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관련 틀 | ||||||||||||||||||||||||||||||||||||||||||||||||||||||||||||||||||||||||||||||||||||||||||||||||||||||||||||||||||||||||||||||||||||||||||||||||||||||||||||||||||||||||||||||||||||||||||||||||||||||||||||||||||||||||||||||||||||||||||||||||||||||||||||||||||||||||||||||||||||||||||||||||||||||||||||||||||||||||||||||||||||||||||||||||||||||||||||||||||||||||||||||||||||||||||||||||||||||||||||||||||||||||||||||||||||||||||||||||||||||||||||||||||||||||||||||||||||||||||||||||||||||||||||||||||||||||||||||||||||||||||||||||||||||||||||||||||||||||||||||||||||||||||||||||||||||||
|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
31x000호대 ( 상세 · 사건 사고 · 현황) |
서울교통공사 |
1000호대 저항 ( 초저항 · 현황) VVVF ( 현황)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KORAIL 1000 Series EMU |
중기형(중저항) 1X70편성 | |||||
후기형(신저항) 1X75편성 | |||||
후기형(신저항) 내부 | |||||
차량 정보 | |||||
<colcolor=#0052a4> 열차 형식 |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량수 | 10량 1편성 (Tc-M-M'-T-M-M'-T-M-M'-Tc)[1] | ||||
생산량수 | 793량 (403량 + 248량 + 142량) | ||||
운행노선 |
|
||||
도입년도 |
( 초저항) |
|
|||
|
|||||
|
|||||
|
|||||
(중저항) |
|
||||
|
|||||
(신저항) |
|
||||
|
|||||
( 개조저항) |
|
||||
|
|||||
제작사 |
|
||||
|
|||||
|
|||||
|
|||||
|
|||||
|
|||||
|
|||||
소유기관 | 한국철도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표기 |
|
|||
전산 |
|
||||
최종 퇴역 | 2020년 10월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52a4> 전장 | 19,500㎜ | |||
전폭 | 3,120㎜ | ||||
전고 | 3,750㎜[4] | ||||
궤간 | 1,435㎜(표준궤)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직류 1500V | ||||
신호장비[5] |
ATS-S1 ATS-S2 |
||||
제어방식 |
|
||||
동력장치 |
|
||||
기어비 | 15:87 | ||||
제동방식 |
|
||||
편성출력 | 2800㎾ | ||||
최고속도 | 영업 | 110㎞/h | |||
설계 | |||||
가속도 | 2.5㎞/h/s | ||||
감속도 | 상용 | 3.0㎞/h/s | |||
비상 | 4.0㎞/h/s | ||||
MT 비 |
6M 4T (Tc-M-M'-T-M-M'-T-M-M'-Tc) 8M 2T (Tc-M-M'-M-M'-M-M'-M-M'-Tc) |
}}}}}}}}} |
[clearfix]
1. 개요
서울-수원 복복선 개통식 당시 전기형( 초저항) |
1X76편성 제작 당시 모습 |
경인선 급행 고정 운행 당시 후기형(신저항) 1X86편성과 1X81편성 |
퇴역 후 구로기지에 유치되어 있는 후기형(신저항) 1X80편성(2021년 11월 중 반출 완료) |
대한뉴스 제 998호 - 수도권 전기철도 [6] |
1X83편성 경부선 영등포역 전동열차 탈선사고 이후 빠르게 휴차됐고, 현재는 전 차량이 퇴역해 신조 차량으로 대차됐다.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하는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을 운행하기 위해 철도청에서 도입한 전동차이다.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에서 도입한 전동차와 함께 국내 최초의 통근형 전동차, 국내 최초로 생산한 전동차 등 각종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전동차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서울지하철 1호선 저항제어 차량 초기형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된 대형 전동차이며, 역대 통근형 전동차 중 차호 및 조성 변경이 가장 잦았던 전동차이기도 하다. 또한 초/중기형 차량의 경우 차량번호 역시 처음 도입 당시와는 완전히 별개로 바뀌었고 일부는 도입 당시 '2000호대' 차량번호를 달기도 했다.[7]
중기형(중저항) 2X03편성[8](현 1X51편성) |
2. 편성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조성 | |
<colcolor=#0052a4> ↑ 인천( 경원· 경인선), 동인천( 경인선 급행), 서동탄( 경부선) 방면 | |
10## (1)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12## (2)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13## (3)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18## (4) | T(무동력객차) |
14## (5)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15## (6)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19## (7) | T(무동력객차) |
16## (8)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17## (9)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11## (10)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용산( 경인선 급행), 광운대( 경부선), 소요산( 경원· 경인선) 방면 |
그러나 위에도 서술했듯이 차량 번호를 개정하지 않은 채로 단순히 조성 자체만 바꾸어서 완벽히 별개로 호차 배치가 된 편성들은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차호만으로는 몇 호차인지 이해하기 힘들다. 31xynn호대 차량은 y+1이 자신이 탄 칸 번호이다. 나머지 차량들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나타낸다.
