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d4a04a><width=33.3%> ||<width=33.3%> ||<width=33.3%> ||
미행 (1998) 메멘토 (2000) 인섬니아 (2002) 배트맨 비긴즈 (2005) 프레스티지 (2006) 다크 나이트 (2008) 인셉션 (2010) 다크 나이트 라이즈 (2012) 인터스텔라 (2014) 덩케르크 (2017) 테넷 (2020) 오펜하이머 (2023) 오디세이 (2026)
상세 정보 링크 열기
오펜하이머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 ||||||||||||||||||||||||||||||||||||||||||||||||||||||||||||||||||||||||||||||||||||||||||||||||||||||||||||||||||||||||||||||||||||||||||||||||||||||||||||||||||||||||||||||||||||||||||||||||||||||||||||||||||||||||||||||||||||||||||||||||||||||||||||||||||||||||||||||||||||||||||||||||||||||||||||||||||
영화 작품상 - 드라마 | |||||||||||||||||||||||||||||||||||||||||||||||||||||||||||||||||||||||||||||||||||||||||||||||||||||||||||||||||||||||||||||||||||||||||||||||||||||||||||||||||||||||||||||||||||||||||||||||||||||||||||||||||||||||||||||||||||||||||||||||||||||||||||||||||||||||||||||||||||||||||||||||||||||||||||||||||||
제80회 (2023년) |
→ |
제81회 (2024년) |
→ |
제82회 (2025년) |
|||||||||||||||||||||||||||||||||||||||||||||||||||||||||||||||||||||||||||||||||||||||||||||||||||||||||||||||||||||||||||||||||||||||||||||||||||||||||||||||||||||||||||||||||||||||||||||||||||||||||||||||||||||||||||||||||||||||||||||||||||||||||||||||||||||||||||||||||||||||||||||||||||||||||||||||
파벨만스 | → | 오펜하이머 | → |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작품상 (영화) | ||||
제28회 ( 2023년) |
→ |
제29회 ( 2024년) |
→ |
제30회 ( 2025년)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 | 오펜하이머 | → | |
역대 새턴상 시상식 | ||||
스릴러 영화상 | ||||
제47회 (2021/22년) |
→ |
제48회 (2022/23년) |
→ |
제49회 (2023/24년) |
나이트메어 앨리 | → | 오펜하이머 | → |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작품상 | ||||
제76회 ( 2023년) |
→ |
제77회 ( 2024년) |
→ |
제78회 ( 2025년)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 | 오펜하이머 | → | |
}}} ||
오펜하이머 (2023)
Oppenheimer |
|
|
|
|
|
<colbgcolor=#000000><colcolor=#ee602e> 장르 | 전기물, 전쟁, 드라마, 정치, 시대극 |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
각본 | |
원작 | 카이 버드, 마틴 J. 셔윈 -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1] |
제작 |
크리스토퍼 놀란 에마 토머스 찰스 로벤[2] |
주연 |
킬리언 머피 에밀리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
촬영 | 호이트 반 호이테마 |
편집 | 제니퍼 레임 |
음악 | 루드비히 고란손 |
미술 | 루스 드 용 |
의상 | 엘렌 미로즈닉 |
제작사 | 신카피, 아틀라스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유니버설 픽처스 UPI 코리아 |
촬영 기간 | 2022년 2월 ~ 2022년 5월[3] |
개봉일 |
2023년
7월 21일 2023년 8월 15일 2024년 3월 29일 |
화면비 |
2.20:1 1.90:1 / 2.20:1 (IMAX DIGITAL / XT‧CoLa LASER) 1.43:1 / 2.20:1 (IMAX GT LASER/70MM)[4] 1.78:1 / 2.20:1 (Blu-ray Disc) |
상영 타입 | 2D | IMAX[5] | Dolby Vision[6] |
상영 시간 | 180분 (3시간 9초)[7] |
제작비 | 1억 8,0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 9억 7,559만 4,978달러[8] |
북미 박스오피스 | 3억 2,986만 2,540달러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323만 7,793명[9] |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15] |
공식 홈페이지 | | | | |
[clearfix]
1. 개요
THE WORLD FOREVER CHANGES
세상을 영원히 바꾸다
세상을 영원히 바꾸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지도 모르는 선택을 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 개발 프로젝트.
