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공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cc,#555> 화베이지구 |
京
베이징 서우두 ·
베이징 다싱 ·
시자오군용 ·
사허군용 ·
난자오군용 · 장자완군용 · 량샹군용 · 바다링통용 · 津
톈진 빈하이冀
스자좡 정딩 ·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 탕산 산뉘허민·군용 · 한단 ·
장자커우 닝위안민·군용 · 청더 푸닝晋
타이위안 우수 · 윈청 장샤오 · 창즈 왕춘민·군용 · 린펀 야오두 · 뤼량 다우 · 다퉁 윈강 · 신저우 우타이산민·군용 蒙
후허하오터 바이타 · 어얼둬쓰 이진훠뤄 · 후룬베이얼 하이라얼 ·
바오터우 둥허 · 만저우리 시자오 · 퉁랴오 · 시린하오터 · 우란하오터 이러리터 · 우하이 ·
츠펑 왕룽민·군용 · 얼렌하오터 사이우쑤 · 바옌나오얼 톈지타이 · 아얼산 이얼스 · 우란차부 지닝 · 자란툰 징기스칸 · 훠린궈러 훠린허 · 아라산쭤지 바옌하오터 · 아라산유지 바단지린 · 어지나치 타오라이
|
둥베이지구 |
辽
다롄 저우수이쯔 · 吉
창춘 룽자 ·
연길 조양천민·군용 ·
창바이산 ·
쓰핑군용 · 퉁화 싼위안푸민·군용 · 바이청 창안민·군용 · 쑹위안 차간후黑
하얼빈 타이핑 · 자무쓰 둥지아오 · 헤이허 아이후이 ·
무단장 하이랑민·군용 ·
치치하얼 싼자쯔민·군용 · 모허 구롄 · 이춘 린두 · 다칭 싸얼투 · 지시 싱카이후 · 다싱안링 어룬춘 · 푸위안 둥지 · 졘싼장 스디 · 우다롄츠 더두민·군용
|
|
화둥지구 |
沪
상하이 푸둥 ·
상하이 훙차오 ·
충밍군용 ·
다창군용苏
난징 루커우 · 창저우 번뉴민·군용 ·
난퉁 싱둥 ·
쑤난 숴팡 · 양저우 타이저우 · 쉬저우 관인 ·
렌윈강 바이타부군용 · 렌윈강 화궈산 · 옌청 난양 · 화이안 롄수이浙
항저우 샤오산 · 항저우 젠차오군용 ·
닝보 리서 ·
원저우 룽완 · 저우산 푸퉈산 · 타이저우 루차오민·군용 ·
이우민·군용 · 취저우민·군용徽
허페이 신차오 ·
황산 툰시 · 푸양 시관 ·
안칭 톈주산민·군용 ·
츠저우 주화산 · 우후 솬저우 ·
우후 완리군용闽
샤먼 가오치 · 赣
난창 창베이 · 징더전 뤄자 · 주장 루산민·군용 · 지안 징강산 · 간저우 황진 · 이춘 밍웨산 · 샹라오 싼칭산鲁
칭다오 자오둥 ·
지난 야오창 ·
옌타이 펑라이 · 린이 치양 ·
웨이하이 다수이보민·군용 · 웨이팡 난위안민·군용 · 둥잉 성리 ·
지닝 다안 · 르자오 산쯔허 · 허쩌 무단 · |
|
중난지구 |
豫
정저우 신정 · 뤄양 베이자오민·군용 · 난양 장잉 · 신양 밍강민·군용 · 안양 훙치취鄂
우한 톈허 · 어저우 화후화물전용 · 샹양 리우지 · 이창 싼샤 · 언스 쑤자핑 · 선농자 훙핑 · 스옌 우탕산 · 징저우 샤스湘
창사 황화 · 창더 타오화위안 ·
장자제 허화 · 융저우 링링민·군용 · 화이화 즈장 · 헝양 난웨 · 샤오양 우강 · 웨양 싼허 · 천저우 베이후粤
광저우 바이윈 ·
산터우 와이사군용 ·
선전 바오안 ·
주하이 진완 · 지에양 차오산 · 잔장 우촨 ·
포산 사디민·군용 ·
후이저우 핑탄민·군용 · 메이셴 · 사오관 단샤민·군용 · 桂
난닝 우수민·군용 ·
구이린 량쟝 ·
구이린 치펑링군용 · 베이하이 푸청 ·
류저우 바이롄민·군용 ·
바이써 바마민·군용 ·
허츠 진청강 · 우저우 시장 · 위린 푸몐琼
하이커우 메이란 ·
싼야 펑황 ·
충하이 보아오 ·
싼사 융싱민·군용 ·
융수다오 · 메이지다오 · 주비다오
|
|
시난지구 |
渝
충칭 장베이 · 완저우 우차오 · 첸장 우링산 · 충칭 우산 · 충칭 셴뉘산川
청두 솽류 ·
청두 톈푸 · 시창 칭산민·군용 · 몐양 난자오민·군용 ·
주자이 황룽 · 다저우 허스 · 광위안 판룽 · 판즈화 바오안잉 · 난충 가오핑민·군용 · 간쯔 캉딩 ·
다오청 야딩민·군용 · 아바 훙위안 · 루저우 윈룽민·군용 · 간쯔 거싸얼 · 이빈 우량예민·군용 · 바중 언양贵
구이양 룽둥바오 · 퉁런 펑황 · 씽이 완펑린 · 리핑 · 안순 황궈수 · 리보 · 쭌이 신단 · 비제 페이슝 · 카이리 황핑 · 리우판수이 웨자오 · 쭌이 마오타이云
쿤밍 창수이 ·
시솽반나 가사 ·
리장 싼이 · 디칭 샹그리라 ·
바오산 윈루이 · 자오퉁 · 푸얼 쓰마오 · 더훙 망시 · 다리 · 린창 보샹 · 원산 푸쩌헤이 ·
텅충 퉈펑 ·
닝랑 루구후 · 창위안 와산 · 란창 징마이 · 藏
라싸 궁가민·군용 · 창두 방다민·군용 ·
아리 쿤사민·군용 · 아리 푸란민·군용 · 린쯔 미린민·군용 · 르카쩌 허핑민·군용
|
|
시베이지구 |
陕
시안 셴양 · 위린 위양 · 한중 청구민·군용 · 옌안 난니완민·군용 · 안캉 푸창甘
란저우 중촨 · 둔황 막고 · 자위관 · 칭양 시펑 · 진창 진촨 · 장예 간저우민·군용 · 간난 샤허 · 룽난 청셴 · 텐수이 마이즈산민·군용青 시닝 차오자바오 · 거얼무민·군용 ·위수 바탕 · 더링하 · 망야 화투거우 · 궈뤄마친 · 하이베이 치롄宁 인촨 허둥 ·
인촨 시화위안군용 · 중웨이 사포터우 · 구위안 류판산新
우루무치 디워푸 · 카슈카르 라이닝민·군용 · 투르판 자오허 ·
호탄 쿤강민·군용 · 카라마이 · 코를라민·군용 · 하미 이저우민·군용 · 쿨자 · 아러타이 · 아크수 훙치포민·군용타청 · 신위안 나라티 · 부얼진 카나쓰 · 보러 아라산커우 · 쿠처 쵸츠 · 스허쯔 화위안 · 푸윈 커커퉈하이 · 치에모 위두 · 야르칸드 예얼창 · 뤄창 로우란 · 툼슈크 탕왕청 · 위텐 완팡 · 자오쑤 톈마 · 아라얼 타리무 · 타스쿠얼간 훙치라푸 |
|
특별행정구 |
港
홍콩(첵랍콕) · 섹콩군용 · 澳
마카오
|
}}}}}}}}} |
징진지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주요 철도역 | 베이징 · 베이징시 · 베이징난 · 베이징펑타이 · 베이징베이 · 베이징차오양 | |
톈진 · 톈진시 · 톈진난 · 탕구 | |||
스자좡 · 탕산 · 산하이관 · 친황다오 · 한단 · 싱타이 · 바오딩 · 사청 · 장자커우 · 창저우 · 헝수이 | |||
도시철도 | 광역철도 | 베이징 지하철 | 톈진 지하철 | |
스자좡 지하철 | |||
