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03:05:52

저고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external/xcdn.i-scream.co.kr/s2090921l150379.jpg 파일:평민여성 저고리.jpg 파일:쌍영총 저고리.jpg
조선 이전의 저고리의 형태 가야 여성 저고리 복원품 쌍영총 차마인물도 저고리 복원품[1]
파일:attachment/저고리/c10.gif 파일:attachment/저고리/c11.gif
근현대 여자 저고리의 구조 남자

1. 개요2. 시대별 변화3. 이야깃거리

1. 개요

한복의 윗도리를 말하며, 옷섶과 소매가 있고 앞트임이 되어서 허리띠나 옷고름으로 여며 입는다. 한마디로 한복의 재킷이나 셔츠에 해당한다. 본래 선사 시대에는 위에서 뒤집어 쓰는 관두의 형태의 피의(가죽옷)를 입다가 자연히 직사각형의 소매를 달고 앞부분을 절개해서 만들어져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중앙/동아시아 복식 전반에 걸친 호복 복식 특유의 것[2]이며, 이 형태를 토대로 , 두루마기, 철릭등 다양한 형태의 웃옷들이 존재한다.

참고로 저고리는 동정깃의 선을 맞춰서 겹치지 않도록 여미는 것이 좋다. 그 후 고름은 긴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을 아래에서 위로 돌려서 매어준다. 너무 죄지 않게 고름을 맨 다음 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숙여지도록 저고리의 매무시를 가다듬어준다.

2. 시대별 변화

파일:external/7593fccd8a36c9a5edd869dd3fba364232143ec4bbc31a63efc11a9114495355.jpg
세기 별로 본 조선시대 여성용 저고리의 변천사. 시간이 흐를수록 저고리의 전체 길이가 짧아진다.
한복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삼국시대에는 남녀 저고리 모두 길이가 엉덩이를 덮을 정도로 길고, 허리띠로 옷을 여몄다. 그러던 것이 몽고의 영향을 받았던 여말선초 전후로 저고리의 전체적인 길이가 점차 짧아졌는데, 그에 따라 불필요해지고 매는 위치가 애매해진 허리띠가 사라졌다. 그리고 허리띠 대신 옷을 여밀 용도로 생겨난 것이 바로 옷고름이다. 이 옷고름은 안쪽으로 들어가는 옷섶에도 존재했다.[3]

고대 동아시아의 복식은 모두 같은 혈통으로 북방계 기마민족의 호복 계열 복식과 한나라 계열 복식의 상호 교류를 통한 영향 하에 있다. 고구려를 위시한 고대 한복의 저고리는 소매가 좁고 활동적인 호복의 상의(襦)에서 비롯되어, 중국 한푸(漢服) 상의의 활수(闊袖)형 복식을 받아들인 형태이다. 4세기부터 가야, 백제를 위시한 한반도 복식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일본 역시 이와 대동소이하고, 중국은 한국, 일본과 반대로 호복을 받아들이는 형태가 되며 고대 한중일 삼국의 복식은 세세한 차이를 제외하면 거의 형태가 비슷하다. 그러다가 각국의 기후나 문화, 성향에 따라 재단/재봉법이나 옷 자체의 넓이나 길이의 변화가 일어나며 현재 우리가 아는 한복/ 한푸/ 기모노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여미는 방향과 형태에 따라 합임(合衽)/우임(右衽)/좌임(左衽)으로 나뉜다. 합임은 양 옷자락이 맞닿게 여미는 옷을 말한다. 우임은 보는 사람 입장에서 착용자의 오른쪽 옷깃이 위에 가도록, 좌임은 왼쪽 옷깃이 이에 가도록 여미는 옷이다.[4] 우임은 한나라 계열 복식에서, 좌임은 북방 계열 복식에서 주로 나타나는데,[5] 양쪽 모두의 영향을 받은 고대 한국은 조선 이전까지는 어떻게 여미든 자기 자유였지만 점차 우임이 늘어나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우임이 확고한 표준이 되었다.[6]

여성용 저고리는 길이가 점차 짧아지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 거의 한 뼘 정도로 줄어버려서 가슴과 겨드랑이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따라서 가슴가리개라는 넓은 천을 둘러 가슴과 배를 가리는 데에 썼다.[7] 그러다가 구한말에 들어 치마의 길이가 매우 길어져 겨드랑이까지 올라오면서 가슴가리개는 점차 사라지게 됐다. 서양 선교사들이 조끼허리풀치마를 전파한 것이 계기. 이런 과정을 거쳐,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몸매가 드러나지 않는 여성용 한복 형태가 완성되었다.

