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0:31:55

ASRAAM

AIM-132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IM-132_ASRAAM.jpg

1. 개요2. 제원3. 개발
3.1. 개발 초기3.2. 1980년대3.3. 냉전 종식 이후3.4. 개발 후기
4. 특징
4.1. 긴 사거리와 빠른 속도4.2. 유도 방식
5. 문제점6. 운용국7. 둘러보기

1. 개요

영국이 개발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32라는 미국식 제식명칭도 있으나 정작 미국은 쓰지 않고 있다.[1]

2. 제원

ASRAAM[2]
중량 88kg
전장 2.9m
속도 마하 3.5
탄두 10kg 고폭약 / 파편탄두
가격 20만 파운드 이하로 추정
직경 166mm
날개폭 450mm
사정 거리 300m~18km
중간 유도 관성항법
종말 유도 적외선 유도 / 발사 후 락온 가능
격발 방식 레이저 근접신관 / 충격신관
사용 국가 영국( 해리어, 유로파이터 타이푼, 파나비아 토네이도, F-35B 등)
호주( F/A-18A/B)[3]
인도( 미라주 2000)
우크라이나(발사대 장착 트럭)

3. 개발

아스람의 개발사는 그야말로 고난의 연속. 요구사항이 오락가락하다 결국 개발팀이 분해된, 조별과제의 단점만 잔뜩 보여주고 파토난 사례가 되고 말았다.

3.1. 개발 초기

단거리 미사일은 기동성이 제일이지

영국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피똥싸가며 얻은 교훈을 토대로 'Taildog'이란 미사일을 개발 중이었다. 당시 영국이 분석한 바로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은 역시 기동성이 좋아야 하며, 조종사가 언제 어떤 상황에서라도 발사할 수 있어야 유용했다. 그래서 이 Taildog에는 추력편향 시스템이 달릴 예정이었다. 영국은 Taildog을 기초로 SRAAM(Short Range Air to Air Missile)-100이란 프로젝트명으로 사업을 진행하여 시제품까지 생산할만큼 기술을 성숙시켰다.

3.2. 1980년대

기동성이 아닌가?

SRAAM 사업이 진행 중이던 1980년경[4], 패러다임이 또 바뀌면서 기동성보다 '선빵'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했다.

때마침 NATO 미국은 그동안 사용하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7 스패로우와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AIM-9 사이드와인더를 대체할 신형 미사일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중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기로 했고, NATO 중 영국 독일은 개발 중이던 SRAAM-100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여 단거리 미사일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 때 미국이 개발하기로 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바로 AMRAAM, 그리고 영국/독일이 개발하기로 한 물건이 ASRAAM이다.

NATO군은 중거리 미사일인 암람의 유효사거리가 30~40km 이상인데 반해, 단거리 미사일인 SRAAM이나 AIM-9의 유효사거리가 고작 5~10km 전후이기에, 단거리 미사일의 사거리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기관포 사이의 갭을 메우기에는 너무 짦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SRAAM의 설계는 초기안의 추력편향 시스템이 빠지는 등 급변경되었고 기동성보다는 사거리를 우선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ASRAAM은 초기 기동성에 신경을 덜 쓰게 되었으니 무게만 늘리는 TVC도 빼고, 더 두껍고 강력한 로켓모터를 장착하는 한편, 외부의 주요 공기저항요인인 날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빠른 가속+적은 항력을 통해 사거리와 비행속도를 엄청나게 올린다는 개념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날개 크기도 매우 작고 TVC도 적용하지 않았으니 가속이 붙기 전의 근거리 선회 능력은 뚝 떨어졌지만, 가속이 붙은 뒤에는 충분한 기동성이 나왔고 빠른 탄속과 긴 사거리로 나쁜 초기 기동성을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고 보았다.

3.3. 냉전 종식 이후

역시 기동성이 맞다

그러던 와중에 길고 긴 냉전이 끝나고 동서독이 통일되었다. 이때 통일 독일은 동독이 운용하던 MiG-29와 이것의 주력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R-73(AA-11) 아처를 대량으로 손에 넣었다. 당연히 미국을 비롯한 NATO회원국들은 옳다쿠나 하고 열심히 시험사격도 해 보고 모의전도 벌여봤는데, 그간 R-73의 정확한 성능을 몰랐던 서방세계에겐 이 미사일은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그 자체였다.

