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5:44

Ё

Ë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 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 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 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 편제) · 해군 (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키릴 문자 (Кириллица)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Ѕ ѕ И и
І
і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Џ џ Ш ш Ъ ъ Ы ы Ь ь Ю ю Я я
기타 문자


1. 개요2. 역사3. 혼란4. 러시아어 이외 언어에서의 활용

1. 개요

Ё ё

키릴 문자의 하나로, 러시아어를 비롯하여 러시아어 철자법의 영향을 받은 벨라루스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몽골어, 타지크어, 추바시어, 우드무르트어에서도 사용되는 문자이다. 러시아어에서는 7번째 문자로 발음은 [jɵ]이며( 경구개 접근음 중설 원순 중고모음) 항상 강세가 적용된다. 한 단어에는 강세가 하나씩 들어가므로 일부 고유명사를 제외하면 한 단어에 하나씩 나오는 게 보통이다. 그밖의 언어권에서는 대부분 [jo] 발음이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로 옮겨적는다.

후술할 역사적 이유로 러시아어에서는 외래어 표기시에 [jo] 발음을 Ё가 아닌 йо, ио, ьо로 옮기는 편이다. Майор(마요르, 소령), Йогурт(요구르트), Район(라욘, 구(행정구역))[1], Токио(토키오, 도쿄), Батальон(바탈리온, 대대)이 그 사례이다.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중 홀로도비치 표기법에서도 선술했듯이 를 йо로 옮겨적는다.

Ё를 외래어 표기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긴 한데, 일반적으로는 /ø/, /œ/, /ɜ/ 음소를 러시아어로 옮길 때 주로 사용한다.[2] Актёр(악툐르, 배우),[3] Кёнигсберг(쿄닉스베르크, 쾨니히스베르크), Иэн Кёртис( 이안 커티스)[4] 등이 그 사례이다.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중 콘체비치 표기법(러시아어 실용 표기법)에서는 [5]를 ё로 전사한다. 튀르크어족에 해당하는 언어 중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냥 '요' 비슷한 소리가 나면 ё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일본어의 도 ё로 전사한다. 예: 요시히토(Ёсихито)

위에 붙은 분음 부호 쌍점(двоеточие)으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2. 역사

발음 상으로는 о와 관련돼 있지만 형태는 е를 변형한 모양인데, 역사적으로 е에서 파생된 것이기 때문이다. е에서 ё로 파생될 때 나름대로 규칙이 있었는데, 기본적으로 연음인 자음 또는 ш, ж[6] 뒤에 오면서 연음인 자음 앞에 오지 않고, 강세가 있는 е는 대부분 ё로 바뀌었다. ё는 항상 강세를 받는다는 규칙도 이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위 규칙을 따르면 러시아어에서 연음 또는 /j/ 뒤, 경음 앞에 강세가 오는 е는 나올 수 없겠지만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적지 않은 예외가 발견된다. 대부분의 경우 과거 러시아어에 있던 모음 ѣ[7]가 е로 합쳐졌는데, е에서 ё로 파생되는 음운적 변화가 ѣ가 е로 합쳐진 것보다 이전에 일어나서 결과적으로 강세가 있는 ѣ는 위에서 설명한 환경에 놓여도 ё가 아닌 е로 남아있는 것이며, 그 밖에 다른 슬라브어에서 차용된 단어들 또한 위 규칙을 적용받지 않아 예외로 남게 되었다.[8]

(Cʲ: 연음 및 /j/, C: 경음)
е́ (고유어) ё
е́C (고유어) ёC
е́ е́
ѣ́
е́ (차용어) е́
ѣ́
е́C (차용어) е́C
ѣ́C

Ё가 러시아 문헌에서 처음 등장한 시기는 1783년 11월 29일 또는 11월 18일로 보고 있다. 예카테리나 다시코바 공작부인(Княгиня Екатерина Романовна Дашкова, 1743년 3월 28일 ~ 1810년 1월 15일)이 한 학술회의에서 학자들에게 그 전까지 'іо'라고 표기하던 것을[9] 간편하게 'Ё'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하지만 Ё가 정식으로 러시아 문자 순서상 7번째로 인정받게 된 것은 소련 시대에 와서였다. Ё의 표기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스탈린 정권(1942~1953)이었는데, 스탈린 사후에는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같은 몇몇 작가들에 의해서만 표기가 간신히 유지되었다. 이들은 작품 출판 당시 Ё의 표기를 강력히 요구했다.

3. 혼란

러시아에서는 이 글자를 많이 쓰지 않고 비슷한 글자인 'E'나 'e'라고 표기하는 방식으로 퉁친다. 이유는 귀찮기 때문에(...)[10] 당장 스마트폰의 경우도 E를 길게 눌러야 하며,[11] 많은 키보드의 경우 이 글자를 '~' 위치에 할당해 두었다. 과거 타자기 시절에도 Ё 키가 빠진 타자기도 많았다.