이렇게 짧은 저고리 + 펑퍼짐한 치마의 이미지가 정형화되어버린 탓에 사극 드라마들의 대부분에서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 시대에 맞지 않는 조선말~근대 시기의 짧은 저고리를 보편적으로 입은 모습으로 나온다. 저고리 고증이 그나마 잘 된 작품으로는 용의 눈물, 왕과 비, 대왕세종 등이 있다.

3. 이야깃거리

저고리-속저고리-적삼(속적삼)을 한 작이라 한다. 저고리 한 작이 바로 이것을 뜻하는 말. 그러나 현대에는 삼작 저고리, 혹은 저고리 삼작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모양이다. 원래는 이 세 벌이 기본 세트였다. 특히 법도가 엄격한 사대부가나 궁중에서는 삼복 더위라 할지라도 모든 저고리를 갖추어 입었다. 더불어, 당의를 입을 때에는 한 작을 완벽히 갖춰입은 위에 입었다. 요새 사극 등에서 속에 입는 저고리를 생략하고 당의 하나만 달랑 입히는 것은 고증 오류이다. 당의는 애초에 겉저고리까지 다 입은 위에 덧입는 옷이기 때문이다.

전통식 저고리와 양장식(소매 연결) 저고리의 차이가 큰데, 전통식은 펼쳤을 때는 평면적이지만 막상 입으면 목에서부터 겨드랑이까지 한자 팔(八)자 모양의 주름이 잡힌다. 이것은 평면 의복 구성의 원리상, 인간이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릴 때 남는 여유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8] 이 팔자 주름이 평면이었던 옷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몸에 꼭 맞게끔 날씬해 보이게 만들어 준다. 정확하게 말하면 저고리를 입을 때 그냥 대충 입으면 안 되고, 이 여유분을 양 손으로 곱게 팔자 주름이 잡히도록 매무새를 정돈해 주어야 한다.

반면 양장식은 굳이 입지 않아도 입체적인데, 양복 재킷을 그냥 바닥에 펼쳐 놓아도 사람이 입고있었던 모양 그대로 펼쳐지는 것을 생각해 보면 된다. (한복은 납작하게 바닥에 붙는다) 겨드랑이 부분에 암홀이 있고 어깨가 뾰족하며, 입었을 때 어깨와 몸판 부분에 따로 주름이 잡히지 않으면서 저고리 아랫부분도 묘하게 들뜬다. 이는 한복 저고리, 특히 여성 한복의 저고리가 일반 복식보다 길이가 짧은데에 이유가 있다. 여성용 셔츠를 생각해 보자, 대부분 가슴쪽이 부하고 허리쪽에 라인이 들어가 날씬해 보이게끔 하는데 저고리는 길이가 가슴에서 끝나므로 부해보이는 부분만 남는다. 주로 공장에서 찍어 내는 기성한복이 양장식이 많다(특히 요새 유행을 타는 "리X"류의 생활한복 업체에서 제작하는 옷들은 대부분 양장식 소매 바느질을 한다). 그 밖에 몸판에 들어간 자수를 강조하려고 양장식 저고리를 만들기도 한다. 특히 조끼형 저고리[9]를 가봉할 때에 전통식인지 양장식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

깃 모양이 은근히 다양하다. 돌림깃, 맞깃, 목판깃, 칼깃, 당코깃 등이 있다. 이것들은 서로 합쳐진 형태의 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 역시 다양한 축에 속한다. 배래 모양은 직배래, 칼배래, 붕어배래가 있으며, 넓이 역시 시대나 복식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고대부터 조선까지 아우르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면 소매 모양이 팔목으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는 형태(나팔 모양)는 없었다는 점이다. 이런 나팔 형태의 소매는 중국 복식에서는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대수(大袖)나 활수(䦢袖)라고 불렀다.