베이징 교외철도 | |||
버스 터미널 | 둥즈먼 ・ 류리차오 ・ 리저차오 ・ 무시위안 ・ 자오궁커우 ・ 바왕펀 | ||
시내버스 | 베이징 버스 | 톈진 버스 | |
스자좡 버스 | |||
공항 | 베이징 서우두 ・ 베이징 다싱 ・ 톈진 빈하이 ・ 스자좡 정딩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 北京首都国际机场 |
|
IATA: PEK / ICAO: ZBAA | |
개요 | |
국가 | 중국 |
주소 | 베이징시 순이구, 차오양구 |
종류 | 민용공항 |
공항 등급 | 4F |
운영회사 |
수도공항집단 산하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고분유한공사 |
관할기관 | 중국민용항공국 화베이지구관리국 |
베이징해관 산하 서우두공항해관 베이징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
개항 | 1958년 3월 2일 |
허브 항공사 | 중국국제항공 ・ 하이난항공 |
활주로 | |
제1활주로 | 18R/36L (3,200m x 50m) |
제2활주로 | 18L/36R (3,800m x 60m) |
제3활주로 | 01/19 (3,800m x 60m) |
고도 | 35m (116 ft) |
좌표 |
북위 40도 04분 21초 동경 116도 35분 51초 |
웹사이트 | |
지도 | |
[clearfix]
1. 개요
北京首都国际机场 /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IATA: PEK, ICAO: ZBAA
중국 수도 베이징시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1958년 3월 2일에 개항했으며, 베이징수도국제기장유한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보통은 베이징 공항(北京机场) 혹은 서우두 공항(首都机场)으로 줄여 부르며, 대한민국에서는 한자 그대로 읽어 수도공항이라고 하기도 한다. 원래 발음을 따라 서우두 국제공항이라고도 안내한다.
1.1. 이름에 관하여
개요에서 언급했듯 나라의 수도에 있는 공항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는데, 이걸 '수도국제공항'이라 읽을지 '서우두 국제공항'이라 읽을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한국 항공사들은 대부분 서우두로 표기하나, 중국에서는 이 공항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Shoudu가 아닌 Capital을 사용하므로 서우두보다는 수도로 불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현재 한어병음에 따른 베이징의 표기는 Beijing이나 IATA 코드는 Peking에서 따온 PEK를 사용하는데, 이는 1800년대 영국에서 중국어 발음을 영어 표기화하면서 북경어가 아닌 우정식 병음을 기준으로 영어 표기를 정하면서 Peking이라는 단어 사용이 굳어졌기 때문이다. 영화 " 마지막 황제"에 베이징이 Peking으로 나오고 북경오리를 Peking Duck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비슷한 예에 속한다. 베이징대학 역시 Beijing University가 아닌 Peking University 라고 표기한다.[1]
2. 상세
중국 대륙 제일의 규모를 자랑하며 교통량도 중국 최대다. 본래는 2위였으나 2005년을 기준으로 이전까지 중국 내 1위였던 홍콩 국제공항을 뛰어넘었다.특히 21세기에 들어서며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2001년에는 수송량 세계 30위에도 들지 못했지만 이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율을 보였고, 2008년에는 5,594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여 세계 8위까지 올라갔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세계 2위에 올라 2022년 현재도 계속해서 이용객이 늘어나고 있다.[2] 여객은 물론 화물 처리량도 세계 18위에 드는 거대 공항 중 하나다.
급격히 늘어나는 수요 때문에 21세기에 들어 확장 공사를 계속했으며 이 과정에서 다른 국가의 투자를 받아들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포화가 계속되어, 베이징시 남쪽에 있는 허베이성 랑팡시와 경계를 이루는 곳이자 국내선 전용인 난위안 국제공항 근처에다가 새로이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을 건설했으며, 동시에 난위안을 폐쇄해 수도공항과 다싱공항 투트랙 체제가 되었다.
중국국제항공의 메인 허브 공항이며 하이난항공과 중국남방항공의 지역 허브이다. 중국에서 베이징행 비행기 티켓을 끊으면 대부분 오게 되는 공항이다. 러시아의 S7 항공도 이 공항으로 오는 노선이 많다.
3. 이상한 행정구역
지도를 보면 수도 공항 쪽의 행정구역이 좀 이상하게 되어 있다. 공항이 있는 곳은 순이구(顺义区) 한복판인데도 공항 부지 일부분이 순이구 옆에 붙어있는 차오양구(朝阳区)의 월경지인데,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첫째로 공항 건설 당시에는 순이구가 베이징시가 아닌 허베이성(河北)에 속해 있었다. 정확히는 허베이성과 베이징시의 경계쯤 되는 곳에 부지가 있었던 것. 그러나 수도 공항이라는 이름 특성상 베이징시에 속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되어 공항은 차오양구의 관리 하로 넘어갔다. 이후 순이구는 베이징시에 편입되었으나 행정구역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바이두 백과사전은 이쪽을 이유로 설명하고 있다.
