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실존한 수학자들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고, 순수수학자들을 위주로 목록에 추가했다. 수학은 논리학, 철학, 언어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생물학, 경제학, 미술 등등 넓은 범주에 영향을 끼친바 있어 타 학문의 주제로 접근했지만, 순수수학적 발전에 이바지 했을 경우도 추가될수 있어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작성했다.[1]- 순수수학의 특정 분야를 직접적으로 개척.
-
특정 분야에서의 정리(theorem) 및 보조 정리(lemma)를 고안.
- 특정 난제를 증명.
- 순수수학외의 분야의 접근이라도, 위 3가지 사항에 영향을 미친것이 국제수학자대회를 위시로한 초국가적 수학자 집단에 의하여 공인.[2]
인물 검색 시 Ctrl+F 사용을 권장한다.
2. 기원전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아메스 | BCE 1680 | 아메스 파피루스 |
바우다야나[3] | BCE 800 | 피타고라스 정리 |
솔론 | BCE 638(?) | 윤달 |
다르마수트라 어파스탐바[4] | BCE 630 | √2 ≈ 577/408으로 근사 |
탈레스 | BCE 624 | 탈레스의 정리[5] |
피타고라스 | BCE 580(?) |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 음률 |
헤라클레이토스[6] | BCE 535 | 판타레이, 로고스 |
파니니 | BCE 520 | 최초의 형식체계를 갖춘 문법서를 만듦 |
파르메니데스[7] | BCE 515 | 존재론 |
제논 | BCE 490(?) | 제논의 역설 |
묵자 | BCE 470 | 묵경(墨經)[8] |
키오스의 히포크라테스[9] | BCE 470(?) | 히포크라테스의 초승달[10] |
테오도로스 | BCE 465 | 테오도로스의 나선 |
아르키타스 | BCE 428 | 델로스 문제 해결, 아르키타스 곡선 |
플라톤 | BCE 427 | 정다면체[11] |
테아이테토스 | BCE 417 | 정다면체가 다섯가지 밖에 없음을 증명[12] |
에우독소스 | BCE 408 | 실진법, 일반 비례론 |
파로스의 티마리다스 | BCE 400~350 | 연립 일차 방정식 |
아리스토텔레스 | BCE 384 | 정언 논리 |
혜시[13] | BCE 370 | 역물10사(歷物十事)[14], 제논의 역설[15] |
메나이크모스 | BCE 375 | 원뿔곡선 |
유클리드 | BCE 365 | 기하학의 아버지[16], 원론 |
공손룡 | BCE 320 | 백마비마[17], 견백동이[18] |
아리스타르코스 | BCE 310 | 지동설, 공전주기, 자전주기 계산 |
핑갈라 | BCE 200~300 | 파스칼 삼각형, 피보나치 수열, 이진법 |
아르키메데스[19] | BCE 287 | 원주율, 물질의 밀도, 구분구적법,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
에라토스테네스 | BCE 273(?)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지구의 크기 측정 |
아폴로니우스 | BCE 262 | 원뿔곡선, 아폴로니우스 정리[20], 주전원과 대원[21] |
히파르코스 | BCE 190 | 세차운동, 삼각함수표, 삼각법의 아버지, 주전원과 대원(Deferent) |
헤론 | BCE 120 | 헤론의 공식, 이차방정식의 풀이법, 음수의 제곱근 |
히파소스 | 미상 | 무리수의 발견[22] |
안티폰 | 미상(약 BCE 500) | 원주율의 상한과 하한 계산 |
브라이슨 | 미상(BCE 500 후반) | 원주율의 상한과 하한 계산 |
테아노 | 미상(약 BCE 500) | 기록된 최초의 여성 수학자[23], 황금비[24] |
카나다[25] | 미상(BCE 6~4 세기) | 바이셰시카(Vaisheshika) 학파[26], 바이셰시카 수트라(Vaiśesikasūtra)[27] |
악스파다 고타마[28] | 미상(BCE 600~CE 200 추정) | 니야야(Nyaya) 학파[29], 니야야 수트라(Nyāya Sūtras)[30] |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 미상(BCE 284 사망) | 지배논증[31] |
3. 기원후 ~ 17세기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니코마코스 | 60 | 니코마코스 정리(세제곱수의 유한합)[32][33] |
메넬라오스 | 70 | 메넬라오스 정리, 구면삼각법 |
프톨레마이오스 | 85(?) | 톨레미의 정리, 프톨레마이오스 체계[34], 동시심(Equant) |
나가르주나 | 150 | 체트슈 코티카(Catuṣkoṭi)[35] |
디오판토스 | 201(?)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휘 | 220(?) | 할원술[36], 음수의 연산, 방정식 |
파푸스 | 290 | 수학 집성, 파푸스의 중선 정리 |
히파티아 | 355(?) | 원뿔곡선 |
조충지 | 429 | 대명력, 카발리에리의 원리[37] |
아리아바타 | 476 | 아리아바타 알고리즘, π ≈ 3.1416으로 근사, 니코마코스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38] |
디그나가 | 480 |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집량론(集量論),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관삼세론(觀三世論) |
왕효통(王孝通) | 580 | 집고산경(缉古算经) |
브라마굽타 | 598 | 음수, 0, 브라마굽타 공식, 브라마굽타 정리 |
바스카라 1세 | 600(?) | 윌슨의 정리, 바스카라 사인 근사 공식 |
웃디요타카라[39] | 600(?) | 정리평석(Nyaya-varttika)[40] |
알콰리즈미 | 780(?) | 대수학, 0 도입, 사칙연산, 삼각법 |
알 킨디[41] | 803 | 빈도 분석(암호학)[42], 알코올[43] |
타빗 이븐 쿠라[44] | 836 | 타빗 수 [45], 정역학 |
압드 알 하미드 이븐 투르크[46] | 830 | 대수학[47] |
아부 카밀[48] | 850 | 제곱근이나 네제곱 근 형태의 무리수를 방정식의 해나 계수로 다룸, 3변수 비선형 연립방정식 |
알 파라비[49] | 872 | 고전 논리학[50]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 946 | 서유럽에 10진법 도입, 주판 재도입 |
알 카라지[51] | 950 | 다항식의 산술연산[52], 이항정리 |
이븐 알하이삼 | 965 | 광학, 원뿔곡선, 람베르트 사변형, 알하젠의 문제 |
알 비루니 | 973 | 지구 둘레의 길이 |
이븐 시나 | 980 | 아비센나(Avicenna) 논리[53] |
우다야나[54] | 980(?) | 정리평석진의주해명(Nyaya-vartika- tatparya-parisuddhi), 정리화속(Nyaya-kusumanjali) |
오마르 하이얌[55] | 1048 |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 연구, 이항정리 |
로스켈리누스 | 1050 | 유명론 |
샹포의 기욤 | 1070 | 실재론 |
바스카라 2세[56] | 1114 | 10진법의 체계화, 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 2차방정식의 해법, 롤의 정리, 릴라바티 |
샤라프 알딘 알투시[57] | 1135 | 뉴턴-랩슨 방법[58]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1170 | 피보나치 수열, 유럽에 아라비아 숫자 소개, 산반서 |
나시르 알딘 알 투시 | 1201 | 구면 삼각법, Tusi couple[59], 사인 법칙 |
진구소[60] | 1202 | 호너의 방법, 수서구장(數書九章), 대연술(大 衍 術)[61], 중국수학에 0 기호를 도입 |
양휘 | 1238 | 상해구장산법(詳解九章算法)[62], 파스칼의 삼각형, 속고적기산법(續古摘奇算法), 산법통변본말(算法通變本末) |
주세걸 | 1249 | 산학계몽, 사원보감 |
니콜 오렘 | 1320~1325 | 조화급수의 발산, 평균 속도 정리, 분수 지수를 고안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 1377 | 투시도법(선원근법) |
잠시드 알 카시[63] | 1380 | 코사인 법칙, 뉴턴 방 |
정인지 | 1396 | 칠정산내편 |
이순지 | 1406 | 칠정산[64] |
레기오몬타누스 | 1436 | 레기오몬타누스의 최대각 문제, 삼각법 |
루카 파치올리[65] | 1447 | 산술집성, 회계학의 아버지 |
레오나르도 다 빈치[66] | 1452 | 깎은 정이십면체, 아나모포시스(anamorphosis) |
스키피오네 델 페로 | 1465 | ax+x^3=b 형태의 삼차방정식 해법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1473 | 코페르니쿠스 체계[67] |
미하엘 슈티펠 | 1486 | 지수법칙 |
지롤라모 카르다노 | 1501 | 복소수, 확률론,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책으로 출판 |
니콜로 폰타나(타르탈리아) | 1506 |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처음 발견 |
로버트 레코드 | 1512 | = 기호 발명 |
레티쿠스 | 1514 | 삼각법 |
루도비코 페라리 | 1522 | 4차방정식의 해법 |
라파엘 봄벨리 | 1526 | 허수 단위의 정의 |
뤼돌프 판 쾰런 | 1540 | 소수점 아래 35자리까지의 파이값을 구함 |
프랑수아 비에트 | 1540 | 근과 계수의 관계, 변수, 비에타 정리 |
시몬 스테빈 | 1548 | 소수(小數)의 발명, 벡터 개념을 처음 사용 |
존 네이피어 | 1550 | 로그(수학) |
요스트 뷔르기 | 1552 | 로그(수학)[68] |
토머스 해리엇 | 1560 | <,> 부등호 기호 창안 |
프랜시스 베이컨 | 1561 | 귀납법의 아버지 |
헨리 브릭스 | 1561 | 상용로그 |
윌리엄 오트레드 | 1574 | 계산자 발명, 곱셈기호(×)를 도입, 부등호 |
에드문드 건터 | 1581 | 로그 눈금자를 이용해 건터자를 만듬 |
마랭 메르센 | 1588 | 메르센 소수 |
지라르 데자르그 | 1591 | 사영 기하학 창시, 데자르그 정리 |
요한 아담 샬 폰 벨 | 1591 | 시헌력[69] |
알베르 지라르 | 1595 | 음수 가시화[70] |
르네 데카르트 | 1596 | 좌표계[71], x[72], 데카르트 정리, 데카르트의 악마, 데카르트 운동법칙[73] |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 | 1598 | 카발리에리의 원리 |
피에르 드 페르마 | 1601 | 페르마의 소정리[74],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원리, 확률론, 좌표계[75] 외 다수 |
질 페르손 데 로베르발[76] | 1602 | 로베르발 균형, 트로코이드[77]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78] | 1608 | 페르마 점, 토리첼리의 정리, 가브리엘의 나팔(토리첼리의 트럼펫) |
존 월리스[79] | 1616 | [math(\infty)] 기호 처음 사용, 월리스 공식, 월리스 적분, 초기하함수, 복소평면 |
윌리엄 브롱커 | 1620 | 펠 방정식의 일반해 발견 [80] |
블레즈 파스칼[81] | 1623 | 파스칼의 삼각형, 확률론, 파스칼 정리, 파스칼의 원리, 계산기(파스칼라인) 최초 발명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 1625 | 카시니의 난형선, 카시니의 3법칙, 시헌력[82] |
아이작 배로[83] | 1630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
제임스 그레고리 | 1638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테일러 급수, 그레고리식 망원경 |
게오르그 모르 | 1640 | 모르-마스케로니 정리 |
세키 다카카즈 | 1642 | 행렬식, 베르누이 수 |
아이작 뉴턴[84] | 1642 | 미적분, 뉴턴의 운동법칙, 만유인력, 뉴턴 방법(수치 해석학), 베주 정리 외 다수 |
고트프리트 폰 라이프니츠 | 1646 | 미적분, 이진법, 가능세계[85], 개념 대수(algebra of concepts)[86], E = mv^2 외 다수 |
최석정 | 1646 | 지수귀문도, 구수략 |
조반니 체바 | 1647 | 체바의 정리 |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 | 1651 | 치른하우스 변형 |
미셸 롤 | 1652 | 롤의 정리, 거듭제곱근 표시법 발명 |
피에르 바리뇽 | 1654 | 바리뇽의 정리(기하학)[87], 바리뇽의 정리(역학)[88] |
야코프 베르누이[89] | 1655 | 베르누이 수열, 베르누이의 렘니스케이트, 베르누이 시행, 베르누이 미분방정식, 큰 수의 법칙 |
아브라함 드 무아브르 | 1667 | 드 무아브르 공식, 정규분포, 생성함수, 드무아브르-라플라스 정리 |
요한 베르누이 | 1667 | 로피탈의 정리[90], 2학년의 꿈, E = mv^2, 부분분수분해[91] |
조반니 지롤라모 사케리 | 1667 | 사케리-르장드르 정리 [92] |
루이지 귀도 그란디 | 1671 | 그란디 급수 |
존 마친[93] | 1680 | 마친의 공식[94] |
로저 코츠[95] | 1682 | 오일러 공식, 라디안, 뉴턴-코츠 공식 |
홍정하 | 1684 | <구일집> 저술 |
브룩 테일러 | 1684 | 증분법, 테일러 급수 |
조지 버클리 | 1685 | 엄밀하지 않은 무한소 개념 비판[96] |
크리스티안 골드바흐 | 1690 | 골드바흐 추측 제시 |
제임스 스털링 | 1692 | 제1종 스털링 수, 제2종 스털링 수, 스털링 근사 |
콜린 매클로린 | 1698 | 매클로린 급수, 매클로린 부등식,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 | 1698 | 최소 작용 원리 |
다니엘 베르누이[97] | 1700 | 베르누이 정리, 베셀 함수, 오일러-베르누이 보(Beam) 방정식 |
바트시야나[98] | 미상(약 4세기 이전) | 정리소(Nyaya-bhasya) |
다르마카르티[99] | 미상(약 6~7세기) | 인명칠론(因明七論)[100] |
바차스파티 미스라[101] | 미상(약 9세기) | 정리평석진의주(Nyaya-varttika- tatparya-tika) |
강게샤 우파드하야[102] | 미상(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으로 추정) | 신 니야야 학파[103], 진리화의주(Tattvacintamani) |
4. 18세기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토머스 베이즈 | 1701 | 베이즈 정리, 베이즈 확률론 |
가브리엘 크라메르 | 1704 | 크라메르 공식, 크라메르 정리 |
레온하르트 오일러 | 1707 | 오일러의 공식, 오일러 정리, 오일러의 다면체 정리, 감마 함수, 한붓그리기 외 다수 |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 1707 | 뷔퐁의 바늘, Franc-Carreau 게임 |
데이비드 흄 | 1711 | 귀납의 문제 |
알렉시 클로드 클레로 | 1713 | 클레로 정리, 클레로 방정식, 클로드 관계 |
장바티스트 르롱 달랑베르 | 1717 | 달랑베르 연산자(달랑베르시안), 달랑베르의 원리[104], 비반정법[105], 파동방정식, 달랑베르 공식[106] |