한국철도공사 저항 차량 중 유일하게 8M2T 조성인 1X60, 1X61편성 중에 1X60편성의 중간차 1265, 1365호는 출입문 유리창이 정사각형이었으며 나머지 출입문 유리창은 전부 직사각형이었다. 중간차가 1X59편성에서 4량을 차출해 각각 2량씩 증결된 편성이다. 이 여파로 1X59편성은 2013년 중반경 조기 휴차되었다.
물론 1998~ 1999년에도 잠시 8M2T 조성이 다녔었는데 1X39, 1X41, 1X42, 1X55, 1X56, 1X64, 1X65, 1X81, 1X82, 1X83, 1X84편성이 그랬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초저항 폐차 이전이었기 때문에 타 편성에서 4량씩 차출해 왔으며 이 영향으로 1X54, 1X57, 1X58, 1X62, 1X63, 1X66, 1X85, 1X86편성은 몇 개월 동안 휴차되었다.
아래는 1X60편성의 조성 내역이다. 위에도 서술했듯이 T차는 Tc차를 빼고는 없다. 원래는 1848, 1948 객차가 있었으나 2013년 하반기 이후로 조성이 바뀌었다.
<rowcolor=white> 증결로 타 편성의 동력 객차만 섞인 경우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M')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1X60편성 | 1060 | 1265 | 1365 | 1262 | 1362 | 1259 | 1359 | 1263 | 1363 | 1160 |
<rowcolor=white> 증결로 타 편성의 무동력 객차가 섞인 경우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1X83편성 | 1083 | 1283 | 1383 | 1852 | 1483 | 1583 | 1952 | 1683 | 1783 | 1183 |
<rowcolor=white> 증결로 타 편성의 동력 객차가 섞인 경우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T) |
5호차 (M) |
6호차 (M')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1X66편성 | 1066 | 1264 | 1364 | 1849 | 1464 | 1564 | 1949 | 1266 | 1366 | 1166 |
3. 분류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입 연식에 따라 8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color=#fff> 전기형 ( 초저항) |
||
<colbgcolor=gray> 1차분 |
<colbgcolor=#ffa07a,#904820> |
1974년 (21편성 126량) 전량 퇴역 |
2차분 |
1976~1979년 (21편성 126량) 전량 퇴역 |
|
3차분 |
1980~1981년 (10편성 68량) 전량 퇴역 |
|
4차분 |
1984~1986년 (10편성 83량) 전량 퇴역 |
|
중기형 (중저항) |
||
5차분 |
|
1986~1990년 (10편성 140량) 전량 퇴역 |
6차분 |
1991~1992년 (10편성 108량) 전량 퇴역 |
|
후기형 (신저항) |
||
7차분 |
|
1994~1995년 (10편성 66량) 전량 퇴역 |
8차분 |
1996~1997년 (10편성 76량) 전량 퇴역 |
2000년대 후반부터 이 차량은 병점 이북 구간만을 운행하고, 경부선 병점~천안 구간은 전부 VVVF 차량으로 운행했다. 간혹 사고나 차량 고장 등 돌발 상황 시 저항 차량이 천안행이나 신창행을 달고 운행하기도 했지만 구로나 병점에서 VVVF 차량으로 대부분 교체됐다. 이유는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천안역까지 연장되자 저항 차량이 천안급행으로도 운행했으나, 1X42편성이 천안역까지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운행 다음 날 서울역에서 변압기 고장으로 정상 운행에 차질을 빚은 사건으로 인해 그 이후로는 병점 이남으로 투입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소요산~인천/병점/서동탄 구간을 운행했었다. 즉 서울 및 경기도 북부 지역으로는 왕성하게 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차량 노후화로 2014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경인선 전용으로만 투입되다가 2015년부터는 대부분의 차량을 경인선 (용산 ~ 동인천) 급행 / 특급[12] 전용으로 2020년 퇴역 당시까지 운행했다. 경인선 구간은 운행 거리도 비교적 짧은 편이고 속도를 높이거나 자주 정차할 필요도 없어 마지막까지 정상 운행이 가능했지만 경부선은 긴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타 노선 대비 역 간 거리도 길어 주행 시에는 속도를 올리는데, 이 열차는 직류전동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고속 주행 시 전동기 내에 있는 브러시와 정류자[13]가 마모되어 정비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열차는 용산 착발 급행열차로 인천역까지는 가지 않았었다.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통로문 개조가 되어 있지 않았다.