시놉시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 영화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미국의 핵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을 개발한 역사에 대한 미국의
전기 영화다.[16]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지도 모르는 선택을 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 개발 프로젝트.
시놉시스
그동안 놀란의 영화들을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한 것[17]과 달리 처음으로 유니버설 픽처스에서 단독 배급을 맡는 영화이다.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촬영상, 편집상[18], 음악상을 수상하였다.[19]
그리고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 영국 아카데미, 미국 아카데미에서 작품상을 휩쓸었다.
==# 개봉 전 정보 #==
- 2021년 9월, 데드라인을 통해 놀란의 열두 번째 작품은 덩케르크와 동일하게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놀란의 차기작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이야기라고 한다. 극장의 경험을 중시하는 놀란이 타 작품들의 HBO Max 극장 동시 공개로 인해 워너 브라더스와 갈등이 생긴 이후 다른 스튜디오들이 각본을 읽어보고 제작 논의 중이며 킬리언 머피가 출연할 수도 있다고 한다. #
- 배급사는 유니버설 픽처스로 확정되었는데,[20] 유니버설을 선택한 이유는 CEO인 도나 랭글리[21]의 실적[22]과 M. 나이트 샤말란이나 조던 필 같은 감독 등과 잘 논의하면서 창의성을 주요 논제로 채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 2021년 10월 놀란의 차기작의 제목은 《오펜하이머》로 북미 개봉일은 2023년 7월 21일로 확정지었다. 카이 버드와 마틴 J. 셔윈의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이 원작이며, 킬리언 머피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역으로 확정되었다. 촬영은 2022년 초에 시작되며 IMAX 65mm와 65mm 대형 카메라로 촬영된다. 테넷에서 놀란과 합을 맞춘 촬영감독 호이트 반 호이테마, 작곡가 루드비그 예란손, 편집자 제니퍼 레임이 이번 작품도 함께 한다. #
- 2021년 10월 20일 에밀리 블런트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23]의 아내 캐서린 '키티' 오펜하이머 역으로 출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 2021년 11월 3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맷 데이먼의 출연을 확정지었다. # 다우니는 미국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루이스 스트로스, 데이먼은 맨해튼 계획을 지휘한 레슬리 그로브스 중장 역으로 출연한다고 한다. #
- 2021년 12월 9일 플로렌스 퓨는 진 태틀록, 베니 사프디는 에드워드 텔러, 라미 말렉은 과학자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
- 프로덕션 공고에 따르면 2022년 3월부터 촬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
- 2022년 1월 4일 조쉬 하트넷이 캐스팅되었다. # 배역은 어니스트 로런스이다. #
- 2022년 2월 8일 데인 드한이 캐스팅되었고 2월 15일 잭 퀘이드가 캐스팅되었다. # #
- 2022년 2월 16일 매튜 모딘, 딜런 아놀드, 올리 하스키비가 캐스팅되었다. 딜런 아놀드의 배역은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친동생 프랭크 오펜하이머이다. # #
- 2022년 2월 22일 첫 스틸이 공개되었다. 올든 에런라이크, 데이빗 크럼홀츠, 케네스 브래너, 마이클 안가라노가 출연진에 합류하고 이달 뉴멕시코에서 촬영이 시작된다. 사상 처음으로 아이맥스 흑백 아날로그로 촬영될 예정이다. # #
- 2022년 2월 25일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안의 캐스팅이 발표되었다. 다스트말치안은 다크 나이트의 조커 부하 단역 이후 15년 만에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에 출연한다. #
- 2022년 3월 1일 제이슨 클라크, 루이스 롬바드, 스콧 그림즈, 크리스토퍼 덴햄이 캐스팅되었다. # #
- 2022년 3월 2일 제임스 다시가 캐스팅되었다. #
- 2022년 4월 게리 올드만이 라디오에서 합류 소식을 알렸다. # 2022년 5월에 영화 촬영 중 "한 장면, 한 페이지 반"을 촬영한다고. 게리는 놀란의 다크 나이트의 짐 고든 역으로 출연한 바 있으며, 뒹케르크를 다룬 다키스트 아워에서 윈스턴 처칠로 오스카를 받았다. 이번엔 해리 트루먼 당시 미국 대통령으로 출연.[24]
- 북미에서 영화 놉의 IMAX 상영 전 티저 예고편을 공개했다.