마리아 아녜시 | 1718 | 아녜시 곡선[107]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 1728 | 원주율의 무리성 증명, 람베르트 w함수, 방위정적도법[108], 람베르트 정각원추도법[109] |
에티엔 베주 | 1730 |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
장 샤를 드 보르다 | 1733 | 보르다-카르노 방정식 |
알렉상드르 테오필 방데르몽드 | 1735 | 방데르몽드 행렬, 방데르몽드 항등식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1736 | 라그랑지언,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라그랑주 승수법,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정리(군론) 외 다수 |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 | 1736 | 쿨롱의 법칙 |
존 윌슨 | 1741 | 윌슨의 정리 |
앙투안 라부아지에 | 1743 | 질량 보존의 법칙 |
니콜라 드 콩도르세 | 1743 | 편미분 기호 [math(\partial)]의 고안, 콩도르세 역설 |
카스파르 베셀 | 1745 | 복소평면[110] |
가스파르 몽주 | 1746 | 화법 기하학 창시, 몽주 정리, 몽주-앙페르 방정식, 운송이론 |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 | 1746 | 샤를의 법칙 |
존 플레이페어 | 1748 | 플레이페어 공리 |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11] | 1749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시안, 구면 조화 함수 정의, 베이즈 확률론[112], 라플라스 전개 외 다수 |
로렌초 마스케로니 | 1750 | 모르-마스케로니 정리,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 1752 | 르장드르 함수, 소수 정리, 최소제곱법, 르장드르 변환, 르장드르 다항식 |
마르크앙투안 파르스발 | 1755 | 파르스발 항등식, 파르스발 정리 |
가스파드 드 프로니 | 1755 | 프로니 방정식, 프로니 방법 |
파올로 루피니 | 1765 | 아벨-루피니 정리 |
요한 프리드리히 파프[113] | 1765 | 파피안 계(Pfaffian system), 파피안(Pfaffian)[114] |
칼 페르디난드 데겐 | 1766 | 데겐의 여덟 제곱수 항등식 |
조제프 푸리에 | 1768 | 푸리에 변환, 푸리에 해석, 푸리에 급수, 열 방정식 |
장 로버트 아르강 | 1768 | 대수학의 기본정리 증명, 복소평면 |
조제프 디에즈 제르곤 | 1771 | 제르곤의 정리, 아폴로니우스 문제의 해결, 사영 기하학의 쌍대성 개념 개발 |
소피 제르맹 | 1776 | 소피 제르맹의 정리, 제르멩의 방정식[115], 평균곡률((Mean curvature) |
요한 폰 졸트너 | 1776 | 로그 적분 함수,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
유제프 마리아 호에네브론스키 | 1776 | 론스키 행렬식 |
루이스 푸앵소 | 1777 |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푸앵소 타원체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1777 | 대수학의 기본정리, 비유클리드 기하학[116], 발산 정리, 합동식, 가우스이 빼어난 정리 외 다수 |
시메옹 드니 푸아송 | 1781 | 푸아송 분포, 푸아송 방정식 |
베르나르트 플라치두스 요한 네포무크 볼차노 | 1781 | 엡실론-델타 논법, 볼차노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샤를 줄리앙 브리앙숑 | 1783 | 브리앙숑의 정리 |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 | 1784 | 베셀 함수 |
클로드 루이 나비에 | 1785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자크 필리프 마리 비네 | 1786 | 코시-비네 항등식, 비네 방정식 |
윌리엄 조지 호너 | 1786 | 호너의 방법[117] |
오귀스탱 장 프레넬 | 1788 | 프레넬 적분 함수, 프레넬-아라고 법칙, 프레넬 방정식 |
장빅토르 퐁슬레 | 1788 | 퐁슬레-슈타이너 정리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1789 | 해석학,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엡실론-델타 논법, 변형력(응력) 개념 고안, 코시 정리(군론) 외 다수 |
루트비히 임마누엘 마그누스 | 1790 | 반전 기하학, 반전변환(inversion transformations) |
아우구스트 뫼비우스 | 1790 | 뫼비우스의 띠, 뫼비우스 변환, 동차좌표 |
찰스 배비지 | 1791 | 차분기관, 해석기관 |
니콜라이 로바체프스키 | 1792 | 비유클리드 기하학 창시, 로바체프스키 방정식 |
조지 그린 | 1793 | 그린 정리, 그린 함수 |
미셸 플로레알 샬 | 1793 | 샬의 정리 |
가브리엘 라메 | 1795 | 라메 곡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n이 7인 경우 증명, 라메 함수, 라메 상수 |
야코프 슈타이너 | 1796 | 퐁슬레-슈타이너 정리, 슈타이너 계 |
크리스토프 구데르만 | 1798 | 구데르만 함수, 균등수렴 |
에밀 베누아 폴 클라페이롱 | 1799 |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롱 방정식, 클라페이롱 정리(탄성) |
5. 19세기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18] |
율리우스 플뤼커 | 1801 | 플뤼커 좌표, 플뤼커 매장, 플뤼커 공식 | |
조지 비델 에어리 | 1801 | 에어리 함수 | |
미하일 오스트로그라드스키 | 1801 | 발산 정리, 오스트로그라드스키 불안정성 | |
닐스 헨리크 아벨[119] | 1802 | 군(대수학), 아벨군(가환군), 타원 함수, 아벨-루피니 정리, 아벨-야코비 정리 | |
보여이 야노시 | 1802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창시자중 하나 | |
존 블리사드 | 1803 | 음계산법 발명 | |
앙리 필리베르 가스파드 달시 | 1803 | 달시-바이스바하 방정식 | |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스튀름 | 1803 |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스튀름-리우빌 방정식, 스튀름-리우빌 이론, 스튀름 정리 | |
피에르 프랑수아 베르헐스트 | 1804 | 로지스틱 방정식 | |
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 | 1804 | 야코비 행렬, 야코비 미분방정식, 야코비 타원함수, 세타 함수,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등 |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 1805 | 디리클레 함수, 비둘기 집의 원리,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경계 조건, 디리클레 합성곱 외 다수 | |
윌리엄 로원 해밀턴 | 1805 | 해밀턴 역학, 사원수, 델, 해밀턴 회로 등 | |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 1806 | 드 모르간 법칙, 수학적 귀납법, 관계 대수 | |
줄리어스 루드비히 바이스바하 | 1806 | 달시-바이스바하 방정식 | |
존 토머스 그레이브스 | 1806 | 데겐의 여덟 제곱수 항등식, 팔원수 | |
카를 안톤 브레치나이더 | 1808 | 브레치나이더 공식 | |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 | 1808 | 토폴로지[120], 리스팅 수(Listing number), 리스팅의 법칙[121], 지오이드(Geoid) | |
조제프 리우빌 | 1809 | 리우빌 정리, 초월수의 존재 증명, 리우빌 수 | |
헤르만 귀터 그라스만 | 1809 | 선형대수학, 벡터 공간, 외 대수(그라스만 대수), 그라스만 다양체 | |
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 | 1810 | 쿠머 이론, 아이디얼(이데알) 도입 등 | |
위르뱅 장 조제프 르베리에 | 1811 | 수학을 통해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측함 | |
루트비히 오토 헤세 | 1811 | 헤세 행렬, 헤세 정리, 헤세 정규형 | |
오귀스트 브라베 | 1811 | 브라베 격자 | |
에바리스트 갈루아 | 1811 | 갈루아 이론, 갈루아 확대, 갈루아 군, 갈루아 체(유한체)를 도입 | |
피에르 알퐁스 로랑 | 1813 | 로랑 급수 | |
피에르 방첼 | 1814 | 3대 작도 불능 문제해결 |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 1814 | 실베스터 행렬, 아다마르 행렬,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
외젠 샤를 카탈랑 | 1814 | 카탈랑 수, 카탈랑의 다면체, 카탈랑 추측(미허일레스쿠 정리) | |
카를 바이어슈트라스[122] | 1815 | 엡실론 - 델타 논법,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타원함수, 바이어슈트라스 곱 정리,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등 | |
조지 불 | 1815 | 불 대수, 존재 함축 | |
에이다 러브레이스 백작부인 | 1815 |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머 | |
제임스 프레스콧 줄 | 1818 | 에너지 보존 법칙 | |
존 쿠치 애덤스 | 1819 | 수학을 통해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측함 | |
조지 스토크스 | 1819 | 나비에-스톡스 방정식, 스토크스 정리 | |
피에르 오시안 보넷 | 1818 | 가우스-보넷 정리, 보넷 정리 | |
빅터 알렉산드르 퓌죄 | 1820 | 퓌죄 급수 |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1820 | 원 그래프 | |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하이네 | 1821 | 균등 연속 함수, 하이네-보렐 정리 등 | |
파프누티 리보비치 체비쇼프 | 1821 | 체비쇼프 다항식, 체비쇼프 부등식, 체비쇼프 함수, 베르트랑 추측 증명 | |
아서 케일리 | 1821 | 행렬, 케일리-해밀턴 정리, 케일리-딕슨 구성, 팔원수, 케일리 변환 외 다수 | |
헤르만 루트비히 페르디난트 폰 헬름홀츠 | 1821 | 헬름홀츠 정리, 헬름홀츠 방정식 | |
필리프 루트비히 폰 자이델 | 1821 | 가우스-자이델 방법 | |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 1822 | 클라우지우스 정리,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등 | |
프랜시스 골턴[123] | 1822 | 평균으로의 회귀, 골턴-왓슨 과정 | |
조제프 루이스 프랑수아 베르트랑 | 1822 | 베르트랑 역설(확률), 베르트랑 역설(경제), 베르트랑 투표 정리, 베르트랑 정리(고전역학), 베르트랑 상자 역설 | |
샤를 에르미트 | 1822 | e의 초월성 증명, 에르미트 행렬, 에르미트 다항식 | |
레오폴트 크로네커 | 1823 | 크로네커 정리, 크로네커 델타, 크로네커-베버 정리,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 | |
페르디난트 고트홀드 막스 아이젠슈타인 | 1823 | 아이젠슈타인 정수, 아이젠슈타인 판정법 | |
엔리코 베티 | 1823 | 베티 수 | |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 1824 | 절대온도, 켈빈의 최소 에너지 정리, 켈빈 방정식 등 | |
장 프랑수아 테오필 페팽 | 1826 | 페팽 소수판별법 | |
다니엘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마이셀 | 1826 |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마이셀-레머 알고리즘 | |
베른하르트 리만 | 1826 | 리만 기하학, 리만 가설,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적분, 리만 재배열 정리 외 다수 | |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 1826 |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스미스-볼테라-칸토어 집합 | |
헨리 윌리엄 왓슨 | 1827 | 골턴-왓슨 과정 | |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 | 1829 | 크리스토펠 기호, 슈바르츠-크리스토펠 사상 | |
루이지 크레모나 | 1830 | 크레모나 군, 크레모나 다이어그램, 크레모나-리치몬드 구성 | |
에드워드 존 루스 | 1831 | 루스-후루비츠 정리, 루스-후루비츠 안정성 판별법, 루스 역학 | |
피터 거스리 테이트 | 1831 | 매듭이론의 창시자, 테이트-네저 정리, 테이트 추측 | |
율리우스 빌헬름 리하르트 데데킨트 | 1831 | 데데킨트 절단, 데데킨트 군, 모듈러 군(보형군) 등 | |
루이스 캐럴 | 1832 | 고장난 시계 역설, 마리아가 쓴 편지를 볼 수 있는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 | |
카를 고트프리드 노이만 | 1832 | 노이만 경계조건, 노이만 급수 | |
루돌프 오토 지기스문트 립시츠 | 1832 | 립시츠 연속 함수 | |
페테르 루드비 메이델 쉴로브 | 1832 | 실로우 정리, 실로우 부분군 | |
루돌프 프리드리히 알프레트 클렙슈 | 1833 | 클렙슈 곡면, 클렙슈-고르단 계수 | |
라차루스 임마누엘 푹스 | 1833 | 푹스 군, 푹스 정리, 피카르-푹스 방정식 | |
에드몬드 니콜라스 라게르 | 1834 | 라게르 함수, 라게르 평면, 라게르의 방법 | |
존 벤 | 1834 | 벤 다이어그램 | |
오귀스트 케르크호프스 | 1835 | 케르크호프스의 원리[124] | |
에밀 레오나르 마티외 | 1835 | 마티외 군, 마티외 함수, 마티외 변환 | |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 1835 | 쌍곡기하학, 벨트라미-클라인 모형 등 | |
펠리체 카소라티 | 1835 | 카소라티-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
파울 알버트 고르단 | 1837 | 고르단 문제, 불변식 이론, 클렙슈-고르단 계수 | |
카미유 조르당 | 1838 | 조르당 분해, 조르당 곡선 정리, 조르당 표준형, 페아노-조르당 측도, Total variation 등 | |
조시아 윌러드 깁스 | 1839 | 벡터 미적분학, 기브스-헬름홀츠 방정식 등 | |
