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3:10:19

입시체육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체육대학
, 체육과
,
,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 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 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 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 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 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 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 체벌)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 공부 쓴소리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 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 연공서열) · 명문대 (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 의무교육법)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 /각론) · 2015 개정( /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 늘봄학교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 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 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디지털교과서(AIDT)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1. 개요2. 양상3. 실기 종목

1. 개요

예체능 계통의 대학인 체육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교육을 말한다. 입시미술과 비슷하게 사설 교육기관인 체육 학원에서 주로 교육이 이뤄진다. 이런 부류의 학원들은 주로 체대입시 학원이라는 타이틀을 건다.

주로 인터벌 트레이닝, 서킷 트레이닝, 웨이트 트레이닝, 크로스핏, 기술 훈련, 체력훈련을 위주로 훈련하고 일정 시기가 지나면 자신이 목표로 하는 대학 실기 위주로 훈련한다.

체력 훈련으로는 계단뛰기[1], 인터벌, 꼬리잡기, 언덕 달리기, 왕복 달리기, Z런 반복[2], 크로스컨트리 등등이 있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에서 운영하는 체육특기자대입포털도 있는데 종목별 정원, 입시전형을 찾는데 유용하다.

2. 양상

운동선수[3] 체육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고교 2~3학년 때부터 각 대학의 감독이나 코치진들이 스카우트에 들어가기 때문에 입시체육과는 별 상관이 없다. 입시체육은 일반계,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강사 체육교사 등의 꿈을 안고 체육대학 혹은 체육교육과 등을 진학하는 경우가 된다. 그리고 웬만한 생활체육 계열 선수를 하다 입시체육으로 전향해 온 학생들도 힘들다고 인정할 만큼 엄청난 체력이 요구된다. 사실 대부분의 생활체육과도 그 강도가 비교가 안된다. 대부분 한 달 전후부터 고충이 적어지지만 익숙해지는 것 뿐이지 힘든 건 똑같다...[4]

대부분의 체대들이 실기에서 요구하는 내용이 비슷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은 대동소이하고 지역별로 동네별로 체육학원을 두고 있다.[5] 입시미술과 마찬가지로 수능 끝난 고3들과는 정반대로 수능이 끝남과 동시에 본격적인 커리큘럼이 작동하고 정시 모집 종료 이후 대학 발표가 나오는 2월에 끝나게 된다.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입시미술의 문제점과 비슷한데 어떤 운동에 대한 취향이나 탐구의식 없이 단순히 실기에 맞는 기술적인 역량을 갖추게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체대입시의 대부분의 실기종목은 실내인 체육관에서 시행된다. 서전트 점프, Z런(지그재그 달리기), 제자리 멀리뛰기, 왕복 이어달리기, 셔틀런, 핸드볼 던지기[6], 메디신볼 던지기, 유연성,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 등등. 야외운동은 50m 달리기 100m 달리기같은 단거리 달리기를 제외하고는 없다. 그리고 그 실기종목 중에서도 끝판왕 제자리 멀리뛰기와 단거리 달리기이다.

수능이 끝나면 평소 운동하던 걸 1타임으로 잡고 하루 3타임씩 운동하는 헬게이트가 열린다.[7] 이때는 전문 선수급의 운동 강도라고 봐도 전혀 무방하지 않다. 체대생들의 아름답고 강력한 몸은 대부분 이 때에 만들어진다.[8]
공무원 시험 중에서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교정직 공무원의 체력시험도 체대입시학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3. 실기 종목


[1] 계단을 토끼뜀하듯이 뜀걸음으로 오르내리는 것. [2] 순발력과 민첩함을 기르는 훈련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지그재그로 빠르게 달리는 것. [3] 대표적으로 축구선수 야구선수를 양성하는 축구부와 야구부나 별도의 특성화 운동부(유도부, 역도부, 농구부, 육상부,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등등.)가 있는 고등학교의 경우 제 발로 알아서 스카우트가 들어온다. 주로 특성화고등학교에 운동부가 존재하나 드물게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존재하는데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축구부나 야구부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4] 물론 들어온지 얼마 안 됐다면, 특히 본인이 이전에 선수급으로 운동을 한 경력이 없는 일반인이라면 훈련강도는 조절해주는 게 당연하다. [5] 다만 피아노학원과 태권도학원같이 동네마다 다 있는 것은 아니며 주로 학원가, 학교들이 인접한 곳이나 접근성이 뛰어난 번화가에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 반대로 지역에 고등학교가 없거나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 입시체육학원이 없다. 대표적으로 아파트단지 같은 경우 없다고 봐도 된다. 또한 아무래도 남초 현상이 큰 체육계열이다 보니 여자고등학교 근처에도 입시체육학원이 없다. [6] 의자에 앉아서 던지는 것과 서서 던지는 것, 두 가지를 측정한다. [7] 하루에 4시간씩 운동하는 것이면 수능 끝난 이후에는 반나절이나 운동에 할애하는 대장정을 펼치게 된다... [8] 하지만 부상 위험도 덩달아 높아지는 시기가 이때인데 실제로 운동량이 3배 가까이 늘어나다보니 적잖은 부상을 당하기도 한다. 물론 학원에서도 환자반, 부상반이라는 명목으로 따로 분리하여 운동시킨다. 주로 재활운동을 겸하며 부상이 완치되면 다시 격한 운동에 투입되는 식이다. 때문에 다치면 자기만 손해이니 너무 무리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