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3:22:28

한상진(1945)

한상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정책기획위원회 MI.svg 정책기획위원회
역대 위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세기위원회 위원장 (1989~1995)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나웅배
제2대
이관
제3대
이상우
제4대
서진영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1995~2008)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초대
서진영
제2대
최장집
제3대
김태동
제4대
한상진
<nopad> 참여정부
제5대
이종오
제6대
이정우
제7대
송하중
제8대
김병준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2008~2013)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안병만
제2대
곽승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017~2022)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정해구
제2대
조대엽
2022년 위원회 폐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역대 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 (1978~2005)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초대
이선근
제2대
고병익
제3대
정재각
제4대
류승국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5대
문홍주
제6대
김철준
제7·8대
이현재
제9대
이영덕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0대
한상진
제11대
이상주
제12대
장을병
제13대
윤덕홍
한국학중앙연구원장 (2005~현재)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13대
윤덕홍
제14대
김정배
제15대
정정길
제16대
이배용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17대
이기동
제18대
안병욱
제19대
안병우
제20대
김낙년
}}}}}}}}} ||
<colbgcolor=#003380><colcolor=#fff>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한상진
韓相震 | Han Sang-jin
파일:한상진교수.jpg
출생 1945년 2월 15일 ([age(1945-02-15)]세)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
(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1]
본관 청주 한씨[2]
현직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재단법인 중민재단 이사장
중민연구소 소장
재임기간 제10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년 12월 26일 ~ 2000년 12월 25일
제4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장관급)
2001년 5월 18일 ~ 2003년 2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380><colcolor=#fff> 가족 아버지 한민수, 어머니 고정덕
학력 전주고등학교 (40회 /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 사회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석사[3])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박사)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경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교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방문교수
빌레펠트대학 사회학과부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장
컬럼비아 대학교 교환교수
베를린과학원 초빙교수
파리고등사회과학원 초빙교수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 국민의 정부)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상임위원
한국방송공사 이사
통일부 통일정책평가회의위원
노사정위원회 공익위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제10대 / 국민의 정부)
아태민주지도자회의 이사
한국-프랑스 외규장각고서반환협상 대표
한국인권재단 이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제4대 / 국민의 정부)
한국이론사회학회 회장
제2대 한국인권재단 이사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한상진사회이론연구소장
베이징대학 초빙교수
중민연구소장
재단법인 중민재단 이사장
}}}}}}}}}

1. 개요2. 생애3. 새로운 비판적 사회이론의 모색4. 산업화와 민주화의 이중발전과 중민(中民)이론5. 인권과 전환기 정의에 대한 소통적 접근6. 위험사회, 제2근대, 동아시아7. 정치 활동8. 근황9. 논란
9.1. 새천년 NHK 사건9.2. 이승만 국부 발언
10. 주요 저서11. 소속 정당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널리 알려진 비판적 사회학자이다. 1980년대 중반, '중민(中民)이론'을 주장해 변혁 주체로서의 한국 중산층의 개혁 성향을 이론화하였다. 뉴욕 콜럼비아 대학,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 베를린 사회과학원, 교토 대학 등에서 강의와 연구를 진행했으며, 주요 관심영역은 사회이론, 정치사회학, 인권 및 전환기 정의, 동아시아 위험사회와 제2근대의 길 등이다.

2. 생애

1945년 2월 15일, 박사마을로 유명한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어은리에서 아버지 한민수[4]와 어머니 제주 고씨 고정덕[5] 사이의 2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해방둥이인 그는 대한민국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함께 성장했다. 후일 광복 60주년 기념행사를 주관하게 되고 이를 계기로 제2 근대의 동아시아적 길을 모색하는 맥락에서 광복의 새로운 의미를 추구하게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유년 시절, 6.25 전쟁을 경험하고, 전주고등학교 재학 시절에는 이승만 독재체제를 무너뜨린 4.19 혁명을 경험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한 후 한일협정 반대 시위인 6.3 항쟁에 참여했다가 강제징집을 당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재학 시절에는 박정희 정권이 조작한 '재일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감옥생활을 하다가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학창 시절의 이 경험은 그가 비판적 사회학자로서의 학문적 연구와 공적 지식인으로서의 실천적 참여를 지금까지 변함없이 균형 있게 추구할 수 있게 해준 밑거름이 되었다.