헤르만 한켈 | 1839 | 한켈 행렬, 한켈 변환 | |
히에로니무스 게오르그 제우텐 | 1839 | 열거 기하학, 제우텐-세그레 불변량 | |
율리우스 페테르 크리스티안 페테르센 | 1839 | 페테르센 그래프, 페테르센 정리, 페테르센-몰리 정리 | |
찰스 샌더스 퍼스 | 1839 | 확률의 성향 이론, 귀추법, 술어 논리 창안[125], 관계 대수 | |
구스타프 로흐 | 1839 | 리만-로흐 정리 증명 | |
프란츠 메르텐스 | 1840 | 메르텐스 함수, 메르텐스 정리,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메르텐스 추측 | |
레오 아우구스트 포흐하머 | 1841 | 포흐하머 기호 | |
에른스트 슈뢰더 | 1841 | 슈뢰더 수, 슈뢰더 규칙, 슈뢰더 방정식, 번스타인-슈뢰더 정리 | |
하인리히 마틴 베버 | 1842 | 베버 정리, 크로네커-베버 정리, 베버 모듈러 함수 | |
프랑수아 에두아르 아나톨 뤼카 | 1842 | 뤼카 수열, 가우스-뤼카 정리,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 |
오토 슈톨츠 | 1842 | 스톨츠-체사로 정리 | |
장 가스통 다르부 | 1842 | 다르부 적분, 다르부 정리(해석학), 다르부 정리(기하학) | |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 | 1842 | 광학 정리, 레일리 산란, 레일리-테일러 불안정, 레일리 법칙, 레일리 방정식 외 다수 | 1904년 노벨 물리학상 |
소푸스 리 | 1842 | 리(Lie) 군, 리 대수 | |
줄리오 아스콜리 | 1843 | 아젤라-아스콜리 정리 | |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 | 1843 |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슈바르치안, 반사원리 | |
모리츠 파쉬 | 1843 | 순서 기하학, 파쉬 공리, 파쉬 정리 | |
야콥 뤼로스 | 1844 | 뤼로스 정리, 뤼로스 4차 다항식, 뤼로스 상수 | |
루트비히 에두아르트 볼츠만 | 1844 | 볼츠만 운송 방정식, 슈테판-볼츠만 법칙, 에르고딕 가설 등 | |
막스 뇌터[126] | 1844 | 곡선에 대한 뇌터 정리, 막스 뇌터의 기본정리 | |
게오르크 칸토어 | 1845 | 집합론 창시, 무한대, 대각선 논법, 연속체 가설 외 다수 | |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 | 1845 | 클리퍼드 대수, 클리퍼드 정리, 클리퍼드 평행선 | |
윌리엄 발로우 | 1845 | 3차원 공간 군의 개수 | |
망누스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 | 1846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미타그레플레르 다항식, 미타그레플레르 합 | |
체사레 아젤라 | 1847 | 아젤라-아스콜리 정리 | |
빌헬름 킬링 | 1847 | 킬링 벡터, 리 군, 리 대수, 카르탕 행렬, 카르탕 대합 | |
아킬레 마리 가스통 플로케[127] | 1847 | 플로케(Floquet) 이론 | |
디에데릭 요하네스 코르테버흐 | 1848 | KdV 방정식(Korteweg–De Vries 방정식), 모엔스-코르테버흐(Moens–Korteweg) 방정식 | |
헤르만 슈베르트 | 1848 | 열거 기하학, 슈베르트 계산(Schubert calculus), 슈베르트 다양체 | |
빌프레도 페데리코 다마조 파레토 | 1848 | 파레토 법칙, 파레토 분포 | |
제임스 위트브레드 리 글레이셔 | 1848 | 오차함수, 글레이셔 정리,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 |
고틀로프 프레게 | 1848 | 현대논리 창시, 프레게의 정리, 술어 논리 창안, 뜻과 지시체 | |
펠릭스 클라인 | 1849 | 에를랑겐 프로그램, 클라인의 병, 클라인 기하학, 클라인 사원군, 클라인 부분군 외 다수 | |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 1849 | 프로베니우스 정리, 프로베니우스 사상, 프로베니우스 군 | |
쾨니그 줄러[128] | 1849 | 쾨니그의 정리 | |
소피야 바실리예브나 코발렙스카야 | 1850 |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 | |
올리버 헤비사이드[129] | 1850 |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 포인팅 벡터, 벡터 미적분학 | |
루트비히 스티켈버거 | 1850 | 스티켈버거 정리, 프로베니우스-스티켈버거 정리 | |
예르겐 페데르센 그람 | 1850 | 그람-슈미트 과정, 그람 행렬 | |
칼 구스타프 악셀 하르낙 | 1851 | 하르낙 부등식, 하르낙 곡선 정리, 하르낙 원리 | |
프리드리히 헤르만 쇼트키 | 1851 | 쇼트키 군, 쇼트키 정리, 쇼트키 문제 | |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 | 1852 | 원주율이 초월수임을 증명 | |
프랑수아 프로트 | 1852 | 프로트 소수판별법, 프로트 소수 | |
윌리엄 번사이드 | 1852 | 번사이드 정리, 번사이드 보조정리, 번사이드 문제 | |
존 헨리 포인팅 | 1852 | 포인팅 벡터, 포인팅 정리 | |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 | 1853 | 텐서 미적분학, 리치 곡률 텐서 | |
아르투어 모리츠 쇤플리스 | 1853 | 쇤플리스 표기법, 쇤플리스 정리, 표도로프-쇤플리스-비버바흐 정리 | |
헨드릭 A. 로런츠 | 1853 |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1902년 노벨 물리학상 |
하인리히 마슈케 | 1853 | 마슈케의 정리 | |
에브그라프 스테파노비치 표도로프 | 1853 | 표도로프-쇤플리스-비버바흐 정리, Zonohedron 정의 | |
찰스 하워드 힌튼 | 1853 | 테서랙트[130], 힌튼의 폴리토프 | |
앙리 푸앵카레[131] | 1854 | 대수적 위상수학, 호몰로지, 푸앵카레 추측, 푸앵카레 재귀 정리, 삼체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132] 외 다수 | |
주세페 베로네세 | 1854 | 베로네세 곡면 | |
한스 칼 프리드리히 폰 망골트 | 1854 | 폰 망골트 함수, 카르탕-아다마르 정리 | |
로베르트 얄마르 멜린 | 1854 | 멜린 변환 | |
퍼시 알렉산더 맥메이헌 | 1854 | 평면 분할, 맥메이헌 마스터 정리 | |
요한네스 로베르트 뤼드베리 | 1854 | 뤼드베리 공식, 뤼드베리-리츠 조합 원리, 뤼드베리 상수 | |
아이작 바하라흐 | 1854 | 케일리-바하라흐(Cayley–Bacharach) 정리 | |
제임스 알프레드 유잉[133] | 1855 | 히스테리시스(이력 현상) | |
빅터 구스타브 로빈 | 1855 | 로빈 경계 조건 | |
폴 에밀 아펠 | 1855 | 아펠 급수, 아펠 다항식열, 아펠-레치 급수, 아펠-험버트 정리 | |
루이지 비앙키 | 1856 | 비앙키 항등식, 비앙키 분류 | |
안드레이 안드레예비치 마르코프 | 1856 | 마르코프 연쇄, 마르코프 확률과정, 가우스-마르코프 정리, 마르코프 행렬 | |
샤를 에밀 피카르 | 1856 | 피카르 군, 피카르 정리, 피카르-렙셰츠 이론 | |
카를 다비트 톨메 룽게 | 1856 | 룽게-쿠타 방법, 룽게의 정리 | |
토마스 스틸체스 | 1856 | 스틸체스 적분 | |
칼 피어슨 | 1857 | 표준 편차, 카이제곱 검정, 주성분 분석, 피어슨 분포, 피어슨 상관계수 |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랴푸노프 | 1857 | 랴푸노프 안전성, 랴푸노프 중심 극한 정리, 랴푸노프 방정식 | |
에두아르 장바티스트 구르사 | 1858 | 코시-구르사 정리, 구르사 보조정리, 구르사 사면체 | |
윌리엄 어니스트 존슨 | 1858 | 교환 가능 확률 변수(Exchangeable random variables) | |
주세페 페아노 | 1858 |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곡선, 페아노 곡면, 페아노 산술, 페아노-조르당 측도 | |
마리 조지 험버트 | 1858 | 아펠-험버트 정리, 험버트 곡면 | |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 | 1859 | 아레니우스 방정식, 산-염기 반응 | 1903년 노벨 화학상 |
에르네스토 체사로 | 1859 | 슈톨츠-체사로 정리, 체사로 평균 | |
아돌프 후르비츠 | 1859 | 후르비츠 정리, 후르비츠 제타 함수, 리만-후르비츠 공식, 후루비츠 행렬 | |
파스쿠알레 델 페초 | 1859 | 델 페초 곡면 | |
요한 루드비히 발데마르 젠센 | 1859 | 젠센 부등식, 젠센 공식 | |
게오르그 알렉산더 픽 | 1859 | 픽의 정리, 네반린나-픽 보간법 | |
오토 루트비히 횔더 | 1859 | 횔더 연속 함수, 횔더 부등식 | |
마티아스 레치 | 1860 | 아펠-레치 급수, 레치 제타함수 | |
다르시 웬트워스 톰슨 | 1860 | 성장과 형태에 관하여(On Growth and Form)[134] | |
비토 볼테라 | 1860 | 볼테라 방정식, 볼테라 급수, 로트카-볼테라 방정식 | |
얼리샤 불 스톳[135] | 1860 | 다포체[136], 정규 4-폴리토프가 6종류밖에 없다는 것을 밝혀냄 | |
프랭크 몰리 | 1860 | 페테르센-몰리 정리, 몰리의 삼등분 정리 |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 1861 | 수리 논리학, point-free geometry | |
피에르 모리스 마리 뒤엠 | 1861 | 뒤엠-콰인 논제, 기브스-뒤엠 방정식, 뒤엠-마르굴레스 방정식, 클라우지우스-뒤엠 부등식 | |
이바르 오토 벤딕손 | 1861 | 푸앵카레-벤딕손 정리, 칸토어-벤딕손 정리 | |
체사레 부랄리포르티 | 1861 | 부랄리포르티 역설 | |
드미트리 세미오노비치 미리마노프[137] | 1861 | 비정초적 집합론(non-well-founded set theory)[138], 미리마노프 합동[139] | |
카를 엠마누엘 로버트 프리케 | 1861 | 프리케 대합 | |
프랭크 넬슨 콜 | 1861 | M(67)의 반례 발견, 기압의 일변량, 콜 상 | |
프리드리히 엥겔 | 1861 | 엥겔 군, 엥겔 전개, 엥겔 정리 | |
쿠르트 빌헬름 제바스티안 헨젤 | 1861 | p-진수, 헨젤 보조 정리, 헨젤 환 | |
다비트 힐베르트 | 1862 | 힐베르트 공간, 힐베르트의 23가지 문제, 힐베르트 프로그램, 웨어링 문제 해결, 힐베르트 영점 정리 외 다수 | |
일라이어킴 헤이 스팅스 무어 | 1862 | 그물, 폐포 연산자 | |
프랜시스 소워비 매콜리 | 1862 | 코언-매콜리 환, 매콜리 쌍대성, 매콜리 종결식 | |
악셀 투에 | 1863 | 투에 정리, 투에 보조정리, 투에 방정식 등 | |
레너드 제임스 로저스 | 1862 | 로저스-라마누잔 항등식, 로저스 다항식, 횔더 부등식 | |
카를 헤르만 브룬 | 1862 | 브룬-민코프스키 정리, 브루니안 링크 | |
존 찰스 필즈 | 1863 | 필즈상 | |
코라도 세그레 | 1863 | 세그레 곡면, 세그레 큐빅, 제우텐-세그레 불변량 | |
라스 에드바르 프라그멘[140] | 1863 | 프라그멘-브라우어르 정리, 프라그멘-린델뢰프 원리 | |
윌리엄 헨리 영[141] | 1863 | 영의 정리, 하우스도르프-영 부등식, 영의 부등식, 영의 합성곱 부등식 | |
앙리 외젠 파데 | 1863 | 파데 근사 | |
윌리엄 포그 오스굿 | 1864 | 리만 사상 정리, 오스굿 곡선, 오스굿 정리, 오스굿 유일성 정리 | |
퀴르샤크 요제프 | 1864 | p-진수에 대한 대수적 절댓값을 도입 | |
찰스 프로테우스 스타인메츠 | 1865 | 스타인메츠 방정식, 페이저, 스타인메츠 다면체 | |
빌헬름 비르팅거 | 1865 | 비르팅거 도함수, 비르팅거 부등식, 비르팅거 표현 및 투영 정리, 비르팅거 매듭군의 표시 | |
귀도 카스텔누오보 | 1865 | 카스텔누오보 정리, 카스텔누오보 곡선 | |
윌렘 아브라함 위토프 | 1865 | 위토프 기호, 위토프 구성, 위토프 게임 | |
자크 아다마르 | 1865 | 소수정리 증명, 아다마르 곱, 아다마르 행렬, 아다마르 당구, 코시-아다마르 정리 | |
구스타브 더프리스[142] | 1866 | KdV 방정식(Korteweg–de Vries 방정식) | |
에리크 이바르 프레드홀름 | 1866 | 프레드홀름 방정식, 프레드홀름 연산자, 프레드홀름 이론 | |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 1866 | 소수정리 증명, 드 라 발레푸생 정리 | |
알프레드 타우버 | 1866 | 타우버 정리 | |
막심 보셰[143][144] | 1867 | 보셰 정리(복소 해석학), 보셰 정리(조화 함수), 보셰 방정식 | |
마르틴 빌헬름 쿠타 | 1867 | 룽게-쿠타 방법 | |
그레이스 에밀리 치숌 영[145] | 1867 | 당주아-영-삭스 정리 | |
게오르기 페오도시예비치 보로노이 | 1868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 |
펠릭스 하우스도르프 | 1868 | 하우스도르프 공간, 하우스도르프 차원, 하우스도프 극대 원리 | |
엠마누엘 라스커[146] | 1868 | 라스커-뇌터 정리, 라스커 환 | |
엘리 조제프 카르탕[147] | 1869 | 미분형식 발명, 스피너 개념 도입, 킬링 형식, 콤팩트 대칭 공간의 분류, 카르탕 접속 외 다수 | |
프리드리히 피우스 필리프 푸르트벵글러 | 1869 | 주 아이디얼 정리, 힐베르트 유체의 존재 증명, 쿠머-밴디버 추측 | |
앨런 하젠 | 1869 | 하젠-윌리엄스 방정식 | |
드미트리 표도로비치 예고로프 | 1869 | 예고로프 정리 | |
헬리에 본 코크 | 1870 | 코흐 곡선 | |
헨리 케번 포클링턴 | 1870 | 포클링턴-레머 소수판별법, 포클링턴 알고리즘 | |
에른스트 레너드 린델뢰프 | 1870 | 린델뢰프 가설, 린델뢰프 공간,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린델뢰프 정리, 프라그멘-린델뢰프 원리 | |
루이 바슐리에 | 1870 | 금융시장의 가격변동을 브라운 운동으로 모형화 | |
지노 파노 | 1871 | 파노 다양체, 파노 곡면, 갈루아 기하학 | |
펠릭스 에두아르 쥐스탱 에밀 보렐 | 1871 | 보렐 집합, 무한 원숭이 정리, 보렐 합,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하이네-보렐 정리 | |
아브라모 줄리오 움베르토 페데리고 엔리퀘스 | 1871 |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 엔리퀘스 곡면 | |
보리스 그리고리예비치 갤러킨 | 1871 | 갤러킨 방법 | |
에른스트 슈타이니츠 | 1871 | 초자연수, 슈타이니츠 클래스, 슈타이니츠 정리, 레비-슈타이니츠 정리 등 | |
에른스트 체르멜로 | 1871 | ZFC 공리계 | |
폴 히가드 | 1871 | 히가드 분해(splitting) | |
버트런드 러셀 | 1872 | 러셀의 역설, 유형 이론, 러셀의 기술이론 | 1950년 노벨 문학상 |
툴리오 레비치비타 | 1873 | 텐서 미적분학, 더 시터르 공간, 레비치비타 접속, 레비치비타 기호 | |
앨프리드 영 | 1873 | 영 타블로, 영 대칭기 | |
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 | 1873 | 카라테오도리 정리, 보렐-카라테오도리 정리, 단열 도달 가능성(Adiabatic accessibility) | |
