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13:50:13

오면직

파일:/image/020/2014/11/28/68234717.3_99_20141128152704.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양여주(楊汝舟)·마중량(馬仲良)·오면식(吳冕植)
주효춘(朱曉春)·백운서(白雲瑞)·오황식(吳晃植)
김동우(金東宇)·양동오(楊東五)·오철(吳哲)
출생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군 흘홍면 상홍동
(現 황해남도 은천군 신창리)
사망 1938년 5월 16일[1] (향년 44세)
평양형무소
학력 양산학교 (중퇴)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해외 망명2.3. 의열투쟁활동과 순국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한인무정부주의자 상하이연맹을 조직했고 김구를 중심으로 한 한국독립군 특무대에서 비서로 활동하다가 맹혈단(猛血團)을 조직하는 등 상하이에서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2.1. 초기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군 흘홍면 상홍동(현재 황해남도 은천군 신창리)에서 태어났다. 양산학교 중학부를 중퇴하고, 경성측량강습소에 들어가 3개월 간 수학했다. 그 후 측량기사 견습활동을 하다가 귀향하여 농업에 종사했다. 그러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했으며, 이후 독립운동에 종사했다. 그의 나이 25살 때의 일이다. 1920년에는 진남포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했으며, 조선일보 안악지국 기자와 동아일보 안악지국 기자로서 활동했다.

2.2. 해외 망명

1921년 홍완기[2]라는 독립운동가가 황해도 은율에 잠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오면직은 그를 찾아가 지원을 약속한다. 그러나 그 후 홍완기는 체포되고, 이에 신변의 위협을 느끼게 된 그는 인천과 신의주 등으로 도피생활을 하다가, 1921년 단둥 봉천을 거쳐 상하이로 망명하게 되고, 김구를 만난다. 1922년에는 김구의 지시에 따라 임시정부 자금의 횡령 의혹을 받고 있던 김립 암살하기도 한다. 1922년 10월 한국노병회가 결성되자 김구와 조상섭의 권유로 이에 가입하고, 한국노병회의 파견원으로 허난성 군관학교에 입학했다. 그 후 풍옥상이 경영하던 육군병공창 좌도부에 들어갔다. 이후 1929년 다시 상하이로 돌아온다.

2.3. 의열투쟁활동과 순국

상하이시로 돌아온 그는 아나키스트들과 교류하면서 점차 아나키즘을 수용하기 시작한다. 재중국무정부주의자연맹 상해부에서 활동하면서 백정기, 정화암, 박기성 등과 남화한인청년연맹을 재정비하여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활동에도 적극 참가한다.

1932년 4월 초에는 백정기, 이용준, 유자명 등과 4월 29일 상하이 홍구공원에 폭탄 투척을 계획했으나 김구의 한인애국단과 협의해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투척하게 됐다. 1933년에는 백정기, 원심창, 정화암, 이강훈 등과 함께 상해 육삼정 연회에 참석한 주중일본공사 아리요시 아키라 암살을 준비했다. 이 때 백정기와 이강훈이 암살을 실행하기로 했지만 거사 직전 체포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1933년 5월에는 밀정 이종홍을, 7월에는 밀정으로 생각되는 옥관빈을 사살한다.

1934년 12월 난징에서 조직된 한국독립특무대에서 대장 김구의 비서로 활동한다. 그러나 오면직은 1936년 1월 무렵 김구와 결별하고, 이후 그는 김동우와 함께 상하이로 가서 아나키스트들과 합류했다. 1936년 2월에는 '맹혈단'이라는 조직을 결성한다. 맹혈단은 남화한인청년연맹의 별동대로서, 재정부장으로서 그의 주요 임무는 상하이에 살고 있는 한국인 자산가들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는 일이었다. 상하이에 있던 한국인 자산가들에게 자금을 제공해줄 것을 강요하다가, 3월 5일 중국 경찰을 앞세운 일본 경찰에 체포된다. 체포 과정에서 일본 경찰과 중국 경찰 수명이 부상당했다.

이후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감옥에서 혹독한 고문과 수감생활을 했으며, 1937년 4월 16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사형선고 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7월 20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원심 판결이 그대로 적용되었으며, 곧 상고했으나 12월 28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살인, 살인예비 혐의로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사형 선고가 유지되었다.

1938년 5월 16일 평양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 음력 4월 17일. [2] 1920년 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통제를 구축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국내로 파견되었는데, 홍완기도 그 중의 한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