R-73 조종사의 헬멧에 달린 조준 시스템과 연동되어서 조종사가 목표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조준이 가능했으며,[5] TVC 노즐이 적용되어 발사 직후부터 매우 급격한 기동이 가능하였다. 심지어 적기와 직각으로 교차한다거나, 적기와 반대 방향으로 스쳐 지나간다거나 하는 기존 미사일로는 발사를 꿈도 꾸지 못할 상황에서도 명중을 기대할 수 있어 근거리 교전 능력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이었다.

R-73의 뛰어난 기동성은 로켓의 분사방향을 바꾸는 추력편향[6] 기술이 접목된 결과로, 그 덕택에 종전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보다 훨씬 급격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었다. 특히 미사일을 비롯한 대부분의 비행체들은 속도가 어느정도 붙어야 조종 날개에서 조종에 필요한 양력을 만들 수 있는데, 추력편향기술이 적용되면 속도가 느린 발사 직후에도 급격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R-73은 본의 아니게 ASRAAM 개발 프로젝트에 지대한 민폐를 끼치고 말았다. R-73에 제대로 충격을 받은 독일 미국 등이 다시 '역시 단거리 미사일은 사거리보다는 초기 기동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을 바꿔먹게 된 것이다.

3.4. 개발 후기

망한 조별과제

독일과 미국은 다시 단거리 미사일은 기동성이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었으나, 영국은 여전히 '사거리+속도가 짱임.'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결국 아스람 설계를 주도하던 영국[7]과 독일이 마찰을 빚다가 결국 독일이 협력을 때려치고 뛰쳐나가서 만든 것이 IRIS-T.

그리고 ASRAAM 프로젝트가 산으로 가는 것을 본 미국은 '저 놈들 믿다간 우리도 죽겠다.' 싶어서 아스람을 포기하고 급한 대로 사이드와인더를 대폭 뜯어고쳐 계속 쓰기로 한다. 그 결과물이 바로 AIM-9X.[8]

독일이 아스람 사업에서 뛰쳐나가자 아스람에 달 탐색기가 없어졌는데, 결국 영국 미국의 휴즈(현재는 레이시온에 합병됨)에서 탐색기를 납품받고 있다.[9]

결국 'NATO연합 표준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란 컨셉이 무색하게 정작 아스람을 도입한 NATO 회원국은 영국뿐인 암울한 상황이 되었다. ( 호주, 아랍에미리트, 인도는 NATO 회원국이 아니다) 물론 이는 독일통일 이후 R-73 + HMS 조합을 보고 서방세계가 받은 충격과 공포탓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단거리 미사일에서 선빵을 날릴 수 있는 능력보다 발사 직후의 기동성을 중시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망한 이유는 아스람의 주 개발목적 중 하나가 '중거리 미사일과 단거리 미사일의 갭을 단거리 미사일의 사정거리를 늘려서 해결'한다는 것이 쓸모 없어진 것. 기술이 좋아지면서 중거리 미사일의 최소 사거리가 줄어들고, 신형 사이드와인더처럼 단거리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도 굳이 날개 크기와 숫자를 줄이고 TVC를 빼지 않아도 늘어나는 바람에 갭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되었다. 단거리 미사일이 아무리 사거리가 길어봐야 아예 체급이 다른 중거리 미사일보다는 한참 못하다보니 다른 걸 포기하고 사거리만 조금 더 긴 단거리 미사일은 계륵 같은 포지션이 되어버린 것이다.

또한 통념과 달리 중거리 미사일이 둔한 것도 아니다. TVC가 정말 중요한 1~3km 이내의 코앞 수준의 거리가 아닌 이상 중거리 미사일인 AMRAAM 등도 강력한 추력 덕분에 기동성이 그다지 뒤지지 않는다.[10] 수 킬로미터 이상 거리가 있다면 중거리 미사일도 가속할 시간이 충분하고, 육중한 중거리 미사일도 가속이 붙은 뒤에는 급기동하는 항공기를 명중시키기 충분한 30G 이상의 기동성이 나온다. 오히려 5~10km 정도의 애매한 거리에 있는 표적이라면 단거리 미사일은 명중하기 한참 전에 모터가 꺼지고 관성으로 비행해야 하여 기동성이 저하되지만, 중거리 미사일은 그 정도 거리에서는 서스테인 모터가 계속 타고 있어서 여전히 최대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효과적이다. 때문에 미군은 오히려 근거리에서도 암람을 더 선호하며, 심지어 사이드와인더가 빗나가자마자 바로 암람을 쏴서 잡은 사례도 있다.

