 불가능했던 기동이 가능해졌다. #
6.3. F/A-18E/F 슈퍼호넷
|
F/A-18E/F Super Hornet |
자세한 내용은 F/A-18E/F 문서 참고하십시오.
A-6, F-14D가 퇴역할 상황이 되었음에도 미 해군은 적절한 대체 기종을 찾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18] 미 해군은 F/A-18 호넷을 개량하고 더 크게 늘린 F/A-18E/F 슈퍼 호넷을 개발했다.
F/A-18 호넷 (레거시 호넷)의 단순 개량형으로 볼 수 없으며, 호넷 설계를 기반으로 새로 개발한 기체라고 볼 수 있다.
6.4. 어드밴스드 슈퍼 호넷
|
F/A-18E/F Advanced Super Hornet |
자세한 내용은 F/A-18E/F 문서 참고하십시오.
6.5. EA-18G 그라울러
|
EA-18G Growler |
자세한 내용은 EA-18G 문서 참고하십시오.
슈퍼호넷을 기반으로 개발한 적 레이더 및 방공관제 체계를 교란/무력화하는 데 특화한 침투 전자전기다.
7. 운용국
자세한 내용은 F/A-18/운용국 문서 참고하십시오.8. 대중매체
자세한 내용은 F/A-18/대중매체 문서 참고하십시오.9. 모형화
F/A-18은 라이벌(?)인 F-16만은 못하지만 많이 모형화된 기종이다. 적당한 크기와 미 해군의 주력 기체라는 상징성 덕분에 모형으로도 인기가 많다. 다만 신규 모형화는 F/A-18E/F에 밀려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도 그렇지만 F/A-18E/F와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생각보다 크기 차이가 많이 난다.- 1/32
-
하세가와
1970년대 제품으로 당연히 양각 몰드이다. 이제는 구하기도 거의 불가능하다. -
레벨
1980년대 제품으로 하세가와 것과 마찬가지로 구하기 쉽지 않다. 사실 결정판 아카데미 제품이 있는데 구할 이유도 딱히 없다. -
아카데미과학
동 스케일의 타미야 F-16과 함께 최고의 에어로 킷으로 꼽히는 좋은 제품이다. 구성과 디테일, 프로포션 모두 훌륭하다. 레이더가 완벽 재현되어 있으며 엔진 역시 재현되어 있다. 가동 부위도 은근히 많다. 플랩과 에일러론은 각도를 선택할 수 았게 되어 있다. 이후 출시된 1/32 F-16보다 평이 더 좋다. 기본형은 C형이고 이후 바리에이션으로 D형과 A+형이 발매되었다. 2010년대 이후 출시된 바리에이션들은 카르토그래프 데칼을 포함하고 있다. -
키네틱
아카데미 제품의 재포장판으로, 원판이 워낙 명작이라 이 제품 역시 좋다.
- 1/48
- 레벨
- 모노그람
- 이탈레리
- 테스터스
-
하세가와
하세가와답지 않은 풍성한 구성과 하세가와다운 좋은 디테일&프로포션이 겹쳐 아직까지도 결정판으로 꼽히며, 역시나 하세가와다운 데칼놀이질로 바리에이션이 매우 다양하다. 다만 어째서인지 도통 새 바리에이션이나 기본판 재발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 강남모형
- 하비보스
- 키네틱
하세가와의 카피나 다름없는 키트. 다만 가격 하나는 무시무시하게 싸다.
2010년대에 출시된 신금형. 주익 시위선 각도 등 자잘한 오류가 많으나 구하기도 어려운 하세가와를 사서 뜯어고치느니 속편하게 키네틱을 사는 게 낫다. 블루엔젤스나 ATARS 등 바리에이션도 통상판으로 출시.
- 1/72
다양한 바리에이션과 가성비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래 전에는 스페인군형, 캐나다군형, 핀란드군형 중 하나를 선택해 만들 수 있는 키트도 판매했었다. 현재는 미 해군 버전을 기반으로, 간간히 복좌 미 해병대 버전을 재판하는 상황. 00년대 아카데미 킷 답게 자잘한 오류는 많지만, 하세가와 호넷의 발매 시기와 금형 노후화로 인한 품질 저하로 현재는 1/72 결정판 내지는 하세가와와 엄대엄으로 평가받는 중.
- 1/110
- IMAI
- 1/144
- 에이스모형 - 후에 아카데미과학이 재포장한다.
