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6:37:26

이필희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1. 개요2. 생애3. 참고 문헌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자는 만여, 호는 설곡이다.

2. 생애

1857년 4월 14일 한양에서 경상좌도 병마우후를 역임한 덕수 이씨 이우권과 남양 홍씨 홍첨의 딸 사이의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친형으로 이준희를 두었다. 그는 충무공 이순신의 9대손으로, 고조는 황해수군절도사를 역임한 이계상, 증조는 함경병마절도사를 지낸 이한오이며, 조부 이형수도 함경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그는 한양에서 출생한 뒤 단양 매포에서 살았으며, 한산 이씨 이원규의 딸과 결혼했다.

1878년 무과에 급제한 뒤 당대의 대학자인 화서 이항로의 제자인 성재 유중교와 중암 김평묵의 문인이 되어 두 사람으로부터 위정척사 정신과 존화양이를 익혔다. 1893년 유중교 사후 유인석을 스승으로 모셨다. 갑오개혁 중 변복령이 내려지자 관직을 버리고 단양으로 내려갔다. 1895년 11월 을미사변 단발령이 잇달아 발발하자 제천에서 안승우, 서상렬, 오인영, 배시강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의병대 사이에서 대장으로 추대되었고, 12월 3일 자신의 명의로 <격고팔도열읍>이라는 제목의 격문을 발표했다. 이후 안동으로 진군하다 단양에서 친위군과 교전해 승리했다. 그러나 내부 문제로 의병대가 흩어지자 단신으로 안동에 들어갔다. 1896년 1월 말 유인석을 총대장으로 하는 제천의진이 결성되어 충주성을 공략하자, 그는 즉시 여기에 가담했고 3월 31일 진동장을 맡아 원주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관군과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잇달아 패한 유인석은 국경을 넘어 중국에서 재기하려 했다. 이필희는 유치경, 송상규 등과 함께 유인석보다 먼저 중국으로 가서 청나라 정부에 군사지원을 요청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만주 통화현 오도구, 회인현 팔왕동에 머물면서 중국 정부와 접촉하는 한편, 팔왕동을 의병대의 근거지로 삼아 재기를 도모하려 했다. 그러나 1900년 3월 3일 황도천 홍도진에서 타고 있던 배가 전복되는 바람에 물 속에 가라앉았다. 유해는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이필희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3.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