컴프레서의 소음이 상당히 컸었다. 따라서 2000년도까지 저소음 콤프레서로 전부 교체했다.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 교체했지만 1999~ 2000년에는 극소수만이 기존 장치로 남아 있었다. 다만 후기형(신저항)은 처음부터 저소음 컴프레서로 적용했다.
중정비는 오랜 세월 동안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옛 용산기지)에서 받았으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로 용산기지가 철거 되면서 중정비 업무가 시흥차량사업소로 이관되어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담당했었다.
4. 개조 이력
4.1. 한국철도공사 신 CI 변경
도입 당시 철도청 CI인 파란색+상아색 조합으로 도입된 초저항 차량과 중저항 차량은 1995년부터 역삼각 CI(노란색+청록색+하얀색)로 도장변경을 했으며 이 전동차들의 재도장 작업은 1997년에 마무리됐다.그리고 2005년 11월부터는 역삼각 CI로 도입된 신저항과 역삼각 CI로 재도색됐던 중저항 차량에 한해 신 CI(파란색+빨간색+연회색+흰색; 자석도색)로 도장 변경을 했으며 2007~ 2008년에 전부 마무리됐다. 중저항 1X42~1X52, 1X54~1X56, 1X58~1X62, 1X64, 1X66~1X73편성, 신저항 1X74~1X81, 1X83~1X86편성이 신 CI로 변경됐다.
중저항만 한 편성 완전체를 기준으로 모든 도색변경작업을 거쳤다. 초저항은 철도청 초기CI도색과 역삼각 CI도색만을 거쳤고, 중저항 편성에 증편한 일부 초저항 부수객차 편성은 신 CI도색도 거쳤다. 신 CI가 발표되기 직전에 내구연한 만료로 이미 퇴역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저항은 역삼각 CI도색과 신 CI의 자석도색만을 거쳤다. 신저항은 역삼각 CI 발표 이후에 도입되어 철도청 시절 구 CI도색이 존재하지 않았다.
예비차로 운행했던 1824/1924, 1825/1925호도 2007년 12월에 신도색을 적용했고 입환용이었던 1063/1163, 1065/1165도 이 당시에 신도색을 적용했다.
1X45, 1X47, 1X48, 1X49편성은 신도색을 적용할 당시 전후면부 차량번호가 일괄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rowcolor=#ffffff> 편성 | 도색시기 |
<colbgcolor=#0052a4><colcolor=white> 1X42편성 | 2007년 7월~8월 |
당시 조성 | 1042-1242-1342-1836-1442-1542-1936-1642-1742-1142 |
1X43편성 | 2007년 9월 |
당시 조성 | 1043-1243-1343-1843-1443-1543-1941-1643-1743-1143 |
1X44편성 | 2007년 10월 |
당시 조성 | 1044-1244-1344-1844-1444-1544-1944-1644-1744-1144 |
1X45편성[14] | 2006년 12월 |
당시 조성 | 1045-1245-1345-1845-1445-1545-1945-1645-1745-1145 |
1X46편성 | 2007년 11월 |
당시 조성 | 1046-1246-1346-1846-1446-1546-1946-1646-1746-1146 |
1X47편성 | 2006년 11월 |
당시 조성 | 1047-1247-1347-1847-1447-1547-1947-1647-1747-1147 |
1X48편성 | 2006년 12월 |
당시 조성 | 1048-1248-1348-1848-1448-1548-1948-1648-1748-1148 |
1X49편성[15] | 2006년 11월 |
당시 조성 | 1049-1249-1349-1849-1449-1549-1949-1649-1749-1149 |
1X50편성 | 2007년 11월 |
당시 조성 | 1050-1250-1350-1826-1450-1550-1926-1650-1750-1150 |
1X51편성 | 2007년 12월 |
당시 조성 | 1051-1251-1351-1828-1458-1558-1928-1451-1551-1151 |
1X52편성 | 2007년 11월 |
당시 조성 | 1052-1252-1352-1815-1440-1540-1915-1452-1552-1152 |
1X54편성 | 2007년 12월[16] |
당시 조성 | 1054-1254-1354-1820-1462-1562-1920-1454-1554-1154 |
1X55편성 | 2007년 11월 |
당시 조성 | 1055-1255-1355-1821-1263-1363-1921-1455-1555-1155 |
1X56편성 | 2007년 11월 |
당시 조성 | 1056-1256-1356-1818-1463-1563-1918-1456-1556-1156 |
1X58편성 | 2007년 7월~8월 |
당시 조성 | 1058-1258-1358-1827-1460-1560-1927-1260-1360-1158[17] |
1X59편성 | 2007년 10월 |
당시 조성 | 1059-1259-1359-1819-1464-1564-1919-1459-1559-1159 |
1X60편성 | 2007년 10월 |
당시 조성 | 1060-1241-1341-1837-1441-1541-1937-1641-1741-1160 |
1X61편성 | 2007년 8월 |
당시 조성 | 1061-1661-1761-1838-1265-1365-1938-1465-1565-1161 |
1X62편성 | 2007년 9월 |