- 1/160
- 1/220
- 1/300
- 니치모
- 1/350
-
트럼페터
1/350 항공모함을 위한 액세서리이다.
10. 기타
- F/A-18과 F-16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으나, 두 기종은 많은 점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일례로 F/A-18의 APG-73은 F-16의 APG-68에 비해 넓은 탐색범위 및 BAR 그리고 더 미세한 빔 등 이점을 가지고 있다. 대신, F-16은 더 싼 기체 가격과 유지비-즉 가성비가 더 뛰어나고, 기체 중량 대비 더 강력한 엔진과 빠른 가속력 및 속도와 상승율, 더 긴 항속거리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서로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19]
- F/A-18은 현대의 대표적인 중형급 전투기로 꼽힌다. 이에 대응하는 동구권 전투기로는 MiG-29를 꼽기도 하지만 호넷과 펄크럼은 최대이륙중량이 4톤 가량 차이나(펄크럼 약 19톤, 호넷 약 23톤) 동급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애매한 편이다. 이후 펄크럼의 개량으로 비슷해지기는 했다. 타이푼과 라팔 등의 유럽제 델타익 전투기들은 체급에 비해 탑재능력이 큰 편이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애매한 면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호넷과 유사한 체급이라고 간주된다.
- 다른 틴 시리즈 전투기들을 포함해 보통 기관포는 동체 상면 또는 전방의 측면에 설치되지만 호넷은 특이하게 기관포가 중앙에 가깝게 레이돔과 캐노피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마치 대전기 전투기들처럼 기관포가 전방에서 발사된다.
- 맥도넬 더글라스 기업홍보 광고에 이 기체가 나왔다.
- 아이폰에 스크린타임이 걸려있는 상황에서 F/A-18을 치면 성인사이트로 인식되어서 검색을 못한다.
11. 참고 링크
12. 둘러보기
미국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
1950년대 |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 |
1960년대 |
F-4(F4H/F-110) 팬텀 II |
|
1970년대 |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 |
1980년대 |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 |
1990년대 |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 |
2010년대 |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 |
2020년대 |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 |
2030년대 | PCA | F/A-XX | |
}}}}}}}}} |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
||||
회전익기 | 경헬기 | S-52, H-19 | |||
다목적헬기 | UH-1E/N | ||||
수송헬기 | CH-46, CH-53 | ||||
공격헬기 | AH-1G/J/W | ||||
대잠헬기 | SH-2, SH-3, SH-60 | ||||
제공 전투기 | 1세대 | FJ-1, FJ-2, FJ-4, F2H(F-2), F9F-2, F6U, F7U, F9F-6 | |||
2세대 | F3H-1/2(F-3), F-11, F8U, F4D(F-6) | ||||
3세대 |
F-4A/B/J/N/S, |
||||
4세대 | F-14A/B/D, F-18A/B/C | ||||
해병전투기 |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
||||
지상 공격기 |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 ||||
전자전기 | F3D-2Q(F-10), EA-6B, EP-3 | ||||
수송기 | C-1, C-2 | ||||
공중급유기 | KC-130 | ||||
해상초계기 | P-2V, P-3A/B/C, S-2, S-3 | ||||
조기경보기 | E-1, E-2C/D, E-6 | ||||
훈련기 | T-38, T-2, T-45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518a>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
||||
회전익기 | 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 Z), UH-1(N/Y) | ||||
전투기 | <colbgcolor=#00518a> 4세대 / 4.5세대 | F-14(A/B/D)R, F/A-18(A/BR, C/D해병), F/A-18E/F | |||
5세대 |
|
||||
6세대 | { F/A-XX} | ||||
공격기 |
|
||||
수송기 | 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2(C/D), E-6 | |||
대잠초계기 |
P-3C, |
||||
정찰기 | HC-144해경 | ||||
공중급유기 | KC-130 | ||||
전자전기 | EA-6BR, EA-18G, EP-3 | ||||
훈련기 | 프롭 | DHC-3, T-34, T-44A, T-6 II | |||
제트 | 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 ||||
헬리콥터 | TH-57, UH-72 | ||||
가상적기 | F-21AR, F-16(A/B), (T)F-16N | ||||
다목적기 | UC-35D | ||||
무인기 | 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 MQ-25} | ||||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캐나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캐나다군| 캐나다군 (1968~현재) ]]'''
