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가네코 후미코 | 강원신 | 강혜원 | 공백순 | 권기옥 |
권애라 | 김경화 | 김덕세 | 김도연 | 김마리아¹ | |
김마리아² | 김란사 | 김순애 | 김알렉산드라 | 김자혜 | |
김점순 | 김정숙 | 김조이 | 김향화 | 김효숙 | |
남자현 | 동풍신 | 민영주 | 박계남 | 박신애 | |
박원희 | 박자혜 | 박차정 | 박현숙 | 방원희 | |
부덕량 | 부춘화 | 신마실라 | 신순호 | 신의경 | |
신정숙 | 심영신 | 안경신 | 안영희 | 양방매 | |
어윤희 | 연미당 | 오건해 | 오광심 | 오희영 | |
오희옥 | 유관순 | 유순희 | 윤용자 | 윤희순 | |
이병희 | 이신애 | 이의순 | 이혜련 | 이효정 | |
이희경 | 장매성 | 장선희 | 전수산 | 전월순 | |
정정화 | 조마리아 | 조순옥 | 조신성 | 조화벽 | |
주세죽 | 지복영 | 차경신 | 차미리사 | 차보석 | |
최선화 | 최용신 | 최정숙 | 홍애시덕 | 황마리아 | |
황애시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단장 | |||
김원봉 | ||||
고문 | ||||
김대지 | 황상규 | |||
단원 | ||||
강세우 | 강인수 | 고인덕 | 곽재기 | |
권정필 | 권준 | 김광추 | 김기득 | |
김방우 | 김병현 | 김상옥 | 김상윤 | |
김성숙 | 김시현 | 김익상 | 김지섭 | |
김철호 | 나석주 | 남정각 | 박문희 | |
박자혜 | 박재혁 | 박차정 | 박희광 | |
배동선 | 배중세 | 배치문 | 서상락 | |
송천흠 | 신악 | 신영삼 | 신채호 | |
신철휴 |
|
유자명 | 윤세주 | |
윤치형 | 이구연 | 이병철 | 이병희 | |
이성우 | 이수택 | 이육사 | 이종암 | |
이태준 | 정이소 | 최수봉 | 황옥불확실 | |
최용덕 | 한봉근 | 한봉인 | 홍가륵 | |
유시태 | 이원대 | 이원기 | 윤병구 | |
유석현 | 정율성불확실 | 문시환 | 이춘암 | |
공약 10조
|
||||
5파괴 | ||||
7가살 | ||||
조선혁명선언 • 황옥 경부 폭탄사건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
|
이명 | 박철애(朴哲愛)·임철애(林哲愛)·임철산(林哲山) |
출생 | 1910년 5월 7일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칠산리 (現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1] |
|
사망 | 1944년 5월 27일 (향년 34세) |
중화민국 쓰촨성 충칭 | |
본관 | 밀양 박씨 |
가족 |
아버지 박용한, 어머니 김맹련 배우자 김원봉 오빠 박문희, 박문호 남동생 박문하 외당숙 김두봉, 김약수 |
학력 | 동래여자고등학교 (졸업) |
서훈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박문희, 박문호는 그의 친오빠들이며 의사이자 수필가인 박문하[2]가 그의 동생이다.
2. 생애
1910년 5월 7일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칠산리(現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서 아버지 박용한(朴容翰)과 어머니 김맹련(金孟蓮) 사이의 3남 2녀 가운데 넷째로 태어났다. 1925년 4월 호주장로교 선교부에서 운영하던 동래일신여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 3월에 졸업하였다.동래 일신여학교(현 동래여자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독립 운동에 참여했으며, 신간회 자매 단체 근우회에서 활동하다 1930년 옥고를 치렀다.
이후 오빠 박문희(朴文熺)의 도움으로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31년 의열단 단장 김원봉과 결혼하였다.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의 지원 단체인 남경 조선 부녀회를 결성하여 여성 독립운동가를 양성하였다.
|
|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의 모습. |
1937년 조선민족전선연맹 창설에 관여하고 1938년 조선의용대 부녀 복무 단장으로 무장 투쟁에 관여하였다. 1939년 장시 성(江西省) 쿤륜산(昆崙山)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입은 총상의 후유증과 관절염[3] 등의 합병증으로 1944년 충칭에서 병사했다. 유해는 해방 직후 1945년 12월 송환, 김원봉의 고향인 밀양의 송산 공동 묘지에 안장되었다.
남편 김원봉이 해방 이후 월북하여 고위직을 역임하였기 때문에 그동안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다가 1995년에서야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사후 50년이 넘게 지나서 받은 것이지만, 월북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업적에 불구하고 대접을 받지 못하는 남편보다는 나은 셈. 유관순 열사에 이어서 두번째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추서받은 여성 독립운동가로 남겨져 있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동래고등학교 근처에 생가가 남아있다.
[1]
출생지인 319번지에
박차정 의사 생가로 보존되어 있다.
[2]
수필
'약손'이 유명하다. 제목대로 어머니의 따뜻한 손길을 '약손'으로 표현한 수필이다.
[3]
남편
김원봉으로부터 감염된 성병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김원봉이 여색을 밝혔고 미인계로 청년들을 회유했다는 의혹을 받아 김원봉이 성병 환자란 소문이 돌았으며 이로 인해 부인들이 사망했다는 소문까지 나온 것이다. 이 기록은 화암 정현섭이 남긴 글 "나의 회고록"에 나온다. (그는 독립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같이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의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정화암은 아나키스트 계열에서 민족주의 계열로 노선을 바꾼 독립운동가이기도 하다. 김원봉에 대해서 좋지 않게 글을 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박차정의 공식적인 사망 이유는 총상 후유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