복식의 형태가 크게 고대와 조선시대로 나뉠 정도로 수천 년 간 징하게 동형성을 유지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긴 하는데, 그마저도 옷깃의 모양이나 너비의 차이 정도.(...) 고대에 존재했던 허리띠(대帶)가 고름이 되고, 선이 동정이 된 것[10]외에는 구조적 차이가 없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나름대로 파격적인 변신을 한다.

한국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의 그룹명 유래이기도 하다. 멤버들이 한복을 무대 의상으로 입었다.

[1] 두 복원품 중 전자는 후자와 달리 옷깃이 한 번 꺾이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 벽화나 그림 등의 자료에서 여러 모양의 옷깃이 등장하는 만큼 어느 쪽이 옳은 고증이냐고 따지기보다는 얼마나 깊이 여미느냐의 차이로 이해하는 것이 편하다. 중국이나 일본 같은 다른 나라의 직령 교임 상의도 여미는 정도의 차이는 존재한다. [2] 카프탄(Kaftân) 또는 전개형 복식이라고 불리는 형태로, 한복, 기모노를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의 직령 형태 복식의 근간이 된다. 몽고의 흉노 유적인 'Noin-Ula' 고분에서 출토된 호복 상의에서 원류를 찾아볼 수 있다.( 참조논문: <흉노(匈奴)의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3] 속고름. 당연하지만 원래는 똑딱단추가 아니었다. [4] 따라서 착용자 입장에서 우임은 왼쪽 옷깃이 위에 가도록, 좌임은 오른쪽 옷깃이 위에 가도록 여미는 옷이다. [5]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 오랑캐가 옷 여미는 법'이라 하여 좌임이라는 단어 자체가 미개한 이들을 뜻하는 멸칭으로 자리했다. 하나, 호복계 복식의 영향권에 들었던 시대의 고분인 장사고분(長沙古墳) 출토품을 위시한 고대 중국 복식에서도 좌임형 복식을 찾아볼 수 있으니 얄궂은 일이다. [6] 삼국시대의 허리띠 역시 묶는 위치, 방식 등이 자기 자유였다. 고구려 벽화만 봐도 어떤 이는 배 앞에서, 어떤 이는 옆구리에서, 어떤 이는 뒤에서 묶었다. [7] 이 가슴가리개를 재현한 개량한복 드레스 같은 것들이 종종 기모노 짝퉁으로 오해받아 억울한 비난을 받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기모노가 중국과 한국의 영향을 받았는데, 오늘날에 와서 한복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은 한복이 기모노의 영향을 받은 줄로 안다.) 기모노의 오비는 허리띠의 용도이고, 한복의 가슴가리개는 이름 그대로의 용도이다. 더군다나 가슴가리개는 속옷이다! [8] 양장식 바느질을 한 저고리는 양장의 입체구성을 따른 것으로, 입체 구성에서는 이런 여유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9] 몸판과 소매의 색이 다른 저고리. (이전 문서의 "화장"이라는 것은 목 뒤점부터 어깨를 지나 손목에 이르는 길이를 모두 통칭하는 <치수>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소매길이+몸판 너비의 절반을 합한 치수이다.) [10] 엄밀히 말하면 틀린 표현이다. "선"은 동정이 아닌 "회장"으로 변했다. 조선시대의 반회장 저고리/삼회장 저고리에 있는 "회장" 이 고대 저고리의 "선"의 유물이다. 목에 하얗게 대는 "동정"은 떼어서 갈 수 있는 복식의 부속품으로, 옷을 오래 입으면 목때가 올라앉아 의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정한 매무새를 하는 데 목적이 있는 부속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