Canadian Armed Forces | Forces armées canadienne |
||
<colbgcolor=#da291c> 회전익기 |
<colbgcolor=#da291c> '''[[무장헬기| 경헬기 ]]'''
|
CH-139 | CH-146 | |
수송헬기 | CH-147 | ||
대잠헬기 | CH-148 사이클론 | ||
'''[[전투기| 전투기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CF-104 | CF-100 | CF-101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CF-5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CF-18(A/B)/CF-188(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 F-35A} | ||
수송기 | 전략 | CC-177 | |
전술 | C-130J-30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 E-7}NAEW&CF | E-3ANAEW&CF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 P-8} | CP-140M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 CC-330} | CC-150 폴라리스 | ||
'''[[UAV| 무인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CU-176 가고일■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스페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945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
||||
회전익기 | 경헬기 | <colbgcolor=#fefefe,#393b42>Z.2R | XZ.3R | XZ.4R | Z.5R | Z.6R | Z.7( A/ B)R | HD.11R | HE.20R | HE.25 | |||
정찰헬기 | HR.12R | HR/HRA-15R | ||||
다목적 헬기 | Z.1( A/B/ C)R | HU.8R | HU.10R | HD/HE-16R | HU.18 | HU.21 | HU.22 | HE.24 | HE/HU.26 | HU.27 | HU.30 | ||||
<colcolor=#373a3c> 수송헬기 | HT.17 | HT/HD-19R | HD/HT.21 | HT.27 | HT.29 | ||||
공격헬기 | HA.14R | HA.15R | HA.16R | HA.28 티그레 | ||||
대잠헬기 | HS.9R | HS.13R | HS.23 | ||||
전투기 | 프롭 | C.1R | C.2R | C.3R | C.4( E/ J)R | C.6 (1939)R | C.6 (1954)R | C.7R | C.8 (1939)R | C.9 (1939)R | C.11 (1938)R | |||
1세대 | C.5 (1955)R | ||||
2세대 | C.8 (1965)R | ||||
3세대 | A.9R | C.11R | C.12R | C.14(B)R | ||||
4세대 / 4.5세대 | C.15 | C.16(M) 타이푼 | ||||
6세대 | { FCAS} | ||||
폭격기 | BV.1R | B.2R | B.3R | B.4R | B.5R | B.6R | B.7R | ||||
공격기 | A.1R | A.2R | A.3R | A.4R | A.10(B/C) 사에타R | VA.1 마타도어R | VA.1(A/B) | ||||
정찰기 | 프롭 | TR.12A | TR.19 | |||
제트 | TR.20 | AR.9 | CR.12 | ||||
수송기 | T.1R | T.2R | T.3R | T.4( I/II/ III)R | T.5R | T.6R | T.7R | T.8R | T.9( I/II)R | T/TL.10 | TM.11 | T.12(B/C/D) | T.15R | T.16R | T/TK/TM.17R | T.18 | T/TM.19 | | TM.20 | T.21 | T.22 | T/TK.23 | T/TK.24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3ANAEW&CF | { E-7}NAEW&CF | |||
대잠초계기 | P.3(M)R | { C-295 MPA/ASW} | ||||
공중급유기 | TK.10 | { A330 MRTT} | ||||
의무후송기 | D.2 | D.3A | D.4 | ||||
전자전기 | |||||
무인기 | UR.01 | NR.03 | NR.04 | NR.05 | {SIRTAP} | { 유로드론} | ||||
훈련기 | 프롭 | EE.1(I, II)R | EE.2R | EE.3R | EE.4R | EE.5R | E.6(I, II)R | E.16R | E.17R | XE.18R | E.18R | E.19R | E.20 | E.21 | E.22 | E.23 | E.24 | E.26 | E.27 | E.30 | E.31 | TE.12B | |||
제트 | VAE.1 | VAE.1B | CE.8R | AE.9 | XE.12R | E.14(B)R | CE.11R | CE.14R | CE.15(M) | E.15R | E-25 미를로 | ||||
수상기 | HR.1R | HR.2R | HR.3R | HR.4R | HR.5R | HR.6R | HR.7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핀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
<colbgcolor=#FFF,#191919>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color=#002F6C> 회전익기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무장헬기| 경헬기 ]]'''
|
MD 500(D/E)■ | AB 206A 제트레인저■/R | MD 500(C/M)■/R | SE.3130 알루에트-II■/R | Mi-1■/R | |
