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통계 목록 | |||
삶의 질 지수 | 교육지표 | 환경지표 | 출산율 |
치안 | 소비자 물가상승률 | 임금과 세금 | 과학기술 |
보건의료 | 농업 | 연금 | 중위 가처분 소득 |
1. 개요
OECD 국가와 일부 비회원국의 교육 통계를 설명한다.먼저 일러두자면 이 항목에 소개된 통계는 Education at a Glance Indicators OECD의 극히 일부로써, 원문을 직접 살펴보면 알겠지만 훨씬 다양하고 많은 통계가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원문을 참고할 것.
일부 단어와 통계치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사실관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편집하였음을 알린다.
또한 하단의 통계들은 2014년 쯤에서 갱신이 멈춰있으므로, 2020년대의 현대와는 상황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미리 알린다.
한국어로 번역된 OECD 교육지표 2014
2. 통계
2.1. 교육 이수: 25-64세 인구
국가 | 고등학교 미만 | 고등학교 | 대학교 이상 |
호주 | 24 | 35 | 41 |
오스트리아 | 17 | 63 | 20 |
벨기에 | 28 | 37 | 36 |
캐나다 | 11 | 37 | 53 |
칠레 | 43 | 40 | 18 |
체코 | 7 | 73 | 19 |
덴마크 | 22 | 43 | 35 |
에스토니아 | 11 | 53 | 37 |
핀란드 | 16 | 45 | 39 |
프랑스 | 28 | 41 | 31 |
독일 | 13 | 58 | 28 |
그리스 | 32 | 42 | 26 |
헝가리 | 18 | 60 | 23 |
아이슬란드 | 30 | 35 | 35 |
아일랜드 | 25 | 34 | 40 |
이스라엘 | 16 | 38 | 46 |
이탈리아 | 43 | 42 | 15 |
일본[1] | 0 | 53 | 46 |
대한민국 | 18 | 41 | 41 |
룩셈부르크 | 22 | 40 | 39 |
멕시코 | 62 | 19 | 18 |
네덜란드 | 27 | 39 | 35 |
뉴질랜드 | 26 | 34 | 40 |
노르웨이 | 18 | 44 | 39 |
폴란드 | 10 | 66 | 25 |
포르투갈 | 63 | 19 | 19 |
슬로바키아 | 8 | 73 | 18 |
슬로베니아 | 15 | 59 | 26 |
스페인 | 46 | 23 | 33 |
스웨덴 | 13 | 52 | 35 |
스위스 | 14 | 50 | 37 |
튀르키예 | 67 | 19 | 15 |
영국 | 22 | 37 | 41 |
미국 | 11 | 46 | 42 |
OECD 평균 | 24 | 44 | 33 |
2012년 기준 25-64세 인구의 최종 학력을 뜻한다. 예를 들어 호주의 25-64세 인구의 학력은 고등학교 미만 24%, 고졸 35%, 대학교 이상 41%다. 일부 국가의 경우 합계치가 100±1이다.
이 통계를 읽을 때 주의할 점은 첫째 연령대에 따라서 학력이 매우 다른 국가가 여럿 있다. 둘째. 교육기관을 분류하는 체계가 국내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부 통계치의 경우 언론 등에서 인용되는 것과 차이가 날 수 있다.
2.2. 교육 기회의 평등과 교육의 세대간 이동
가로축은 세대간 교육의 평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부모들이 고등교육을 받은 20~34세의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과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부모들의 20~34세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의 비율이다. 프랑스는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의 자식들이 그러지 못한 부모의 자식들보다 고등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6배 가량 높고 미국은 6.8, 이탈리아는 9.5배이다. 반면 캐나다나 한국, 네덜란드와 북유럽 국가들은 이 수치가 3배를 넘지 않는다.
세로축이 교육의 세대간 이동성에 대한 수치인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일본의 세대간 이동성은 낮은 수준인데, 이는 미국과 일본에서 고등교육의 일반화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이탈리아는 부모 세대의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에 세대간 이동성은 높게 나타난다.