또 다른 이유는 건설 당시 순이구가 공항 건설 및 유치에 들어가는 돈을 감당할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순이구는 도심에서 꽤나 벗어난 5환~ 6환[3] 쪽, 쉽게 말해 변두리 구역이라 현재도 베이징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구역에 속한다. 이 때문에 근처 구 중 좀 더 시가지 쪽이라 부유한 편에 속하는 차오양구에서 맡게 된 것이었으며 이후 순이구에서 공항을 돌려달라는 요구를 한 적도 있으나 공항으로 얻는 수익이 꽤나 짭짤한 차오양구에서는 당연히 거절하고 있다. 시 당국도 난색을 표하는 중이다.
다만 개항 당시 부지에 속하는 제1, 2터미널은 차오양구 월경지이지만, 개항 이후 확장 공사로 건설된 제3터미널은 순이구에 속해 있다. 현재는 공항이 차오양구와 순이구에 걸쳐 있는 셈.
4. 터미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이 있다. 1990년대까지는 낡아 빠진 제1터미널에서 모든 것을 취급했으나 현재는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이 주력이다. 현재 각 터미널에는 흡연실이 없다. 공항 전체 구간이 모두 금연 구역이다.홍콩과 마카오는 자국의 특별행정구이고, 대만도 자국령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이들 지역으로 가는 노선은 중국 입장에서는 국내선이지만, 이민국 및 세관을 도착해서 따로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국제선 터미널에서 취급한다. 정확히는 별도관세구역[4]으로 가는 특수 국내선이다. 공항 안내판에는 '국제선'이라고 안 되어 있고 '국제선 및 홍콩, 마카오, 타이완 노선'이라고 되어 있다. 착각하면 안 된다! 즉 특별행정구/ 대만 지구는 국내선이지만 국제선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니까 당연히 국제선과 같은 터미널로 가야 한다.
4.1. 제1터미널
제1터미널 전면 | 제1터미널 전경 |
1980년 새해에 개항한 터미널로 제1터미널 개항 당시부터 1999년 제2터미널 개항 이전까지 유일한 터미널이었으며 베이징에서는 보통 제1공항(第一机场)이라고 하면 알아듣는다.[5] 제2터미널과 이어져 있으며 무빙워크 등을 거쳐 한참을 걸으면 도착할 수 있다.
제1터미널은 하이난항공 계열사들의 전용 국내선 터미널이다[6]. 이 터미널을 이용하는 항공사는 중국해남항공, 톈진 항공, 그랜드 차이나 항공, 베이징 캐피탈 항공, 럭키 항공 다섯 개 항공사로 모두 하이난항공그룹 계열사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 중국으로 갈 경우엔 별로 볼 일 없는 터미널.
4.1.1. 운항 노선(국내선)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하이난항공 | HU | 상하이(훙차오), 광저우, 시안, 난징, 바오터우, 창사, 창즈, 청두, 충칭, 둥잉, 푸저우, 구이양, 하이커우, 하이라얼, 항저우, 허페이, 후허하오터, 자무쓰, 쿤밍, 란저우, 만저우리, 무단장, 닝보, 치치하얼, 선전, 우루무치, 원저우, 우하이, 시안, 샤먼, 이창, 인촨 | |
텐진항공 | GS | 시안, 안칭, 옌안, 우란하오터, 위린, 중웨이, 츠펑, 황산 | |
럭키에어 | 8L | 쿤밍, 루시, 텅충 | |
캐피탈항공 | JD | 아얼산, 얼롄하오터, 하이커우, 후허하오터, 지시칸카, 란저우, 리장, 싼야, 선양, 우루무치, 샤먼, 이창 | |
그랜드 차이나 항공 | CN | 구이린, 하이라얼, 하얼빈, 난창, 인촨 |
4.2. 제2터미널
제2터미널 전면 | 제2터미널 전경 |
베이징 시민들은 제2공항(第二机场)이라고 하면 알아듣는다. 1999년 11월에 개항한 터미널로 일본 정부의 ODA를 투자하여 건설했다. 신축 당시에는 규모가 너무 크다는 지적을 받았으나, 중국 경제가 성장하면서 2년 만에 포화되었다. 제1터미널과는 달리 국제선과 국내선이 전부 취항한다. 스카이팀 전용 터미널인데 스카이팀 외에도 일부 저가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스카이팀의 대한항공이 제2터미널에 취항 중이다. 고려항공도 제2터미널을 이용한다.
2019년 베이징 남부 다싱구에 건설중인 베이징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이 완공될 경우 제2터미널에 취항중인 스카이팀 항공사들은 중국민용항공국의 계획에 따라 신공항으로 전부 이전하게 된다. 중국남방항공이 2019년 1월 1일부로 스카이팀 탈퇴를 발표하였으나 중국남방항공의 경우 건설비 투자도 하였고, 베이징 본사를 신공항으로 이전 예정이다.
먼저 중국동방항공도 베이징 신공항으로 이전 예정이다. 그리고 스카이팀 회원사들이 이전하고 나면 제3터미널에 취항 중인 스타얼라이언스 비가맹사들이 제2터미널로 이주하게 된다. 중국남방항공이 아메리칸 항공과 관계가 깊어진 만큼 원월드 항공사들의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이전이 유력해졌지만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그런데 또 캐세이퍼시픽항공은 중국국제항공과의 코드셰어 때문에 수도 공항에 남기로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어찌 되었든 중국남방항공과 중국동방항공은 신공항 개항과 동시에 이전은 확실하다.