''' 다목적 헬기 '''
|
NH90 TTH■ | Mi-8(P/PS/T)■/R | Mi-4■/R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발멧 피후리R | Bf 109 GR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FB.52R | 냇 F.1R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MiG-21F-13R | J 35BS 드라켄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J 35(FS/XS) 드라켄R | MiG-21bis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8(C/D) 호넷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 F-35A 라이트닝 II} | ||
폭격기 | Il-28R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리어젯-35A/S | MiG-21bis/TR | 냇 FR.1R | Il-28R "니키타"R | 펨브로크 C.53R | 포커 C.XR | |
전자 | C-295M SIGNT | 포커 F27-100 SIGINTR | ||
'''[[수송기| 수송기 ]]'''
|
''' 경량 '''
|
C-295M | PC-12NG | 포커 F27-400M 트룹십R | |
''' 전술 '''
|
C-47A 스카이트레인R | ||
다목적기 | PA-31-350 치프틴R · PA-31 나바호R | PA-28(R-200/RT-201) 애로우 II · IVR | 세스나 402BR | BN-2A 아일랜더R | DHC-2 비버 Mk.1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패럿 아나피■ |
DJI 매빅■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2B■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ADS-95 레인저■
|
||
''' 지원기 '''
|
''' 연락기 '''
|
비치 D17SR | Fi 156K-1R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115E 튜터 | L-70 빈카R | L-90TP 레디고R | VL 툴리 (I~III)R | VL 비마R | VL 푸루R | Fw 44 J | |
제트 | 호크 (51/51A/66) | Sk 35CSR | MiG-21(U/UM/US)R | CM.170R 마지스테르R | MiG-15UTIR | 뱀파이어 T.55R | ||
표적예인 | 사브 91D 사피르R | 사브 B 17A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스위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스위스군| 스위스군 (1945~현재) ]]'''
Schweizer Armee |
||
<colbgcolor=#DA291C><colcolor=#FFF> 회전익기 |
<colbgcolor=#DA291C><col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
EC635P2+ | SE.3160 알루에트-III | SE.3130 알루에트-II | SO.1221 진 | OH-23 레이븐 | |
''' 다목적헬기 '''
|
AS532 UL 쿠거 | AS332 M1 슈퍼 푸마 (TH89)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BI/D/K) 머스탱 | M.S.406S 모랑 | D-3800 · 3801 · 3802(A) · 3803 모랑 | Me 109 (D-1 "다비트"/E-1 · E-3 "에밀"/F-4I "프리츠"/G-6 · G-14I "구스타프")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NF.10X/F.1/FB.6) |
베놈(FB.1/FB.4) |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헌터 F.58(A)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미라주 IIIS "MIRO" | F-5(E/F) 타이거 II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A-18(C/D) 호넷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 F-35A 라이트닝 II} | ||
공격기 |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미라주 IIIRS | 모스키토 PR.IVI | C-36 | EKW C-35 | 포커 C.V-E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Ju 52 | C-45 익스퍼다이터 | Si 204 | M 18d | |
다목적기 | PC-6B2-(H2/H4) 터보 포터 | ||
''' 지원기 '''
|
''' 연락기 '''
|
PA-18 슈퍼 컵 | Fi 156 슈토르히 | 비치 B50 트윈 보난자 | Do 27H-2 | Bf 108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인다고 3■ | 패럿 아나피 TSE■ | PD-100 블랙 호넷 나노■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B■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ADS (95/90) 레인저클래스 3 - MALE급
ADS 15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DA42 트윈 스타 | PC-21 | PC-9 | PC-7 | 필라투스 P-3 · P-2 | 하버드 IIB | Fw 44F 스티글리츠 | Bü 133 | Bü 131 | Bf 108B-1 타이푼 | |
제트 | 호크 66 | 미라주 III(BS/DS) | 헌터 T.68 | 뱀파이어 T.55 | ||
표적예인 | EKW C-3605 | ||