참고로 이 단락은 출처가 다르다. OECD 교육지표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으나 훨씬 알기쉽고 명료하게 정리된 자료가 있어 갈음한다. 출처
2.3. 교육수준별 근로자의 상대적 임금 지수
국가 | 고등학교 미만 | 대학교 이상 |
호주 | 83 | 134 |
오스트리아 | 70 | 171 |
벨기에 | 90 | 128 |
캐나다 | 87 | 139 |
칠레 | 66 | 260 |
체코 | 73 | 176 |
덴마크 | 81 | 128 |
에스토니아 | 94 | 134 |
핀란드 | 92 | 147 |
프랑스 | 82 | 154 |
독일 | 84 | 174 |
그리스 | 79 | 152 |
헝가리 | 78 | 208 |
아일랜드 | 84 | 175 |
이스라엘 | 71 | 152 |
이탈리아 | 77 | 147 |
일본 | 78 | 152 |
대한민국 | 71 | 147 |
룩셈부르크 | 70 | 168 |
네덜란드 | 83 | 156 |
뉴질랜드 | 82 | 123 |
노르웨이 | 78 | 130 |
폴란드 | 85 | 172 |
포르투갈 | 70 | 170 |
슬로바키아 | 67 | 173 |
슬로베니아 | 78 | 180 |
스페인 | 80 | 141 |
스웨덴 | 82 | 128 |
스위스 | 77 | 158 |
튀르키예 | 63 | 191 |
영국 | 70 | 156 |
미국 | 63 | 174 |
OECD 평균 | 78 | 159 |
2012년 기준. 근로소득자만을 대상으로 하며 고졸의 임금을 100으로 했을시 상대 임금이다. 세금을 제외한 순임금값이며 중등 후 비고등교육(Post-secondary non-tertiary education)이란 분류가 따로 있으나 한국은 여기에 해당하는 학제 자체가 없으므로 나무위키의 특성상 생략하였다.
2.4. GDP 대비 공교육비
【교육단계별 GDP 대비 공교육비 구성(2011)】 | |||||||||
구 분 | 전체 | 초·중등교육 | 고등교육 | ||||||
계 | 정부부담 | 민간부담 | 계 | 정부부담 | 민간부담 | 계 | 정부부담 | 민간부담 | |
한 국 | 7.6 | 4.9 | 2.8 | 4.1 | 3.4 | 0.8 | 2.6 | 0.7 | 1.9 |
OECD 평균 | 6.1 | 5.3 | 0.9 | 3.9 | 3.6 | 0.3 | 1.6 | 1.1 | 0.5 |
∙GDP 대비 공교육비 산출식 = (정부부담 금액+민간부담 금액)/GDP*100
∙정부부담 = {(정부에서 교육기관에 직접 지출한 총액+학생/가계 지원금+민간이전금)/GDP}*100
∙민간부담 = {(민간부담금(등록금 등)+기타 민간 교육부담금(학교법인 등)-정부의 민간이전금)/GDP}*100
∙정부부담 = {(정부에서 교육기관에 직접 지출한 총액+학생/가계 지원금+민간이전금)/GDP}*100
∙민간부담 = {(민간부담금(등록금 등)+기타 민간 교육부담금(학교법인 등)-정부의 민간이전금)/GDP}*100
통념과는 달리 교육에 대한 공적투자는 OECD 평균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다. 언론에서 흔히 언급되는 "GDP 대비 정부부담/민간부담 공교육비 상대적 비중" 에서 민간부담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훨씬 높은 건 정부부담이 적어서가 아니라 민간에서 지출하는 비용이 워낙 많아서 그렇다.
2.5.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수학 | 과학 | 읽기 | ||||||
순위 | 국가 | 점수 | 순위 | 국가 | 점수 | 순위 | 국가 | 점수 |
1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
575 | 1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
561 | 1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
543 |
2 |
[[마카오| ]][[틀:국기| ]][[틀:국기| ]] |
552 | 2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547 | 2 |
[[아일랜드| ]][[틀:국기| ]][[틀:국기| ]] |
516 |
3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547 | 3 |
[[마카오| ]][[틀:국기| ]][[틀:국기| ]] |
543 | 3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516 |
4 |
[[홍콩| ]][[틀:국기| ]][[틀:국기| ]] |
540 | 4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537 | 4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515 |
5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536 | 5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528 | 5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515 |
6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527 | 6 |
[[에스토니아| ]][[틀:국기| ]][[틀:국기| ]] |
526 | 6 |
[[에스토니아| ]][[틀:국기| ]][[틀:국기| ]] |
511 |
2.6. 대학 졸업생의 부채
국가 | 졸업생의 평균부채 |
덴마크 | 19,800 |
핀란드 | 7,990 |
헝가리 | 9,263 |
네덜란드 | 13,108 |
노르웨이 | 25,188 |
스페인 | 18,918 |
스웨덴 | 20,238 |
튀르키예 | 5,152 |
영국 | 18,057 |
미국 | 25,400 |
2010~2011년 기준. 단위는 PPP 기준 USD. 액수가 비슷하더라도 대출 조건이 판이하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학 졸업생의 임금 수준을 감안해야 되는 것은 기본이다.
2.7. 청년실업률
2019년 기준
[1]
후기중등교육단계(중학교) 미만에 해당되는 수치 자체가 없다. 일본 역시 법률상 중학교까지를 의무 교육으로 보지만 대개의 학생이 고교를 진학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고등학교 미만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 0%에 수렴해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