- 북미에서 아바타: 물의 길 IMAX 상영 전에 독점 영상이 상영되었다. #
2. 포스터
|
|
티저 포스터 | |
|
|
1차 포스터 | |
|
|
2차 포스터 | |
|
|
IMAX 포스터 | Dolby Cinema 포스터 |
3.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
메인 예고편 |
|
5분 하이라이트 |
===# 티저 예고편 핵폭발 장면 분석 #===
- CG 없이 구현되었다는 핵폭발 장면이 특히 눈에 띈다.
-
1분 34초, 1분 43초에 등장하는 화구의 모습은 실제
트리니티 실험 당시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던 화구의 이미지를 재현한 것이다.
트리니티 실험 당시 폭발 직후의 모습 |
- 영상 1분 34초경에 팽창하는 화구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화염이 보이는데, 이는 'rope trick' 효과를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Rope trick 효과는 핵폭발 시 초고온의 화구로부터 엄청난 복사 에너지가 쏟아져 나오는데, 이 에너지가 기체인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속도보다 고체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속도가 더 빨라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폭발 시 타워나 케이블과 같은 고체 매질이 화구 주변에 있어야만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인데, 실제로 영화에서 다루는 맨해튼 계획의 트리니티 실험에서는 폭발 장치가 약 30m 높이의 타워 위에 설치되었고, 케이블이 타워 꼭대기에서 지면까지 이어져 있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핵폭발 장면의 정확한 재현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단, 트리니티 실험에서 rope trick 효과가 발생했다는 것이 직접적으로 기록된 자료는 없으므로 초고속 촬영된 다른 핵실험의 화구 형태를 참고한 것으로 추측된다.[25]
- 1분 1초경의 소규모 폭발은 핵폭발이 아니라 폭축렌즈의 기폭력 및 하술할 폭발의 동시성을 평가한 실험이다.
- 영상 29초경에 과학자들이 조립하고 있는 물건은 트리니티 실험에 쓰일 핵폭탄 Gadget(장치)이다. 장치를 보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마치 입체 퍼즐처럼 조립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각각의 조각은 폭축렌즈라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핵폭탄에는 크게 두 가지 폭발방식이 있는데, '포신형 방식'과 '내파 방식'이다. 포신형 방식의 경우 우라늄 코어를 다른 우라늄 코어를 향해 마치 총을 쏘듯이 발사하며, 두 우라늄 코어가 충돌하면 임계질량을 초과하게 되어 급격한 핵분열 반응으로 인한 폭발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다. 이 방식은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보이에 사용되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실제 폭발 실험을 진행할 필요는 없었다.[26] 반면 또 다른 폭발방식인 내파 방식의 경우 폭축렌즈라는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폭축렌즈는 중심부의 플루토늄 코어를 외곽부의 고폭탄이 폭발하는 압력으로 압축시켜 연쇄 핵반응 임계점에 도달시키는 방식이다. 외곽부의 고폭탄은 원뿔 형태의 여러 조각으로 구성되어, 조립될 경우 구체 형태를 띈다. 각 조각 내부에는 폭발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중심부의 구형 플루토늄 코어의 표면에 균일하게 수렴하게끔 하기 위한 설계가 되어 있다. 맨해튼 계획 당시 핵폭탄의 코어로 쓰일 핵물질로는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고려되었는데, 우라늄의 경우 핵폭탄의 코어로 쓰일 정도로 고농축하는 것이 어려워서 플루토늄을 코어로 써야 했다. 그런데 플루토늄의 경우 반응 속도가 우라늄보다 높아서 포신형 방식을 쓸 경우 코어 두 개가 온전히 합쳐지기 전에 조기 반응하여 최대 폭발력을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나가사키에 투하된 팻 맨[27] 이후의 핵폭탄은 대부분 폭축렌즈를 사용한 내파 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트리니티 실험에서는 내파 방식의 핵폭탄 장치에 대해서만 실제 폭발 실험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포신형 핵폭탄의 경우 굳이 실제 폭발 실험을 시행해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론적 예측치와 잘 부합하고 기술적 난이도도 비교적 낮았던 반면, 폭축렌즈 메커니즘의 경우 원리나 구조적, 기술적으로 훨씬 복잡했기 때문에 실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28]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검증의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폭축렌즈 메커니즘은 인류 역사상 손꼽히는 천재 과학자 중 한 명인 폰 노이만에 의해 개발되었다. 즉, 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핵폭탄 개발 프로젝트였던 맨해튼 계획은 수백 명의 기라성 같은 천재 과학자들이 미국이라는 강대국의 엄청난 지원을 바탕으로 성취한 기적과도 같은 것이었다.