카를 슈바르츠실트 | 1873 | 슈바르츠실트 계량,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 |
조지 에드워드 무어 | 1873 | 무어의 역설, 분석의 역설(랭퍼드-무어의 역설),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 | |
르네루이 베르 | 1874 | 베르 집합, 베르 공간, 베르 범주 정리, 제1 범주 집합, 준열린집합 | |
레너드 유진 딕슨 | 1874 | 케일리-딕슨 구성, 딕슨 다항식, 모듈러 불변식 이론 | 1928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어니스트 윌리엄 반스 | 1874 | 반스 적분, 반스 G 함수 | |
프리드리히 모리츠 하르톡스 | 1874 | 하르톡스 정리, 하르톡스 수, 하르톡스 확장 정리 | |
게르하르트 헤센베르크 | 1874 | 헤센베르크 합 | |
이사이 슈어 | 1875 | 슈어 부등식, 슈어 보조정리, 슈어 직교 관계, 슈어 분해 | |
다카기 데이지 | 1875 | 유체론, 다카기 곡선, 다카기의 존재 공리 | |
베포 레비 | 1875 | 레비 정리 | |
앙리 레옹 르베그 | 1875 | 르베그 측도, 르베그 적분 등 | |
주세페 비탈리 | 1875 | 비탈리 집합, 비탈리 덮개 정리, 비탈리 수렴 정리, 비탈리-한-삭스 정리 | |
프란체스코 파올로 칸텔리 | 1875 | 글리벤코-칸텔리 정리, 칸텔리 부등식, 보렐-칸텔리 보조정리 | |
에르하르트 슈미트 | 1876 | 그람-슈미트 과정, 힐베르트-슈미트 작용소 | |
폴 앙투안 아리스티드 몽텔 | 1876 | 몬텔 정리, 몬텔 공간, 정규 족 | |
윌리엄 실리 고셋 | 1876 | t분포 | |
G. H. 하디 | 1877 | 해석적 정수론, 하디-리틀우드 원 방법, 하디 부등식, 하디-바인베르크 원리, 리만 제타 함수의 임계선 위에 무한히 많은 수의 영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 | |
에드문트 란다우 | 1877 | 해석적 정수론, 란다우 함수,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점근 표기법, 란다우 소 아이디얼 정리 등 | |
프레더릭 소디 | 1877 | 소디의 헥슬렛[148], 소디의 원 | 1921년 노벨 화학상 |
제임스 호프우드 진스 | 1877 | 레일리-진스 법칙, 진스 방정식, 진스 정리, 진스 불안정성 | |
게오르그 칼 빌헬름 하멜 | 1877 | 하멜 기저, 하멜 함수, 제프리-하멜 흐름 | |
아그너 크라루프 얼랭[149] | 1878 | E(Erlang)[150], Teletraffic engineering[151], 대기행렬이론(큐잉 이론)[152], 얼랭 분포 | |
발터 하인리히 빌헬름 리츠 | 1878 | 레일리-리츠 방법, 뤼드베리-리츠 조합 원리, 리츠 방법 | |
피에르 조셉 루이스 파투 | 1878 | 파투 보조정리, 파투 정리, 파투 집합, 파투-르베그 정리 | |
에드워드 카스너 | 1878 | 카스너 계량, 구골 | |
레오폴트 뢰벤하임 | 1878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
모리스 르네 프레셰 | 1878 | 거리 공간, 콤팩트, 프레셰 공간, 리스 표현 정리 | |
막스 빌헬름 덴 | 1878 | 덴의 보조정리, 덴 불변량, 힐베르트 3번 문제 해결 | |
얀 우카시예비치 | 1878 | 폴란드 표기법, 우카시예비치 논리 | |
귀도 푸비니 | 1879 | 푸비니 정리, 푸비니-슈투티 계량 | |
로버트 카마이클 | 1879 | 카마이클 수 | |
프란체스코 세베리 | 1879 | 네롱-세베리 군, 세베리-브라우어 대수다양체 | |
마르게리타 피아졸라 벨로흐[153] | 1879 | 벨로흐 접기[154] | |
한스 한 | 1879 | 한-바나흐 정리 등 | |
니콜라이 미트로파노비치 크릴로프 | 1879 | 크릴로프-보골류보프 정리, Describing function | |
파울 에렌페스트 | 1880 | 에렌페스트 정리, 에렌페스트 역설, 에렌페스트 방정식 | |
리스 프리제시 | 1880 | 리스 표현정리, 리스의 보조정리, 리스 공간, 하디 공간, 당주아-리스 정리 | |
리포트 페예르 | 1880 | 페예르 정리, 페예르 커널 | |
세르게이 나타노비치 베른시테인 | 1880 | 베른시테인 대수, 베른세테인 정리, 선험적 추정 | |
오즈월드 베블런[155] | 1880 | 베블런-영 정리, 베블런 함수, 조르당 곡선 정리 | |
하인리히 프란츠 프리드리히 티체 | 1880 | 티체 변환, 티체 그래프 |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바실리예프 | 1880 | 초일관 논리와 다치논리의 선구자 | |
구스타프 헤르글로츠 | 1881 | 헤르글로츠-뇌터 정리, 헤르글로츠-리스 정리 | |
라위천 에흐베르튀스 얀 브라우어르[156] | 1881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털난 공 정리, 브라우어르 차수, Bar induction | |
군나르 노르드스트룀 | 1881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칼루차-클레인 이론 | |
오토 퇴플리츠 | 1881 | 퇴플리츠 행렬, 퇴플리츠 연산자, 실버만-퇴플리츠 정리 | |
조지프 헨리 맥라건 웨더번 | 1882 | 아틴-웨더번 정리, 웨더번 정리, 웨더번-에더링턴 수 | |
파울 쾨베 | 1882 | 균일화 정리, 쾨베 함수, 쾨베 1/4 정리, 원 채우기 정리(Circle packing theorem) | |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 1882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도달 불가능한 기수, 폴란드 공간 | |
에미 뇌터 | 1882 | 가환 대수학에 공헌, 뇌터 정리, 뇌터 환, 라스커-뇌터 정리 | |
해리 슐츠 밴디버 | 1882 | 컴퓨터를 이용해 2521까지의 소수 n에 대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 쿠머-밴디버 추측 | 193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막스 보른 | 1882 | 보른 급수, 보른 방정식 등 | 1954년 노벨 물리학상 |
제임스 머서 | 1883 | 머서의 정리, Positive-definite kernel | |
에릭 템플 벨 | 1883 | 벨 수, 벨 급수 | 1924년 보셰 기념상 |
클라렌스 어빙 루이스 | 1883 | 양상 논리, Strict conditional | |
프리드리히 파울 말로 | 1883 | 말로 기수 |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루진 | 1883 | 기술적 집합론, 루진 정리, 루진-당주아 정리, 당주아-루진-삭스 정리 | |
아르노 당주아 | 1884 | 루진-당주아 정리, 당주아-칼레만-알포르스 정리 등 | |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 1884 | 버코프 에르고딕 정리, 버코프 공리 | 1923년 보셰 기념상 |
피터 조지프 윌리엄 디바이 | 1884 | 디바이 모형, 디바이-휘켈 방정식, 디바이 함수, 디바이 주파수, 디바이 차폐 | 1936년 노벨 화학상 |
에두아르 헬리 | 1884 | 헬리 정리, 헬리 족, 헬리 선택 정리, 헬리-브레이 정리 | |
루제로 토렐리 | 1884 | 토렐리 정리 | |
솔로몬 렙셰츠 | 1884 | 렙셰츠 고정점 정리, 렙셰츠 초평면 정리, 렙셰츠 다양체, 렙셰츠 원리 | 1924년 보셰 기념상 |
쾨니그 데네시 | 1884 | 쾨니그의 정리[157], 쾨니그 보조정리, 헝가리안 알고리즘 | |
레오니다 토넬리 | 1885 | 토넬리 정리 | |
마우로 피코네 | 1885 | 스튀름-피코네 비교 정리, 피코네 항등식 | |
존 에든스너 리틀우드 | 1885 | 스큐스 수, 리틀우드-페일리 이론, 하디-리틀우드 원 방법, 리틀우드 추측, 리만 제타 함수의 임계선 위에 무한히 많은 수의 영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 | |
빌헬름 요한 오이겐 블라슈케 | 1885 | 적분 기하학(integral geometry), 블라슈케 선택 정리, 블라슈케 곱, 블라슈케-산탈로 부등식 | |
니콜라스 미노르스키 | 1885 | PID 제어기(PID controller)[158] | |
알프레드 하르 | 1885 | 하르 측도, 하르 웨이블릿, 하르 변환 | |
비고 브룬 | 1885 | 브룬 정리, 브룬 상수, 브룬 체(Brun sieve) | |
자크 투샤르 | 1885 | 투샤르 다항식 | |
닐스 헨리크 다비드 보어 | 1885 | 상보성의 원리, 코펜하겐 해석, 보어 모형 | 1922년 노벨 물리학상 |
카케야 소이치 | 1886 | 카케야 바늘 문제, 카케야 집합(베시코비치 집합) | |
스타니슬라프 레시니예프스키[159] | 1886 | 부분론(mereology) | |
파울 게오르그 펑크[160] | 1886 | 펑크 변환(Funk transform) | |
폴 피에르 레비 | 1886 | 레비 확률 과정, 린데베르그-레비 중심 극한 정리, 마팅게일 | |
하인리히 브란트 | 1886 | 준군(groupoid)을 도입함 | |
리스 머르첼 [161] | 1886 | 리스 평균, 리스 포텐셜, 리스 확장 정리, 리스-토린 정리, 리스 변환 | |
루트비히 게오르크 엘리아스 모제스 비버바흐 | 1886 | 비버바흐 추측, 표도로프-쇤플리스 정리를 고차원으로 일반화함 | |
브와디스와프 후고 디오니지 스테인하우스 | 1887 | 결정 공리, k-평균 알고리즘, 균등 유계성 원리 | |
발터 마이어 | 1887 | 마이어-피토리스 열 | |
토랄프 알버트 스콜렘 | 1887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스콜렘 산술 | |
오톤 마르친 니코딤 | 1887 | 라돈-니코딤 정리, 니코딤 집합 | |
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 | 1887 | 슈뢰딩거 방정식, 레일리-슈뢰딩거 섭동 이론, 슈뢰딩거의 고양이 | 1933년 노벨 물리학상 |
에리히 헤케 | 1887 | 모듈러 형식, 헤케 지표, 헤케 연산자, 헤케 L 함수 | |
포여 죄르지 | 1887 | 포여 열거 정리, 순환 지표, 포여 추측, 포여 부등식 | |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라돈 | 1887 | 라돈-니코딤 정리, 라돈 측도, 라돈 변환 |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1887 | 라마누잔합, 택시 수, 목 세타 함수, 라마누잔-피터슨 추측,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등 | |
리하르트 쿠란트 | 1888 | 유한요소법,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쿠란트 최소극대 원리 | |
루이스 조엘 모델 | 1888 | 모델 곡선, 모델-베유 정리, 차우라-모델 정리, 모델 추측 | |
조르주 다르모아 | 1888 | 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쿠프만-다르모아 정리, 다르모아-스키토비치 정리 |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프리드만 | 1888 | 프리드만 방정식, FLRW 계량 | |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 2세 | 1888 | 알렉산더 다항식,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등 | 1928년 보셰 기념상 |
스테판 마주르키예비치 | 1888 |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한-마주르키예비치 정리 | |
모지즈 일리치 쇤핑클[162] | 1888 | 조합 논리(Combinatory logic), 베르나이스-쇤핑클 클래스, 커링(Currying) | |
파울 이자크 베르나이스 | 1888 | NBG 집합론[163] | |
랄프 빈턴 리옹 하틀리 | 1888 | 하틀리 변환, 하틀리 법칙, 섀넌-하틀리 정리 | |
해리 나이퀴스트 | 1889 | 나이퀴스트-섀넌 표본화 정리 등 | |
레옹 니콜라 브릴루앙 | 1889 | WKB 근사, 브릴루앙 영역, 아인슈타인-브릴루앙-켈러 방법, 브릴루앙 함수 | |
로널드 피셔 | 1890 | 최대가능도 방법, 귀무 가설, 분산, 분산 분석, 우도(가능도) | |
보리스 니콜라예비치 델로네 | 1890 | 델로네 삼각분할 | |
야코프 닐센 | 1890 | 닐센 변환, 닐센 이론, 덴-닐센 정리, 닐센-슈라이어 정리, 닐센-서스턴 분류, 펜첼-닐센 좌표 | |
에우제니오 주세페 톨리아티[164] | 1890 | 톨리아티 곡면[165] | |
아브람 사모일로비치 베시코비치 | 1891 | 베시코비치 덮개 정리, 하우스도르프-베시코비치 차원, 베시코비치 거의 주기적인 함수, 베시코비치 집합(카케야 집합) | |
아브라함 프렝켈 | 1891 | ZFC 공리계 | |
에게르바리 예뇌 | 1891 | 쾨니그 정리, 헝가리안 알고리즘 | |
해롤드 제프리스[166] | 1891 | WKB 근사, 제프리스 사전분포(Jeffreys prior), 제프리스-린들리 역설[167] | |
루돌프 카르나프[168] | 1891 | 램지 문장(Ramsey sentence)[169], 확증도(degree of confirmation) | |
레오폴드 피토리스 | 1891 | 마이어-피토리스 열, 피토리스 위상, 피토리스 호몰로지 | |
에밀 율리우스 굼벨 | 1891 | 굼벨 분포, 극단치 이론(Extreme Value Theory) | |
이반 비노그라도프 | 1891 | 비노그라도프 정리,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 등 | |
해럴드 캘빈 마스턴 모스 | 1892 | 모스 이론, 투에-모스 수열 | 1933년 보셰 기념상 |
스테판 바나흐 | 1892 | 바나흐 공간, 바나흐 대수, 한-바나흐 정리,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균등 유계성 원리 외 다수 | |
헤르만 로렌츠 퀴네트 | 1892 | 퀴네트 정리 | |
토르스텐 칼레만 | 1892 | 칼레만 조건, 칼레만 부등식, 칼레만 방정식 등 | |
가스통 쥘리아 | 1893 | 쥘리아 집합 | |
브로니스와프 크나스테르 | 1893 |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크나스테르-타르스키 정리 | |
카를 뢰브너 | 1893 | 수축 기하학, 수축량, 뢰브너 미분방정식 | |
에두아르트 체흐 | 1893 | 체흐 코호몰로지, 체흐 신경, 스톤-체흐 콤팩트화, 르베그 덮개 차원 | |
조셉 펠스 리트 | 1893 | 미분 대수, characteristic set | |
하랄드 크라메르 | 1893 | 크라메르 추측, 크라메르-라오 하한, 크라메르 분해 정리, 크라메르 정리 | |
알렉산드르 오스트로우스키[170] | 1893 | 오스트로우스키 정리, 오스트로우스키-아다마르 간격 정리 | |
쿠르트 라이데마이스터 | 1893 | 매듭이론,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라이데마이스터 비틀림 | |
안드레 블로흐[171] | 1893 | 블로흐 정리, 블로흐 상수 | |
쿠르트 헤그너 | 1893 | 헤그너 수, 헤그너 보조정리, 스타크-헤그너 정리, 가우스 유수 문제 | |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 1894 |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크라머르스 축퇴 정리, 크라머르스-모얄 확장 | |
