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4EA1; border-right: 10px solid #004EA1"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4EA1,#008cc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 인사 · 국정기획자문위 · 일자리위원회 · 4차산업혁명위원회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정책기획위원회 · 국가교육회의 ·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기후환경회의 · 2050 탄소중립위원회 |
여당 | 더불어민주당 | |
정책의 방향 | 외교 · 적폐청산 ·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 9.19 남북군사합의) · 국방개혁 2.0 · 소득주도 성장론 (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 혁신성장 · 신남방정책 · 청와대 국민청원 · 10차 개헌안 · 탈원전 정책 ( 남북러 가스관 사업 계획 · 태양광 사업) · 광화문 1번가 · 문재인 케어 · 권력기관 개혁 ( 안보수사국 · 국가수사본부 · 자치경찰제 · 국군기무사령부 해편 · 고등군사법원 폐지) 검찰개혁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검경 수사권 조정 · 윤석열 정직) · K-방역 ( 평가 / 형평성 문제 · 사생활 침해 문제 · 재산권 문제) · 긴급재난지원금 · 한국판 뉴딜 · 3불 1한 · 대학기본역량진단 · 고교무상교육 · 국민비서 · 청년희망적금 · 위수지역 폐지 · 주 52시간 근무제 · 금융투자소득세 · 3기 신도시 · 소·부·장 국산화 및 K 반도체 벨트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폐지 · 안전운임제 · 출산육아지원정책 · G7 콘월 정상회의 · 동맹대화 ·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 아미타이거 4.0 • 워리어 플랫폼 · 미라클 작전 · 생활SOC 복합화 사업 · 가덕도신공항 | |
평가 | 정치 ( 인사) · 경제 ( 노동 · 부동산) · 사회·문화 ( 논란 · 젠더) · 외교 ( 미국 · 중국 · 일본 · 북한) · 안보·국방 · 지지율 | |
기타 | 국가 통계 조작 논란 ·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월북 조작 논란 · 시무 7조 | |
타임라인 | ||
2017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18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19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0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1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문재인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문재인 참고 |
||
<colbgcolor=#034EA2><colcolor=#ffffff> 정책기획위원회
政策企劃委員會 Presidential Commission on Policy Planning |
|
MI | |
출범 | 2017년 9월 5일 |
폐지 | 2022년 6월 15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39, 4층 (창성동,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 |
위원장 | 조대엽 |
홈페이지 |
제2조(설치) 국정과제의 효율적 추진과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정책기획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 정책기획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 정책기획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1. 개요
정책기획위원회는 대한민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국정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국가의 중장기적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대통령 소속 자문기구이다.2. 역사
1989년 대통령령 제12720호에 의해 국가의 중장기 국가 발전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대통령에게 건의 및 자문하는 21세기위원회가 출범하였으며, 위원장으로는 나웅배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취임하였다.1995년, 정책기획위원회로의 명칭 변경과 더불어 현안 정책연구 및 정책평가에 대한 사항에 대한 자문까지 기능이 확대되었고, 이후 2004년 국정과제의 종합·관리, 조정 및 국정과제회의 운영, 정책연구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미래기획위원회(2008~2013) |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정책기획위원회는 폐지되고, 대신 미래기획위원회가 설치되어 미래사회의 전망,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의 분석에 관한 사항 등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2013년 미래기획위원회 또한 폐지된다.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책기획위원회가 다시 설치되었다. 2004년 이후 확대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맡음으로써 대통령의 싱크 탱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6월 15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령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3. 업무
정책기획위원회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한다.- 1. 국정과제의 조정 등 국정과제 추진 및 국정과제 관련 보고회의 지원에 관한 사항
- 2.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 및 정책방향의 수립에 관한 사항
- 3. 각 분야별 정책 및 현안과제 연구에 관한 사항
- 4. 대통령이 요구하는 국가 주요정책의 연구에 관한 사항
- 5.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정책교류 및 협력에 관한 사항
그 외, 각 행정부처로부터 국정과제 추진실적을 보고받아 이를 국민에게 공개하며, 국정과제의 추진성과 보고 및 관리·점검 등을 위하여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정과제 관련 보고회를 지원한다. 또한 수시로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심층점검을 실시하여 문제 발견 시 해결을 지원한다.
4. 조직 및 구성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대통령이 임명하거나 위촉하는 위원으로 100명 이내의 인원으로, 성별을 고려하여 구성된다.위원은 국정과제 추진 및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전문가 및 국정과제의 추진과 관련된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의 위원들 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하며, 위원장은 그들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연임 가능하며, 위촉위원의 사임 등으로 새로 위촉된 위원은 임기를 전임위원의 잔여임기만큼만 가진다.
위원회 내에는 타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들간의 협의·조정을 맡는 국정과제협의회, 국정과제 및 국가 주요정책 관련 연구를 지원하는 미래정책연구단 및 국정과제지원단 및 제조업 르네상스 TF가 있으며, 분야별 전문적 업무수행을 위한 분과위원회, 업무 지원을 위한 사무처가 있다.
산하에 특별위원회로 재정개혁특별위원회,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가 있다.
4.1. 역대 위원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
정책기획위원회 역대 위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1세기위원회 위원장 (1989~1995)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나웅배 |
제2대 이관 |
제3대 이상우 |
제4대 서진영 |
|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1995~2008)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서진영 |
제2대 최장집 |
제3대 김태동 |
제4대 한상진 |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이종오 |
제6대 이정우 |
제7대 송하중 |
제8대 김병준 |
|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안병만 |
제2대 곽승준 |
|||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017~2022)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정해구 |
제2대 조대엽 |
|||
2022년 위원회 폐지 | }}}}}}}}} |
- 21세기위원회
- 정책기획위원회
4.2. 국정과제협의회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협의회 | |||
정책기획위원회 | 일자리위원회 | 4차산업혁명위원회 | 국가교육회의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자치분권위원회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국정과제협의회는 국정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국정과제위원회[2] 간에 협의·조정을 맡는 기구이다.
「정책기획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제10조에 의해 ① 부처·위원회 간 충돌·갈등 과제 해결을 위한 협업·협력, ② 사전 협의(각 위원회 요청), 사후 조정(정책위 요청) 등 소관 국정과제의 협의·조정 등을 맡으며, 이를 위해 각 위원회들 간에 소관 과제 추진현황, 위원회 간 협조과제* 발굴 및 추진방안(합동 회의 등), 추진성과 및 애로사항 등을 공유하거나, 국정과제위원회 차원에서 현안 또는 중장기 전략 등에 대해 대통령·정부에 건의·자문하기 위한 담론을 형성하거나 마련한다.
원칙적으로 분기별로 1회 개최하나 필요시 수시 개최할 수 있으며, 각 국정과제위원회* 위원장 또는 각 위원회의 위원장이 지정하는 해당 위원회의 위원이 위원으로 참가하며,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이 의장을 맡는다.
협의회에 상정할 안건 사전 조율 등의 실무 협의를 수행하기 위해 산하에 실무협의회를 운영하며, 각 위원회 사무기구의 총괄 국장*이 간사 자격으로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