-
영상 1분 46초경에 등장하는 카운트다운 시계는 형태상
닉시관으로 보이는데, 이는
재현에 어긋난 연출이다. 트리니티 실험은 1945년에 진행되었으나, 닉시관은 그로부터 한참 후인 1952년에 가서야 개발된 디스플레이이기 때문에 시대상에 맞지 않는다.
-
그러나 해당 장면들은 영화의 본편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29] 영화에서는 구 형태의 화구가 아니라 할리우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솔린을 이용한 폭발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흔히
마이클 베이히면 떠오르는 그 폭발을 생각하면 된다. 실제 핵실험 장면을 옮겨 놓은 듯한 예고편 속 모습과 달리 에어쇼나 일반적인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폭발의 모습을 슬로우를 걸고 확대해서 보여줄 뿐이다. 이는 음악을 비롯한 여러 연출로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지만 여기에 스파크들까지 추가를 하면서 실제 화구의 모습과 더욱 동떨어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실제 트리니티 실험 영상의 댓글을 보면 영화의 가장 클라이막스라고 할 수도 있는 이 장면에서 오히려 몰입이 깨졌다는 반응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이 영화는 원자폭탄 자체가 아닌 오펜하이머의 일생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지만 CG 없이 실제 트리니티 실험을 재현했다는 것을 홍보하던 것에 비하면 매우 초라한 폭발의 모습은 비판받을 만하다.
홍보보다는 오히려 변명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4. 등장인물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킬리언 머피 扮) |
|
루이스 스트로스 제독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扮) |
-
캐서린 "키티" 오펜하이머 (
에밀리 블런트 扮)
1910~1972. 독일계 미국인 생물학자, 식물학자. 상당히 다재다능한 인물이자 복잡한 결혼 이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음악을 전공하던 프랭크 램지어와 결혼했다가 이혼했고, 이어 조셉 달렛을 만나 공산당에 가입하여 좌익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둘은 사실혼 관계였지 혼인신고는 하지 않았던 사이였고 영화에서 언급되는 거 처럼 달렛은 스페인 내전의 국제 여단에 합류한 이후 전사했다.
이어 리처드 스튜어트 해리슨을 만나 결혼했고 이시기 공산당을 떠났다. 이후 이야기는 영화와 같으며 오펜하이머와 결혼을 한 이후 아들과 딸을 낳고 지내다 1972년 10월 27일에 파나마 운하를 횡단하던 중 색전증으로 사망했다.
-
레슬리 그로브스 장군 (
맷 데이먼 扮)
맨해튼 프로젝트의 총 지휘관. 오펜하이머는 이론을 통한 실제 폭탄 제조를 담당했다면 레슬리 그로브스는 프로젝트의 모든 부분(로스 앨러모스 건설, 예산 확정, 보안관리, 우라늄 및 플루토늄 구매 등등)을 담당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람까지 갈아내는 성격 탓에 전쟁 이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고, 중장 진급 후 전역했다. 이후 군수업체 임원을 지내는 등 군과의 인연을 이어가다 1970년 사망했다.
-
진 태트록 (
플로렌스 퓨 扮)
1914~1944. 미국 공산당 소속이었던 심리학자로, 1930년대에 오펜하이머와 애정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오펜하이머에게 공산당 사상을 소개하는 등 적잖은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청혼을 두 번 거절하여 결혼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이후 오펜하이머가 키티와 결혼을 한 후에도 친분을 이어갔으나, 1944년에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로 삶을 마감했다. 다만 그녀의 죽음이 정보 요원에 의한 타살이었다는 음모론도 존재한다. 영화상에서도 이를 반영해서 다소 모호하게 죽음을 연출한다. 참고로 자막과 평전에는 이름이 '태트록'이라고 나왔는데, 표기법을 따르면 '탯록'이 옳은 표기다.