4.2.1. 운항 노선(국내선)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중국남방항공 | CZ | 광저우, 선전, 베이하이, 창바이산, 창더, 창사,창즈, 청두, 충칭, 다롄, 다칭, 간저우, 구이린, 구이양, 하이커우, 항저우, 하얼빈, 후허하오터, 즈장, 쿤밍, 모허, 난충, 난징, 난닝, 난양, 닝보, 싼야, 상하이(훙차오), 산터우, 우루무치, 우한, 시닝, 시안, 옌지, 이춘, 인촨, 이우, 장자제, 잔장, 정저우, 주하이 | |
중국동방항공 | MU | 창춘, 창즈, 창저우, 다롄, 언스, 푸저우, 항저우, 허페이, 징훙, 쿤밍, 란저우, 롄원강, 리장, 린이, 뤄양, 루저우, 난창, 난징, 닝보, 칭다오, 상하이(푸둥), 상하이(훙차오), 타이위안, 텅충, 원저우, 우한, 시안, 옌타이, 이빈, 인촨 | |
상하이항공 | FM | 항저우, 하얼빈, 자위관, 지닝, 란저우, 난닝, 상하이(훙차오), 시안 | |
샤먼항공 | MF | 푸저우, 취안저우, 우이산, 샤먼, 저우산 |
4.2.2. 운항 노선(국제선·홍콩·마카오·대만)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하이난항공 | HU |
동아시아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도쿄(나리타), 오사카(간사이) 동남아시아 [[태국| ]][[틀:국기| ]][[틀:국기| ]] 방콕(수완나품), 푸껫 남아시아/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몰디브| ]][[틀:국기| ]][[틀:국기| ]] 말레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르쿠츠크, 블라디보스토크[7]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알마티 서남아시아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유럽 [[독일| ]][[틀:국기| ]][[틀:국기| ]] 베를린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브뤼셀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맨체스터 [[아일랜드| ]][[틀:국기| ]][[틀:국기| ]] 더블린 [[체코| ]][[틀:국기| ]][[틀:국기| ]] 프라하 [[세르비아| ]][[틀:국기| ]][[틀:국기| ]] 베오그라드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시애틀, 보스턴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멕시코시티[9], 티후아나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토론토[10] |
|
쓰촨항공 | 3U |
아프리카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카이로[11] |
|
캐피탈항공 | JD |
동아시아 [[틀:국기| ]][[마카오| ]][[틀:국기| ]] 마카오 남아시아 [[몰디브| ]][[틀:국기| ]][[틀:국기| ]] 말레 |
|
홍콩항공 | HX | 홍콩 | |
대한항공 | KE | 서울(인천), 서울(김포), 부산(김해), 제주 | |
제주항공 | 7C | 제주 | |
고려항공 | JS | 평양 | |
가루다 인도네시아 | GA | 자카르타, 덴파사르 | |
베트남항공 | VN | 하노이, 호찌민 | |
에어아시아 X | D7 | 쿠알라룸푸르 | |
세부 퍼시픽 | 5J | 마닐라 | |
스리랑카 항공 | UL | 콜롬보 | |
파키스탄 국제항공 | PK |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라치 | |
에어 아스타나 | KC | 알마티, 아스타나 | |
우즈베키스탄항공 | HY | 타슈켄트 | |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 T5 | 아슈하바트 | |
아제르바이잔 항공 | J2 | 바쿠 | |
에어 알제리 | AH | 알제 | |
에어 프랑스 | AF | 파리(샤를 드골) | |
KLM | KL | 암스테르담 | |
아에로플로트 | SU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
4.3. 제3터미널
제3터미널 내부 |
제3터미널 외부[12] |
2008 베이징 올림픽으로 중국에 몰려들 인원을 감당하기 위해 개장한 터미널로 2008년 2월 29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베이징 시민들은 주로 제3공항(第三机场)이라고 부르고 있다.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보다도 면적이 넓으며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두바이 국제공항의 제3터미널 다음으로 큰 세계 2위 규모의 공항 터미널이다. 총 면적이 98만 제곱미터에 달한다.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을 얼핏 닮아보인다.
면적도 면적이지만 가장 압권인 것은 터미널 끝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거대한 단일 실내 공간과 그것을 지탱하고 있는 지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붕 사이로 많은 채광창을 내서 별도의 조명 없이도 실내는 꽤 밝은 편이다. 설계는 영국의 건축 설계 회사인 포스터 앤 파트너스에서 담당했다.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붙어 있는 반면, 제3터미널은 앞선 두 터미널과 활주로 한 개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가 10~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약 10분이 소요된다. 공항철도인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도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을 거친다. 베이징에서 택시를 이용해 갈 경우에는 어느 공항으로 갈지 확실히 말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3C, 3D, 3E 탑승동으로 나뉜다. A와 B가 없는 것은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있기 때문이다. 3C 탑승동은 국내선용, 3E 탑승동은 국제선용이며 3D 탑승동은 베이징 올림픽 전세편 전용 홀이었다. 올림픽 이후 3D 탑승동은 중국국제항공의 국내선 전용으로 변경되었다. 3E 탑승동은 스타얼라이언스, 원월드 전용 터미널. 3C 탑승동은 중국국제항공 계열사들과 대형 민항 3사에 속하지 않는 회사들이 들어와 있다.
아시아나항공 노선을 타면 보통 제3터미널로 오게 된다.
터미널 3E를 이용할 경우, 즉 제3터미널을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승객들은 일단 국내선처럼 보딩패스만 확인하고 무조건 모노레일로 된 피플무버를 타고 국내선 탑승동 구간을 지나 3분 정도 이동해야 된다. 3C 탑승동과 3D 탑승동을 지나 피플무버에서 내리면 보안검색대와 입국심사대가 존재한다. 피플무버 승하차 지점 딱 한 곳에만 출입국심사대가 설치되어 있는 제3터미널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인파가 많이 몰려들 경우 대기시간이 매우 길어진다. 출국장이 5개나 설치되어 있는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과 매우 상반되는 모습을 보인다.
여러 공항이 그렇듯, 이 공항에도 무료 와이파이가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의 공항들과는 달리 위챗 로그인이나 휴대폰 인증 없이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간간히 있는 기계에서 여권을 스캔하고 패스워드를 받거나, 와이파이에서 Airport Free wi-fi를 잡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켠 다음 위쪽 칸에 국가 코드를 포함한[13]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패스워드 받기를 누르면 SMS로 패스워드가 온다.
속도는 쓸 만한 편이지만 돌아다니다 보면 간혹 연결이 끊기는 경우가 있다.
받은 패스워드는 6시간 동안은 계속 접속이 가능하다.
단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플레이스토어 등 상당수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대륙의 방화벽에 막혀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사실상 반쪽 짜리 인터넷인 셈. 2019년 기준으로 그나마 접속되는 SNS는 카카오톡 정도가 있다. 이게 싫으면 아예 처음부터 홍콩-중국/ 마카오-중국 겸용 유심+ 포켓 와이파이를 한국서 출국 시 미리 구해두는 게 좋다. 홍콩/마카오로 서버 및 기지국이 인식되는 로밍 형식이다. 물론 대신에 휴대폰의 경우 중국 번호 따위는 없다.
다싱 국제공항이 완공되고 스카이팀 회원사들과 원월드 회원사들이 이전할 경우, 현재도 중국국제항공의 주 활동 무대인 제3터미널이 스타얼라이언스 전용 터미널로 개편할 예정이다. 제3터미널에 취항중인 스타얼라이언스 비가맹 외국 항공사들도 개편에 따라 터미널 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국제항공과 코드셰어를 맺고 있지 않는 이상 기존의 스카이팀이 쓰던 제2터미널로 이사갈 확률이 높다.
이런 사정이라 베이징 갔다온 사람들이 이용한 제2터미널이냐 제3터미널이냐에 따라서 베이징에 대한 평가가 아무래도 많이 달라진다. 대한항공이나 중국남방항공을 타고 제2터미널을 이용하고 온 사람의 경우 '중국 발전했다고 하는데 수도인데도 공항은 별로네'라고 생각하는 반면, 아시아나항공이나 중국국제항공을 타고 제3터미널을 이용한 사람들은 인천국제공항보다 큰 규모에 놀란다.
이카퉁 환불은 제3터미널에서만 가능하다. 제1터미널은 당연히 안 되고, 제2터미널에서는 될 것 같은데 안 된다.