당시 조성 | 1062-1253-1353-1861-1453-1553-1961-1660-1760-1162 |
1X64편성 | 2007년 8월 |
당시 조성 | 1064-1652-1752-1850-1261-1361-1950-1659-1759-1164 |
1X66편성 | 2007년 8월 |
당시 조성 | 1066-1266-1366-1822-1653-1753-1922-1640-1740-1166[18] |
1X67편성 | 2008년 9월 |
당시 조성 | 1067-1267-1367-1867-1467-1567-1967-1667-1767-1167 |
1X68편성 | 2008년 9월 |
당시 조성 | 1068-1268-1368-1868-1468-1568-1968-1668-1768-1168 |
1X69편성 | 2008년 8월 |
당시 조성 | 1069-1269-1369-1869-1469-1569-1969-1669-1769-1169 |
1X70편성 | 2008년 9월 |
당시 조성 | 1070-1270-1370-1870-1470-1570-1970-1670-1770-1170 |
1X71편성 | 2008년 9월 |
당시 조성 | 1071-1271-1371-1871-1471-1571-1971-1671-1771-1171 |
1X72편성 | 2008년 8월 |
당시 조성 | 1072-1272-1372-1872-1472-1572-1972-1672-1772-1172 |
1X73편성 | 2008년 8월 |
당시 조성 | 1073-1273-1373-1873-1473-1573-1973-1673-1773-1173 |
1X74편성 | 2008년 9월 |
당시 조성 | 1074-1274-1374-1874-1474-1574-1974-1674-1774-1174 |
1X75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5-1275-1375-1875-1475-1575-1975-1675-1775-1175 |
1X76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76-1276-1376-1876-1476-1576-1976-1676-1776-1176 |
1X77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7-1277-1377-1877-1477-1577-1977-1677-1777-1177 |
1X78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8-1278-1378-1878-1478-1578-1978-1678-1778-1178 |
1X79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9-1279-1379-1879-1479-1579-1979-1679-1779-1179 |
1X80편성 | 2006년 12월 |
당시 조성 | 1080-1280-1380-1880-1480-1580-1980-1680-1780-1180 |
1X81편성 | 2007년 7월 |
당시 조성 | 1081-1281-1381-1853-1481-1581-1953-1681-1781-1181 |
1X83편성 | 2007년 7월 |
당시 조성 | 1083-1283-1383-1852-1483-1583-1952-1262-1362-1183[19] |
1X84편성 | 2007년 7월 |
당시 조성 | 1084-1284-1384-1860-1484-1584-1960-1684-1784-1184 |
1X85편성 | 2007년 8월 |
당시 조성 | 1085-1257-1357-1851-1457-1557-1951-1651-1751-1185 |
1X86편성 | 2007년 7월~8월 |
당시 조성 | 1086-1264-1364-1859-1461-1561-1959-1482-1582-1186 |
4.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1세대의 내장재 개조가 끝나고 2004년 9월부터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중저항 1X42~1X73편성과 신저항 1X74~1X81, 1X83~1X86편성 차량에 대해 불연재 개조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됐다. 이들 중 1X53, 1X57, 1X63, 1X65편성, 개조저항 차량은 2006년에 사용대기로 빠져 내장재 개조대상에서 제외됐다. 신저항은 로윈, 중저항은 SLS 중공업, 그리고 1X62편성, 1X64편성은 로윈에서 진행했다. 1X62, 1X64편성은 1062-1162, 1064-1164 TC칸만 진행했으며 중간 객차는 전부 신저항 객차로 교체되었고 타 62, 64호 객차들은 다른 편성으로 편입되어서 2006년에 개조됐다.[20] 이후 2006년 경 재조성 때 1X62, 1X64편성에 편입됐던 신저항 객차 일부는 다른 중저항 편성으로 이동했다가 2009년 말에 다시 1X62, 1X64편성으로 이동되어 퇴역 시까지 운행했다. 추가로 당시 잔존한 일부 초기저항 부수차의 경우 불연재 개조가 진행되면서 천장 에어컨 부분이 중기저항 이후 도입된 평천장에 가깝게 넓어졌다. 에어컨 부분만 평천장에 가까웠던 개조 전 모습과 달리 천장 조명까지 높이를 맞추었다. 동시에 기존에 달려있던 일반 선풍기가 라인블로워로 바뀌었다.2006~ 2009년 쯤 일부 편성은 로윈(2차) 개조 객차와 SLS 중공업(3차) 개조 객차가 섞인 차량도 있었는데 주로 중저항 편성 중에서 1996년산 신저항 객차가 혼합되어 있는 차량이 그랬었다. 왜냐하면 신저항 객차들은 대부분 2004년 하반기 무렵에 로윈에서 개조했기 때문이다.
