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0:28:25

금관

금동관에서 넘어옴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1. 삼국, 마한, 가야 등의 지역에서 사용한 황금 왕관, 관모
1.1. 개요1.2. 신라 금관1.3. 가야 금관1.4. 마한 금동관1.5. 백제 금동관1.6. 고구려 금관1.7. 발해 금관1.8. 기타 지역의 금관1.9.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 목록1.10. 개별 문서가 있는 금동관 목록1.11.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모 목록1.12. 매체에서 등장
2. 고려와 조선왕조 시대 관리의 예식용 모자
2.1. 개요2.2. 같이보기
3. 금관악기4. 금관국( 금관가야)5.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용어

1. 삼국, 마한, 가야 등의 지역에서 사용한 황금 왕관, 관모

1.1. 개요

금관()은 황금으로 만든 관모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순금 금관을 말하지만, 편의상 금동관, 은관 등 다른 금속으로 만든 유사한 형식의 관도 같이 금관이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금으로 도금하거나 금박을 입히기도 한 청동금동관은 특히 한반도 남부 옛 신라, 가야, 마한 권역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대체로 금제 관보다는 계급이 낮은 인물이나 지방세력의 지도자급이 사용한 듯하다. 흔히 왕관으로만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왕뿐만 아니라 고위 귀족층도 착용한 듯하다.

통상 금관이라 하면 신라금관을 떠올리는데, 고대 다른 나라에도 금관 종류가 있었다.

금관이 금 장식이 아니라 금 자체로 만든 것이라 무거워서 이걸 쓰면 목이 남아나지 않는다는 말도 있지만, 금관은 약한 진동에도 팔랑거려 반짝이도록 얇은 순금판들로 만들어서 그 정도는 아니다. 금관총 금관의 무게가 692 g, 천마총 금관은 1262 g 남짓이라 한국군 현용 방탄모의 무게(1.1kg)와 큰 차이가 없다. 마냥 가볍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루머처럼 머리 위에 제대로 못 쓰고 다닐 정도로 무겁지는 않다. 진짜로 목이 남아나지 않을 정도로 무거운 건 근대 서양의 가발이나 조선시대 여성의 가체가 있다.

현대에 신라 금관의 성분을 분석했는데 을 조금 섞었고 부위별로 순도가 조금씩 다른데 평균 순도는 19.3~21.1K였다고 한다. 이는 순도가 높은 금은 너무 무르기 때문에[1] 사용하기 불편하므로 은 합금으로 강도를 높이고, 은을 조금 섞는 게 광택이 더 생긴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전 세계에서 출토된 금관 총 14개 중 10개가 한국에서 나왔다.

1.2. 신라 금관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8be59de10334&filename=%EA%B8%88%EA%B4%80%EC%9D%98%EB%B3%80%ED%99%94.jpg
파일:external/www.kyosu.net/13678_1960_546.jpg

신라 금관의 시대별 변천 과정

신라의 금관은 산(山) 모양 장식을 겹쳐올려 출(出)자 형태로 3단( 금관총, 서봉총, 황남대총) 혹은 4단(금령총, 천마총)으로 겹쳐올린 입식을 세웠고, 뒤쪽에는 사슴뿔 모양 장식 한 쌍을 달았다. 자세히 보면 아래 사진처럼 봉황 모양과 곡옥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파일:신라 금관의 변천과정.png
신라 금관의 변천과정을 그린 표. 다만 7세기 금동관들은 금관의 위세적 기능을 흉내낸 모사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작방법이 전반적으로 많이 조악하다. 금동판을 出자형으로 자르는 것부터 점렬문도 정교하지 않다는 등 여러 이유가 있다. 이미지 출처.

확실하게 밝혀진건 아니지만 일부 의견으로는 일상적으로 사용한 왕관이 아니라 장례용으로 사용하였고, 애초에 머리에 쓰는 물건이 아니라 죽은 자에게 가면처럼 얼굴을 덮는 형태로 씌웠으리라는 주장이 있다. 2000년 9월 23일에 방영된 " 역사스페셜-금관은 데드마스크였다." 편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방송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 이한상 학예연구원도 이런 주장을 한다. 그 외에도 장례용이리란 주장들은 다음 링크들을 참고하도록 하자. ‘왕은 금관을 쓰지 않았다’, 동덕여대박물관 홈페이지 - 금관의 용도는?