파울 핀슬러 | 1894 | 핀슬러 다양체, 핀슬러-하드비거 정리, 핀슬러 기하학, 핀슬러 공간 | |
예르지 네이만 | 1894 | 신뢰 구간, 네이만-피어슨 보조정리, 대립 가설 | |
니콜라이 그리고리예비치 체보타리오프[172] | 1894 | 체보타리오프 밀도 정리, 1의 거듭제곱근에 대한 체보타리오프 정리 | |
칼 에이나르 힐레[173] | 1894 | 추상 미분방정식(abstract differential equation), 힐레-요시다 정리(Hille–Yosida theorem), 보넨블러스트-힐레 부등식(Bohnenblust–Hille inequality) | |
알렉산드르 야코블레비치 킨친 | 1894 | 킨친 상수, 킨친의 정리, 위너-킨친 정리, 폴라젝-킨친 공식 | |
미하일 야코블레비치 수슬린 | 1894 | 수슬린 가설, 해석적 집합 | |
하인츠 호프 | 1894 | 매듭이론, 푸앵카레-호프 정리, 호프 대수, 호프 불변량, 호프 올뭉치, 호프 다양체 | |
노버트 위너 | 1894 | 페일리-위너 정리, 위너-킨친 정리, 위너-윈트너 정리, 위너 필터, 위너 확률 과정 외 다수 | 1933년 보셰 기념상 |
가보 세고[174] | 1895 | 세고 다항식, 그레이스-월쉬-세고 정리, 세고 극한 정리, 세고 커널 | |
카를 아우구스트 라인하르트 | 1895 | 라인하르트 다각형, 힐베르트의 18번째 문제의 두 번째 부분을 해결[175] | |
스테판 버그만 | 1895 | 버그만 커널, 버그만 공간, 버그만 계량 | |
티보르 라도 | 1895 | 플라토 문제 해결, 라도의 정리(리만 곡면), 라도의 정리(조화 함수), 바쁜 비버, | |
이건 피어슨[176] | 1895 | 네이먼-피어슨 보조정리, 대립 가설 | |
쿠퍼 해롤드 랭퍼드 | 1895 | 분석의 역설(무어-랭퍼드 역설), S5(양상 논리)[177] | |
조셉 레오나르드 월시 | 1895 | 그레이스-월쉬-세게 정리, 월시 함수, 월시-르베그 정리 | |
롤프 헤르만 네반린나[178] | 1895 | 네반린나 이론, 네반린나 판정법, 네반린나 함수 | |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 1896 | 초른의 보조정리, 쿠라토프스키 정리,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정리 | |
빌헬름 프리드리히 아커만 | 1896 | 아커만 함수, 아커만 서수, 아커만 집합론 | |
파벨 세르게예비치 알렉산드로프 | 1896 | 알렉산드로프 콤팩트화, 체흐 코호몰로지 | |
이보 라흐 | 1896 | 라흐 수 | |
에른스트 파울 하인즈 프뤼퍼[179] | 1896 | 프뤼퍼 열, 프뤼퍼 정리, 프뤼퍼 군, 프루퍼 다양체 | |
발레리 이바노비치 글리벤코 | 1896 | 글리벤코 정리, 글리벤코-스톤 정리, 글리벤코-칸텔리 정리 | |
카를 루트비히 지겔 | 1896 | 지겔 모듈러 형식, 스미스-민코프스키-지겔 질량 공식, 브라우어-지겔 정리 | 1978 울프상 수학 부문 |
에밀 레온 포스트 | 1897 | 포스트의 정리, 포스트-튜링 기계, 포스트 대응 문제, 포스트 격자, 포스트 반전 공식(Post's inversion formula) | |
제시 더글라스 | 1897 | 플라토 문제 해결, 페트르-더글라스-노이만 정리, 헬름홀츠 조건 | 1936년 필즈상, 1943년 보셰 기념상 |
에드윈 제임스 조지 피트먼 | 1897 | 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 근접성 판정법, 피트먼-쿠프만-다르모아 정리 | |
스타니스와프 삭스 | 1897 | 비탈리-한-삭스 정리, 당주아-루진-삭스 정리, 당주아-영-삭스 정리 | |
파벨 사무일로비치 우리손 | 1898 | 우리손 공간, 우리손 보조정리 | |
에밀 아틴[180] | 1898 | 아르틴 환, 아틴 대수, 아르틴 상호법칙, 아틴 당구, 힐베르트의 17번 문제 해결 | |
헬무트 크네저[181] | 1898 | 3차원 다양체의 소 분해(Prime decomposition)의 존재 증명, Normal surface, 크네저-하켄 유한성 | |
아런트 헤이팅 | 1898 | 헤이팅 산술, 헤이팅 대수, 직관 논리 | |
리처드 트렐켈드 콕스 | 1898 | 콕스의 정리[182] | |
헬무트 하세 | 1898 | 하세-베유 제타 함수,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하세-아르프 정리 | |
라파엘 살렘[183] | 1898 | 살렘-스펜서 집합, 살렘 수 | |
오스카 자리스키 | 1899 | 자리스키 위상, 자리스키 접공간, 자리스키 환 | 194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1981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에드워즈 찰스 티치마시 | 1899 | 티치마시-코다이라 공식, 브룬-티치마시 정리, 티치마시 정리 | |
잘로몬 보흐너 | 1899 | 보흐너 적분, 보흐너 정리 | |
볼프강 크룰 | 1899 | 크룰 차원, 크룰 높이 정리, 크룰 환 | |
율리우시 파베우 샤우데르 | 1899 | 샤우데르 기저, 열린 사상 정리, 샤우데르 고정점 정리, 바나흐-샤우데르 정리 | |
라자리 아로노비치 류스테르니크 | 1899 |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세 개의 측지선 정리,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정리 | |
스탠리 스큐스 | 1899 | 스큐스 수 | |
베르나르 오스굿 쿠푸만 | 1900 | 지수족(exponential family), 피트먼-쿠푸만-다르모아 정리, 쿠푸만-폰 노이만 고전역학 | |
하스켈 브룩스 커리[184] | 1900 | 조합 논리(Combinatory logic), 커리-하워드 대응, 커리의 역설 | |
안토니 지그문트 | 1900 | 칼데론-지그문트 분해, 페일리-지그문트 부등식, 칼데론-지그문트 커널 | |
구스타프 도빈스키 | 미상 | 도빈스키 공식 |
6. 20세기
6.1. 1901 ~ 191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01~191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2. 1911 ~ 192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11-192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
6.3. 1921 ~ 193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21-193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4. 1931 ~ 194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31년-194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5. 1941 ~ 195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41년-195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6. 1951 ~ 196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51-196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7. 1961 ~ 197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61-197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8. 1971 ~ 198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71-198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9. 1981 ~ 1990년 출생
자세한 내용은 수학자/목록/1981-1990년 출생 문서 참고하십시오.6.10. 1991 ~ 2000년 출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85] |
리사 피치릴로 | 1991 | 콘웨이 매듭이 슬라이스(Slice) 매듭이 아님을 증명 | |
앙투안 송 | 1992 | 야우 추측을 증명함 | |
윌 사윈 | 1993 | 쌍둥이 소수와 골드바흐 추측의 유사체를 함수체 맥락에서 확립하고, 뫼비우스 함수의 상관관계에 대한 차우라(Chowla)의 추측과 N^2 + 1 형태의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란다우의 추측의 유사체를 함수체 환경에서 증명 | |
자레드 뒤커 리히트만 | 1996 | 에르되시 소수성 집합(primitive set) 추측 증명 | |
아슈윈 사[186] | 1999 | 임의의 고차 둘레(High-girth)를 가지는 슈타이너 삼중계(Steiner triple system)의 존재를 증명 |
6.11. 2001 ~ 2010년 출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87] |
다니엘 라슨[188][189] | 2003 | 카마이클 수에 대한 베르트랑 공준을 증명 |
7. 출생 년도 미상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90] |
게리 밀러 | 미상 |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 |
마르틴 퓌러 | 미상 | 퓌러 알고리즘 | |
예브세이 니스네비치 | 미상 | 니스네비치 위상 | |
커티스 그린 | 미상 | 그린-클라이트먼 정리 | |
히라구치 도시오 | 미상 | 히라구치 정리 | |
루이스 솔로몬 | 미상 | 올리크-솔로몬 대수,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 |
잭 매클로플린 | 미상 | 매클로플린 산재군 | |
존 벤저민 프리드렌더 | 미상 | 프리드렌더-이와니에크 정리 | |
윌리엄 플로이드 | 미상 | 플로이드 경계, 모든 비압축성 곡면을 원위에 뚫린 토러스 번들(punctured-torus bundles over the circle)로 분류 | |
시우옌청 | 미상 |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와 몽주-앙페르 방정식의 경계 값 문제 해법 제시, 청의 고윳값 비교 정리, 청의 지름 강성 정리 | |
프란시스코 타이네 | 미상 | 타이네(Thaine) 정리 | |
빌 토이 | 미상 | 블랙-더만-토이 모형 | |
표트르 카라신스키 | 미상 | 블랙-카라신스키 모형 | |
로버트 주에트 | 미상 | 헤일스-주에트 정리 | |
존 마이클 슐레싱어 | 미상 | 변형 함자, 슐레싱어 정리, 슐레싱어 표현 정리, 리치텐바움-슐레싱어 함자 | |
폴 터윌리거 | 미상 | 테르윌리거 대수(Terwilliger algebra) | |
조지 루파이너 | 미상 | 루파이너(Ruppeiner) 기하학, 루파이너 계량 | |
필립 스메츠 | 미상 | 피그니스틱(pignistic) 확률, 이동 가능한 믿음 모델(Transferable belief model)[191] | |
천슈슝[192] | 미상 |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마이클 허칭스 | 미상 | 매장된 접촉 호몰로지, 이중 거품 추측 증명 | |
J.M.C 클라크 | 미상 | 클라크-오콘 정리 | |
파올로 카시니 | 미상 |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 |
팀 오스틴 | 미상 | 에르고딕 이론에 여러 공헌 특히 약한 핀스커(Pinsker) 추측의 증명 | 2020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
이중범 | 미상 | 버어-에르되시 추측 증명 | |
존 에드윈 루케 | 미상 |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고든-루케 정리 | |
세르게이 라이몬도비치 트레일[193] | 미상 | 한켈 및 퇴플리츠 연산자 이론에 기여 | 1993년 살렘상 |
다펑 잔[194] | 미상 | 슈람-뢰브너 진화에 대한 뛰어난 작업. 특히 가역성과 쌍대성 추측의 증명 | 2011년 살렘상 |
데이비드 그로브먼 | 미상 | 하트먼-그로브먼(Hartman–Grobman) 정리 | |
모르데차이 모티 기틱[195] | 미상 | 모든 비가산 기수는 특이 기수라는 것의 일관성을 증명[196] | 2013년 카프상 |
로버트 어빙 소아르 | 미상 | 낮은 기저 정리(Low basis theorem), 조쿠시-소아르(Jockusch–Soare) 강제법 | |
어윈 굿맨[197] | 미상 |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굿맨-응우옌-워커 대수 | |
훙 투안 응우옌[198] | 미상 | 굿맨-응우옌-반 프라센 대수, 굿맨-응우옌-워커 대수 | |
야코프 피터질[199] | 미상 | O-최소 구조(o-minimal structures)를 대수 및 실해석, 복소해석의 문제에 적용 | 2013년 카프상 |
세르게이 스테파노비치 스타르첸코[200] | 미상 | O-최소 구조(o-minimal structures)를 대수 및 실해석, 복소해석의 문제에 적용 | 2013년 카프상 |
새뮤얼 퍼거슨 | 미상 | 케플러의 추측 증명 |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이청 장[201] | 미상 | KPZ 방정식 | |
다카시 야기사와 | 미상 | 확장된 양상 실재론(Extended modal realism)[202] | |
마리안테 엘리자베스 말리아리스 | 미상 | 모형 이론의 구성인 카이슬러(Keisler)를 순서를 사용하여 가장 작은 무한 기수보다 크고 연속체의 기수보다 작거나 같은 연속체의 두 가지 기본 특성 𝖕 및 𝖙 간의 동등성을 증명[203], 카이슬러(Keisler) 순서의 최대성이 순순서 속성으로 특징 지어지지 않고 SOP2라는 약한 순서 속성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모형 이론에서 40년 된 문제를 해결함[204] | 2017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니킬 스리바스타바[205] | 미상 | 캐디슨-싱어 문제[206] 해결 | |
조엘 프리드먼 | 미상 | 강화된 한나 노이만 추측 증명[207] | |
이고르 미네예프[208] | 미상 | 강화된 한나 노이만 추측 증명 | |
제레미 샬로핀[209] | 미상 | 샤이너만(Scheinerman) 추측 증명[210] | |
다니엘 곤살베스[211] | 미상 | 샤이너만(Scheinerman) 추측 증명 | |
헨리크 헤흐트[212] | 미상 | 블래트너(Blattner) 추측[213] 증명 | |
마크 데이비드 하이먼 | 미상 | N! 추측과 맥도날드 양성(Macdonald positivity) 추측[214] 증명 | |
하오 황 | 미상 | 민감도(Sensitivity) 추측[215] 증명 | |
크지슈토프 쿠르디카[216] | 미상 |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217] 증명 | |
타데우시 모스토프스키[218] | 미상 |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아담 파루신스키[219] | 미상 | 르네 톰의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블라디미르 체르노소프[220] | 미상 | 타마가와 수에 대한 베유 추측[221] 증명 | |
케턴 멀뮬리[222] | 미상 | 기하학적 복잡도 이론(Geometric complexity theory)[223] | |