4.3.1. 운항 노선(국내선/3C)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길상항공 | HO | 상하이(훙차오) | |
쓰촨항공 | 3U | 청두, 충칭, 하이커우, 쿤밍, 완저우, 시창, 중웨이, 판즈화 | |
산둥 항공 | SC | 칭다오, 지난, 웨이하이, 옌타이, 샤먼, 푸저우, 인촨 | |
선전항공 | ZH | 선전, 시안, 난닝, 취안저우, 우시 | |
티베트항공 | TV | 라싸 | |
룽 에어 | GJ | 항저우 | |
둥하이항공 | DZ | 이창 |
4.3.2. 운항 노선(국내선/3D)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중국국제항공 | CA | 청두, 빈하이, 바옌나오얼, 바오터우, 창춘, 창사, 차오양, 상하이(훙차오), 상하이(푸둥), 광저우, 츠펑, 충칭, 단둥, 다칭, 둔황, 다퉁, 다저우, 푸저우, 광위안, 구이린, 구이양, 하이커우, 하이라얼, 항저우, 하얼빈, 허페이, 후허하오터, 황산, 자무쓰, 징더전, 징강산, 쿤밍, 란저우, 라사, 린저우, 몐양, 베이하이, 난창, 난징, 난퉁, 닝보, 오로도스, 칭다오, 치치하얼, 취안저우, 싼야, 산토우, 선양, 선전, 타이위안, 타이저우, 퉁랴오, 우루무치, 웨이하이, 원저우, 우한, 우시, 샤먼, 시안, 샹판, 시린하오터, 시닝, 쉬저우, 옌청, 옌지, 옌타이, 이창, 인촨, 윈청, 장자제, 잔장, 정저우, 주허이 |
4.3.3. 운항 노선(국제선·홍콩·마카오·대만/3E)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중국국제항공 | CA |
동아시아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서울(인천), 서울(김포), 부산(김해) [[북한|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도쿄(나리타),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나고야, 센다이, 삿포로, 오키나와(나하), 히로시마 [[홍콩| ]][[틀:국기| ]][[틀:국기| ]] 홍콩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이베이(타오위안) [[몽골| ]][[틀:국기| ]][[틀:국기| ]]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태국| ]][[틀:국기| ]][[틀:국기| ]] 방콕(수완나품), 치앙마이, 푸껫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싱가포르(창이)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하노이, 호찌민 [[인도네시아| ]][[틀:국기| ]][[틀:국기| ]] 자카르타 [[말레이시아| ]][[틀:국기| ]][[틀:국기| ]] 쿠알라룸푸르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마닐라 [[미얀마| ]][[틀:국기| ]][[틀:국기| ]] 양곤 [[캄보디아| ]][[틀:국기| ]][[틀:국기| ]] 프놈펜 남아시아/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방글라데시| ]][[틀:국기| ]][[틀:국기| ]] 다카 [[파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카라치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블라디보스토크, 치타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아스타나 중동/아프리카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두바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요하네스버그 유럽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런던(히드로), 런던(개트윅)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파리(샤를 드골) [[독일| ]][[틀:국기| ]][[틀:국기| ]] 프랑크푸르트(암 마인), 뮌헨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로마, 밀라노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빈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제네바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코펜하겐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스톡홀름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부다페스트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아테네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이스탄불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바르샤바 [[벨라루스| ]][[틀:국기| ]][[틀:국기| ]] 민스크 오세아니아 [[호주| ]][[틀:국기| ]][[틀:국기| ]] 시드니, 멜버른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 오클랜드 북아메리카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뉴욕(JFK), 워싱턴 D.C.,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밴쿠버 남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상파울루[15] [[쿠바| ]][[틀:국기| ]][[틀:국기| ]] 아바나[16] |
|
선전항공 | ZH |
동북아시아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오사카(간사이) |
|
아시아나항공 | OZ | 서울(인천), 서울(김포) | |
전일본공수 | NH |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 |
일본항공 | JL | 도쿄(하네다) | |
중화항공 | CI | 타이베이(타오위안) | |
에바항공 | BR | 타이베이(타오위안) | |
캐세이퍼시픽항공 | CX | 홍콩 | |
에어 마카오 | NX | 마카오 | |
미아트 몽골항공 | OM | 울란바토르 | |
필리핀 항공 | PR | 마닐라 | |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 K6 | 씨엠립 | |
말레이시아 항공 | MH | 쿠알라룸푸르 | |
타이항공 | TG | 방콕(수완나품), 푸껫 | |
싱가포르항공 | SQ | 싱가포르 | |
에미레이트 항공 | EK | 두바이 | |
에티하드 항공 | EY | 아부다비, 나고야 | |
카타르 항공 | QR | 도하 | |
엘알 | LY | 텔아비브 | |
이란항공 | IR |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 |
마한항공 | W5 |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 |
이라크 항공 | IA | 바그다드[17] | |
이집트 항공 | MS | 카이로 | |
에티오피아 항공 | ET | 아디스아바바 | |
터키항공 | TK | 이스탄불 | |
루프트한자 | LH | 뮌헨 | |
핀에어 | AY | 헬싱키 | |
|
PS |
|
|
S7 항공 | S7 | 블라디보스토크,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 노보시비르스크, 옴스크, 울란우데, 야쿠츠크, 예카테린부르크 | |
우랄 항공 | U6 | 방콕(수완나품), 끄라비, 상트페테르부르크, 예카테린부르크, 모스크바(주코브스키) | |
노드스타 항공 | Y7 | 크라스노야르스크 | |
유나이티드 항공 | UA | 샌프란시스코 | |
에어캐나다 | AC | 밴쿠버 |
5. 교통망
5.1. 고속도로
- S12 공항고속공로 : 가장 먼저 건설된 고속공로로 1993년 9월 14일에 개통되었다. 초창기에 건설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에서 시작하여 우위엔차오 분기점에서 5환로와 만나고 둥즈먼베이차오 분기점에서는 2환로[19]와 만난다.
- S51 서우두공항제2고속공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목적으로 건설된 제3터미널과 함께 놓인 고속공로이며 2008년 6월 21일 개통하였다. 이 고속공로는 핑팡차오(平方桥) 분기점에서 5환로와 만나서 종료되며 시내방향으로는 야오자위안로(姚家园路)가 이어진다.
5.2. 대중교통
-
공항철도(地铁)
베이징 지하철의 베이신차오역, 둥즈먼역, 싼위안차오역을 거쳐 공항[20]으로 가는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이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맞아 개통된 열차로, 편도로 16~20분 가량 소모되며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내부는 쾌적한 편이지만 요금이 일반 지하철에 비해서 무지막지하게 비싸다. 타 지하철이 2위안~9위안[21]인데 이 수도공항선은 25위안(한화로 약 4640원)이라는 매우 비싼 금액을 자랑한다. 다른 곳엔 절대 안 가고 공항만 오가기에 어쩔 수 없다. 다른 지하철과의 무료환승이나 버스와의 환승할인도 안 된다.