3. 새로운 비판적 사회이론의 모색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학생운동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 이론적설명에의 시도'라는 논문으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74년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로 유학갔다.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하버마스 (Habermas)와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를 매개하는 비판적 사회이론에 대한 독창적 구상의 기본틀이 형성되었다. 특히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에 관심이 많아서, 이미 학부시절에 하버마스의 교수 취임 강연 논문인 '인식과 관심 (Erkenntnis und Interesse)'을 읽고 깊이 매료되어 그 논문을 번역한 적이 있을 정도였다. 이 첫 인연은 박사 학위 논문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이어져 1996년에 하버마스 교수를 한국에 초청하여 많은 학술회의, 세미나, 언론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지성계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전반에 하버마스 신드롬[6][7] 일으킨 바 있고, 지금도 부부 동반으로 하버마스 교수의 자택을 방문하여 대화를 나눌 정도로 지적으로나 인간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의 지도교수인 찰스 레머트( Charles Lemert)를 통해 미셸 푸코를 알게 되었다. 특히 미셸 푸코의 미시권력 이론에 끌려서, 이성과 소통을 대변하는 하버마스의 이론과 이성의 타자와 권력을 강조하는 푸코의 이론을 하나로 결합하려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결합의 기본 발상은 하버마스의 '담론검증 (Discursive Test of Validity)'의 관점과 푸코의 '언술분석 (Discursive Analysis of Power)'의 관점을 결합하여 '언술변증의 방법 (Discursive Method)'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비판적 사회이론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하버마스와 푸코의 비판이론을 결합하려는 선도적 시도의 하나였다. 최근 그는 이 이론적 매개작업을 동아시아적 사유전통의 재구성이란 맥락 속에서 새롭게 제시하려는 기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는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에서 포스닥 연구활동을 하면서 클라우스 오페 (Claus Offe) 등 독일 비판이론의 젊은 피와 교류를 심화한 뒤 1981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4. 산업화와 민주화의 이중발전과 중민(中民)이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그는 급속한 산업화와 강력한 민주화 운동이 동시에 진행된 한국의 고유한 사회, 정치적 발전과정을 그 물질적 조건과 규범적 동력의 차원에서 동시에 해명하려는 정치사회학적 연구에 관심을 집중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는 관료적 권위주의론, 비판이론, 경험적으로 확인가능한 변혁주체에 대한 관심, 그리고 4.19 혁명, 5.18 민주화운동, 6월 항쟁 같은 한국의 강력한 민주화 운동의 역사를 결합하여 '중민이론'이라는 독창적 이론을 80년대 중반에 제시했다.

한국의 70-80년대는 박정희 대통령과 전두환 대통령으로 대변되는 군사정권 하에서 고도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던 시대였을 뿐 아니라, 이 권위주의 체제에 대항하는 민주화 운동이 거세게 펼쳐지던 시대이기도 했다. 그는 이 양면적 발달동학을 해명하기 위해 관료적 권위주의 개념을 도입한다.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는 한편 남미의 종속적 발전과는 달리 경제성장에 성공하면서 한국을 중진국의 대열에 올려놓았지만 다른 한편 자신의 무덤을 파는 집단도 산출했다. 강압적 군사정권에 대항하여 거리로 나선 수많은 대학생과 화이트칼라층이 바로 그들이었다. 한상진은 이 변혁주체를 '중민(中民)'으로 호명했다.여기서 중민은 사회경제적 측면에선 중산층에 속하지만 민중의 정체성을 공유하는 진보적 성향의 사회집단을 가리킨다. 이 중민 개념에 기초하여 그는 80년대 사회변혁 운동을 계급적 양극화 모델보다는 중심화 모델에 입각하여 설명했고, 87년 체제 성립 이후의 민주화 과정과 관련하여 외압내진, 제도진입, 사회민주화의 3단계 모델을 제안했다.

21세기에 들어와 디지털 혁명의 영향이 일상세계 깊숙이 파고들고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그는 이런 조건에서 중민의 구성과 동학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를 위험사회에 대한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다.

5. 인권과 전환기 정의에 대한 소통적 접근

인권에 대한 한상진의 관심은 군사정권의 억압정치 일반과, 특히 광주 민주화 항쟁을 비롯한 거의 모든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과정에서 저질러진 잔혹한 인권유린에서 비롯되었고, 이 관심은 국내 차원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차원에서의 '전환기 정의 (transitional justice)'에 대한 관심으로도 발전되었다.

인권과 전환기 정의의 문제와 관련하여 그는 상호성에 입각한 소통적 접근방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예를 들이 일본 제국주의의 강제병합과 침략전쟁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아시아 국가들의 시민과 지식인들은 과거 일본이 자행했던 잔혹행위에 대한 사과와 적절한 배상을 일본에 요구하고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한상진은 통상적인 접근과는 달리 일본의 보통 시민들의 마음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일본 국가가 과거사, 특히 제국주의 시대의 잔혹행위에 대한 정보를 대부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보통 시민들은 자신의 국가가 침략자로서 저지른 잔혹행위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오히려 그들은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폭탄의 희생자라는 자기이해를 갖고 있다. 가해자가 아니라 오히려 피해자라는 의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보통시민과 시민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소통의 경로가 없다면 전환기 정의의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 소통적 접근의 요지이다.