-
데이비드 L. 힐[30] (
라미 말렉 扮)
엔리코 페르미 산하의 과학자들과 시카고 파일 개발에 참가했던 미국의 핵물리학자. 이후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하기에 앞서 사전 경고를 하자는 실라르드 청원서 서명 운동에 참가한다. 영화 상에서는 오펜하이머가 그를 2차례나 밀치고 펜을 떨어뜨리는 장면이 나와서 악의를 가질 수 있겠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추후 스트로스가 오펜하이머와 악연일 가능성이 있는 시카고 물리학자들을 청문회 증인으로 전략적으로 요청하여 힐이 나오자, 관객들로 하여금 절망을 느끼게끔 한다. 하지만 스트로스의 기대와 달리 그는 개인적인 악연이 아닌 과학자적 양심에 근거한 증언을 하여 외려 오펜하이머와 스트로스의 관계를 고발하게 된다.
-
로저 롭 (
제이슨 클라크 扮)
컬럼비아순회항소법원(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Circuit) 소속이었던 미국의 연방 검사. 오펜하이머의 청문회에서 그와 그의 주변인들을 심문하는 인물로, 작중에서는 스트로스가 고용한 것으로 언급된다. 강압적인 자세로 오펜하이머의 변호인 측 질문을 끊어버리거나 말의 허점을 노려 강력하게 물고 늘어지는 등 오펜하이머를 압박해 간다.
-
프랭크 오펜하이머 (
딜런 아놀드 扮)
오펜하이머의 친동생. 영화상에서는 그냥 동생으로 부각되지만 그도 물리학자다. 존스홉킨스 대학교 졸업 후 칼텍에서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다. 1935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핵입자 연구도 수행했다.
칼텍 수학 중 UC 버클리 경제학과 학생이던 '재키' 콴과 약혼했는데 그녀는 미국내 젊은 공산주의자 조직인 YCLUSA 에서 활동중이었다. 형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1936년에 둘은 결혼했고 미국 공산당에 가입한다. 1939년 박사 학위 취득 후 스탠포드에서 포닥을 2년간 거쳤다. 1941년부터 45년까지 형의 친구인 어니스트 로런스의 연구실에서 근무하고, 1943년에는 케네스 베인브리지 휘하에서 일하며 트리니티 실험의 장소를 고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전후 버클리에 돌아와 루이스 알바레스, 볼프강 파노프스키와 협력하여 양자 선형 가속기 개발에 참여했고 1947년에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그러나 1947년 워싱턴 타임즈 헤럴드의 고발 기사로 공산당원이었음이 알려지며 낙인 찍히고 교수직을 사임하게 된다. 이후 10여년 간 자리를 찾지 못하고 콜로라도에서 목장을 사서 가축을 키우며 세월을 보냈다. 1957년에야 지역 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칠 수 있게 되었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학생들이 콜로라도 주 과학전에서 1등상을 여러 명이 타게 되었다. 2년 동안 한스 베테, 조지 가모프 등이 노력하여 결국 그는 콜로라도 대학교에서도 강의할 수 있게 되었다. 고등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랭크는 새로운 유형의 과학관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결국 1969년 샌프란시스코에 'Exploratorium'을 열었고 초대 관장이 되어 남은 생애를 박물관에 바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톰 콘티 扮)
-
윌리엄 보든 (
데이비드 다스트말치안 扮)
1954년, 오펜하이머 사건의 발단이 되었던 스파이 활동 고발 편지를 작성한 미국의 변호사, 정치인. 이후 미국 의회 원자력 공동 의회(United States Congressional Joint Committee on Atomic Energy)의 총괄 책임자로서 트루먼 대통령 시기 수소 폭탄 개발의 추진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
케네스 니콜스 (
데인 드한 扮)
맨해튼 계획 당시 그로브스 장군의 전속부관이었던 미합중국 육군 공병 대령. 종전 후 오펜하이머 사건에 관여한 주요 인물 중 한명이다. 그로브스에 대해서는 나중에 "모진 사람"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누구보다 유능한 사람'이라고 하면서, "내가 다시 원자폭탄 개발 계획의 상관을 모셔야 한다면 다시 그로브스를 택하겠다."라는 평을 남겼다. #
- 고든 그레이 ( 토니 골드윈 扮)
- 하콘 슈발리에[31] (제퍼슨 홀 扮)
-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데이비드 크럼홀츠 扮)
- 한스 베테 ( 구스타프 스카스가드 扮)
-
로버트 서버 (마이클 안가라노 扮)
맨해튼 계획에 참여한 물리학자. 프로젝트의 기본 원리와 목표를 설명하는 ‘ 로스 앨러모스 입문서’를 작성한다. “원자폭탄 탄생의 지적 산파”로 불리게 된다.