-
공항버스(机场巴士)
수도 공항에서 운영하는 셔틀 버스가 있다. 중관춘, 베이징역 등 베이징의 주요 지점을 잇는 버스이며, 톈진시 등 타 도시로 갈 수 있는 버스도 있다. 베이징 시내버스가 8개, 톈진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1개 노선을 갖추고 있다. 운행 간격은 공항버스 중 2~4번 버스가 15분, 나머지 버스는 전부 30분이다. 이쪽도 중국 기준으로 버스 요금이 꽤나 흉악하다. 보통 버스가 거리에 따라 다르지만 멀게 잡아도 6위안[22]을 넘기는 경우가 드문데[23] 공항 셔틀버스는 16위안[24]~30위안[25]이다. 하지만 원래 공항버스는 어느 나라나 좀 가격이 센 편인 만큼 감안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일행이 조금 많거나 짐이 많으면 그냥 택시를 타는 게 낫기도 하다.[26]
-
시내버스(公交)
랭함 플레이스(Langham Place)[27] 베이징 공항 호텔 부근에 정류장이 있는데, 가는 방법은 3터미널 1층 도착층에서 밖으로 나오면 오른쪽 방향으로 쭉 걸어간 뒤 랭함 플레이스 호텔을 지나 사거리가 나오면 그 사거리를 지나고 조금만 더 앞으로 가면 표지판이 보이는데 강샨루(Gangshan Rd) 라고 쓰여있는 오른쪽 방향으로 가면 정류장이 있다. 해당 정류장에는 640, 850번 버스가 경유하며 359번 버스는 공항 정류장에서 시종착한다. 359번은 일반 버스이며 시종착역인 서우두 공항 2터미널역에서 둥즈먼역까지 1시간 40분 소요된다. 640번 버스는 359번과 같은 일반버스이며 6호선, 14호선 진타이루역(金台路站)까지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고, 850번버스는 좌석버스이며 2호선, 13호선, 수도공항선 둥즈먼역(东直门站)까지 40분이 소요된다. 850번은 쾌속버스도 있는데, 공항~ 싼위안차오역 구간을 정차 없이 바로 간다. 중국어가 웬만큼 되거나 길눈이 밝은 사람은 괜찮지만 잘 모르는 초행길에는 이렇게 가는 것은 비추다.[28]다만 공항 터미널과 버스 정류장 사이의 물리적 거리도 멀다.[29]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을 타거나 짐이 많을 때/ 일행이 있을 땐 택시를 타는 편이 낫다.
-
택시(出租车)
택시를 타고 공항까지 갈 수 있는데, 이때 공항 고속도로(机场高速)[30]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래 요금에 톨게이트 통과 요금인 5~10위안을 더해서 줘야 한다. 이는 공항으로 오가는 경우 모두에 해당한다. 공항에서 내려서 시내로 들어갈 때에도 택시를 이용할 때가 많은데, 이때 풍경이 참 장관. 한국처럼 줄서서 한 대씩 택시를 타는 게 아니라, 줄 서는 것까진 맞는데 한꺼번에 우르르 몰려가서 탄다.[31] 유원지나 롯데월드 어드벤처/ 에버랜드/ 민속촌 같은 테마파크에서 놀이기구를 탈 때 정원만큼 들여보내고 문 닫는 것마냥 공항 직원이 한꺼번에 몇 명씩 가게 하고 끊는다. 일부 악질 택시의 경우 외국인이나 베이징에 익숙하지 않아 보이는 사람이 타면 일부러 빙빙 돌아가는 방법으로 돈을 더 받으려 할 때가 있으므로 요주의. 그래도 최근에는 공안이 상시 감시하고 있어 그냥 미터기를 꺾는 기사가 많다. [32] 톨게이트 비용까지 포함하여 공항~둥단(東單) 기준으로 100~120위안 사이의 요금이 든다. 결코 싼 편은 아니지만 짐이 많거나 정신건강이 안좋을 때 시도해볼만 하다. 다만 시내에서 공항으로 갈 때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을 반드시 확인시켜 주어야 한다. 덤으로 베이징 최대의 코리아타운인 왕징 기준으로, 거기서 공항으로 갈 때는 아니겠지만 공항에서 왕징으로 올 때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열이면 열 기사[33]가 심히 불쾌하게 생각할 것이다. 왜냐하면 공항에 들어오는 택시는 하루에 올 수 있는 횟수가 정해져 있는데, 먼 거리를 가건 가까운 거리를 가건 무조건 한 번으로 계산되므로 상대적인 수입이 줄어드니까 말이다. 참고로 과거에는 잔돈을 위조지폐로 줬다는 사례도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현재는 그런 거 없으니 안심해도 된다.
-
디디추싱(滴滴出行)
중국에서 운행하는 우버식 어플리케이션 기반 운송 네트워크 서비스. 가격이 택시에 비해 시간에 따라, 탑승 조건에 따라 1/2 ~ 3/4 수준이며 [34], 위챗페이나 알리페이를 연동하여 자동 결재가 가능하다. 다만, 공항의 복잡한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주로 전화 통화를 걸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중국어를 할 줄 모르는 한국인이 사용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다면 가장 효율적인 수단일 것이다. 현재는 중국 전화번호[35]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지불 수단[36], DiDi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선택적으로 간단한 중국어가 가능하면 된다. 그리고 기사님들이 개인 차량으로 일을 하시므로 공항 출입 횟수 제한이 없는데다 앱으로 배차를 받으므로 승차거부 당할 일은 적다.
