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대한민국에서 사육이 불법인 동물[1] 또는 멸종 위기가 심각해 국제 거래와 사육이 금지된 동물은
취소선표시.
2. 척추동물
2.1. 포유류
- 식육류
- 개
- 고양이
- 사바나캣[2]
- 카라캣[3]
-
너구리 - 붉은여우[4]
-
사막여우 - 북극여우
-
늑대 -
코요테 -
딩고 - 자칼
-
서벌 -
카라칼 -
오셀롯 -
모래고양이 - 점박이하이에나
- 페럿
- 스컹크
- 라쿤[5]
-
작은발톱수달[6] - 몽구스[7]
- 사향고양이
-
빈투롱 - 코아티
- 설치류
- 우제류
- 기제류
- 유대류
-
영장류[9] - 기타
2.2. 조류
- 거위
- 공작
-
구관조 - 금계
- 은계[11]
- 금화조
- 꿩
- 닭
- 메추라기
- 미니메추리
- 관메추리
- 문조
- 백한
- 비둘기
- 뿔닭
- 십자매
- 앵무새[12]
- 에뮤
- 오리
- 자고새
- 카나리아
- 흑고니
- 타조
-
까마귀[13] -
까치 -
참새 -
수리 - 참매[14]
-
올빼미
2.3. 파충류
- 거북
- 도마뱀
2.4. 양서류
- 무미류
- 무족류
2.5. 어류
관상어 문서 참고.3. 절지동물
3.1. 갑각류
3.2. 협각류
3.3. 다지류
3.4. 육각류
- 장수풍뎅이
- 장수풍뎅이
- 외뿔장수풍뎅이
- 둥글장수풍뎅이
-
남방장수풍뎅이[46]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
넵튠장수풍뎅이 -
그란티장수풍뎅이 -
티티우스장수풍뎅이 -
힐루스장수풍뎅이 -
사탄장수풍뎅이 -
켄타우로스장수풍뎅이 -
케이론장수풍뎅이 -
아틀라스장수풍뎅이 -
모엘렌캄피장수풍뎅이 -
기데온장수풍뎅이 -
오각뿔장수풍뎅이 -
엘레파스코끼리장수풍뎅이 -
악테온코끼리장수풍뎅이 -
마르스코끼리장수풍뎅이 - 사슴벌레
- 왕사슴벌레
- 넓적사슴벌레
- 톱사슴벌레
- 애사슴벌레
- 사슴벌레
- 홍다리사슴벌레
- 다우리아사슴벌레
- 두점박이사슴벌레[47]
- 참넓적사슴벌레
- 꼬마넓적사슴벌레
- 털보왕사슴벌레
- 큰꼬마사슴벌레
- 길쭉꼬마사슴벌레
- 뿔꼬마사슴벌레
- 왕애사슴벌레[48]
-
기라파톱사슴벌레 -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
타이완넓적사슴벌레 -
파리큰턱사슴벌레 -
만디블라리스큰턱사슴벌레 -
리노세로스큰턱사슴벌레 -
엘라푸스가위사슴벌레 -
부르마이스터멋쟁이사슴벌레 -
왕넓적사슴벌레 -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
알키데스넓적사슴벌레 -
로젠버기황금사슴벌레 -
메탈리퍼가위사슴벌레 -
유럽사슴벌레 -
뮤엘러리사슴벌레 -
람프리마사슴벌레 - 길앞잡이
- 하늘소
- 사슴풍뎅이
- 꽃무지
- 쇠똥구리
- 뿔쇠똥구리
- 긴다리쇠똥구리
- 물방개[49]
- 물땡땡이
- 개미
- 바퀴벌레
- 사마귀
- 왕사마귀
- 넓적배사마귀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 좀사마귀
- 항라사마귀
-
호주왕넓적배사마귀 -
자이언트 말레이시아 나뭇가지 사마귀 -
악마꽃사마귀 -
메가에라방패사마귀 -
난초사마귀 -
덴티큘레라사마귀 -
보라날개사마귀 -
바살리스방패사마귀 -
탄자니아사마귀 -
낙엽사마귀 -
복서사마귀 - 나비
- 나방
- 물자라
- 게아재비
- 장구애비
- 소금쟁이
- 송장헤엄치개
-
물장군 - 잠자리[51]
- 여치
- 메뚜기
- 귀뚜라미
- 방울벌레
- 땅강아지
-
자이언트 웨타 -
시아 페록스
4. 기타 동물
5. 애완동물 처럼 기르는 기타 생물
- 마리모 - 엄밀히 말하면 식물이나 비료를 밥이나 먹이라고 하는 등 은근히 동물에 가깝게 취급하며 키운다.
