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8:19:26

에서 넘어옴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廿( 이십) ( 삼십) ( 사십) ()
- -
1( 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한 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一,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イチ, イツ
일본어 훈독
ひと, ひと-つ, はじ-め, ひ, ひい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4%B8%80-order.gif
一의 필순

1. 개요2. 특징3. 이체자4. 용례
4.1. 단어4.2. 고사성어4.3. 지명4.4. 전철역4.5. 인명
4.5.1. 한국식 '일'4.5.2. 중국식 '이'4.5.3. 일본식 '하지메'4.5.4. 일본식 '잇'4.5.5. 일본식 '이치'4.5.6. 일본식 '카즈'4.5.7. 일본식 '니노마에'
4.6. 창작물4.7. 기타
5. 부수
5.1. 부수 예시
6. 차자표기적 관점7. 여담

[clearfix]

1. 개요

1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들 중 하나이다.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한
옛훈 ᄒᆞ낳[1] 또는 ᄒᆞᆫ
옛음 ᅙᅵᇙ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jat1
감어 it6
객가어 yit
진어 ieh4
민북어 ĭ[文] / cì[白1]
민동어 ék[文] / siŏh[白1]
민남어 it[文] / chi̍t[白1]
오어 iq (T4)
상어 i6
기타 yāo[8]
일본어 음독 イチ, イツ
훈독 ひと, ひと-つ, はじ-め, ひ, ひい
베트남어 nhất

유니코드에는 U+2F00/U+4E00에 배당되어 있고[9], 주음부호로는 ㄧ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一)으로 입력한다. 공교롭게도, 모양이 거의 같은 가로선 하나인 한글 모음 ㅡ도 두벌식 자판 기준 M과 같은 키 자리에 배정되어 있다.

가로선을 하나 그어서 만든 지사자이다.

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이라고 쓴다. 옛날 지폐 수표, 어음 같은 증권 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볼 수 있다.

일본의 남성 인명에는 [ruby(一, ruby=いち)]로 끝나는 것이 많으며, 이럴 때는 보통 첫째 아들임을 의미한다. 인명에서는 いち, いつ, ひと 등뿐만 아니라 かず, はじめ, つい 등으로 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방 번호 혹은 전화번호 등을 부를 때 yāo라고 부른다.

자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며, 한자를 부수 순으로 배열한 한자사전에서 맨 첫 번째로 나오는 글자이기도 하다. 아무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모두들 알고 있으며, 심지어 한자와는 전혀 상관없는 삶을 사는 서양인들도 상식으로 은근히 알기도 한다. 그냥 글자 자체가 획수 하나로 선 하나를 찍 그은 거니까.

3. 이체자



은 一의 갖은자, 壱은 壹의 신자체, 弌은 고자,  𠤪은 동자이다.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4.3. 지명

4.4. 전철역

4.5. 인명

4.5.1. 한국식 '일'

4.5.2. 중국식 '이'

4.5.3. 일본식 '하지메'

하지메 문서도 참조

4.5.4. 일본식 '잇'

4.5.5. 일본식 '이치'

4.5.6. 일본식 '카즈'

4.5.7. 일본식 '니노마에'

이쪽은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성씨이다. 니노마에 문서 참조.

4.6. 창작물

4.7. 기타

5.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 <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chinesetopbottom.png }}} 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一은 214 부수 중에서 1번째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27개이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대표적으로 (위 상), (아래 하), (석 삼), (일곱 칠), (아닐 불), (세상 세), (고무래 정)이 있다.

5.1. 부수 예시

기본자
1획
2획
3획
4획

6. 차자표기적 관점

一은 한국 차자표기에서 /서/로 읽히는 경우가 있다. 확인된 근거는 아래와 같다.

1.
嵩善郡, 本一善那, 眞平主三十六年爲一善州, 置軍主. 神文王七年, 州廢. 景徳王攺名. 今善州. 領縣三.
숭선군(嵩善郡)은 본래 일선군(一善郡)으로 진평왕 36년에 일선주(一善州)로 삼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신문왕 7년에 주(州)를 폐했다.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선주(善州)다. (삼국사기 지리지 숭선군)

해설: 지명 一善(일선)이 嵩善(숭선)에 대응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嵩을 설명할 수 있다. 뒤이은 이름인 善(선)과도 잘 대응된다. 참고로 善의 차자표기 독음은 /선/과 /달/이 있다.

2.
星山郡, 夲校勘 126一利郡一云里山郡., 景徳王攺名. 今加利縣.
성산군(星山郡)은 본래 일리군(一利郡)(이산군(里山郡)이라고도 한다)인데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가리현(加利縣)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성산군)

해설: 지명 一利(일리)가 星山(성산)에 대응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星을 설명할 수 있다. 山은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郡이 있기에 생략될 수도 있다. 뒤이은 이름인 加利(가리)와도 대응이 되는데, 이는 加의 차자표기 독음 가운데 /스/시/가 있기 때문이다.

3.
一伐湌(일벌찬, 삼국사기), 一伐干(일벌간, 창녕 신라진흥왕 척경비)

해설: 신라 제 1관등인 伊伐飡( 이벌찬)의 이칭이다. 또다른 이칭으로 角干(각간), 舒發翰(서발한) 酒多(주다) 등이 있다. 이 관등의 독음은 /서벌간/서벌한/으로 舒發翰와 같다. 伊의 뜻이 /저/라서 伊伐飡는 '즈블찬'으로 읽힌다. 角의 독음이 /ᄲᅳᆯ/이라 角干은 '스블간', 酒와 多의 뜻이 각각 /수불/과 /한/이라 酒多는 '수불한'이 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一伐湌과 一伐干은 각각 서벌찬, 서벌간이 되어 앞서 언급한 소리와 동일해진다.

7. 여담

2018년 중국공안부가 발표한 신생아 통계에 따르면 一이 신생아 이름에 17번째로 많이 쓰인 한자이다. 2021년에는 6위를 차지했다.


[1] ㅎ 종성체언 [文] 문독 [白1] 백독, 본자는 蜀 [文] [白1] [文] [白1] [8] 숫자 7(qī)과 운모 부분의 발음이 같아서 헷갈릴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숫자를 읽을 때에는 야오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참조. [9] 한자 유니코드 영역에서 첫 번째 순서이다. [10] 글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하자.
파일:𠤪.png
[11] 음독은 いちいち. 그런데 주로 부정형과 결합하거나 따지고드는 듯한 부정적인 늬앙스가 있어서 거의 같은 뜻인 一つ一つ를 쓰는 편이 좋다. [12] 그녀가 세피로트의 나무 첫 번째 세피라인 케테르의 천사 메타트론을 지닌 정령이 되는 것을 암시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13] 얘는 이름부터가 숫자와 관련이 있다. 一五, 15라던지... [14] 성 '이치야나기(一柳)'에서 柳(야나기)는 '류(りゅう)'로 읽을 수 있는데, 이러면 「 일류(一流, 이치류)」와 발음이 같아진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15] 활동명은 데라시 [16] 이름은 한자 로 각각 플러스 마이너스를 형상화했다. [17] 번역명 벽력일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