2020년 9월 경주 황남동 고분군 무덤에서 고분의 주인으로 추정되는 시신에 금동관이 얼굴을 가리는 형태로 씌운 형태로 발견되어 금관이 데드마스크라는 설이 힘을 받았다. ##

그러나 반론도 존재한다.

어쨌든 창작물에서는 특유의 멋과 개성있는 디자인 덕분에 그냥 통설대로 신라 왕이 머리에 쓰는 왕관 형태로 나오는 편이다.

파일:external/image.inews24.com/1258434049992_1.jpg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선덕여왕( 이요원)이 착용한 금관.

파일:external/dimg.donga.com/49182203.4.jpg

대왕의 꿈에서 태종 무열왕( 최수종)과 선덕여왕( 박주미)이 착용한 금관.

파일:더 킹 - 황제복식4.jpg

더 킹 : 영원의 군주에서는 21세기까지 이어지는 가상의 대한제국 황제가 착용하는 왕관이 신라 금관과 서양 왕관을 섞은 듯한 모습으로 나왔다. 하지만 금관의 상징인 출(出)자 장식 크기가 작아졌고 실제 금관의 곡옥이나 드리개[2]가 없어졌다. 대신 서양 왕관 스타일 보석 장식을 섞어넣어 전체적으로 언밸런스해져 원본보다도 못한 디자인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디아블로 2에서는 '천인의 형제'라는 세트아이템으로 나왔던 '온달의 사랑'이 아마도 신라 금관을 모티브로 한 아이템으로 추정된다. 이 세트아이템에서는 태백의 영광, 단군의 가르침 등의 아이템이 들어있고 이들 이름에서 보이듯 한국에 대한 블리자드의 팬 서비스이다.

1.3. 가야 금관

파일:external/www.artpia.net/1794378427_jVwbZWzy_743699179_859ef36a_2_540x0.jpg

호암미술관에서 소장 중인 반로국 금림왕 금관. 금림왕릉에서 도굴했다고 전해지며 신라의 것보다 간소하지만 기본적인 양식은 비슷하다.

가야의 금동관

디아블로 2의 세트 아이템온달의 사랑(Ondal's Almighty)이란 이름의 금관이 존재한다.

1.4. 마한 금동관

파일:Crown_of_Baekje_National_Treasure_of_Korea_No295.jpg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고분 9호분 옹관에서 금동신발, 환두대도(봉황문 1점, 삼엽문 2점), 은팔찌, 구슬 목걸이 등의 수장급 유물들과 함께 출토 #된 금동관으로 국보 제295호이다. 현재 나주시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나주시 곳곳에 이 금동관 모양의 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웅진백제기의 백제 금동관으로 보았으나 양식이 달라 지금은 마한의 금동관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고깔모양의 안쪽 내관(모관)에는 두드림 기법으로 연꽃을 표현하였고, 바깥쪽 외관(대관)에는 풀꽃 모양의 장식판 3개를 세웠다. 장식판 끝에는 검은색(중앙 가지)과 푸른색(좌우 가지)의 유리구슬을 달아 더욱 화려하다. #근접영상 내관의 경우 전라북도 익산시 입점리와 일본 에다후나야마에서 비슷한 문양의 것이 출토된 바 있어 백제, 일본과의 교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 전남 영암군 내동리 고분에서 여러 유물과 함께 금동관 파편이 출토되었는데 위 사진속 나주 신촌리 금동관과 같은 양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

1.5. 백제 금동관



아직까지 백제의 금관은 발굴된 적이 없다. 백제는 신라와 달리 오라관(烏羅冠,검은 비단모자)을 쓰고 거기에 금제(왕,왕비) 혹은 은제(고위관료) 장식을 부착하였다. 공주 무령왕릉에서 금제 관식 2쌍(무령왕과 왕비)이 출토된 바 있다.

백제의 금동관

백제의 금동관은 출토된 사례가 7건 있으며, 한성백제 시기의 금동관으로 추정된다. 모두 수도 위례성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에서만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지방세력 포섭을 위한 하사품으로 추정된다. 출토 지역은 경기 화성, 충남 천안(금동관 파편), 서산, 공주(2점), 전북 익산, 전남 고흥 이다.

1.6. 고구려 금관

파일:2011122427198454.jpg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高句麗火焰文金冠)

파일:고구려 금관.jpg

평양 청암리 토성 출토 ‘불꽃 뚫음무늬 금동관’ 출처. 이 금동관은 보살상의 보관이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존재한다.