가상적기 | KZD-85 | MQM-61 카디널 | ||
VIP 탑승기 | 다쏘 팔콘 900EX | 챌린저 604 | 세스나 560XL 사이테이션 엑셀 | EC635 VIP | PC-24 | 비치 B1900 | 리어젯 35 | 다쏘 팔콘 50 | AS365 도팽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I: 강제착륙/귀순 기종을 정식 편제로 편입 ※ 윗첨자X: 실험 목적 도입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현대 말레이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군 (1945~현재) ]]'''Tentara Angkatan Malaysia |
||
<colbgcolor=#000066> 회전익기 |
<colbgcolor=#000066> '''[[무장헬기| 경헬기 ]]'''
|
AW109H LUH■ | MD 530G 카유스 워리어■ | AS555 SN 페넥■ | SE.3160 · SA.319 알루에트 III | |
''' 다목적 헬기 '''
|
{ UH-60A+ 블랙 호크}■/L | S-61A-4 "누리"■→■ | AW139■■ | EC725AP 카라칼 | ||
대잠헬기 | 슈퍼 링스 300■ | 와스프 HAS.1■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CA-27 Mk.32 세이버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5(E/F) 타이거 II | ||
4(.5)세대 | { FA-50M 블록 70 파이팅 이글} | Su-30MKM | F/A-18D 호넷 | MiG-29(N/NUB) | ||
공격기 | 호크 208 | A-4(C/PTM) 스카이호크 | CL-41G "테부안"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리어젯 35A/Avcon R/X | RF-5E 타이거아이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N-235M-220 | DHC-4A 카리부 | DH.114 헤론 2D | DH.104 도브 | |
전술 | A400M 아틀라스 | C-130H(-30) 허큘리스 | HPR.7 다트 헤럴드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
다목적기 | EA-300T | 세스나 402B · 310F | 트윈 파이오니어 시리즈 3 | 파이오니어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 ATR 72 MP 서베이어} | CN-235 MPA | 비치 B200T 슈퍼 킹에어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130T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DJI 매빅■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레인저 R60■ | DJI 매트리스 (210/300RTK)■ | CW-15■ | CW-007■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CW-25DE■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CTRM 알루드라 Mk.1■■ |
캠콥터 S-100■클래스 3 - MALE급 CTRM 이글 ARV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
앙카-S}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PC-7 Mk.II | 비치 B350i 슈퍼 킹에어 | MD3-160 에어로 타이가 | 불도그 모델 102 | 프로보스트 T.51 | 칩멍크 T.20 | |
제트 | 호크 108 | MB-339(AM/CM) | TA-4PTM | ||
헬기 | EC120 콜리브리 | 벨 47G-2 | ||
가상적기 | ALBA | 스크랩 2 | BTT-3 밴시 | ||
VIP 탑승기 | ACJ320-214 프레스티지 | ACJ319-115X | B737-7H6 BBJ | 다쏘 팰컨 900B | BD-700-1A10 글로벌 익스프레스 | S-70A-34 | 포커 F28-1000C 펠로우십 | BAe 125 | AS332 L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말레이시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호주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dead,#513100>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
||||
회전익기 | <colbgcolor=#ffdead> 다목적 헬기 | 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 |||
공격헬기 |
|
||||
수송헬기 | CH-47CR, UH-1B/D/HR, S-70A-9R | ||||
전투기 | 1세대 |
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
|||
2세대 |
|
||||
3세대 | 미라주 IIID/O(A)/O(F)R, F-4ER | ||||
4세대 / 4.5세대 | F/A-18A/BR, F/A-18F, F-111A/C/GR | ||||
5세대 | F-35A | ||||
폭격기 | 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 ||||
수송기 | 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7A 웨지테일 | |||
대잠초계기 | P2V-4/5/7R, P-3B/C, AP-3C, TAP-3B, P-8A | ||||
정찰기 | 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 ||||
공중급유기 | 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 ||||
전자전기 | AP-3C, EF-18A | ||||