6. 유의사항
-
까다로운 보안 검색
출/입국 및 환승 시에도 보안검색이 매우 까다롭다. 신체 수색의 경우 집요할 정도로 온몸을 해집고 다니고, 경우에 따라 수치심을 느낄 정도로의 보안검색을 요구한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 몸수색이 과도해 수치심과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같은 여성 공안이 하긴 하지만 몸 여기저기를 만지는 게 유쾌하진 않을 것이다. 중국의 다른 공항 중에서도 유별난 편이다. 담당자에 따라 핸드캐리한 짐 안에 있는 모든 액체류의 용량을 검사하기도 한다. 가급적 X-RAY 통과 전에 모든 액체류는 분리해놓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사람들이 몰려들 경우 대기시간이 매우 길어지니, 베이징 환승 시 시간이 3시간 미만일 경우 반드시 사전에 승무원에게 알려서 일찍 비행기에서 내릴 수 있도록 한다. X-RAY 통과 후 신체 수색 시 개인 소지 라이터도 압수한다. 주머니 속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담뱃갑 안에 숨겨도 귀신같이 찾아낸다. 중국에 있는 공항들이 다 그렇지만 특히 서우두 국제공항의 보안 검색이 까탈스럽다. 다만 최근 중국국제항공이 본격적으로 환승 장사에 나서며 환승객에 대한 단속은 덜해졌다. 주머니와 가방에 있는 거[37] 바구니에 다 꺼내놓고 지시에 순순히 따르면 빠르게 넘어갈 수 있다. 특히 일전에 발급받은 중국 비자가 환승 경유시에 남아있다면 공안들이 좀 덜 빡빡하게 구는 걸 느낄 수 있다. 이 때 여권도 스캐너 바구니에 둬야 하는데, 꺼내놓으면 매우 높은 확률로 공안이 꺼내서 한 번 뒤적거리고 내려놓는다. 그리고 베이징 도착 시간을 13-15시 사이로 잡았다면 사람도 많이 없다. 보통 대기줄을 한 줄로 해놓는 시간대인데, 운이 좋다면 공안의 ‘follow me’ 또는 손짓과 함께 닫혀있던 옆줄로 들어갈 수도 있다.
-
환승 통과객 면세품 규정 변경[38]
2017년 4월 1일부터 이 공항을 통해 환승하는 승객 중 면세품으로 구입한 100ml 이상의 주류를 구입한 것은 모두 보안검색 중 압수당한다!!! 다른 공항에서 면세로 구입한 주류도 100ml가 넘을 경우 봉인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모두 압수당하니 이 공항을 통해 환승하는 사람은 유의하도록 한다. 압수당하지 않는 방법은 입국심사를 거쳐 랜드사이드로 넘어왔을 때 항공사 카운터로 가서 추가 수하물로 부치는 방법 밖에 없다. 5월 황금연휴 때 파리에서 한국으로 가는 여행객이 이 공항 보안검색에서 블루라벨 1L짜리를 눈물 흘리며 압수당하는 모습이 목격되었을 정도다. 그런고로 여기서 환승을 하겠다면 면세품을 사서 돌아오는 귀국시에는 절대 여기를 경유하지 않는 편이 좋다. 가격의 메리트를 포기하지 못해 여기서 환승을 하고 싶다면 여행 출발시에만 경유하는 것을 권장한다.
-
Wi-Fi 이용 및 지메일 이용 장애
공항 와이파이를 찾아 접속하면 핸드폰과 노트북이 옵션이 각각 다르게 나온다. 하지만 그 어느 것도 핸드폰 인증 메시지가 오질 않으며 심지어 국가 코드 입력부분이 왜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 환승터미널 안내데스크에서 노트북 접속을 도와주지만 그마저도 밤에는 보이질 않으니 조심하자. 일단 접속이 완료되어도 방화장성 때문에 구글이나 지메일 접속이 불가능하므로 VPN 내진 한국에서 출국 시 대여한 홍콩/중국 겸용 포켓 와이파이 등 우회신공을 발휘하든지 바이두 검색을 쓰자. 바이두는 중국어 폭탄을 맞기에 비추고 한국에서 출국 시 홍콩/중국 겸용 포켓 와이파이를 마련하는 게 낫다. 홍콩 포켓 와이파이가 중국까지 겸용할 경우 홍콩으로 위치가 찍히며 중국에선 로밍이 된다. 유심의 경우 중국번호를 갖게 되면 짤없이 방화장성에 걸리나 포켓 와이파이는 그렇지 않다. 좀 비싼 게 흠이다.
6.1. 환승 팁
- 중국국제항공을 포함한 중국 항공사의 환승 무료라운지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항공권 예매 후에 바로바로 예약해두자. 무료긴 하지만, 예약 없이는 사용할 수 없다.
- 키오스크에서 여권과 지문을 등록한다. 입출경을 담당하는 중국 공안부의 정책에 따라 단순 환승객한테도 지문정보까지 요구하니 참고하자. 환승객 대상의 심사는 이 기계로 대체된 듯 보이며, 시간 지연의 주범이던 심사대는 비어있다.
- 안내 표지판을 잘 보고 따라간다. 중국 국내선 환승통로와 국제&홍콩&마카오&타이완 환승통로는 분리되어 있다.
- 바로 환승할 것이라면 한글로 24시간내의 국제선 환승이라고 적힌 곳을 찾아가면 된다.
- 72시간 무비자 입국을 할 것이라면 입국 카드와 최종 목적지 티켓을 가지고 위 24시간 환승통로 옆에 72-Hour Visa-free Transit Passenger이라고 적힌 부스로 간다.
- 보안검색대 앞에서는 모든 전자기기를 가방과 주머니에서 꺼내서 바구니에 넣어놓는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는 물론 보조배터리, 에어팟 등 소형 이어폰 역시 다 꺼내놓는다.
- 여권을 꺼내서 바구니에 넣어놓는다. 소지한 채로 금속탐지기를 통과하면 안 된다.
- 공안의 지시에 순순히 따르자. 중국은 공안의 파워가 강한 경찰국가이며, 공안의 특성상 무엇을 버리라, 가방에서 뭐를 꺼내라 하는 지시는 따르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가해질지 아무도 모른다.
- 시간이 촉박하다면 베이징 도착 전에 승무원한테 이야기하자. 경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각종 편의를 제공해준다.
- 보안검색을 통과했다면, 자신의 탑승구가 어딘지 확실히 알아보자. 한국 공항에서 받는 최종 목적지 티켓에는 탑승구가 안 적혀있다. 보안구역을 통과하자마자 바로 앞에 있는 전광판을 봐도 되고, 그 앞 안내데스크에 있는 안내원들에게 티켓을 보여주며 물어보면 영어로 친절히 대답해준다.