밀린드 소호니[224] | 미상 | 기하학적 복잡도 이론(Geometric complexity theory) | |
이브 베누이스트[225] | 미상 | 콤팩트하고 음으로 구부러진(negatively curved) 다양체의 아노소프 흐름(Anosov flows)에 대한 오래된 열린 추측을 증명[226], 퀸트와 함께 퓌르스텐베르크의 추측을 증명[227] | 2011년 클레이 연구상 |
장 프랑수아 퀸트[228] | 미상 | 베누이스트와 함께 퓌르스텐베르크의 추측을 증명 | 2011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드 비콜[229] | 미상 | 3차원에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가 유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는 약한 해 클래스에서 유일하지 않음을 증명 | 2019년 클레이 연구상 |
기오르기 자파리드제[230] | 미상 | 계산가능성 논리[231], Cirquent calculus, Japaridze's polymodal logic [232] | |
데시오 크라우스[233] | 미상 | 슈뢰딩거 논리[234] | |
아론 브라운 | 미상 | 짐머 추측[235]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세바스찬 후르타도 살라자르[236] | 미상 | 짐머 추측을 증명 | 2022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데이비드 피셔 | 미상 | 짐머 추측을 증명 | |
헨리 유엔[237] | 미상 |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238]과 치렐슨 문제[239]가 거짓임을 증명 | |
젱펭 지[240] | 미상 |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아난느 나타라얀[241] | 미상 |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토머스 비딕[242] | 미상 |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존 라이트[243] | 미상 | MIP*=RE 임을 증명, 콘의 임베딩 추측과 치렐슨 문제가 거짓임을 증명 | |
게나디 게오르기에비치 카스파로프[244] | 미상 | KK-이론[245] | |
다비트 보리소비치 유딘 | 미상 | 타원체 방법(Ellipsoid method), convex extremal problem에 대한 정보 복잡성 및 효과적인 해결법[246] |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드미트리 이힐로비치 팔리크만 | 미상 | 모든 항목이 동일한 행렬이 이중 확률 행렬 중 가장 작은 퍼미넌트(Permanent)을 갖는다는 판데르바르던 추측 증명 |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유리 구레비치 | 미상 | 추상 상태 기계(Abstract state machine), Forgetful Determinacy Theorem | |
자크 저스틴 | 미상 | 후지타-하토리 공리 | |
코시히로 하토리 | 미상 | 후지타-하토리 공리 | |
피터 메서 | 미상 | 종이접기 작도에서 입방배적문제(델로스 문제) 해결 | |
윌프리드 부흐홀츠 | 미상 | 부흐홀츠 프사이 함수[247], 부흐홀츠 서수, 다케우치-페퍼만-부흐홀츠(Takeuti–Feferman–Buchholz ordinal) 서수 | |
D.J. 슈미스(D. J. shoesmith) | 미상 | 다중 결론 논리(Multiple-Conclusion Logic) | |
신이 위안[248] | 미상 | 평균 콜메즈 추측(Averaged Colmez Conjecture) 증명 | |
후이 투안 팜 | 미상 | 칸-칼라이 추측 증명 | |
가즈오 하비로 | 미상 | 클래스퍼 계산(Clasper calculus) 도입 | |
울리히 슈투흘러[249] | 미상 | 양의 표수의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GL(n,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 |
제임스 뉴턴 | 미상 | holomorphic modular newform의 모든 대칭 거듭제곱의 자기동형을 증명 | 2023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24년 클레이 연구상 |
오스카 랜달-윌리엄스[250] | 미상 | 고차원적 다양체와 그들의 미분동형사상 군에 대한 이해에 심오한 기여 | 2022년 클레이 연구상 |
블라디미르 베르코비치[251] | 미상 | 베르코비치 공간[252] | |
데이비드 아스페로[253] | 미상 | 마틴 최대 공리의 강력한 형태인 MM++가 우딘의 (*) 공리를 암시한다는 것을 보임 | 2022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
사라 앤 펠루세[254] | 미상 | 이산 조화 해석학 및 에르고딕 이론에 적용할 수 있는 등차 수열의 다항식 구성에 대한 정량적 밀도 정리에 관한 작업을 포함하여 가법적 조합론(additive combinatorics) 및 관련 분야에 기여 | 2023년 살렘상 |
롤랜드 바우어슈미트[255] | 미상 | 확률론 및 재규격화군의 기술적 개발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함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마이클 그뢰체니그[256] | 미상 | 강체 국소계(rigid local system) 이론과 거울 대칭 및 기본 보조 정리에 대한 p진 적분 적용에 대한 기여 | 2024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
예시카 핀트젠[257] | 미상 | “Types for tame p-adic groups”라는 논문에서 유[258]의 구성에 대한 소진 정리를 증명 | 2024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앨프리드 리먼[259] | 미상 | 폭-길이 부등식과 퇴화 사영 평면[260] | 199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니콜라이 예브게니예비치 므네프 | 미상 | 므네프(Mnëv) 보편성 정리[261] | 199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미켈란젤로 콘포르티[262] | 미상 | 균형된 행렬(balanced matrices)의 다항시간 인식 알고리즘 | 2000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멘두 람모한 라오[263] | 미상 | 균형된 행렬(balanced matrices)의 다항시간 인식 알고리즘 | 2000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알버르트 헤라르츠[264] | 미상 | GF(4)의 경우에서 로타의 제외된 마이너 추측을 증명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아자이 카푸르[265] | 미상 | GF(4)의 경우에서 로타의 제외된 마이너 추측을 증명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버트런드 게닌[266] | 미상 | 약하게 이분화된 그래프의 제한된 마이너의 특성화(forbidden minor characterization)[267]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이와타 사토루 | 미상 | 서브모듈러 최소화(submodular minimization)가 강한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보임[268]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후지시게 사토루 | 미상 | 서브모듈러 최소화(submodular minimization)가 강한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보임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리사 플라이셔[269] | 미상 | 서브모듈러 최소화(submodular minimization)가 강한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보임 |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에릭 비고다[270] | 미상 | 음이 아닌 행렬의 퍼머넌트에 대한 다항 시간 근사 알고리즘 |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사티시 라오[271] | 미상 | [math(O(\log n))]에서 [math(O(\sqrt {\log n}))]로 그래프 구분자(graph separators) 및 관련 문제의 근사비(approximation ratio) 향상 |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우메시 바지라니[272] | 미상 | [math(O(\log n))]에서 [math(O(\sqrt {\log n}))]로 그래프 구분자(graph separators) 및 관련 문제의 근사비(approximation ratio) 향상 |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안드레스 요한손[273] | 미상 | 랜덤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서로소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변의 밀도의 하한 결정 |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세게디 발라즈[274] | 미상 | 밀집 그래프 시퀀스에서 부분 그래프 다중성을 특성화함[275] |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피터 앨런 | 미상 | 그레프의 색칠 임계값(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 |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로버트 모리스 | 미상 | 그레프의 색칠 임계값(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 |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사이먼 그리피스 | 미상 | 그레프의 색칠 임계값(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 |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줄리아 뵈쳐[276] | 미상 | 그레프의 색칠 임계값(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 |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토마스 로스보스[277] | 미상 | 매칭 다포체(matching polytope)의 확장 복잡도(Extension complexity)[278] |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벨라 차바[279] | 미상 | 1-factorization 및 해밀턴 분해 추측의 증명 |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앨런 로[280] | 미상 | 1-factorization 및 해밀턴 분해 추측의 증명 |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앤드루 트레글라운[281] | 미상 | 1-factorization 및 해밀턴 분해 추측의 증명 |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
폴 넬슨 | 미상 | 보형 형식의 해석 이론에 대한 획기적인 공헌[282] | 2024 클레이 연구상 |
윌리엄 웨지[283] | 미상 | 웨지 계층(Wadge hierarchy)[284], 웨지 보조정리, 웨지 게임 | |
조엘 모레이라 | 미상 | 에르되시 합집합 추측 증명 | |
플로리안 칼 리히터 | 미상 | 에르되시 합집합 추측 증명 | |
도널드 로버트슨 | 미상 | 에르되시 합집합 추측 증명 | |
한스 웬즐[285] | 미상 | 버먼-웬즐 대수(Birman–Wenzl algebra) | |
무라카미 준 | 미상 | 버먼-웬즐 대수(Birman–Wenzl algebra) | |
젠 딩[286] | 미상 | 큰 k에 대한 충족 가능 추측 증명, 모든 그래프 G의 cover time이 G의 가우시안 자유장의 예상 최대값의 제곱과 동일하며, G의 간선(edge)의 수로 스케일링됨을 보임, 리우빌 양자중력의 이산 버전에서 γ가 충분히 0에 가까운 값을 가질 때 측지선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1보다 크다는 사실을 증명 | 2023년 루에브상 |
더스틴 클라우센 | 미상 | 콘덴스드 수학(Condensed Mathematics) 창시[287] | |
마틴 하일랜드 | 미상 | 유효 토포스(effective topos) | |
에릭 장 폴 어반 | 미상 | 모듈러 형식에 대한 '이와사와 이론의 주요 추측(Main conjecture of Iwasawa theory)'을 많은 경우에 대해서 증명함[288] |
[1]
특히 20세기 이전은 수학과 물리학의 분리가 완전하지 않아 수학자이면서 물리학자, 천문학자, 공학자였던 학자가 대다수였다.
[2]
ex. 에드워드 위튼, 위고 뒤미닐코팽의 필즈상 수상,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의 밀레니엄 난제 등재.
[3]
Baudhayana
[4]
Dharmasutra Apastambha
[5]
원주각이 직각이라는 걸 증명
[6]
아래에 있는 파르메니데스와 철학적 라이벌 관계이다.
[7]
제논의 스승.
[8]
묵자의 사상을 기록한 책 중에서《경상(經上)》, 《경하(經下)》, 《경설상(經說上)》, 《경설하(經說下)》, 《대취(大取)》, 《소취(小取)》 6편의 책을 따로 묵경(墨經) 또는 묵변(墨辯))이라고 부르는데 논리학과 자연과학에 관련된 논문집이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묵자 문서의 7. 서적 墨子 부분 참고바람
[9]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히포크라테스와 다른 사람으로 구별을 위해서 출신지를 앞에 쓴다.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코스의 히포크라테스라고 부른다.
[10]
직각삼각형의 각 변 a, b, c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 a¹, b¹, c¹가 있고 c가 가장 긴 변일 때 a¹+b¹+직각삼각형의 넓이-c¹=직각삼각형의 넓이. 그렇다. 이항하면 이거
피타고라스의 정리다. 초승달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은 c¹을 뺐을 때 남은 a¹과 b¹이 마치 초승달처럼 생겼기 때문.
[11]
플라톤 다면체라고 부르기도 함
[12]
정확히는 볼록 정다면체
[13]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주요 사상가이다.
[14]
10개의 명제로 각각의 명제들은 모두 모순된 명제이다 자세한 사항은
혜시 문서를 참고
[15]
제논의 역설들 중에서 화살의 역설과 같은 내용을 논하였다.
