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ee,#000>ㄱ | 각모 · 갈모 · 감투 · 갓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
ㄴ |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 |
ㄷ |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 |
ㄹ | 로가티프카 | |
ㅁ |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 |
ㅂ |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군용)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 |
ㅅ |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 |
ㅇ |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 |
ㅈ |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 |
ㅊ | 초립 · 초선관 | |
ㅋ |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 |
ㅌ |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 |
ㅍ |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 |
ㅎ |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 |
왕관 |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 |
헬멧 |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 |
알버트 푸홀스의 헬멧 |
1. 개요
야구용품 중 하나로, 타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보호장비이다.2. 상세
투수의 빠른 공이 홈플레이트로 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단히 짧기 때문에, 타자 입장에서는 피하고 싶어도 못피하거나 안 맞을것 같아서 소극적으로 피하다가는 머리에 공을 맞게 된다. 보호장비 없이 딱딱한 야구공에 맞으면 자칫하면 사망까지 이어질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써야한다.원색의 강화 플라스틱 내지는 카본제로 야구 모자와 어우러지는 긴 챙을 가졌다. 그래서 야구 모자를 쓴 채로 그대로 헬멧을 덮어쓰는 선수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후안 피에르가 있다. 측면에는 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물이 달려있고, 이 보호물이 이어져 볼과 턱까지 보호해주는 속칭 검투사 헬멧도 있다. 쓰는 사람에 따라 이 측면 보호구가 양쪽 혹은 한쪽에 달리거나 아예 달리지 않는 등의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프로들은 한쪽 귀만 가리는 헬멧을 쓰지만, 간혹 아마추어들이 쓰는 양 귀를 가리는 헬멧(double earflap helmet)을 쓰는 경우도 있다. 셰인 빅토리노 등 스위치히터가 이러한 양 귀를 가리는 헬멧을 쓰는 경우가 많으며, 드물게 추신수처럼 한쪽 타석만 들어서는 타자임에도 이러한 헬멧을 쓰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추신수는 사실 앞뒤로 길쭉한 서양인 규격의 헬멧이 동글동글한 자신의 두상에 잘 안 들어가서 그랬던 것이다. 물론 스위치히터라도 치퍼 존스처럼 좌우 타석마다 두개의 헬멧을 쓰는 경우도 있다. 스위치히터가 아닌데 양귀헬멧을 써서 얻는 기능상의 이익은 없다. 사실 스위치히터도 딱히 이득은 없지만, 더블플랩을 쓰는 이유는 아마추어들이랑 같은 이유, 즉 돈이다. 돈 많이 버는 프로구단과 다르게 아마추어는 장비 값을 아껴야 하기 때문에 좌타용 우타용을 따로 사서 구비하는 것보다 더블플랩을 하나 사서 돌려 쓰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 극단적으로 댄 블랙은 kt wiz 시절인 2015년 홈 헬멧과 원정 헬멧의 로고가 다름에도 스위치 타자로서 헬멧을 무려 4개를 들고 다니기도 했었다.[1]
2.1. 빈볼과 궤를 같이하는 헬멧의 역사
불행히도 '야구 헬멧'의 역사는 빈볼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초창기 야구경기에서는 타자들 또한 천으로 만들어진 야구 모자만을 쓰고 경기에 나섰다. 그 당시에도 머리에 보호대를 착용하는 선수가 간혹 있었으나, 대부분 머리를 맞고 부상을 입은 뒤 착용한 케이스였고, 그마저도 극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다 1920년 8월 16일에 뉴욕 양키스의 홈구장인 폴로 그라운드에서 벌어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뉴욕 양키스의 3연전 중 첫 경기 5회 초에 양키스의 선발 칼 메이스가 던진 제3구가 인디언스의 유격수 레이 채프먼의 왼쪽 관자놀이를 강타해 채프먼이 12시간 만에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야구 역사상 유일한, 경기중 투구에 맞아 발생한 사망 사고다. 이 사건으로 인해 헬멧 착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지만 헬멧 착용 의무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선수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로부터 17년이나 지난 1937년 5월 25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슈퍼스타이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포수 겸 코치였던 미키 코크런이 상대팀 뉴욕 양키스의 범프 해들리의 투구에 머리를 강타당한 후 뇌진탕 후유증으로 34세의 나이에 조기 은퇴를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헬멧을 써야한다는 인식이 진지하게 확산되면서 사람들이 헬멧을 연구하고 착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천으로 만든 야구모자에 공기를 채운 고무를 밴드로 연결해서 최초의 헬멧을 만들었지만 머리를 보호해 주지도 못했고 착용하기에도 불편해서 플라스틱제로 교체되었다.