<rowcolor=#ffffff> 편성 | 개조시기 |
<colbgcolor=#0052a4>
로윈 개조(2차) (2004년 9월 ~ 12월) |
|
<colcolor=white> 1X62편성 | 2004년 10월 |
당시 조성 | 1062-1458-1558-1861-1462-1562-1961-1661-1761-1162 |
1X64편성 | 2004년 12월 |
당시 조성 | 1064-1650-1750-1853-1652-1752-1953-1653-1753-1164 |
1X74편성 | 2004년 10월 |
당시 조성 | 1074-1274-1374-1874-1474-1574-1974-1674-1774-1174 |
1X75편성 | 2004년 9월 |
당시 조성 | 1075-1275-1375-1875-1475-1575-1975-1675-1775-1175 |
1X76편성 | 2004년 10월 |
당시 조성 | 1076-1276-1376-1876-1476-1576-1976-1676-1776-1176 |
1X77편성 | 2004년 10월 |
당시 조성 | 1077-1277-1377-1877-1477-1577-1977-1677-1777-1177 |
1X78편성 | 2004년 9월 |
당시 조성 | 1078-1278-1378-1878-1478-1578-1978-1678-1778-1178 |
1X79편성 | 2004년 9월 |
당시 조성 | 1079-1279-1379-1879-1479-1579-1979-1679-1779-1179 |
1X80편성 | 2004년 10월 |
당시 조성 | 1080-1280-1380-1880-1480-1580-1980-1680-1780-1180 |
1X81편성 | 2004년 11월 ~ 12월 |
당시 조성 | 1081-1281-1381-1852-1481-1581-1952-1681-1781-1181 |
1X83편성 | 2004년 11월 ~ 12월 |
당시 조성 | 1083-1283-1383-1850-1483-1583-1950-1683-1783-1183 |
1X84편성 | 2004년 11월 ~ 12월 |
당시 조성 | 1084-1284-1384-1859-1484-1584-1959-1684-1784-1184 |
1X85편성 | 2004년 12월 |
당시 조성 | 1085-1463-1563-1851-1457-1557-1951-1651-1751-1185 |
1X86편성 | 2004년 12월 |
당시 조성 | 1086-1659-1759-1860-1482-1582-1960-1660-1760-1186 |
SLS 중공업 개조(3차) (2005년 11월 ~ 2006년 6월) |
|
1X42편성 | 2006년 4월 |
당시 조성 | 1042-1242-1342-1838-1442-1542-1938-1642-1742-1142 |
1X43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43-1243-1343-1843-1443-1543-1941-1643-1743-1143 |
1X44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44-1244-1344-1844-1444-1544-1944-1644-1744-1144 |
1X45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45-1245-1345-1845-1445-1545-1945-1645-1745-1145 |
1X46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46-1246-1346-1846-1446-1546-1946-1646-1746-1146 |
1X47편성 | 2006년 2월 |
당시 조성 | 1047-1247-1347-1847-1447-1547-1947-1647-1747-1147 |
1X48편성 | 2006년 4월 |
당시 조성 | 1048-1248-1348-1848-1448-1548-1948-1648-1748-1148 |
1X49편성 | 2005년 11월 ~ 12월 |
당시 조성 | 1049-1249-1349-1849-1449-1549-1949-1649-1749-1149 |
1X50편성 | 2006년 5월 |
당시 조성 | 1050-1250-1350-1837-1464-1564-1937-1450-1550-1150 |
1X51편성 | 2006년 6월 |
당시 조성 | 1051-1452-1552-1818-1261-1362-1918-1253-1353-1151 |
1X52편성 | 2006년 6월 |
당시 조성 | 1052-1252-1352-1820-1264-1364-1920-1461-1561-1152 |
1X54편성 | 2006년 2월 |
당시 조성 | 1054-1254-1354-1822-1257-1357-1922-1454-1554-1154 |
1X55편성 | 2006년 2월 |
당시 조성 | 1055-1255-1355-1819-1453-1553-1919-1455-1555-1155 |
1X56편성 | 2006년 3월 |
당시 조성 | 1056-1256-1356-1826-1451-1551-1926-1456-1556-1156 |
1X58편성 | 2006년 4월 |