- 식충식물 -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이라는 점에서 먹이가 되는 곤충들을 따로 들여놓고 급여하며 키우기도 한다. 다만 통상적인 이미지와 달리 잦은 급여는 오히려 건강에 해로운편.
6. 애완동물 처럼 기르는 물건
- 애완용 로봇 - 소니 아이보로 대표되는 것으로, EMO pet, Cozmo, Vector, Eilik 등이 있다. 살아있는 동물 대신 키우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면서도 아직까지는 미흡한 점이 많다.
- 애완돌 - 흔히 펫락이라 부르는 돌이 대다수이나,야생에서 돌을 주워 기를 수도 있다. 생물학적으로 생물은 아니지만 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기재.
- 애착인형
[1]
천연기념물, 포획금지종,
생태계교란 생물, 외국산 곤충 대부분, 사이테스 1급으로 지정된 동물.
[2]
양쪽 부모개체 중 집
고양이보다
서벌에 훨씬 더 가깝다고 분류되어 개인사육이 불법인 1세대~4세대까지는 예외.
[3]
카라칼과 집고양이의 교배종이다.
[4]
국내 서식 아종 제외.
[5]
일본에서는 생태계 교란 외래종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동물원 전시 외의 목적으로는 개인사육이 금지되어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한민국 국내에서도 생태계 교란종이 될 우려가 높아져서 라쿤카페 금지법 사안도 올라왔으며 2020년 상반기에는 생태계를 위해 우려 생물로 지정되어 라쿤의 수입이 허가제로 변경이 되었고, 방출, 방생, 유기도 금지가 되었다.
[6]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라 수입, 사육이 일반적으로는 불법이다.
[7]
일본
오키나와에서는
반시뱀을 잡기 위해 들여보냈다가 생태계교란종이 되어서 개인사육이 금지되어 있다.
[8]
국내 서식 종 제외.
[9]
소형급 영장류는 대부분이 멸종위기종이고, 중형급 이상 영장류 역시 몇몇은 멸종위기종이며 무엇보다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맹수로 분류되기 때문에 국내에선 사육이 불가하다.
[10]
과일박쥐를 키우면 바이러스가 옮아서 위험하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애완용으로 인공 번식된 개체(CB개체)들은 전혀 위험하지 않다. 물론 야생 개체(WC개체)를 키우면 매우 위험하지만 인공 번식 개체들은 태어날때부터 사람손을 타고 태어나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다. 이는 애완용
시궁쥐(래트)나 애완용
비둘기랑 똑같은 케이스다. 비둘기 키울때 도시에 나돌아댕기는 비둘기를 키우지 않는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펫샵에서 분양하는 과일박쥐들은 수입올 때 검역을 받고 온 것이므로 안심하고 키워도 된다.
[11]
금계의 근연종 이다.
[12]
히아신스금강앵무 같은 일부 대형앵무는 국제거래가 금지된 종으로 개인 간의 매매가 금지되어있다.
[13]
허가받지 않은 개인의 야생동물 사육은 불법이다.
[14]
응사 자격증을 따야지만 개인 사육이 가능하다.
[15]
남생이농장에서 파는 것만 가능
[생태계교란종]
[생태계교란종]
[생태계교란종]
[19]
생태계 교란종이라 한국에서는 2001년부터 개인사육과 수입이 금지되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인기도 떨어져서 요즘은 보기 힘들다. 특히 새끼라면 더더욱.
[생태계교란종]
[21]
일본에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분류되어 사육이 금지되었으며 2020년 12월 30일 이후로 한국에서도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사육이 금지되었다. 한국의 경우는 악어거북이 가진 위험성으로 인해서 지정되었다.
[생태계교란종]
[23]
2022년 10월부터 늑대거북은 한국에선 사육이 불법이 된다. 그 대신 기존에 늑대거북을 키우던 사람들은 늑대거북이 생태계교란종이 된 후, 180일(약 6달) 안에 기존에 키우고 있었다는 허가서를 내면 계속 키우는게 가능하다. 그러나 지금은 허가 신청 기간이 지나버려서 더이상 키울 수 없다.