고구려의 금동관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高句麗火焰文金冠)은 강서군 지역에서 발굴되었다고 하여 전(傳)강서 금관으로 불리기도 한다. 즉 이 유물은 '고구려 고분에서 나왔다'는 증언만 있지 도굴꾼이 몰래 파내서 세상을 돌아다니다가 드러난 유물이라서 정확히는 어디서 출토되었는지 유래가 불분명하다. 한반도 남부의 금관보다는 아래에 나올 중앙아시아 금관과의 디자인적 유사성도 보이기 때문에 어쩌면 고구려 관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이 전강서군금관은 가야 금관처럼 출토 장소를 알 수 없었으나 일제강점기 때의 묵서를 보고 강서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한다. 2011년 상명대 박선희 교수는 '고구려 불꽃무늬 금관'에 관련된 책을 썼는데 소유자 K씨의 주장에 따르면, 이 금관은 일제강점기 강서군에서 도굴 형태로 발굴되었으며, 원산에서 사업을 했던 소유자의 조부가 한 일본인으로부터 이 금관을 사들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묵서의 위조도 없으며 금관은 금 70%에 구리가 섞여있어 현대에 제작된 것이 아니며 제작 시기는 4~5세기로 금관 제작 시기로 추정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아직 강서금관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문화재청에서도 아직 강서금관을 공식 인정하지 않았으며, 강서금관 관련 논문들도 대부분 박선희 교수의 저작들이며 다른 교수들에 의해 충분히 연구되지도 않았다.

다른 고구려 금동관과도 외적 유사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고구려 금관일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계에선 지금까지 발견된 기록이 있는 고구려 무덤의 금관은 6종류이며 도굴 분실등으로 현재 남아있지는 않다. 강서금관이 진품이라면 그 중 하나가 발견된 셈이다. 그러나, 강서금관의 조형미가 한국 다른 지역의 관보다는 오히려 아래 소개할 아프가니스탄 금관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진품 금관이더라도 고구려의 것이 아닌 중앙아시아의 금관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백제 금동관 절풍과도 비슷하여 최초로 발견된 백제 금관이 아닌가라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백제의 영토를 평안 강서군인 평양 근처까지 확대시켜야되는 문제점이 있어 백제 금관은 아닌걸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 금관의 소유자 K씨는 많은 국보급 문화재를 소유한 인물로서, 지역 박물관이나 대학 박물관등에 수많은 문화재를 기증한 인물로 명성이 자자하다. 이러한 컬렉터의 소장 유물이기 때문에, 진짜 고구려의 금관인지는 몰라도 어느정도 신뢰가능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간송 전형필의 컬렉션 독서여가도 위작논란이 나오고 있지만..

흔히 전 강서 화염문 금관만을 떠올리지만 전 집안 출토, 집안 출토 금동관과 같이 우모형(牛毛形) 장식의 금동관들도 많다. 위의 신라 금동관의 의성 탑리 4호분 출토 금동관이랑 거의 같은 형태이며, 황남대총 북분 출토 은관 역시 마찬가지로 고구려의 영향 또는 관계망 속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북한에도 고구려 금관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유물이 존재하는데 바로 평양 청암리 토성 부근에서 출토된 4, 5세기경의 불꽃뚫음무늬 금동관이다.

띠 모양의 테두리 윗줄에는 인동초무늬를, 아랫줄에는 구슬무늬를 새겼고, 그 사이에 7개의 나뭇잎 장식을 넣었으며 테두리 위는, 활활 타오르는 불길이나 바람에 세차게 날리는 구름 같은 무늬를 새긴 9개의 세움 장식(입식·立飾)으로 표현돼 있다. 이는 우리 눈에 익은 백제 무령왕의 금관 장식과 유사하다. 또한 세움 장식 가운데는 가장자리를 불꽃무늬 대신 가위로 오려낸 다음 비틀어 꼬아 장식한 종류도 보이는데 이는 고구려 장신구만의 특징적 기법이다. 맨 아래쪽 좌우에는 마치 옷고름과 비슷한 드리개를 별도로 만들어 길게 늘어뜨렸다.