원체 사용빈도가 낮다보니 러시아에는 Ё와 관련된 웃지 못할 사건들이 많은데, 러시아인의 4% 정도가 이와 관련된 황당한 일들을 겪었다고 한다. 몇 가지 일화를 소개하자면, 2009년에 블라디미르 요지코프(Владимир Ёжиков)는 유산 상속과 관련된 아주 골치 아픈 일을 겪었다. Ё 표기가 누락되어 신분증에 성이 예지코프(Ежиков)로 등록되었기 때문에, 요지코프(Ёжиков)와 예지코프(Ежиков)가 동일인물임을 증명해야만 했다. 또한 타티야나 테툐르키나(Татьяна Тетёркина)라는 여자는 신분증을 새로 발급받기 위해 관공서를 찾았는데, 당시 공무원이 단순히 컴퓨터 키보드에서 Ё 입력 방법을 찾지 못해 성을 테테르키나(Тетеркина)로 바꿔 썼다고 한다. 그래서 무려 8년 동안이나 새로 태어난 아들의 출생신고를 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굴렀고, 결국 테툐르키나는 러시아인이 확실하다는 사실을 증명해야만 했다.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 < 안나 카레니나>의 등장인물 중 한 명인 귀족 료빈(Лёвин)의 ё도 е로 표기되어, 레빈(Левин)으로 바뀌었다. 작중 인물이기에 상관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톨스토이가 의도한 '료빈'은 러시아 귀족의 성으로 볼 수 있지만, 바뀌어 버린 '레빈'은 유대인의 성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12] 또한 톨스토이의 원래 이름이 레프(Лев)가 아니라 료프(Лёв)였다는 것 또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름에서뿐만 아니라, 단어에서도 ё 대신 е가 쓰여 단어 표기법 자체가 바뀐 경우도 종종 만날 수 있다.

다만 현재 많은 신문사들이 Ё를 제대로 표기하기 시작했는데, 또한 러시아 국회의 러시아어 위원회에서는 신분증에서 정확한 Ё 표기를 규정한 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러시아 신문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상 문제를 들어 Ё 표기를 꺼린다.

통계에 의하면 무려 러시아 성 2만 5천 가지가 Ё를 사용하고[13], 수천 가지 러시아와 다른 나라들의 지명이 Ё와 관계되었다.

4. 러시아어 이외 언어에서의 활용

벨라루스어에선 /jo/ 발음을 표기할 때 ё가 사용되지만,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에서는 [jo] 발음을 йо, -ьо처럼 합자로 표기하므로 쓰이지 않는다.

러시아어로부터 키릴 문자를 차용한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 언어들 역시 이 글자가 쓰이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에서는 라틴 문자로 'yo'라고 쓰는 [jɒ](여) 발음을 дунё / dunyo ('세계')처럼 'ё'라고 썼다. 반면 타타르어 키릴 문자의 경우 йолдыз / yoldız ('별')처럼 ё 대신 йо로 풀어서 쓰고 있다.

몽골어에서는 [jɔ](여)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쓰이지만 몽골어 모음이 대개 그렇듯 단어 첫 음절이나 장음일 경우를 제외하면 약하게 발음된다. 가령 хоёр (' 2') 의 발음은 표기대로라면 '허여르'지만 구어체에서 '허이르'에 가깝게 들린다.

카라차이발카르어의 경우 ё가 단모음 /ø/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가령 단어 ёмюр('세기')는 [ømyr](외뮈르)처럼 발음된다.

그 밖엔 무슨 연유에선지 외계어에서도 자주 쓰인다(…).


[1] 프랑스어 레용(rayon)을 음차한 단어 [2] 관습에 따라, 혹은 언어에 따라 О 혹은 Э로 전사하기도 한다. [3] 프랑스어 악퇴르(acteur)를 음차한 단어 [4] 이름 Curtis는 영국식 영어 기준 [ˈkʰɜːɹtʰɪs\]로 발음한다. [5] 지명의 첫소리에 올 때에는 Йо로 표기한다. [6] 이 둘이 지금은 항상 경음인 자음으로 분류되지만 과거에는 항상 연음이었던 적이 있었다. [7] '야트(yat/jat)'라고 부르며, (고대) 교회 슬라브어나 고대 러시아어 표기에 사용한 글자이다. 원래 /æ/ 발음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이후 a, ya, ye 등 다른 모음으로 음가가 바뀌었기에 철자법 개혁을 통해 폐지하였다. [8] 물론 여기에도 звѣ́зды → звёзды 같은 예외가 드물게 존재했다. [9] 근대 러시아어까지는 'і'라는 글자가 존재했으며 발음은 현대 러시아어의 'и'와 동일했다. 오히려 и의 표기 빈도가 더 낮았는데, 1918년 철자법 개혁을 통해 и로 통일하였다. 고로 당시 러시아어에서는 миръ(평화)와 міръ(세상)를 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10] 덤으로 역사적으로 Е에서 유래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추측된다. [11] 비슷한 경우로 애플에서 Ъ(경음부호) Ь(연음부호)를 길게 눌러야 한다. [12] 다른 나라에서도 Levin·Levine 등이 유대인 성으로 사용된다. [13] 러시아의 수많은 성씨들이 강세에 따라서 '-요프(-ёв)'로 끝난다. 당장 소련 공산당 서기장만 보더라도 니키타 흐루쇼프(Никита Хрущёв)와 미하일 고르바초프(Михаил Горбачёв) 두 명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