당시 조성 | 1058-1258-1358-1827-1460-1560-1927-1260-1360-1158[21] |
1X59편성 | 2006년 5월 |
당시 조성 | 1059-1259-1359-1815-1251-1351-1915-1459-1559-1159 |
1X60편성 | 2006년 5월 |
당시 조성 | 1060-1241-1341-1828-1441-1541-1928-1641-1741-1160 |
1X61편성 | 2006년 5월 |
당시 조성 | 1061-1265-1365-1836-1262-1362-1936-1465-1565-1161 |
1X66편성 | 2006년 3월 |
당시 조성 | 1066-1266-1366-1821-1466-1566-1921-1263-1363-1166 |
1X67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67-1267-1367-1867-1467-1567-1967-1667-1767-1167 |
1X68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68-1268-1368-1868-1468-1568-1968-1668-1768-1168 |
1X69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69-1269-1369-1869-1469-1569-1969-1669-1769-1169 |
1X70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0-1270-1370-1870-1470-1570-1970-1670-1770-1170 |
1X71편성 | 2005년 12월 |
당시 조성 | 1071-1271-1371-1871-1471-1571-1971-1671-1771-1171 |
1X72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72-1272-1372-1872-1472-1572-1972-1672-1772-1172 |
1X73편성 | 2005년 11월 |
당시 조성 | 1073-1273-1373-1873-1473-1573-1973-1673-1773-1173 |
4.3. 외부 행선기 LED 개조
2004년 9월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중저항 1X42~1X73편성과 신저항 1X74~1X81, 1X83~1X86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했다. 신저항은 2004년 9월부터 진행하여 2004년 12월 초에 완료됐고 중저항은 2004년 10월에 1X62편성, 2004년 12월에 1X64를 시작으로 2006년 6월에 완료됐다. 내장재 개조 대상에서 제외된 1X53, 1X57, 1X63, 개조저항은 LED로 개조되지 않았다.후기형(신저항)은 2004년에 LED 행선기를 설치하면서 VVVF 차량과 동일한 글꼴이 나오도록 교체됐으나 다시 2009년 후반기쯤에 개조를 하여 행선기 글꼴이 고딕체로 교체되었지만 초기에는 글씨 크기가 작고 장평이 좁은 형태였다. 이후 2012년 후반에 글꼴을 고딕체로 개정했다.
중저항은 굴림체로 나왔었지만 예외적으로 1X62편성의 1062, 1162, 1X64편성의 1064, 1164는 2004년 10~12월에 로윈에서 내장재 개조를 받아서 VVVF차량과 동일한 글꼴로 송출됐다.
4.4. 출입문 개조
주로 중기저항 일부 편성 및 객차가 출입문이 교체된 적이 있었다.1X47, 1X48, 1X49편성은 2세대 VVVF 전동차에 쓰이는 출입문으로 교체되었고 나머지는 초저항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 구도색 시절에 교체된 차량[22]
- 1X41편성의 1441, 1541, 1641, 1741호 객차: 2003년 11월 교체
- 1X47편성: 2006년 2월 내장재 개조와 함께 교체, 해당 편성은 쇠테두리 출입문으로 교체됐을 당시 도색이 비정상이었다.
- 1X48편성: 2006년 4월 내장재 개조와 함께 교체, 해당 편성은 쇠테두리 출입문으로 교체됐을 당시 도색이 비정상이었다.
- 1X49편성: 2005년 11~12월 내장재 개조와 함께 교체, 해당 편성은 쇠테두리 출입문으로 교체됐을 당시 유일하게 도색이 정상적이었다.
- 신도색과 함께 교체된 차량
- 1X50편성: 2007년 11월 교체
- 1X51편성: 2007년 11월 교체
- 1X52편성: 2007년 12월 교체
- 1X54편성: 2007년 12월 교체
- 1X58편성의 1258, 1358호 객차: 신도색 자체는 2007년 8월에 했으나 출입문은 2007년 11월 교체되었다. 당시에는 다른 편성에 조성되어 다녔기 때문에 1058, 1158호는 출입문이 그대로였다.
- 단, 당시에 1X50, 1X51, 1X52, 1X54편성에 편입됐던 초저항 무동력 객차와 1996년산 신저항 객차는 제외되어 그대로 놔두었다. 당시 1X50편성에는 1650과 1750, 1X51편성에는 1458과 1558, 1X54편성에는 1462와 1562가 다녔으며 출입문 교체 이후에도 몇 달간은 계속 출입문 교체 이전 조성으로 다녔었다. 본래 1X52편성에는 1463과 1563이 있었지만 빠지게 되었다.