물론 이 금동관은 고구려를 대표하는 왕관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의 전(傳)강서 금관처럼 고구려의 왕이나 귀족이 썼던 실용품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어찌되었든 전문가들은 고구려의 금동관이 신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으며, 4세기 말∼5세기 초 신라 무덤에서 나타나는 황금문화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있지만 그 기원은 고구려였음이 분명하다고 한다. 고구려 금동관의 특징적 요소인 금동판을 뚫어 무늬를 만드는 투조(透彫) 기법이나 촘촘히 오려 꼬는 방식 등은 신라 금관에도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출처

1.7. 발해 금관

파일:external/www.newscj.com/161127_122262_1648.jpg
금관을 쓴 고왕
발해에서도 금관을 썼는지 명확하지 않으나 용두산 고분군 M14호분에서 금제관장식이 출토되어 금관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마쪽에 얇은 뿔 하나가 나있고 이 뿔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두 작고 얇은 뿔이 양쪽으로 자라나 있다. 고왕의 표준영정에서 쓰고 있는 금관도 이 금제관장식을 토대로 그려진 것인데 엄밀히 따지면 금관의 형태보다는 조우관처럼 관모에 부착하는 방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1.8. 기타 지역의 금관

파일:external/img.hani.co.kr/1452599041_00548625401_20160113.jpg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서도 드물긴 하지만 금관이 발굴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1세기 경 아프가니스탄 틸리야-테페 금관이다.

이 금관은 현재 아프가니스탄인과는 관련이 없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왕관이다. 그리스의 진보된 야금술과 중앙아시아 특유의 금 세공 기법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진출로 인해 융합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반도의 금관과 비슷한 이유도 금 세공 기술이 스키타이, 사르마티아로 대표되는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에 의해 실크로드를 통해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이 금관을 비롯한 일련의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유물들은 현재 탈레반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의 상태가 막장이 되어 버린 관계로 반달리즘 우려 때문에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세계 각지를 떠돌고 있는데 2016년 7월 5일부터 9월 4일까지는 한국으로 들어와서 국립중앙박물관에, 2016년 9월 27일부터 11월 27일까지는 신라의 수도 경주의 국립경주박물관에 각각 전시되었다.

이 아프간 금관은 무려 14년간 전 세계 순회전을 한 이후 2020년 4월 아프간 카불 국립박물관으로 돌아갔는데 2021년 8월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하면서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탈레반은 바미안 석불 폭파처럼 이슬람과 관련 없는 문화유산을 훼손하며 악명을 떨쳐왔기 때문이다.

1.9.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 목록

1.10. 개별 문서가 있는 금동관 목록

1.11. 개별 문서가 있는 금관모 목록

1.12. 매체에서 등장

1.12.1. 도미네이션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설 유물/신라 금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고려와 조선왕조 시대 관리의 예식용 모자

2.1. 개요

파일:external/pds.skyedaily.com/1394684637WOOipcpIhVlFQPxqBGIpnVhQZOAmM.jpg

금관조복을 입은 흥선대원군. 이 그림에서 쓰고 있는 모자를 말한다.

한자 표기는 1번 항목과 똑같은 金冠. 조선왕조 시대에 관직에 있는 1~4품의 관료가 조회, 종묘제례, 문묘제례 등 국가 1등급 행사를 참여할 때 입는 예복인 조복(朝服) 및 제복(祭服)과 함께 착용하는 모자로, 이것은 왕관(crown)이 절대 아니다.[3] 조복과 항상 세트로 착용하기 때문에 합쳐서 '금관조복'이라고 칭할 때가 많다.

2.2. 같이보기

3. 금관악기

문서 참조.

4. 금관국( 금관가야)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었던 가야연맹의 구성국 중 하나. 이쪽은 한자가 金官이다. 금관국의 국성이 김해 김씨인 것을 생각할 때 우연이 아닌 듯 하다.

5.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용어

몬스터의 평균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일정 크기 이상/이하의 몬스터를 수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표시이다. 각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모든 몬스터의 금관 표시를 얻는 것은 그 시리즈의 도전과제 중 하나이다. 자세한 내용은 금관작업 문서 참조.


[1] 순금은 깨물면 잇자국이 생길 정도로 무르다. [2]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 서봉총 금제 드리개처럼 금관에 달아 길게 늘어뜨리는 장식 [3] 서양의 경우 이처럼 왕이 아닌 공작, 백작 등 영주나 고관이 쓰는 관을 coronet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