-
조지 '키스티' 키스티아콥스키 (트론 포사 扮)
우크라이나 출신 미국인으로 하버드 대학교의 물리화학 교수였다. 폭탄의 내파를 위한 렌즈를 설계한 최종 책임자. 영화상에서 렌즈에 문제가 있어서 터지지 않을 수 있다는 주위의 우려에 오펜하이머에게 자신의 한 달 월급을 걸었고 결국 성공하자 매우 기뻐한다.
-
케네스 베인브리지 (조시 펙 扮)
맨해튼 계획에 참여한 물리학자로, 트리니티 프로젝트의 책임자였다. 트리니티 핵실험이 성공한 후 자괴감에 휩싸여서 "우린 이제 개새끼야.(Now we are all sons of bitches)"라고 한 발언이 유명하며, 종전 후 핵실험 반대 운동에 몸을 담았다.
- 릴리 호닉 ( 올리비아 썰비 扮)
- 클라우스 푹스 (크리스토퍼 덴햄 扮)
- 도널드 호닉 (데이비드 리스달 扮)
- 루스 톨먼[32] (루이스 롬바드 扮)
- 필립 모리슨 (해리슨 길버트슨 扮)
-
에드워드 콘던 (올리 하스키비 扮)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영화에서는 "왜 우리가 거기에 가야해?"라며 비웃으며 레슬리 그로브스에게 "인류 역사상 최고로 중요한 프로젝트니까!"라며 f-word를 시전하게 만들었다. 실제 역사에서도 1943년에 맨해튼프로젝트에 합류했지만 과거 좌익 이력으로 인해서 지나치게 보안 감시[33]를 당하자 자진해서 프로젝트에서 하차한다. 영화에서는 조금 다르지만 그로브스에게 갈굼 당하자 오펜하이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오펜하이머가 나몰라라 해버리자 빡쳐서 나가는 것으로 조금 변형했다.
참고로 레슬리 그로브스와는 악연이 이어지는데, 1945년 6월에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아카데미 창립 220주년 행사에 초대된 수많은 미국 과학자들 중 한명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 사실을 알자 "콘돈은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하다 나간 인물이라 참가를 막아달라."며 콘돈이 일하던 웨스팅하우스와 국무부에 요청, 끝내 여권을 박탈하기에 이른다. 이후에도 그의 좌익 이력을 빌미로 끊임없이 공격 당했으나 죽기 직전까지 원자력 보안 허가 취소를 당했던 오펜하이머와 달리 1954년에 보안허가가 다시 발급되며 명예를 회복했다. 이는 해리 트루먼의 지지도 있었다. 이후 1974년에 사망했다.
- 로시 로마니츠[35] (조시 저커먼 扮)
-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 알렉스 울프 扮)
- 조지 엘튼턴 (가이 버넷 扮)
- 재키 오펜하이머[36] (에마 듀몬트 扮)
- 법률 고문 (스콧 그라임스[37] 扮)
- 린든 B. 존슨 (햅 로런스 扮)
- 엔리코 페르미 (대니 드페라리 扮)
-
레오 실라르드(마테 하우만 扮)
핵분열 연쇄반응으로 특허를 낸 헝가리의 물리학자. 원자폭탄 개발의 필요성을 거론하는 편지에 아인슈타인의 서명을 실어 루즈벨트에게 보냈고, 이 편지는 이후 맨해튼 계획의 발단이 된다. 무기 개발 성공 이후에는 핵무기 투하 대상인 일본에 대한 사전 경고 등을 요청한 실라르드 청원서 서명 운동을 주도했다.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마티아스 슈바이크회퍼[38] 扮)
독일의 물리학자. 193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이자, 양자역학의 초기 선지자이기도 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우란프로옉트를 담당하며 핵무기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
리차드 톨먼 (톰 젠킨스 扮)
미국의 물리화학자. 맨하탄 계획에서 레슬리 그로브스의 과학고문 역을 했다. 부인은 임상 심리학자였던 루스 톨먼이다.
