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2:38:16

𫠉에서 넘어옴
국명· 지명 한자 약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륙
·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
· · · · ·

대한민국 북한 대만
중화민국
중국 일본
· ·
몽골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 · ·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네덜란드
西 ·
스페인 포르투갈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이집트
· ·
폴란드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
그리스 핀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벨기에 헝가리
西 西
스위스 튀르키예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과거의 국가
·
가야
[A]
고구려 · 고려
[A]
백제
[A]
신라[A] 조선[A]
로마 제국 소련[B] 프로이센[C] 왜국
[D]
류큐 왕국 /열도
[D]
지역 및 도시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지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런던

[A] 現 대한민국 [A] [A] [A] [A] [B] 러시아 독립국가연합 [C] 독일 [D] 일본 [D]
}}}}}}}}} ||
말 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馬,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バ, マ, メ
일본어 훈독
うま, (ま), むま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9%A6%AC-order.gif
획순
1. 개요2. 상세
2.1. 부수
3. 용례4. 여담

[clearfix]

1. 개요

馬는 '말 마'라는 한자로, 동물 ''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말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maa5
객가어
민동어
민남어 bé / bée / má
오어 mo (T3); ma (T3)
일본어 음독 バ, マ, メ
훈독 うま, むま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99AC[1]에 배당되어 있으며, 주음부호로는 ㄇㄚ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SQSF(尸手尸火)[2]로 입력한다.

馬는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𫠉, 傌, 𢒗, 𢒠, 𢒧, 𩡬, 𩡮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바람.

馬는 말의 모습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다음은 馬자의 변천과정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silk.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seal.svg.png

첫번째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말의 모습이 확연하게 눈에 띈다.

한국어에서 뜻과 소리가 비슷한 이유는 같은 말을 서로 다른 시점에 들여왔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뜻인 "말"은 만주어 ᠮᠣᡵᡳᠨ(morin), 몽골어 морь(mor'), 상고한어 馬(*mraːʔ) 등과 유관한 것으로 보이는 고대 외래어가 기원이고,[3] 소리인 "마"는 상고한어 馬(*mraːʔ)가 변형된 중고한어 馬(mˠa)에서 유래했다.

고대 일본어[4]에서는 馬()가 확실하지는 않겠지만, 헤이안 시대 차용어였을 확률이 높았을것이라는 추측이다. #

2.1.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 <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chinesetopbottom.png }}} 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馬의 부수형태로는 변, 방, 발 등이 있다. 말마부는 강희자전에서 187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472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옛날에 주로 말이 탈것으로 많이 이용되다 보니 車와 혼용해서 말과 관련이 있거나 아니면 탈것을 나타낼때 쓰인다. 이 부수를 쓰는 한자의 예시로 (역 역)[5], (몰 구), (떠들 소), (놀랄 경)[6], (망아지 구), (말탈 기), (오를 등), (시험할 험), (논박할/얼룩말 박)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성씨를 제외한 인명에서의 馬는 불용한자[7]는 아니나, 사람의 지위를 격하시킨다고 하여 권장하지 않는 한자이기 때문에 한국 이름에서는 쓰이는 예가 별로 없다.[8] 그나마 馬자를 이름으로 쓰는 경우로는 접미사처럼 쓰는 일본 남자 이름들(유마, 쇼마, 케이마, 토우마, 타쿠마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시. 馬자가 포함되는 성씨를 가진 인구가 좀 있는 편이다.

3.4. 지명

3.4.1. 국내

한국에 馬가 쓰이는 지명이 상당히 많은데, 이름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지리가 말의 어떤 신체 부위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경우가 많다.

3.4.2. 국외

3.5. 창작물

3.6. 기타

4. 여담


[1] 马는 U+99AC [2] 马는 NVSM(弓女尸一) 또는 NLVM(弓中女一) 또는 NPM(弓心一) [3] 원래 어느 언어에 속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말이라는 동물이 처음 길들여진 중앙아시아 어디쯤의 언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 단어는 꽤 유명한 '방랑어'로 심지어 영어에서 '암말'을 뜻하는 mare에서까지 발견된다. [4] 3세기~8세기 [5] 원래 은 말을 먹이고 기르면서 사람이 숙박하는 시설이었다. [6] 실제로 말은 겁이 많은 동물이다. [7] 不用漢字. 이름에 쓸 수 없는 한자. [8] 馬뿐만 아니라 가축을 뜻하는 , , , 등의 한자도 같은 이유로 이름에 쓰는 걸 매우 기피한다. 이는 한중일 공통이다. [9] 를 쓰기도 하나 극소수다. [10] 전 야구선수 [11] (달릴 빙)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