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손긴팔원숭이(흰손기번) 白掌長臂猿 | Lar gibbon, White-handed gibbon |
|||
|
|||
학명 |
Hylobates lar ( Linnaeus, 1771)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상목 | 영장상목(Euarchontoglires) | ||
목 | 영장목(Primates) | ||
과 | 긴팔원숭이과(Hylobatidae) | ||
속 | 긴팔원숭이속(Hylobates) | ||
종 | 흰손긴팔원숭이(H. lar) | ||
멸종위기등급 | |||
아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 한국어 |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기번 | |
영어 | White-handed Gibbon | ||
태국어 | ชะนีมือขาว | ||
말레이어 | Ungka Tangan Putih | ||
중국어 | 白掌長臂猿 | ||
일본어 | シロテテナガザル |
[clearfix]
1. 개요
긴팔원숭이의 일종.2. 특징
성별에 상관없이 체중 5~6kg 정도이며, 검은색, 갈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한 털색과 흰색 손을 가지고 있다. 구부러진 손가락, 길쭉한 손, 몸길이의 2배가 넘어가는 긴 팔과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 엉덩이엔 검은색 굳은살이 있다.3. 생태
과거에는 중국 남부에도 살았지만 해당 지역에서는 절멸되었고, 현재에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지역의 삼림 관목림에 서식한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긴팔을 이용하여 나무에서 나무로 단번에 뛰어 넘을 수 있다.흰손긴팔원숭이들의 서식지 |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8.7시간 동안만 활동하며 일출 무렵 잠자리를 떠나 일몰 3.4시간 전에 잠자리에 든다. 평균적으로 하루를 먹이(32.6%), 휴식(26.2%), 여행(24.2%), 사회 활동(11.3%), 발성(4.0%), 집단 간 만남(1.9%)에 보낸다.[1]
일부일처제로, 무리는 암수 한 쌍과 새끼로 구성된다. 새끼는 성적으로 성숙하면 가족에서 추방된다. 다만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 진행된 장기 연구에 따르면, 몇몇은 일부다처제를 이루기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식단의 50%를 무화과같은 과일로 구성하지만, 잎(29%) 또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곤충(13%)과 꽃(9%)도 먹는다. 신선한 과일과 잎을 구하기 어려운 여름철에는 곤충 소비가 겨울에 비해 20배나 증가한다.
천적은 호랑이[2], 인도차이나표범, 구름표범, 아시아황금고양이, 승냥이[3], 악어[4], 그물무늬비단뱀, 버마비단뱀, 관수리 등이 있다. 천적이 나타나면 평소보다 날카로운 소리를 내며 대피한다.
짝짓기는 일년 중 언제나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교미는 3월의 건기에 일어나고, 10월의 우기에 출산이 가장 많다. 평균적으로 암컷은 야생에서 약 11세에 처음으로 번식하며, 임신 기간은 평균 6개월이고,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약 2년 동안 젖을 먹고, 완전히 성숙하는 데는 약 8년이 걸린다. 야생의 기대 수명은 약 25년이다.
4. 동물원 보유 현황
우리 나라에서는 서울동물원의 동양관, 에버랜드의 알버트 스페이스 센터, 국립생태원의 에코케어센터에서 흰손긴팔원숭이를 사육중이고 해외에서는 일본 아사히야마동물원, 마루야마동물원, 도부동물공원, 우에노동물원, 타마동물공원, 히가시야마동식물원, 후쿠오카시동식물원에서 흰손긴팔원숭이를 사육중이다.5. 기타
폭풍을 부르는 정글에 나온 원숭이들의 모티브가 이 종으로 추정된다.플래닛 주의 열대 팩 DLC를 대표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1]
하지만 실제 활동 비율은 일년 내내 상당히 바뀔 수 있다.
[2]
말레이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3]
버마승냥이,
수마트라승냥이.
[4]
바다악어,
샴악어,
말레이가비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