무인기 | SUAV | { 퀀텀 벡터} | |||
UAV | 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캠콥터 S-100, MQ-4C | ||||
UCAV | { MQ-28} | ||||
훈련기 | 프롭 | 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 |||
제트 | MB-326HR, 호크 127 | ||||
특수목적기 | 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
민항기 | |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 DC-9 ‧ MD-80 ‧ MD-90 ‧ MD-95(B717) | |
3발기 | DC-10 ‧ MD-11 | |
4발기 |
DC-8 ‧ |
|
군용기 | ||
전투기 |
FH 팬텀 ‧
F2H 밴시 ‧
F3H 데몬 ‧
F3D 스카이나이트 ‧
F-6(F4D) ‧
F5D 스카이랜서 ‧
F-4 팬텀 II F-101 ‧ F-15 ‧ F/A-18 ‧ F/A-18E/F |
|
공격기 | BTD 디스트로이어 ‧ A-1 ‧ A-3 ‧ A-4 ‧ AV-8B | |
폭격기 | B-18 ‧ A-20 ‧ A-26 | |
급강하폭격기 | SBD 돈틀리스 | |
뇌격기 | TBD 데버스테이터 | |
수송기 | C-17 ‧ C-47 ‧ C-54 | |
공중급유기 | KC-10 | |
훈련기 | T-45 | |
헬리콥터 | ||
군용 | MD 500 ‧ AH-64 | |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 ||
쌍발기 | DC-1 ‧ DC-2 ‧ DC-3 ‧ DC-5 | |
4발기 | DC-4 ‧ DC-6 ‧ DC-7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항기 | ||
<colbgcolor=#d4def7,#666> | 협동체 | 광동체 | |
쌍발기 | 717(MD95) · 737( 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 767 · 777( -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 |
3발기 | 727 | - | |
4발기 | 707 | 747( -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 |
초창기 모델 | 247 · 307 · 314 · 377 · 367-80 | ||
개발 중단 / 개발 중 |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 ||
군용기 | |||
훈련기 | T-7 | ||
전투기 | P-26 · F-15E/EX · F/A-18E/F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9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 ||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 ||
공중급유기 | KC-97 · KC-135 · KC-767 · KC-46 | ||
대잠초계기 | P-8 | ||
무인기 | MQ-25 · MQ-28 | ||
헬리콥터 | CH-46 · CH-47 · A/M/EH-6 · AH-64D/E | ||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 ||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 |||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대형
말벌이란 뜻.
장수말벌이 아니다. 장수말벌은 엄연히 종의 이름이며 영어권 국가에서는 장수말벌이 서식하지 않는다. 장수말벌은 Asian giant hornet이고 물론 이를 줄여 그냥 Hornet으로 부를 수도 있지만, 영미권에서 Hornet하면 보통 유러피언 호넷이나 아메리칸 와스프를 말한다. 다만 2020년 들어 미국 북서부 태평양 연안의
워싱턴 주에 미확인 경로를 통해
장수말벌이 유입, 인근
양봉 농가의
꿀벌이 몰살당하는 등 피해가 발생중이기는 하다.
[2]
항공모함에 탑재되는
함재기가 저 호넷으로 교체 및 도배된 이후로는, 항모에 "
벌집"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이전 세대인
F-14가 현역일 당시엔 "
캣타워"라고 일컫기도 했으며(공교롭게도
항공모함 호넷은 와일드캣, 헬캣 등 고양이류 함재기를 운용했다.), 후에
F-35로 항공모함이 도배된다면 "
적란운(
번개
구름)"이 될지도 모른다.
[3]
F/A-18A/B형에 장착됨.
[4]
F/A-18C/D형과 F/A-18E/F 슈퍼호넷 초기형에 장착됨.
[5]
A1-F18AC-NFM-200 에 따르면 로트15 중반 기체인 BuNo 164725부터 M61A2를 탑재한다.
[6]
호주군 수출형 한정
[7]
여기서 Su-27 플랭커 계열기들이 공중전만 하는 전투기로 오해할 여지가 많은데, 현재 운용되는 Su-27 패밀리는 대부분 멀티롤이 가능하고, 제공권 장악이 주목적인 Su-27SM/SM3도 멀티롤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최신형 Su-35S 플랭커-E는 아예 홍보 영상부터 멀티롤 잘된다고 광고하고 있다!
[8]
여담이지만 한때 미 공군의
F-22도 '지상공격도 못하는 주제에 가격만 비싸다.'라고 의회의 비난을 받자 F/A-22로 이름을 바꾸면서
JDAM,
SDB 운용능력을 대대적으로 홍보한 적이 있다. 현재는 다시 F-22로 이름을 바꾼 상태이다. 사실 A는 미 해군이 주로 쓰는 분류이며, 미 해군이 먼저 사용한 기종을 도입한 경우가 아닌 미 공군만 쓰는 기종 중 A를 붙인 것은
A-10 등 근접 지원 항공기들 뿐이다. 미 공군은
F-111이나
F-117처럼 실질적으로 공격기 임무를 수행하더라도 그냥 F를 붙이는 편이다. 즉 미 공군은 주 전투임무 기준으로 A는 근접 지원기, F는 항공차단을 포함한 전술기, B는 전략 임무를 맡은 폭격기에 붙는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면 F-111에 전략공격 임무를 부여한 파생형은 FB-111A라는 형식이 부여됐다.