[16]
물론 유클리드가 기하학을 시작했다는건 아니다, 인류의 기하에 대한 탐구는 고대 그리스 이전 고대의 바빌로니아, 이집트 때 부터 이미 있어 왔지만 그를 기하학의 아버지라고 부를 만한 이유는 그 이전까지는 파편적이었던 당시까지 알려진 기하학적인 내용들에서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이는
공리라는 것을 뽑아내고 이로부터 차례로 파편화된 지식들을 공리로 부터 유도했다는 것이다. 사실 오늘날의 기하학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좀더 정확히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아버지가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지만 유클리드 기하학은 그런 다양한 기하학에 뿌리와 같다
비유클리드 기하학 또한 유클리드 기하학을 탐구하다가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17]
백마는 말이라는 개념에 '희다'는 다른 개념이 합쳐진 것이므로
말이라는 개념에 포함되지 않고, 따라서 백마는 말이 아니라는 논리,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공손룡의 백마비마론은 기준과 층위에 따라 개념과 사물의 관계가 엄격히 구분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나타낸 비유적 표현이다. 현대적으로 해석하자면 자연언어에서 "A는 B이다"라는 말이 "A=B"라는 것과 "A⊂B"라는 개념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는 것을 간과했을 때 어떤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18]
단단한 흰 돌을 눈으로 보아서는 흰 것을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는 그 단단한 것을 알 뿐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일물이 아니다라는 주장이다. 백마비마가
의미론적이라면 견백동이는
인식론적이다.
[19]
필즈상에 그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20]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파푸스의 중선정리로 알려져 있다.
[21]
아폴로니우스와 히파르코스는 행성이 단순히 원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원 위에 있는 작은 원 위를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이 작은 원을 주전원, 큰 원을 대원(Deferent)이라고 부른다. 당연하지만, 이 이론은 틀렸으며, - 정확히는 주전원을 얼마든지 추가하기만 하면 닫힌 궤도는 뭐든지 만들 수 있다 -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의 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닌 타원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기 전까지 몇십 개의 주전원을 추가해가면서 후배 학자들을 괴롭혔다. 아이러니하게도, 타원은 아폴로니우스가 최초로 명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22]
유리수만을 추앙하던
피타고라스는 무리수의 존재를 쉬쉬하려 했는데 히파소스가 기어코 세상에 무리수를 알리자 피타고라스 학파는 히파소스를 '배신자'로 몰고 물에 빠뜨려 죽여 버렸다는 전설이 있다.
[23]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으며 피타고라스의 아내라는 주장도 있다
[24]
황금비를 연구했다는 주장은 있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다
[25]
Kanada
[26]
바이세쉬카 학파는 기원전 2세기경에 “카나다”(Kanada)에 의해 시작된 학파이다.
[27]
승론경(勝論經)으로 번역된다.
[28]
Akṣapāda Gautama
[29]
니야야 학파는 주후 2세기경에 “악사파다 고타마”(Aksapada Gautama)가 썼다는 『니야야 수트라』(Nyaya Sutra)에 기초한 논리학파이다. “니야야”(Nyaya)는 산스크리트어로 ‘추리, 추론’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니야야 논리학은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진리를 밝히는 학문이다.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Print.html?idxno=16333 참조
[30]
정리경(正理經)으로 번역된다.
[31]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B0%B0%EB%85%BC%EC%A6%9D
[32]
시대가 시대이다 보니 니코마코스는 기하학적으로 접근하였다.
[33]
[math(\displaystyle \sum_{k=1}^nk^3=\left(\sum_{k=1}^nk\right)^2=\left\{\frac{n(n+1)}2\right\}^2=\frac{n^4}4+\frac{n^3}2+\frac{n^2}4)]
[34]
사실 천동설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전에도 있었는데 천동설하면 프톨레마이오스를 떠올리는 이유는 그가 당시까지 알려진 천동설을 집대성하고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35]
체트슈 코티카는 명제의 긍정, 부정, 긍정 한편 부정, 긍정도 부정도 아닌 것 4종류를 고려하는 4진 논리체계이다.
[36]
무한등비급수의 일종
[37]
아들 조긍지와 함께 발견하여 조긍지의 원리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38]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는 손자산경(孫子算經)에서 최초로 등장한다
[39]
Uddyotakara
[40]
정리소(Nyaya-bhasya)에 대한 디그나가의 비판에 대해서 방어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41]
풀네임은 아부 유수프 야꿉 이븐 이스하끄 앗삽바흐 알킨디
[42]
평문과 암호문에 사용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의 출현빈도를 단서로 이용하는 암호해독법을 말한다
[43]
그는 증류를 통하여 순수한
알코올을 증류한 최초의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44]
Thābit ibn Qurra
[45]
음 아닌 정수 n에 대해 [math(3 \cdot 2^{n}-1)] 꼴의 수
[46]
Abd al-Hamīd ibn Turk
[47]
이븐 투르크의 '혼합 방정식의 논리적 필수성'이라는 제목의 책은 알콰리즈미의 Al-Jabr에서 발견되는 것과 정확히 동일한 기하학적 증명을 제공하고 Al-Jabr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예를 판별식이 음수이면 2차 방정식에 해(정확히는 실수 해)가 없다는 기하학적 증명을 제공함으로써 Al-Jabr 를 넘어서는 부분도 있음
[48]
Abū Kāmil Shujāʿ ibn Aslam ibn Muḥammad Ibn Shujāʿ
[49]
1994년 발행한 카자흐스탄의 지폐인 "텐게"에는 알 파라비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 1994년 발행된 지폐는 2007년 경 유통중지가 되었고 2018년 11월 4일 폐기되었다.
[50]
알 파라비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고전 논리) 논리학자였지만, 알 파라비의 작품에는 많은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들도 포함되어있다. 알 파라비는 미래시점 우연명제의 문제, 범주의 수와 관계, 논리와 문법 사이의 관계, 그리고 비아리스토텔레스적 형태의 추론 또한 논의했다.
[51]
Abū Bakr Muḥammad ibn al Ḥasan al-Karajī
[52]
다항식의 덧셈, 뺄셈, 곱셈에 대한 산술 연산 규칙을 제시했지만 나눗셈은 다항식을 단항식으로 나누는 것에 국한됨
[53]
아비센나 논리학은 이슬람 세계의 논리학에서의 주도적인 체계로서의 지위를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으로부터 빼앗아, 한층 더 아르베르트스 마그누스와 같은 중세 서구의 저술가에게 심대한 영향을 줬다. 이븐 시나는 가말삼단논법 및 명제 논리에 관한 저작을 남기고 있지만, 어느 쪽이나 스토아파 논리학의 영역이다. 그는 '시 상적으로 양상화된' 삼단논법이라는 독자 이론을 발전시켜, 과학적 방법에 대해서 비판적인, 일치법, 차이법, 공변법 등의 귀납 논리를 이용했다.
[54]
Udayana, 니야야 학파와 바이셰시카 학파를 융합을 했다.
[55]
그는 수학자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시인이기도 하였다, 하이얌이 집필한 시집 "루바이야트"는 에드워드 피츠제럴드가 번역한 이후로 여러 문학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56]
600년대에 바스카라와 구별하기 위해서 뒤에 2세를 붙인다.
[57]
Sharaf ad-Dīn aṭ-Ṭūsī
[58]
양의 해를 갖지 않을 수 있는 3차 방정식을 풀기 위해 곡선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사용
[59]
https://en.wikipedia.org/wiki/Tusi_couple
[60]
秦九韶
[61]
연립 합동 방정식의 문제를 푸는 방법
[62]
파스칼 삼각형이 등장하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문헌이다
[63]
Jamshīd al-Kāshī
[64]
정확히는 같은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김담과 같이 만들었다.
[65]
풀네임은 프라 루카 바르톨로메오 데 파치올리
[66]
루카 파치올리에게 수학을 배웠다
[67]
지동설(태양중심설)은 코페르니쿠스 이전에
아리스타르코스가 최초이다
[68]
네이피어와 독립적으로 발견했으나 네이피어 보다 6년 늦게 발표하였다.
[69]
천문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시헌력 또한 여러 역법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탕법(湯法)은 아담 샬의 중국식 이름 탕약망(湯若望)에서 나왔다
[70]
음수를 눈에 보이게 했다는 것인데, 0 왼쪽에 음수를 표시하여 수직선에 모든 실수를 표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뜻이다.
[71]
수학자로서는 직교좌표계 도입이 가장 큰 업적이다. 다만, 방법적 회의로 대표되는 철학자로서의 업적이 넘사벽일 뿐...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도 데카르트가 한 말이다.
[72]
흔히 미지수로 많이 사용되는 x를 데카르트가 처음 사용하였다.
[73]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고안한 초기의 관성 개념은 원운동에 국한되었다 데카르트는 자신의 운동법칙을 통해 직선 운동을 포괄하도록 관성의 개념을 확장했고 이 개념은 뉴턴의 제1 운동법칙인 관성의 법칙이 되었고, 데카르트의 운동법칙은 다음과 같다 1.모든 물체는 다른 것이 그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똑같은 상태로 남아 있으려고 한다, 2.운동하는 물체는 직선으로 그 운동을 계속하려 한다, 3.운동하는 물체가 자신보다 강한 것에 부딪히면 그 운동을 잃지 않고, 약한 것에 부딪혀서 그것을 움직이게 하면 그것에 준 만큼의 운동을 잃는다, 첫 번째 법칙과 두 번째 법칙은 관성의 법칙이고, 세 번째 법칙은 데카르트가 운동의 양이라고 부른 양의 보존을 나타내는 법칙이다.
[74]
피에르 드 페르마의 이름이 붙어 있지만, 페르마는 이 정리를 언급했을 뿐, 정확한 증명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현재 기록상 남아 있는 증명 가운데 최초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것이다.
[75]
동시대에 데카르트와 독립적으로 발명함
[76]
Gilles Personne de Roberval
[77]
"트로코이드"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A%B8%EB%A1%9C%EC%BD%94%EC%9D%B4%EB%93%9C
[78]
수은기압계를 발명하였으며 토리첼리의 이름을 딴 토르(Torr)라는 압력의 단위도 있고 갈릴레이의 제자였다
[79]
토머스 홉스가 원적 문제를 증명했다고 주장하여 이에 관하여 홉스와 논쟁을 벌였다
[80]
펠 방정식은 펠과 관련이 없다.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펠과 브롱커의 이름을 혼동하여 이름을 잘못 붙였다고 한다.
[81]
파스칼의 이름을 딴 파스칼(Pa)이라는 압력의 단위가 있다
[82]
천문학이 발전함에 따라서 시헌력 또한 여러 역법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갈법(喝法)은 카시니의 중국식 이름 갈서니(喝西尼)에서 나왔다
[83]
뉴턴의 스승
[84]
뉴턴의 이름을 딴 뉴턴(N)이라는 힘의 단위도 있다.
[85]
가능세계는 라이프니츠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여겨지며, 현재의 가능세계론은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론을 다루기 때문에 솔 크립키와 그의 동료가 1950년대에 도입했다.
[86]
불 대수와 연역적으로 동일하다
[87]
https://en.wikipedia.org/wiki/Varignon%27s_theorem
[88]
https://en.wikipedia.org/wiki/Varignon%27s_theorem_(mechanics)
[89]
요한 베르누이의 형이고, 라이프니츠의 제자였다
[90]
이름이 뭔가 이상한데, 당시 얼치기 제자였던 로피탈이 요한이 발견한 정리를
돚거질(...)을 해서 자기 책으로 냈다.
[91]
라이프니츠와 요한 베르누이가 개발
[92]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등장하는 중간과정의 수학자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매우 근접했다.
[93]
브룩 테일러의 스승이었다.
[94]
유사 마친 공식은 현재까지 발견된,
원주율로 가장 빠르게 수렴하는 알고리즘이다.
[95]
뉴턴의 제자였다
[96]
이에 대해서는
유율법 혹은
엡실론-델타 논법 문서를 참고하라.
[97]
요한 베르누이의 아들이다.
[98]
Vatsyayana
[99]
Dharmakīrti
[100]
양평석(Pramāṇavārttika), 정량론(Pramāṇaviniścaya), 이적론(Nyāyabindu), 인적론(Hetubindu), 관계론(Saṃbandhaparīkṣā), 쟁리론(Vādanyāya), 오타론(Saṃtānāntarasiddhi) 이렇게 일곱개의 저서를 통칭하여 인명칠론 또는 칠부량론(七部量論)이라고 부른다.
[101]
Vachaspati Mishra
[102]
Gangesha Upadhyaya
[103]
신 니야야 학파의 창시자이다.
[104]
https://en.wikipedia.org/wiki/D%27Alembert%27s_principle
[105]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8C%90%EC%A0%95%EB%B2%95
[106]
https://en.wikipedia.org/wiki/D%27Alembert%27s_formula
[107]
당시 곡선과 마녀는 같은 단어를 썼기에 일부는
마녀 아녜시라고 알았다고...
[108]
경선은 극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고 위선은 극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룬다. 지도상에서 일정한 간격의 경선과 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모두 면적이 지구본과 동일하다. 국토가 넓은 국가나 대륙을 나타내는 지도에 쓰인다.
[109]
표준위선이 2개인 원추도법을 개량한 것으로 위선의 간격을 조절해 각도의 왜곡을 없앴다. 그리기 쉬우며 대축척 지도에서 개별 도엽들이 잘 맞춰진다. 지도상의 직선이 대권과 매우 유사하므로 항공용 지도로 사용된다.
[110]
복소평면의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책으로 출판하였으나 덴마크어로 되어 있어서 거의 읽히지 않았다 이후 같은 아이디어를 아르강과 가우스 등이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다.
[111]
오늘날에는
라플라스의 악마로도 유명하다
[112]
현재의 베이즈 확률론을 개척하고 대중화함
[113]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스승이다.
[114]
아서 케일리가 도입했으며 파프의 미분 방정식에 대한 연구와 연관이 있으므로 파피안으로 이름을 지었다.