플랩이 없는 초기의 플라스틱 헬멧 |
심정수가 착용한 검투사 헬멧 |
2000년대쯤부터 기존의 플랩만으로 막을 수 없는 관자놀이,턱까지 플랩을 늘린 일명 검투사 헬멧(C-Flap)이 등장했다. 처음에는 헤드샷 당한 전력이 있는 선수에게 특별히 허가해주던 헬멧이었는데, 안전 인식 확산으로 제한이 풀리면서 점점 착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2.2. 타자가 아닌 사람의 헬멧
수비시에는 포수가 헬멧을 착용한다. 이 경우에는 보호 장구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KBO 리그의 경우 포수가 머리에 투구 또는 파울타구에 맞거나, 홈 충돌 시 넘어질 때, 혹은 타자의 타격 후 팔로스윙 시 배트에 머리를 맞을 수 있는 위험이 우려되면서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포수들도 거의 의무적으로 헬멧을 쓰고 경기에 나선다. 과거에는 일반 야구 모자를 거꾸로 쓰고 경기를 치르는 경우가 많았다. KBO 리그 초창기 포수들의 사진을 보면 대부분 모자를 거꾸로 쓰고 그 위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김경문 감독이 공주고 시절 이런 부상을 당했다. 그 당시 부상의 여파로 두통을 지병으로 달고 산다. 이와 반대로 박동원의 경우는 그 특유의 큰 스윙 때문에 여러 포수에게 부상을 입힌 전력이 있다.21세기로 들어서면서 몇몇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포수 마스크와 결합한 일체형 마스크가 등장했다. 메이저리그 최초 착용자는 당시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의 찰리 오브라이언이다. 기사 아이스하키의 골키퍼 마스크와 비슷하며 크고 무거워서 불편하지만, 대신 크고 특수소재로 만든 만큼 시속 160km 강속구를 맞아도 안전하다고. 그리고 시야가 넓어서 파울 플라이를 처리할때 마스크를 벗지 않아도 되며 도루 저지할때 마스크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고 한다. 국내 프로야구에서 선수는 1998 시즌에 김동수가 최초로 착용했다. 팀 후배인 조인성도 일체형 마스크를 썼으나 둘 다 예전의 탈착형 마스크+포수 헬멧으로 돌아갔다. 일체형 헬멧을 사용한 대표적인 포수로는 박경완, 차일목, 최경철, 주효상 등이 있다. 박세혁도 착용했었으나 2018시즌부터는 일반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심판 중에는 일체형 마스크 헬멧을 착용하는 사람은 없는 대신 이영재 심판이 2024년부터 헬멧을 착용하고, 심판 마스크를 쓰는 것이 유일하다.[2] 과거에는 김풍기, 김병주, 김성철, 추평호, 최수원, 윤태수 심판위원이 이 헬멧을 착용했었다. 박경완, 차일목은 미즈노 헬멧을, 김풍기 심판은 윌슨 헬멧을 썼다.
포수가 아닌데도 수비 시에 헬멧을 착용하는 선수도 있다. 이는 수비시 타구를 맞을 경우 생명에 위험이 있을 수 있는 선수들이 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 과거 메이저리그의 애버리지 히터로 유명한 1루수 존 올러루드가 대표적. 한국프로야구에서도 2010년에 삼성 라이온즈의 채태인이 뇌진탕을 겪은 후 수비시에 헬멧을 착용한 사례가 있다. # 일설에 의하면, 마산아재의 술병 방어용으로 쓰이기도 했다고 전해 지는데, 이게 농담이 아니라 진짜다. 마산구장 외에도 팬들의 오물투척이 빈번했던 1980년대 중후반까지만 하더라도 각 경기장에서 팬들의 심기가 불편해질 즈음이면 외야수들이 종종 헬멧을 쓰고 수비에 나섰다. 이후, 경기장 내 유리병 반입이 금지되고 나서는 쉽게 보기 어려운 장면이 되었다.
야구 헬멧은 더 이상 선수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2003년 한때 두산 베어스의 외국인 선수로 뛰었던 마이크 쿨바(1998년 현대 유니콘스 외국인 선수였던 스캇 쿨바의 친동생)가 2007년 마이너리그에서 1루 코치로 활동하던중 파울 타구에 머리를 맞아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2008년부터는 1루와 3루 코치도 의무적으로 헬멧을 착용하도록 메이저리그 규정이 개정되었다. 또한 KBO 리그 역시 2011년 시즌부터 베이스 코치의 헬멧 착용을 의무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