4. 특징

4.1. 긴 사거리와 빠른 속도

아스람은 TVC와 날개 사용을 포기한 대가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주제에 상당한 수준의 속도와 사거리를 보여준다.

유효사거리는 약 20km 전후이며, 적기와 마주보고 날아가며 쏘는 경우에는 30km 정도의 사거리를 갖는다. 최대 속도는 마하 3 이상으로, 단거리 미사일 중에서는 꽤나 빠른 편. 속도나 사거리만 놓고 보면 이전 세대 중거리 미사일인 AIM-7 스패로우보다 조금 못한 수준이다.

이렇게 긴 사거리와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된 것은 역시 깔끔한 외관 + 로켓모터빨. 마치 비유도로켓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작은 날개를 가지고 있는데 정말 작은 4장의 가동형 날개(Fin)가 전부다. 대부분의 단거리 미사일이 고정익과 가동익을 포함해 못해도 8장 이상의 날개를 쓰는것과 상당히 대조적이다.[11] 이렇게 깔끔한 외관 덕에 다른 미사일들에 비해 공기 저항을 매우 적게 받는다. 그리고 스텔스기 중에서도 유독 내부무장창이 작은 F-35B에도 전혀 문제없이 내부무장창에 장착할수 있는것도 장점중 하나이다. 또한 종전의 AIM-9은 직경이 5인치(127mm)였던 반면 아스람은 6인치(166mm)로 늘어났는데, 그 덕에 더 크고 강력하며 오래가는 로켓모터를 사용할 수 있었다.

결국 줄어든 항력, 늘어난 추력과 로켓가동시간 덕에 아스람은 AIM-9보다 더 빠르게,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다.

4.2. 유도 방식

(단거리 미사일 치고는) 사거리가 워낙 길다 보니 원거리의 적기를 공격할 때에는 미사일의 탐색기가 적기를 바로 포착할 수가 없다. 아스람의 탐색기는 128×128 배열의 열영상 방식으로, 종전의 적외선 탐색기에 비하면 목표물을 더 정확히 식별하고, 탐지거리도 더 길지만 아무래도 20km 이상 떨어진 목표물을 탐지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아스람은 단거리 미사일 주제에 관성항법을 통한 중간유도기법을 쓴다. 즉 먼 거리의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야 할 때, 아스람은 발사모기로부터 발사 직전에 적기의 고도, 속도, 방향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아스람은 적기의 '미래의 위치'를 향해 날아가게 되며(쉽게 말해 리드샷) 이 때는 관성항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적기와 충분히 가까워졌다고 판단되면 자체 열영상 탐색기를 켜서 목표물을 찾아 락온(Lock on)하고 쫓아가기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을 발사 후 락온, 즉 LOAL(Lock on After Launch)라고 한다.[12] 다만 발사 후 데이터링크 기능은 없어서 미사일이 날아가는 사이에 표적이 회피기동을 하거나 단순히 방향을 틀거나 하여 당초 예상 경로에서 크게 벗어난 곳으로 이동했다면 미사일은 표적을 찾을 수 없다.

ASRAAM의 LOAL 기능의 탑재 목적은 주로 먼 거리에 있는 적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긴 하지만, 요 근래 등장한 다른 최신형 공대공 미사일들과 마찬가지로 아군 편대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기의 레이더나 미사일의 탐색 범위 바깥에 있는 적기를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바로 뒤에 따라오던 적기를 공격하는 것도 가능한 것. 다만 다른 단거리 미사일들과 달리 ASRAAM에는 추력편향 노즐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근거리 교전 시에는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물론 표적이 약 10km 이내에 위치하여 발사 이전부터 미사일의 탐색기로 포착이 가능할만큼 가깝다면 전통적인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들처럼 발사하는 순간부터 자체적으로 목표물을 쫓아간다. 이 방식은 발사 전 락온, 즉 LOBL(Lock on Before Launch)라 한다.