6. 위험사회, 제2근대, 동아시아

한상진은 1995년 이래 위험사회와 제2근대의 문제의식을 중민이론과 결합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왔다. 이 맥락에서 독일 사회학자 울리히 벡과 맺은 지적 교류는 매우 밀접하여, 벡의 갑작스러운 죽음 직후 서울특별시장까지 참석한 가운데 동양식 추도식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가 생각하는 위험사회와 제2근대의 구상은 벡의 구상과 결을 달리한다. 그가 보기에 동아시아의 위험사회는 단순히 글로벌 생태위기만 아니라 돌진적 근대화로 인한 발달위험도 함께 겪는 복합 위험사회란 특징을 가지며, 이런 점에서 위험사회 개념은 동아시아에서 더 적합하고 풍요한 결실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다른 한편 동아시아는 제1 근대에서 선택적으로 배제되었지만 위험사회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풍부한 사상적, 문화적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이 잠재력을 발굴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제2근대의 동아시아적 경로에서 관건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유교 불교 등 동아시아적 사상 전통의 현재적 함의를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거버넌스 실험을 위험사회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7. 정치 활동

한상진은 공적 지식인으로서도 활발할 활동을 펼쳤다. 80년대 중반 이래 오랜 동안 칼럼니스트로서 활동하면서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다양한 사건들의 의미를 그 발생시점에서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처방의 방향을 제시해왔다. 국민의 정부에서 대통령정책자문기획위원장으로서 국가정책 수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한국학중앙연구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에는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 민간대표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 5.18 전야제가 끝나고 새천년NHK에서 문용린 당시 교육부 장관과 술을 마시는 등의 행보를 보여서 구설수[8]에 오르기도 했다.

참여정부에서 광복 60주년 기념행사 준비위원회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했고, 이것은 제2 근대의 맥락에서 광복의 새로운 의미를 추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2013년에는 민주통합당 대통령선거평가위원장으로서 제1야당인 민주통합당의 대선 패배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을 했고, 2016년에는 윤여준 환경부 장관과 함께 국민의당의 공동창당준비위원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긴 세월에 걸친 다양한 공적 활동 속에서도 그는 정치활동과 비판적 사회학자 사이의 경계와 균형을 유지하는 비판적 공적 지식인의 위치를 잃지 않았다.

8. 근황

2010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정년퇴임을 한 후 명예교수가 되었고 한상진사회이론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으로 활동하다가 중민연구소장을 맡고 있고 2012년에는 재단법인 중민재단을 설립하여 스스로 이사장을 맡아 세계화와 디지털 시대의 중민의 변화에 대한 연구, 주주-직원 공생 프로젝트, 동아시아 위험사회 분석, 동아시아 사상 전통의 재구성 등등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해 서울, 베이징, 도쿄, 유럽을 오가면서 폭넓은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해가고 있다.

9. 논란

9.1. 새천년 NHK 사건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상진 교수도 2000년 5월 15일 5.18 추모 전야제 행사에 참석한 이후 광주 새천년NHK 단란주점에서 문용린 당시 교육부 장관과 함께 술을 마시고 있었다. 이 사건으로 문용린 장관은 자진 사퇴했고 한상진은 2000년 12월까지 직을 유지했다.

9.2. 이승만 국부 발언

4.19민주묘지역에서 ' 이승만 대통령을 국부로 평가해야 한다'고 발언하여 논란이 일어났다. #

이로 인해 안철수 당시 상임공동대표와 국민의당의 지지율이 급하락했으며, 논란이 일어난 지 닷새 만에 사과하였다.

10. 주요 저서

11.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공동창당준비위원장으로 영입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6 - 현재 탈당


[1] 인근의 봉현리, 홍곡리와 함께 청주 한씨 집성촌이다. 한상준 전 의원과 독립유공자인 한돈석과는 같은 마을, 같은 집안 출신이다. [2] 안양공파(安襄公派) 32세 상(相)○ 항렬. ( 족보) [3] 석사 학위 논문: 韓國學生運動에 대한 社會學的 接近 : 理論的說明에의 試圖 = (A) sociological study on the student movement in Korea : with an attempt to clarify its theoretical aspects (1972) [4] (韓玟洙, 1923. 10. 5 ~ ?) [5] (高貞德, 1926. 8. 8 ~ 2007. 6. 20). 장흥백파(長興伯派) 고광석(高光奭)의 딸이다. [6] 특히 하버마스가 공항에서 출국하기 전에 한국이 진정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되살려야 할 2가지 전통 문화를 언급한 일이, 당시의 신토불이 운동과 맞물려 화제가 되었다. 단순히 경제 규모가 커지는 것만이 선진국의 잣대가 되어선 안 된다는 요지. [7] 일본이 자국 문화 수출의 첨병으로 사무라이를 내세우는 것과 맞물려 생각해볼 수 있다. 이쪽은 원래 철저히 승리를 추구하는 지배계급(무사)과, 남들이 꺼리는 공작활동을 대가를 받고 처리해주는 집단이, 후대에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윤색되어 홍보되는 사례. [8] 물론 어그로는 새천년 NHK 사건의 당사자인 김민석, 송영길, 우상호 등이 다 끌어서 묻혔다. 사실 이 사건이 터지고서 언론에서 사건을 캐다보니 한상진과 문용린이 곁다리로 걸리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