- 신도색 후에도 기존 출입문을 유지하다가 교체된 차량
- 1X45편성: 2009년 1~2월 교체
- 1X55편성: 2008년 11월 교체
- 1X56편성: 2008년 10월 교체
- 1X57편성의 1257, 1357호 객차: 2008년 10월 교체
- 1X61편성: 2009년 7월 교체. 이때 신저항 객차인 1461호도 교체되었다.
- 1X71편성: 2009년 6월 교체
4.5. 내부 LED 안내기 설치
2009년 10월부터 2010년까지 1X59~1X62, 1X64, 1X66~1X81, 1X83~1X86편성을 대상으로 내부 LED 안내기를 설치했다. 신저항은 2009년 10월~ 12월 사이에 설치했으며 1X74편성만 2011년 초에 설치됐으며 중저항은 2010년 말~ 2011년 초에 설치했지만 예외적으로 1X62편성은 신저항이랑 같은 시기에 설치했다.신저항은 초기에는 글꼴이 달랐으며 가장 늦게 설치된 1X74편성만 중저항과 동일한 글꼴을 사용하다가 2012년부터 나머지 신저항들도 중저항과 동일하게 변경됐다.
- 1차 설치 (2009년 10월~12월)
- 1X62, 1X75~1X86편성: 1X62편성은 중저항 중 유일하게 1차 설치 전광판이 장착된 열차였으며 1차 설치분은 초기에는 글꼴이 달랐었는데 행선 안내는 굴림체였으며 역명 안내는 VVVF 차량과 비슷했으나 2012년 후반부터 2차 설치분과 동일한 방식으로 변경했다.
- 2차 설치 (2010년 10월~2011년 2월)
- 1X59~1X61, 1X64, 1X66~1X74편성: 위의 1X62편성과 반대로 신저항 중 유일하게 2차 설치 전광판이 장착됐다. 2차 설치분은 글꼴 모양을 처음부터 고딕체로 사용했다.
5. 사건 사고
5.1. 1993년 1X03편성 남영역 탈선 사고
1993년 10월 18일 오전 5시 30분경 의정부행 K802 열차로 운행하던 1X03편성이 남영역에서 탈선 사고를 일으켰다.[23]5.2. 1997년 1X60편성 청량리역 충돌 사고
1997년 8월 24일 밤 9시 40분, 인천발 의정부행 K244 열차로 운행하던 1X60편성이 2100호대 디젤기관차에 의해 추돌 사고가 발생해서 1160호 전면부가 파손되었다. 이로 인해 수리하는 과정에서 1160호 쪽창이 사라졌다. 당시 1X60편성은 10량화 된지 8~9개월 됐었다.5.3. 2000년 1X81편성 도봉역 객차 분리 사고
2000년 10월 30일, 의정부발 인천행으로 운행하던 1X81편성이 도봉역으로 진입하던 도중 3번째 객차(1381호)와 4번째 객차(1810호)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00년 당시 1X81편성은 초저항 T 객차 1810, 1910 2량을 조성하여 운행했다.5.4. 2005년 1X42편성 서울역 화재사고
2005년 2월 22일 오전 7시 24분경, 1호선 지하서울역 구내에서 의정부북부발 인천행 K49 열차로 운행하던 1X42편성이 1342호 객차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시간 30분 가량 운행이 중단되었다. #사고원인은 해당 편성이 전날 경부선 장거리 주행[24]을 하다가 기기가 피로를 못이기고 과열된 것으로, 이후 코레일에서는 경부선 병점이남의 저항차 투입을 자제하게 되었다. #
5.5. 2005년 1X74편성 승용차 충돌 사고
2005년 6월 2일 오전 7시 55분 쯤, 인천발 의정부북부행으로 운행하던 1X74편성이 휘경동 4건널목에서 승용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었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1X74편성의 범퍼와 승용차 범퍼가 파손됐었다.5.6. 2014년 1X81편성 청량리역 고장사고
2014년 8월 19일 오후 12시 15분 쯤, 인천발 소요산행으로 운행하던 1X81편성이 제기동-청량리 사이에서 전력공급장치 이상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해, 탑승했던 승객들 전원이 걸어서 청량리역까지 이동하고 1호선 운행이 1시간 30분 가량 중단되었다. 이 사고이후 1호선 저항차들은 2015년부터 동인천급행 전용으로 투입되었다.5.7. 2020년 1X83편성 영등포역 탈선 사고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 영등포역 전동열차 탈선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6. 관련 문서
[1]
같은
저항제어 10량 1편성 전동차일지라도, 운행에 따른 출력 차이를 고려하여 MT비 또는 배치가 다르다.