-
루이스 스트로스의 상원 보좌관 (
올든 에런라이크 扮)
이름이 따로 언급되지 않는데, 영화 속 유일한 가상 인물이다.
후반부 오펜하이머의 청문회가 열리게 된 것이 모두 그의 짓인 것을 알게 되고 스트로스의 인간성에 실망한 모습을 보여준다.
5. 줄거리 및 탐구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줄거리 및 탐구 문서 참고하십시오.6. 명대사
You can lift the stone without being ready for the snake that's revealed.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네.[39]
닐스 보어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네.[39]
닐스 보어
보어: (오펜하이머에게) 자네 계산 능력은 어떤가?
패트릭 블래킷[40]: 본인이 바라는 뛰어난 물리학자가 되기에는 부족한 편이지.
닐스 보어: 대수는 악보와 같은 걸세. 중요한 건 음표를 읽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야. 자네는 그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 로버트?
오펜하이머: 네, 들을 수 있어요.[41]
패트릭 블래킷[40]: 본인이 바라는 뛰어난 물리학자가 되기에는 부족한 편이지.
닐스 보어: 대수는 악보와 같은 걸세. 중요한 건 음표를 읽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야. 자네는 그 음악을 들을 수 있는가, 로버트?
오펜하이머: 네, 들을 수 있어요.[41]
슈발리에: 무슨 연구를 하시죠?
오펜하이머: 별들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서요.
슈발리에: 별들도 죽습니까?
오펜하이머: 그 경우 별들은 차갑게 식고 붕괴하죠. 별이 클수록 그 최후도 더 격렬해지고, 중력이 엄청나게 집중되어 모든 걸 삼킵니다. 전부 다... 빛조차도요.
슈발리에: 그게 정말 가능합니까?
오펜하이머: 수학은 가능하다고 말해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면, 아마도 언젠가는 어느 천문학자가 그것을 찾아내겠죠. 하지만 지금은 이론이 전부고 세상에 아무런 영향력도 없죠.[42][43]
오펜하이머: 별들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서요.
슈발리에: 별들도 죽습니까?
오펜하이머: 그 경우 별들은 차갑게 식고 붕괴하죠. 별이 클수록 그 최후도 더 격렬해지고, 중력이 엄청나게 집중되어 모든 걸 삼킵니다. 전부 다... 빛조차도요.
슈발리에: 그게 정말 가능합니까?
오펜하이머: 수학은 가능하다고 말해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면, 아마도 언젠가는 어느 천문학자가 그것을 찾아내겠죠. 하지만 지금은 이론이 전부고 세상에 아무런 영향력도 없죠.[42][43]
키티[47]: 제게
양자역학을 설명해보시겠어요? 난해하던데.
오펜하이머: 그럼요. 이 유리잔도, 이 술도, 우리의 몸도 전부 거의 대부분 텅 빈 공간이고, 미세한 에너지 파동들이 서로 얽혀 있는 것이죠.
키티: 무엇에 의해서요?
오펜하이머: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충분히 강해서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물질이 단단하다고 확신하게 만들고... (키티와 손바닥을 마주대며) 제 몸이 당신의 몸을 통과하지 못하고 멈추게 만들지요.
오펜하이머: 그럼요. 이 유리잔도, 이 술도, 우리의 몸도 전부 거의 대부분 텅 빈 공간이고, 미세한 에너지 파동들이 서로 얽혀 있는 것이죠.
키티: 무엇에 의해서요?
오펜하이머: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충분히 강해서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물질이 단단하다고 확신하게 만들고... (키티와 손바닥을 마주대며) 제 몸이 당신의 몸을 통과하지 못하고 멈추게 만들지요.
Why don't you have a Nobel Prize?
레슬리 그로브스: 왜 노벨상이 없으시죠?
Why aren't you a general?
오펜하이머: 왜 별이 없으십니까?
They're making me one for this.
그로브스: 이걸로 하나 달 겁니다.[48]
Perhaps I'll have the same luck.
