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04:15

강무경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78년
전라북도 무주군 풍면 설천리
사망 1910년 10월 4일 (향년 32세)
대구형무소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가족 배우자 양방매
이명 강무경(姜武京), 강현수(姜鉉秀)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 독립운동가, 의병장.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78년경 전라북도 무주군 풍면 설천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7년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군이 해산당하자 이에 통분을 느끼던 중 유지인 심남일로부터 의병을 일으키자는 격문을 받고 그와 결의형제를 맺고 1908년 1월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심남일과 함께 강진, 장흥, 남평, 능주, 영암, 나주, 해남 일대에서 일본군과 여러 차례 접전을 치렀다.

그러던 1908년 9월 20일, 장흥 신풍에서 일본군과 교전한 강무경은 전투 후유증으로 온 몸에 신열이 나고 피로가 엄습해 더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평소 인연이 있던 영암 금정면의 선비 양덕관(梁德寬)의 집을 찾았다. 그는 그곳에서 양덕관의 둘째딸 양방매(梁芳梅)에게 치료받았다. 양덕관은 두 사람이 좋은 배필이라고 여기고 이들의 혼례를 치러줬다. 이후 강무경은 채비를 차리고 집을 나서려 했는데, 이때 아내인 양방매가 따라나섰다. 이에 강무경이 말렸다.
"여자가 나설 데가 아니다."

그러나 양방매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산다."

결국 그는 부인이 자신과 함께 따라가는 걸 허락하고, 장흥, 보성, 강진, 해남, 광양 등지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유격전을 벌였다. 특히 1909년 3월 8일 일본군 15명이 운곡으로 향한다는 소식을 접한 그는 본진을 장암에 두고 의진을 5개 부대로 나눈 뒤 대항봉, 월임치, 덕룡산, 병암치 등지에 매복해 놓고 협공해 일본군 수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거뒀다.

그러나 일본군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의병 활동이 어려워지고 순종의 해산 조칙까지 내려지자, 결국 그는 1909년 7월 21일 의병대를 해산시켰다. 이후 심남일과 함께 전남 화순군 능주면의 어느 바위굴에서 은신하다가 1909년 10월 9일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후 그 해 12월 15일 대구 형무소로 이송된 그는 사형을 선고받고 1910년 10월 4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때 그는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다.
"나라의 광복을 보지도 못하고 흙으로 돌아가게 되었으니 천추의 핏자국을 남긴 청강석이 되리라."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강무경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73년에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했다.

한편 목숨을 걸고 강무경을 따라간 양방매는 남편을 잃은 뒤 남편처럼 의병 활동을 하다가 병사한 오빠 양성일의 딸을 기르며 오랜 세월을 조용히 살았다. 그러다가 1984년에야 비로소 그녀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났고, 그녀는 그해 8월 14일 국립서울현충원에 매장된 남편의 무덤을 찾아갔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86년 9월 28일 96세의 나이로 서거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양방매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