한편 아스람은 최신형 미사일답게 조종사의 헬멧 조준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조종사가 목표물을 바라만 봐도 해당 목표물에 대한 락온이 가능하다.

5. 문제점

아스람의 단점은 근거리 미사일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발사 초기 기동성. 물론 일단 속도가 붙고 나면 50G 수준의 여타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부럽지 않은 기동성을 자랑하지만, 발사 직후 가속 단계에서는 추력편향 기술도 사용하지 않고 날개도 작은 탓에 기동성이 떨어진다. 때문에 추력편향이 달린 다른 근거리 미사일들은 가능한 근거리에서 기축을 크게 벗어난 목표도 맞추는 등의 활용이 불가능하다.

또 다른 단점은 가격. 개발 당시에는 기술적 한계 수준의 성능을 목표로 하다 보니 초기 가격이 AMRAAM에 필적하는 수준까지 올라갔고, 이것은 추력편향 기술의 미사용 못지 않게 미국 독일이 뛰쳐나가게 만든 주 원인이 되었다. 개발사가 있는 영국이야 울며 겨자먹기로 비싸더라도 이래저래 가격 낮춰가며 써야 했지만.

6. 운용국

동시기의 경쟁작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초기 기동성, 비싼 가격 등이 맞물리는 바람에 2009년 말 기준 아스람을 사서 쓰고 있는 나라는 영국, 아랍에미리트, 호주, 인도의 4개국이 고작이며, 그나마 NATO회원국은 영국이 유일한 실정이다. 반면 독일이 뛰쳐나가서 만든 IRIS-T는 벌써 10개국이 사용 중. 거기에 프랑스가 독자적으로 만든 MICA도 11개 국가가 쓰고있다.

다만 국가마다 요구하는 성능이 다르듯, 호주에선 단거리 미사일치고 사거리 길고 탄속도 빠른 아스람을 꽤나 좋아하고 있다. 호주는 남반구 외딴 곳에 있는 지리적 특성상 바다 건너 멀리서 날아오는 적들을 상대해야 하는데, 이런 적을 상대하려면 가능한 멀리서 가능한 빨리 격퇴시켜버리는 것이 상책[13]이기 때문. 더불어 적당한 기동성과 사거리를 갖춘 아스람은 적이 본토 밖 멀리서 날릴지도 모를 순항 미사일 요격에도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이외에 내부무장창이 좁아 열추적 미사일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외부에 장착해야하는 F-35에도 사용될 예정이다.[14]

한편 우크라이나도 트럭에 발사대를 장착한 지대공 버전으로 영국이 공여해 운용 중이다.