[115]
[math({\displaystyle N^{2}\left({\frac {\partial ^{4}z}{\partial x^{4}}}+{\frac {\partial ^{4}z}{\partial x^{2}\partial y^{2}}}+{\frac {\partial ^{4}z}{\partial y^{4}}}\right)+{\frac {\partial ^{2}z}{\partial t^{2}}}=0})] 표면의 탄성의 관한 방정식으로 에른스트 클라드니의 금속판 탄성 실험을 수학적으로 설명하여 소피 제르맹은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첫 번째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
[116]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자로는 가우스, 보여이 야노시, 니콜라이 로바체프스키가 있다
[117]
https://en.wikipedia.org/wiki/Horner%27s_method
[118]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119]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벨상은 아벨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120]
토폴로지(위상수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한 사람이다.
[121]
https://en.wikipedia.org/wiki/Listing%27s_law
[122]
| x |로 표현되는
절댓값의 표기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123]
찰스 다윈의 사촌이며 역설적으로 우생학의 창시자이다
[124]
https://ko.wikipedia.org/wiki/%EC%BC%80%EB%A5%B4%ED%81%AC%ED%98%B8%ED%94%84%EC%8A%A4%EC%9D%98_%EC%9B%90%EB%A6%AC
[125]
고틀로프 프레게와는 독립적으로 만듬
[126]
수학자 에미 뇌터의 아버지이다.
[127]
Achille Marie Gaston Floquet
[128]
수학자 쾨니그 데네시의 아버지이다.
[129]
전리층을 발견하였다 또한 헤비사이드는 원래 20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맥스웰 방정식을 4개의 미분 방정식으로 정리한 사람이다
[130]
테서랙트라는 단어를 만든 사람이다.
[131]
앙리 푸앵카레의 이름을 딴 수리 물리학에 큰 공헌한 학자에게 주는 앙리 푸앵카레상이 있으며, 그의 사촌
레몽 푸앵카레는 제10대 프랑스 대통령이었고 총리 자리에 있었던 적도 있다.
[132]
이로부터
카오스 이론이 시작되었다, 또한 오늘날 푸앵카레는 동역학계(Dynamical system)의 창시자로 간주 된다
[133]
Sir James Alfred Ewing
[134]
111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으로 수학을 이용하여 생물이 가지는 기관의 형태 형성을 설명한다. 특히나 마지막 17장 ("변형의 이론, 또는 관련된 형태의 비교에 대하여")에서 톰슨은 생물의 형태에 좌표의 개념을 도입한 뒤 좌표의 변형을 통해 관련된 다른 종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음을 많은 실례를 통해 보여줬다.
https://www.lgsl.kr/story/detail/sto/sto/76/IQEX2011010009
[135]
불 대수를 만든 수학자 조지 불의 셋째딸이다
[136]
다포체(폴리토프)라는 용어를 만든 사람이다
[137]
Dmitry Semionovitch Mirimanoff
[138]
https://en.wikipedia.org/wiki/Non-well-founded_set_theory
[139]
https://en.wikipedia.org/wiki/Mirimanoff%27s_congruence
[140]
푸앵카레의 3차 문제에 관한 출판 전 논문에서 불분명한 부분을 지적하였고 푸앵카레는 자신의 논문에서 실수를 발견했고 이를 수정하면서 삼체문제의 일반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는데, 이는 훗날 혼돈 이론의 모태가 되었다.
[141]
수학자 로렌스 치숌 영의 아버지이다.
[142]
Gustav de Vries
[143]
Maxime Bôcher
[144]
미국 수학회에서는 그의 이를을 따서 만든
해석학 분야에 주목할 만한 연구를 한 수학자에게 주는 보셰 기념상이 있다.[289]
[145]
윌리엄 헨리 영의 배우자이다.
[146]
1894년부터 1921년까지 27 년간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다.
[147]
울프상을 받은 수학자 앙리 카르탕의 아버지이다.
[148]
https://en.wikipedia.org/wiki/Soddy%27s_hexlet
[149]
Agner Krarup Erlang
[150]
1회선이 1시간 동안 점유된 호량(통화량)의 단위이다.
[151]
https://en.wikipedia.org/wiki/Teletraffic_engineering
[152]
큐잉 이론의 창시자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8%B0%ED%96%89%EB%A0%AC%EC%9D%B4%EB%A1%A0
[153]
Margherita Piazzolla Beloch
[154]
https://en.wikipedia.org/wiki/Huzita%E2%80%93Hatori_axioms
[155]
그의 이름을 가진 3년마다
기하학과
위상수학에 크게 공헌한 수학자에게 주는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이 있다.[290]
[156]
수리철학에서 직관주의의 창시자이다
[157]
쾨니그 줄러의 것과는 다른 정리이다.
[158]
https://en.wikipedia.org/wiki/PID_controller
[159]
Stanisław Leśniewski
[160]
Paul Georg Funk
[161]
리스 프리제시의 동생이다.
[162]
Moses Ilyich Schönfinkel
[163]
NBG 집합론은 폰 노이만, 베르나이스, 괴델이 만들었다
[164]
그의 동생인 팔미로 톨리아티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서기장이었다.
[165]
https://en.wikipedia.org/wiki/Togliatti_surface
[166]
알프레트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나
판 구조론의 강력한 반대자였다.
[167]
https://en.wikipedia.org/wiki/Lindley%27s_paradox
[168]
루돌프 카르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69]
카르납에 의해 소개되어서 Carnap sentences라고 부르기도 한다.
[170]
그의 이름을 딴 오스트로우스키 상이 있다
[171]
친족살해로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4578901
[172]
Nikolai Grigorievich Chebotaryov
[173]
Carl Einar Hille
[174]
폰 노이만이 15세였을 무렵에 그에게 고급 미적분을 가르쳤으며, 폰 노이만에 재능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가 있다.
[175]
정다면체가 아니면서도 쪽매맞춤(anisohedral tiling)을 할 수 있는 다면체가 있는가?
[176]
칼 피어슨의 아들이다.
[177]
https://en.wikipedia.org/wiki/S5_(modal_logic)
[178]
네반린나 상은 네반린나의 이름을 땃다
[179]
Ernst Paul Heinz Prüfer
[180]
울프상을 받은 수학자 마이클 아틴의 아버지이다.
[181]
그의 아버지인 아돌프 크네저 또한 수학자이며 헬무트 크네저의 아들 마틴 크네저 까지 3대가 수학자이다.
[182]
https://en.wikipedia.org/wiki/Cox%27s_theorem
[183]
라파엘 살렘이 사망후 그의 아내가 살렘상을 설립했고 살렘상을 받고 나중에 필즈상도 받은 수학자가 몇명있다
[184]
프로그래밍 언어
하스켈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185]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186]
Ashwin Sah
[187]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188]
Daniel Larsen.
[189]
부모 양쪽다 수학자로 유명하며 아버지는 마이클 라슨, 어머니는 아예렛 린덴스트라우스 외삼촌은 필즈 메달리스트인 엘론 린덴스트라우스이다.
[190]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
[191]
https://en.wikipedia.org/wiki/Transferable_belief_model
[192]
陈秀雄, 한어 병음: Chén Xiùxióng
[193]
Sergei Raimondowitsch Treil
[194]
Dapeng Zhan
[195]
mordechai "moti"gitik
[196]
All uncountable cardinals can be singular. In: Israel Journal of Mathematics.
[197]
I.R. Goodman
[198]
Hung Tuan Nguyen
[199]
Ya'acov Peterzil
[200]
Sergei Stepanovich Starchenko
[201]
Yi-Cheng Zhang
[202]
https://en.wikipedia.org/wiki/Extended_modal_realism
[203]
Malliaris, Maryanthe; Shelah, Saharon (2013), "General topology meets model theory, on 𝔭 and 𝔱",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4]
Cofinality spectrum theorems in model theory, set theory, and general topology. J. Amer. Math. Soc. 29 (2016), no. 1, 237-297.
[205]
Nikhil Srivastava
[206]
https://en.wikipedia.org/wiki/Kadison%E2%80%93Singer_problem
[207]
https://en.wikipedia.org/wiki/Hanna_Neumann_conjecture
[208]
Igor Mineyev
[209]
Jeremie Chalopin
[210]
https://en.wikipedia.org/wiki/Scheinerman%27s_conjecture
[211]
Daniel Gonçalves
[212]
Henryk Hecht
[213]
https://en.wikipedia.org/wiki/Blattner%27s_conjecture
[214]
https://en.wikipedia.org/wiki/Macdonald_polynomials
[215]
https://en.wikipedia.org/wiki/Decision_tree_model
[216]
Krzysztof Kurdyka
[217]
https://en.wikipedia.org/wiki/Gradient_conjecture
[218]
Tadeusz Mostowski
[219]
Adam Parusiński
[220]
Vladimir I. Chernousov
[221]
https://en.wikipedia.org/wiki/Weil%27s_conjecture_on_Tamagawa_numbers
[222]
Ketan Mulmuley
[223]
https://en.wikipedia.org/wiki/Geometric_complexity_theory
[224]
Milind Sohoni
[225]
Yves Benoist
[226]
Y. Benoist, P. Foulon, F. Labourie: Flots d'Anosov à distributions stable et instable différentiables. J. Amer. Math. Soc. 5 (1992), no. 1, 33–74.
[227]
conjecture of Furstenberg: Let H be a Zariski dense semisimple subgroup of a Lie group which acts by left translations on the quotient of G by a discrete subgroup with finite covolume. Consider a probability m measure on H whose support generates H. Then any m-stationary probability measure for such an action is H-invariant."
[228]
Jean-François Quint
[229]
Vlad Vicol
[230]
Giorgi Japaridze
[231]
https://en.wikipedia.org/wiki/Computability_logic
[232]
https://en.wikipedia.org/wiki/Japaridze%27s_polymodal_logic
[233]
Décio Krause
[234]
https://en.wikipedia.org/wiki/Schr%C3%B6dinger_logic
[235]
https://en.wikipedia.org/wiki/Zimmer%27s_conjecture
[236]
Sebastian Hurtado Salazar
[237]
Henry Yuen
[238]
https://en.wikipedia.org/wiki/Connes_embedding_problem
[239]
https://en.wikipedia.org/wiki/Tsirelson%27s_bound
[240]
Zhengfeng Ji
[241]
Anand Natarajan
[242]
Thomas Vidick
[243]
John Wright
[244]
Gennadi Georgijewitsch Kasparow
[245]
https://en.wikipedia.org/wiki/KK-theory
[246]
Judin, D.B.; Nemirovski, Arkadi (1976).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Ekonomika i Matematicheskie Metody. 12: 357–369.
[247]
https://en.wikipedia.org/wiki/Buchholz_psi_functions
[248]
袁新意, Xinyi Yuan
[249]
Ulrich Stuhler
[250]
Oscar Randal-Williams
[251]
Vladimir Berkovich
[252]
https://en.wikipedia.org/wiki/Berkovich_space
[253]
David Aspero
[254]
Sarah Anne Peluse
[255]
Roland Bauerschmidt
[256]
Michael Groechenig
[257]
Jessica Fintzen
[258]
Jiu-Kang Yu
[259]
Alfred Lehman
[260]
Alfred Lehman, "The width-length inequality and degenerate projective planes," W. Cook and P. D. Seymour (eds.), Polyhedral Combinatorics, DIMAC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volume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0) pp. 101-105.
[261]
Nikolai E. Mnev, "The universality theorems on the classification problem of configuration varieties and convex polytope varieties," O. Ya. Viro (ed.), Topology and Geometry-Rohlin Seminar,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1346 (Springer-Verlag, Berlin, 1988) pp. 527-544.
[262]
Michelangelo Conforti
[263]
Mendu Rammohan Rao
[264]
Albert M. H. Gerards
[265]
Ajai Kapoor
[266]
Bertrand Guenin
[267]
Bertrand Guenin, "A characterization of weakly bipartite graph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B, 83 (1): 112–168, 2001.
[268]
Satoru Iwata, Lisa Fleischer, Satoru Fujishige, "A combinatorial strongly polynomial algorithm for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Journal of the ACM, 48 (4): 761–777, 2001.
[269]
Lisa Fleischer
[270]
Eric Vigoda
[271]
Satish Rao
[272]
Umesh Vazirani
[273]
Anders Johansson
[274]
Szegedy Balázs
[275]
Lovász, László; Szegedy, Balázs (2006). "Limits of dense graph sequence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96: 933–957. arXiv:math/0408173. doi:10.1016/j.jctb.2006.05.002.
[276]
Julia Böttcher
[277]
Thomas Rothvoß
[278]
Rothvoß, Thomas (2017). "The matching polytope has exponential extension complexity". Journal of the ACM. 64 (6): A41:1–A41:19. arXiv:1311.2369. doi:10.1145/3127497. MR 3713797
[279]
Béla Csaba
[280]
Allan Lo
[281]
Andrew Treglown
[282]
그의 연구는 임계선(GL(n)의 모든 표준 함수를 포함)에서 큰 L-함수 클래스에 대한 최초의 볼록성을 깨는 경계를 도출해냄.
[283]
William W. Wadge
[284]
https://en.wikipedia.org/wiki/Wadge_hierarchy
[285]
Hans Wenzl
[286]
Jian Ding
[287]
페터 숄체와 함께 만듬
[288]
모듈러 타원곡선에 대한 결과로서, 유리수 위의 타원곡선 ( E )에 대해 하세-베유 L-함수 ( L(E, s) )가 ( s = 1 )에서 0이 된다는 것은 ( E )의 p-진 셀머 군이 무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로스-재기어와 콜리바긴의 정리와 결합하여, 이는 테이트-샤파레비치 추측에 대한 조건부 증명을 제공하며, ( E )가 무한히 많은 유리점을 가지는 것과 ( L(E, 1) = 0 )이 동치라는 추측, 즉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의 (약한) 형태를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만줄 바르가바, 스키너, 장웨이 등에 의해 사용되어, 양의 비율의 타원곡선이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을 만족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기여하였다.
[289]
https://en.wikipedia.org/wiki/B%C3%B4cher_Memorial_Prize
[290]
https://en.wikipedia.org/wiki/Oswald_Veblen_Prize_in_Geo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