한국철도공사 9900호대 전동차: Tc-M-M-M-M-T-T-M-M-Tc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Tc-M-M'-T-M-M'-T-M-M'-Tc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Mc-M'-T-T-M'-M-M'-M-M'-Mc [2] 중저항, 신저항, 개조저항 한정 [3] 이후 한진중공업으로 개명했다. 초저항의 냉방기 개조를 시행했다. [4] 초저항의 경우 3,800㎜ [5] 과천선 부분개통( 금정 - 인덕원) 당시에는 ATC 장치가 없어 통신식 시행 [6] 대한뉴스 아나운서가 말미에 "우리의 국가적인 슬픔 속"을 언급했는데 8월 15일인 개통 당일, 육영수 피살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7] 관련 게시글1, 관련 게시글2, 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 [8] 2007-2307-2607-2309-2609-2009 [9] 출처: 서울지하철 건설 삼십년사 [10] 「2019년 서울∼천안 급행전철 추가 운행」, 세계일보, 2018-07-19 [11]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12] 2017년 7월 신설 [13] 직류전동기에만 있는 전동기의 코일에 직접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는 장치이다. [14] 순정 직사각형 출입문 적용 차량들 중에서는 최초로 신도색을 하였으며 2007년 하반기 이전까지는 유일했었다. 이유는 1X47~1X49편성은 구도색 시절에 내장재를 개조하면서 출입문을 교체했기 때문. [15] 중저항 차량들 중에서는 가장 먼저 신도색을 적용하였다. [16] 구로소속 차량 중 마지막으로 신도색을 했다. [17] 신도색 후에 운행할 때는 초기에는 1258, 1358이 빠지고 1280, 1380이 대신 투입됐었다. [18] 1466, 1566은 당시 타 편성에 조성되었다가 휴차된 관계 2007년 12월 신도색 전환 [19] 1683, 1783은 당시 휴차 상태로 인해 2007년 12월에 신도색 전환 [20] 다만 1462, 1562호는 신저항 객차여서 1X62편성에 투입되었다. [21] 내장재 개조 초기에는 1460, 1560 대신 1637, 1737호가 조성되었다가 교체되었다. [22] 해당 편성들은 출입문 교체 이후에도 구도색을 유지하다가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 [23] 「지하철 1호선 남영역.서울역 사이 전동차 탈선[홍기백]」, MBC, 1993-10-18 [24] 천안행 또는 천안급행으로 투입되었다.
한국철도공사 9900호대 전동차: Tc-M-M-M-M-T-T-M-M-Tc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Tc-M-M'-T-M-M'-T-M-M'-Tc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Mc-M'-T-T-M'-M-M'-M-M'-Mc [2] 중저항, 신저항, 개조저항 한정 [3] 이후 한진중공업으로 개명했다. 초저항의 냉방기 개조를 시행했다. [4] 초저항의 경우 3,800㎜ [5] 과천선 부분개통( 금정 - 인덕원) 당시에는 ATC 장치가 없어 통신식 시행 [6] 대한뉴스 아나운서가 말미에 "우리의 국가적인 슬픔 속"을 언급했는데 8월 15일인 개통 당일, 육영수 피살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7] 관련 게시글1, 관련 게시글2, 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 [8] 2007-2307-2607-2309-2609-2009 [9] 출처: 서울지하철 건설 삼십년사 [10] 「2019년 서울∼천안 급행전철 추가 운행」, 세계일보, 2018-07-19 [11]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12] 2017년 7월 신설 [13] 직류전동기에만 있는 전동기의 코일에 직접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는 장치이다. [14] 순정 직사각형 출입문 적용 차량들 중에서는 최초로 신도색을 하였으며 2007년 하반기 이전까지는 유일했었다. 이유는 1X47~1X49편성은 구도색 시절에 내장재를 개조하면서 출입문을 교체했기 때문. [15] 중저항 차량들 중에서는 가장 먼저 신도색을 적용하였다. [16] 구로소속 차량 중 마지막으로 신도색을 했다. [17] 신도색 후에 운행할 때는 초기에는 1258, 1358이 빠지고 1280, 1380이 대신 투입됐었다. [18] 1466, 1566은 당시 타 편성에 조성되었다가 휴차된 관계 2007년 12월 신도색 전환 [19] 1683, 1783은 당시 휴차 상태로 인해 2007년 12월에 신도색 전환 [20] 다만 1462, 1562호는 신저항 객차여서 1X62편성에 투입되었다. [21] 내장재 개조 초기에는 1460, 1560 대신 1637, 1737호가 조성되었다가 교체되었다. [22] 해당 편성들은 출입문 교체 이후에도 구도색을 유지하다가 신도색으로 교체되었다. [23] 「지하철 1호선 남영역.서울역 사이 전동차 탈선[홍기백]」, MBC, 1993-10-18 [24] 천안행 또는 천안급행으로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