7.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 <colbgcolor=#0056B9>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탑재형
배리어 | { AGM-114 헬파이어}D | BGM-71F TOW 2D | 브림스톤D | 9K114 슈투름
포발사
콤바트( 125mm, T-80 등) | 9K117 바스티온( 100mm, MT-12) | 9K112 코브라( 125mm, T-64 등)
공대지
회전익기
9M114 코콘
고정익기
{ AGM-65G 매버릭}D | Kh-29T | Kh-25ML
유도포탄
곡사포
M982 엑스칼리버D | SMArt 155D | BONUS 155D| 불카노 155D | M712 코퍼헤드D
유도로켓
지대지
R624(M)( 300mm, 빌카-M) | GMLRSD( 227mm, HIMARS/ MLRS) | GLSDBD( 290mm, HIMARS) | APKWSD( 70mm, 테크니컬) | TRLG-230D | FZ275
배회폭탄
지대지
보버 | ALTIUS-600 | RAM II | Tu-141 | Tu-143 | 스카이나이츠 2 | 피닉스 고스트D |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 WB 워메이트D | 사제 FPV 자폭드론 | Vidsich | { 트렘비타} | {AQ-400} | AN-196 류티 | A-22 폭스배트 | R-15 | 팔야니챠 | OSKARD
공대지 (ALCM)
스톰 쉐도우/SCALP-EGD( Su-24)
MGM-140 ATACMSD
OTR-21 토치카-U | 흐림-2
함대함
{ RGM-84L 하푼 Block 2}
지대함
R-360 넵튠 | RGM-84L-4 하푼D | RBS 17D
어뢰
경어뢰
{ MU90 임팩트}
무인 자폭정 TLK-150 | 시 베이비 | 마구라-5 | 마리치카 | 마마이 | {스토커 5.0}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단거리
마틀렛 LWMD | 크로탈-NGD | 9K33BM3-P1 종드워D | 9K330 토르 | 9M311( 퉁구스카) | 9K35M 스트렐라-10M3 | 9K33M3 오사-AKM | R-73( 오사 TEL) | ASRAAMD(트럭형 TEL)
중거리
NASAMSD | RIM-7 시스패로우D( 부크 TEL) | MIM-23 호크D | IRIS-T SLMD | 아스피데 2000 · 스파다D | S-125 네바-SCD | 9K37M1 부크 M1 | 2K12M3 쿠프 M3 | S-125 페초라-(2D/2M/BM)
장거리
MIM-104D PAC-2 · MIM-104F PAC-3D | SAMP/TD | S-300PMUD | S-300(PS/PT) | S-200
개함방공 { VL-MICA M} | R-73마구라 V5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D | R-73E | R-60MK
중장거리 AIM-120B 암람D | AIM-7M 스패로우D | R-27(ET/ER/R1)
유도폭탄 JDAM-ERD | MAM-CD | MAM-LD | KAB-1500L | KAB-500Kr | AASM-250D | SDBD MiG-29 | { GBU-12 Paveway IV}D | { AGM-154 JSOW}D
AGM-88(B/E) HARMD
기만체 미사일
ADM-160B MALDD MiG-29
※ 윗첨자D: 공여받은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렛첨자(□□□): 대표 발사 플랫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


[1] 호주 F/A-18을 팔면서 여기에 AIM-132를 탑재해주기로 했는데 이 때문에 서류상 미국 국방부 미사일 목록에 등록할 필요가 있어서 AIM-132라는 미국식 제식명이 붙었다. [2] Advanced Short Range Air-to-Air Missile, 고등 단거리 미사일. '아스람'이라고 읽는다. [3] 현재는 호주 공군의 F/A-18A/B가 퇴역함에 따라 같이 퇴역하였다. [4] 서독은 이미 SRAAM의 탐색기를 개발/제공하기로 되어있던 상태였다. [5] 사실 미 해군도 한 때 F-4 AIM-9을 운용하기 위해 이런 장비를 사용한 적이 있었지만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여러모로 불편하고 부족한 점이 많아 그 뒤로는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6] Thrust Vectoring, 현재 최신버전 사이드와인더인 AIM-9X나 본문에 설명될 IRIS-T 등의 미사일이 대표적으로 사용. 다만 R-73과 이들 미사일이 실제로 추력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약간 다르다. [7] 주계약자가 영국회사인 호커-시들리였다. [8] 사실 로켓모터와 탄두 정도만 공유하고 조종시스템, 탐색기 등등은 싹 다 바뀐 물건이긴 하다. [9] AIM-9X의 탐색기도 이 회사에서 만들고 있으며 두 탐색기에 사용된 기술은 같다. 물론 사용된 기술이 같을 뿐 두 탐색기는 다른 물건으로, 각 부분별로 50% 정도만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고 한다. [10] 아예 지근거리부터 중거리까지 미사일 하나로 다 해먹으려고 만든 MICA는 중거리 미사일 체급에다 TVC를 달아놔서 초기 기동성까지 뛰어나다. [11] R-73은 12장, AIM-9X나 IRIS-T가 8장, 이스라엘 Phython 5는 날개가 14장 가까이 된다. [12] 이렇게 중간유도 과정을 거친 후 최종 단계에서 자체 탐색기를 사용하는 미사일은 단거리 미사일 중에는 드물지만 중거리 미사일에는 흔하다. 이를 테면 R-27의 레이더 유도버전인 R-27R, AIM-120 AMRAAM이나 AIM-54 피닉스 등도 모두 유사하다. 이런 중거리/장거리 미사일들은 발사된 이후에도 모기에게 표적의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 받는 데이터 링크 기능이 있다. [13] 이런 측면에선 호주와 영국의 작전 환경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영국도 북해/북대서양을 건너 오는 적성 항공기를 멀리서부터 요격하는 것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14] 현재로서는 영국군의 F-35B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