7. 무비자 환승
중국 공안부 국가이민관리국은 2013년 부로 베이징시 , 텐진시 , 허베이성을 경유하여 제3국으로 환승하는 표(홍콩·마카오·대만 포함)가 있는 조건으로 54개국의 시민에게 무비자 환승을 허용하고 있다. 이는 2017년 12월 28일부로 기존 72시간에서 144시간으로 확대되었다.코로나 시국 이전에는 프리패스에 가까웠으나, 2023년 하반기 경 24시간 초과 144시간 미만의 경유대기시간인 경우 상관없으나 한국에서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을 경유해서 제3국으로 가는 유효한 항공티켓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유대기시간이 24시간 이내인 경우 공항에 있으라며 공안이 환승 무비자를 불허해 환승구역[39]에서 다음 비행기 탑승할 때까지 무한정 노숙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례가 각종 커뮤니티에 올라오고 있다. 이유로 중국의 환승 무비자 규정상 24시간 이내 환승의 경우 무비자 입국심사를 하는 심사관의 판단에 따라 입국 불허하고 환승구역에 대기할 것을 명할 수 있다는 설명을 공안에게 들었다는 후문이 전해지고 있어 베이징에 비자 없이 입국하여야 할 사정이 있다면, 중국 당국의 이러한 조치가 완화되는 때까지 경유대기시간이 24시간(하루) 넘어가는 항공권으로 예약을 하든지, 24시간 이내의 환승항공편밖에 구할 수 없는 경우 한국에서 비행기 체크인할 때에 수하물을 연결해주지 말고 베이징에서 무조건 찾게 해달라고 직원에게 부탁을 하여야 할 것이다.[40]
8. 기타
아르헨티나 축구 선수 리오넬 메시는 2023년 6월 10일에 베이징에 입국했다. 아르헨티나 여권을 가져오지 못했지만, 이전에 스페인 여권으로 대만에 입국했기에, 스페인 여권으로 중국에도 입국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스페인 여권은 무비자 협정을 맺지 않아, 메시는 약 두 시간동안 공항에 갇혀야만 했다. 메시는 " 대만은 중국이 아닌가?"(Is Taiwan not China?)라 물었다고 한다. 메시는 무지로 인해, 대만에 여권만 내고 무비자로 입국 했으니 중국 본토도 그럴 것이라 생각 했지만, 의도치 않게 하나의 중국 원칙에 흠집을 낸 셈이다: 영문 기사. 이 재미있는 일화를 슈카월드 방송에서 다루었다.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북한 고려항공 모두 베이징에서 이 공항에만 취항하며, 심지어 대한항공과 고려항공은 터미널도 같다보니 시간대가 맞으면 이처럼 남북의 항공사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ee1c25><tablebgcolor=#ee1c25> |
베이징10대 건축
北京十大建筑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ee1c25> 1950년대 | 인민대회당 · 중국혁명 및 역사박물관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 베이징역 · 전국농업전람관 ·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민족문화궁 · 민쭈호텔 · 댜오위타이국빈관 · 화교호텔 | |
1980년대 | 베이징도서관 신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중앙전시대 채색전시센터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제1 터미널 · 베이징 국제호텔 · 베이징 대관원 · 베이징 창청호텔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둥쓰스탸오역 · 중국극원 | ||
1990년대 | 중앙광파전시탑 · 국가올림픽체육센터 · 베이징 신세계센터 · 베이징식물원 전람온실 · 수도도서관 신관 · 칭화대학 도서관 신관 · 베이징외국어대학 산하 외어교학 및 연구출판사 · 베이징 헨더슨 센터 · 신둥안시장 · 베이징 국제금융빌딩 | ||
2000년대 | 베이징난역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제3 터미널 · 베이징국가체육장 · 국가대극원 · 국가도서관 제2기공정 · 국가유영센터 · 수도박물관 신관 · 베이징 전시센터 · 뉴 폴리 센터 · 베이징국가체육관 | }}}}}}}}}}}} |
[1]
부산대학교가 Busan이 아닌
Pusan으로 쓰며,
김해국제공항의 IATA 코드도 여전히 PUS인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어감이 조금 그렇다
[2]
1위는
미국의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이다. 다만 국제선만으로 한정해서 보면
두바이 국제공항이 1위이다.
[3]
이 정도면 거의
경기도
오산시도 넘어가는 외곽이다.
베이징 항목 참조
[4]
특별행정구
[5]
1958년 개항 당시부터 1980년 제1터미널 개장 이전까지 쓰였던 터미널 건물은 현재 서우두 공항 중국국제항공 객실 서비스부(首都机场国航客舱服务部) 건물로 쓰이고 있다.
[6]
중국해남항공과 베이징캐피탈항공도 국제선은 제2터미널에서 운항한다. 나머지 항공사는 베이징발 국제선이 없다.
[7]
2024년 10월 20일 취항
[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운항 중단
[9]
티후아나 경유
[10]
2024년 11월 10일 취항
[11]
청두 경유
[12]
사진 출처: 제3터미널 건설사
[13]
국가 코드는 반드시 00으로 시작한다. 한국의 국가 코드는 82이므로, 자신의 휴대폰 번호가 010-1234-5678 이라면, 00821012345678을 입력하면 된다. 010 번호에서 앞의 0 하나만 빼고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1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한 무기한 단항.
[15]
마드리드 경유
[16]
마드리드 경유
[17]
바스라 경유
[18]
전쟁으로 인한 무기한 운휴
[19]
2환로를 따라서 순환 지하철인
베이징 지하철 2호선이 놓여있다.
[20]
2터미널역 및
3터미널역. 제1터미널도 제2터미널과 붙어있으므로 국내선 이용하러 제1터미널로 이 노선을 타고 가야한다면 2터미널역에서 내려 두 터미널의 연결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역은 제2터미널 밑에 있기 때문에 제1터미널까지는 도보로 시간이 좀 걸린다.
[21]
6km 이내 3위안, 6-12km 4위안, 12-22km 5위안, 22-32km 6위안, 그 후 20km마다 1위안씩 추가
[22]
약 1000원
[23]
8/900번대 번호를 가진 좌석버스는 많으면 17위안까지도 나온다. 17위안이라는 흉악한 값은 980번 쾌속버스의 기록.
[24]
약 2840원
[25]
목적지가 종점이거나 종점과 몇 정거장 차이 안나는 경우
[26]
한국 리무진
공항버스 생각하면 절대 안되고 그냥 좌석버스 2+2배열로 되어있는 거에 직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초록색으로 도색된 좌석버스는 도시형 버스를 제외하면 3+2배열이다.
[27]
홍콩 자본 호텔 및 쇼핑몰로 본점은
구룡반도
몽콕역 일대에 있다.
[28]
그래도 위에 적은 방법보다는 확실히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고 교통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버스 요금을 50% 할인해준다.
[29]
359는 예외다. 공항에 바로 시종착한다.
[30]
해석하면 공항고속. 공항 고속도로의 줄임말이지만 보통 이렇게 말하면 통한다. 도로번호는 G12. 영어로는 Airport Highway라고 심플하게 표기한다.
[31]
제3 터미널 기준
[32]
2017년 기준으로 한 번도 돌아가는 기사를 못 봤다고들 한다.
[33]
중국어로 '시푸'라고 부른다
[34]
예를 들어 공항에서 하이뎬구 정도의 거리가 7~80위안 정도. 택시 탑승시 120위안
[35]
국가번호 +86
[36]
위챗페이/알리페이
[37]
특히 전자기기와 보조배터리.
[38]
2017년 4월 1일 이후
[39]
환승구역에 있는 경우 중국에 입국한 것이 아닌 게 된다.
[40]
수하물은 입국절차가 전부 완료된 이후에 찾아야 해서, 일단 중국땅을 밟아야 하기 때문에 공안이 무비자를 내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