[9]
물론 일부 구성품 등은 노스롭이 제작했다.
[10]
F-16은 공군에서의 운용에 특화된 기종이라는 점 때문에 세계 대다수 국가들에 있어서 수요가 높고
가격 대비 성능이 매우 뛰어나 그야말로 아이돌급 인기를 구사한다. 특히 과거 공산국가였거나 신흥공업 국가들의 주력 전투기로서도 상당한 인기를 끄는 반면 F/A-18은 해군 함재기라는 점과 그나마도 항모의 규모와 운영 방식이 여타 국가들이 상이하게 다르다 보니 수요가 많지 않다. 결정적으로 전 세계에서
항모 끌고 다닐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고 그중에서도 호넷을 운용할 수 있는
슈퍼캐리어를 운용하는 국가는 더더욱 드물다. 그런데도 굳이 지상운용을 전제로 F/A-18 도입하는 국가는 함재기 특유의 짧은 이착륙거리(활주거리)를 살려 지형, 환경상의 제약으로 활주로 시설이 미비한 기지에서도 운용이 가능한 전투기를 필요로 하는 나라들 정도이니 도저히 수요가 많아질 수 없는 것.
[11]
여기서 알파는 AOA 즉 받음각을 의미한다. 정확히는 High AOA Pass.
[12]
다만 저속-고 받음각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기동이라 잠시라도 측풍이나 양쪽 양력 불균형 등으로 자세 안정을 잃거나 비행 영역을 잠시라도 벗어나면 바로 실속이 일어나기에 상당히 위험한 기동이다.
캐나다 공군 호넷 추락 장면
[13]
해당 기체는 직진 비행 중 약간씩 하강하는 것을 느낀 파일럿이 추력을 올렸으나 이를 회복하지 못했고 이후
애프터버너까지 가동을 시도했지만 우측 엔진의 MFC ratio boost piston 고장으로 왼쪽 엔진만 애프터버너가 작동, 추력 불균형이 일어나 급격한 요 회전(스핀)이 발생하면서 결과적으로 오른쪽 날개가 실속하면서 추락했다. 본래는 추력 불균형으로 인해 스핀이 발생해도 자동으로 대처하지만, 당시 속도와 고도가 낮아 회복이 불가능했다. 이후 캐나다 공군은 한동안 에어쇼에서 하이 AOA 패스를 중단했고 이후 하이 AOA 패스시 최저고도(500ft) 제한을 걸었고 그 외에도 상황에 따른 AOA 제약을 걸었다.
[14]
테이퍼익을 가진 전투기라고 하는 기종들을 보면 대부분
잘린 델타익이거나
다이아몬드익인 경우가 많다. 반면 F/A-18의 경우 진짜 직선익스러운 테이퍼익을 가지고 있다.
[15]
다만 기체 자체는 개량형인
F/A-18E/F에 비해 기동성이 좋지만 제어기술의 한계로 Falling Leaf 등의 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한다.
[16]
초음속 비행에서는 제트엔진의 공기 압축기에서 이뤄지는 내부 공기 압축 단계 이전에 공기의 동압을 얼마나 덜 손실하면서 효율적으로 압축하는가 여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단계에서의 회수된 압력이 결국 엔진 추력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정식 공기 흡입구는 특히나 외부 공기 압축에서의 특성이 좋지 않다. 깡추력으로 때우는
F-22 정도를 제외하면 고정식 공기 흡입구를 장착한 전투기들은 F/A-18과 마찬가지로 최고속도가 마하 2를 넘기지 못한다.
[17]
단, 높은 지속선회율을 중시해 개발된 Rate Fighter인 F-16과 달리 이쪽은 좁은 선회반경과 큰 받음각에서의 순간선회를 중시하는 Radius Fighter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18]
물론 대체기 개발 사업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예산 문제로 중간에 중단되었던 것이다.
A-12와
F-22N이 대표적이다.
[19]
현재는 거의 개량이 없는 레거시 F/A-18에 비해 F-16은 지속적으로 개량되면서 Block 60부터는 AN/APG-80 AESA 레이더가 탑재되고 Block 70에서는 더욱 발전한 AN/APG-83 AESA 레이더를 탑재하는 등, 성능 면에서 F-16이 레거시 F/A-18을 압도하게 되었다. 물론 가격도 많이 상승했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