[생태계교란종]
[25]
늑대거북과 플로리다늑대거북과 달리, 열대 지방에서만 서식할 수 있어 생태계교란종에서 제외되었다.
[26]
이쪽은 멸종위기종이며 밀렵, 밀수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인공번식되었으며 증빙서류가 구비된 개체들만 입수가 가능하다.
[27]
독사는 국내에서 사육은 불법이 아니지만 수입이 불법이다.
타란튤라와 같은 케이스. 물론 다른 동물들처럼
킹코브라같은 일부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종들은 사육이 불법이다. 현재 국내에 있는 합법적인 독사는 수입 금지전에 수입한 개체이거나 그 개체의 자손들이다. 웬만하면 기를 생각을 안 하는 게 좋겠지만 엄연히 키우는 사람들이 있고 전혀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행위이다.
[28]
최근 연구로 동부왕뱀의 아종에서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 되었다.
[29]
농장 번식 개체 한정. 야생 개체의 사육과 채집은 불법이다.
[30]
농장 번식 개체 한정. 야생 개체의 사육과 채집은 불법이다.
[31]
2010년 이전 까지만 해도 청계천 등지에서 10만원 안팎에 저렴한 가격으로 새끼 샴악어를 구할수있었지만 멸종위기 1급 지정으로 현재는 동물원을 제외한 개인사육이 불법이다.
[32]
2015년 이후로 수입이 금지되었다. 다행히도 원래 키우던 개체는 법적인 재제를 받지 않으니 개인분양을 받자.
[33]
청개구리와 매우 닮은 유사종인
수원청개구리라는 종도 있지만
수원청개구리는 보호종이니
청개구리 확정인 개체만 사육하는 게 좋다.
[34]
한국에선 흔한 뒷산 개구리 취급이지만 강렬한 외모 덕분에 해외에선 알음알음 인기가 있어 한국에서 해외로 애완동물용으로 수출한다.
[35]
이름이 비슷한 흔히 팩맨이라 불리는 남아메리카뿔개구리들과 전혀 다른 종류이다.
[36]
외국의 두꺼비 종류들은 사육이 가능하지만 한반도에 자생하는 '두꺼비'와 '물두꺼비'만은 포획금지종으로 지정되어 사육이 불법이다.
[생태계교란종]
[38]
휴면알을 만들어 키트로 판메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씨몽키.
[39]
씨몽키로 유명한 생물이다.
[40]
사실 농발거미 단일종이 아닌, 농발거미과에 속하는 거미들을 말한다.
[41]
원래는 국산 농발거미류만 사육되고 있었지만, 외국산 농발거미류도 드물게 매물이 뜨고 있다. 고스트헌츠맨, Heteropoda davidbowie, Heteropoda boiei, 자이언트 말레이시안 헌츠맨, 말레이시안 옐로우 헌츠맨 등등.
[42]
국산종의 경우 Sinopoda속의 종들, 그 중에서도 한국농발거미(한국거북이등거미), 별농발거미(별거북이등거미),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유는 다른 Sinopoda속 종들은 대부분 서식지가 비교적 한정적이고, 이슬거미의 경우는 찾기 쉽지 않고 다른 국산농발에 비해 덩치도 작으며, 그냥
농발거미라고 불리는 종은 몇년 전부터 목격이 되지 않고 있고, 가마니거미는 기록 자체가 적다
[43]
현대 모든 타란튤라들은 국내 수입이 불법이다. 물론 사육은 불법이 아니다.
[44]
펫샵에서는 센티패드라는 이름으로 유통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법으로 정확한 표기는 센티피드다. 발음도 센티피드에 더 가깝다.
[45]
펫샵에서는 밀리패드라는 이름으로 유통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법으로 정확한 표기는 밀리피드이다. 발음도 밀리피드에 더 가깝다.
[46]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수입이 금지된 종이다.
[47]
환경부에서 허가한 기관에서 분양한 수컷 개체 한정. 암컷과 유충은 개인 사육이 불법이다.
[48]
왕사슴벌레와 애사슴벌레 사이에서 태어난 교잡종이다.
[49]
물방개 종들 중 그냥 물방개라고 불리는 종은 보호종으로 등록돼 있으니 주의하자.
[50]
환경부에서 허가한 기관에서 분양한 개체 한정
[51]
보통 유충 때만 사육되다가 우화하면 방생한다. 이유는 잠자리 성충을 키우기 위해선 사육환경 조성이 까다롭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