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의 떡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07CD7> 찌는 떡
|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
치는 떡
|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 찰떡) | |
지지는 떡
|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 화전 | |
삶는 떡
|
경단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 |
기타
|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 }}}}}}}}} |
둥글거나 모나게 떡살로 눌러 만든 떡이다.
흰떡과 같이 쳐서 만든 떡을 길게 비비지 않고 넓적하게 늘여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자르든지 또는 작은 감자알만 하게 빚어서 떡살로 눌러박아 모양을 만든다. 떡살은 떡에 문양을 박는 기구로서 나무, 도자기, 유기 등의 재료로 만든다. 꽃, 완자, 문자, 수레바퀴 등의 각종 무늬가 있다. 보통 평행사변형이나 마름모 모양에 줄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
가래떡과 재료나 제조법이 거의 비슷하지만 절편은 대부분 표면에 참기름을 발라 매끈하고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고물은 묻히지 않으며, 쌀가루를 쪄서 칠 때 쑥을 같이 넣고 만들기도 한다.
그냥 먹거나 벌꿀, 조청, 설탕, 간장 등을 찍어 먹으면 맛있다. 김에 싸서 간장을 찍어 먹으면 이소베야키와 흡사한 맛이 난다. 또한 기름에 구워 먹어도 고소한 것이 맛있다. 흰 절편의 경우 떡볶이를 할 시 손가락 크기로 잘라서 가래떡 대용으로도 쓸 수 있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떡 도장으로 절편에 무늬를 새긴 것을 도장떡이라고 부른다.
부처님오신날 같은 날에 절에서 나눠주는 떡이 이 절편에 산스크리트어의 옴(ॐ) 자[1]를 새긴 옴자떡이다.
장례식장에서 손님 대접 시 단골로 나오는 떡인데, 안에 앙금 등 내용물이 없어 대량으로 생산하기 쉽고[2] 잘 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속에 팥앙금 같은 것이 든 앙금절편도 나오는데 사실 만드는 방법은 바람떡과 상당히 유사하다.[3] 떡반죽을 길고 넓게 펴고 반죽 면적의 1/2~1/3 정도로 앙금류를 얇게 펴올린 뒤 남은 부분을 접어 붙인 걸 떡살을 찍고 잘라내는 것. 떡집이나 공장에서 기계로 만들 때도 그냥 공기를 채우지 않고 넓적하게 뽑아낸 바람떡을 네모지게 잘라내는 모양새다.
2. 截 片, intercept
수학 용어로, 좌표평면상의 그래프가 [math(x)]축과 만나는 점의 [math(x)] 좌표 및 [math(y)]축과 만나는 점의 [math(y)]좌표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좌표축이 3개 이상일 경우 해당 좌표축의 이름을 따온다. 다른 말로 영점( 零 點)이라고도 하는데, 특정 변수가 0이 되는 점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총기 사격술에서 말하는 영점 사격 역시 탄환이 낙하하는 지점과 눈으로 보는 조준선(x축)이 만나 y=0이 되는 구간이라는 뜻이다.
특수한 절편으로 로그 적분 함수의 [math(x)]절편인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리만 가설의 비자명 근이 있다.
x절편을 X JAPAN이라 잘못 읽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