오펜하이머: 저에게도 같은 행운이 있겠군요.
The Nobel Prize for making a bomb?
그로브스: 폭탄 개발로 노벨상을?
Alfred Nobel invented dynamite.
오펜하이머: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습니다.[49]
레슬리 그로브스: 왜 노벨상이 없으시죠?
Why aren't you a general?
오펜하이머: 왜 별이 없으십니까?
They're making me one for this.
그로브스: 이걸로 하나 달 겁니다.[48]
Perhaps I'll have the same luck.
오펜하이머: 저에게도 같은 행운이 있겠군요.
The Nobel Prize for making a bomb?
그로브스: 폭탄 개발로 노벨상을?
Alfred Nobel invented dynamite.
오펜하이머: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습니다.[49]
에드워드 콘던: 왜 우리가 사막 한복판에 2, 3년씩이나 나와있어야 해?[50] 얼마나 길어질지도 모르는데.
그로브스: 왜? 왜냐고? 왜냐하면 이게 인류 역사상 가장 개같이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면 어떻소! 알아먹겠소? 제기랄.
그로브스: 왜? 왜냐고? 왜냐하면 이게 인류 역사상 가장 개같이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면 어떻소! 알아먹겠소? 제기랄.
이지도어 라비: 난 이 계획에 참여하지 않아, 로버트.
오펜하이머: 왜지?
라비: 폭탄을 떨구면 죄 있는 사람 없는 사람 가리지 않고 터져버려. 난 물리학의 300년 역사의 정점이 대량학살무기로 변질되는 것을 원치 않네.
오펜하이머: 이지, 나도 우리가 그런 무기를 신뢰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치를 믿을 수 없다는 건 잘 알아. 선택의 여지가 없어.
라비: 그럼, 자네가 두 번째로 할 일은 한스 베테를 이론부 부장에 임명하는 거야.
오펜하이머: 좋아. 첫 번째는?
라비: 그 볼썽사나운 군복부터 벗어 던져버려. 자네는 과학자야.[51]
오펜하이머: 그로브스 장군은 우리가 군의 일원이 되길 원하네.
라비: 그자는 엿이나 먹으라고 해. 그들은 우리가 과학자이기 때문에 필요한 거야. 그러니 자네 본분에 맞게 차려입어. ....성질 좀 줄이고.[52]
오펜하이머: 왜지?
라비: 폭탄을 떨구면 죄 있는 사람 없는 사람 가리지 않고 터져버려. 난 물리학의 300년 역사의 정점이 대량학살무기로 변질되는 것을 원치 않네.
오펜하이머: 이지, 나도 우리가 그런 무기를 신뢰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치를 믿을 수 없다는 건 잘 알아. 선택의 여지가 없어.
라비: 그럼, 자네가 두 번째로 할 일은 한스 베테를 이론부 부장에 임명하는 거야.
오펜하이머: 좋아. 첫 번째는?
라비: 그 볼썽사나운 군복부터 벗어 던져버려. 자네는 과학자야.[51]
오펜하이머: 그로브스 장군은 우리가 군의 일원이 되길 원하네.
라비: 그자는 엿이나 먹으라고 해. 그들은 우리가 과학자이기 때문에 필요한 거야. 그러니 자네 본분에 맞게 차려입어. ....성질 좀 줄이고.[52]
보어: 로버트, 난 자네들을 도우러 여기 온 것이 아닐세. 나 없이도 충분히 해내리라고 믿었으니까.
오펜하이머: 그럼 왜 이곳에 오신 겁니까?
보어: 앞으로의 일을 논하기 위해서라네. 자네가 곧 선보일 힘은 나치가 사라져도 세상에 영원히 남을걸세. 그리고 그 세상은 준비되지 않았어.
오펜하이머: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 라는 거죠.
보어: 우리는 정치인들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하네. 이건 신무기가 아니라, 신세계라는 것을. 나는 밖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하겠지만[55], 자네는 이제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가 된 거야. 인류에게 스스로를 파괴할 힘을 건네준 바로 그 인물로서 자네는 사람들에게 추앙받을 것이고, 거기서부터 자네의 과업이 진정으로 시작되는 거야.
오펜하이머: 그럼 왜 이곳에 오신 겁니까?
보어: 앞으로의 일을 논하기 위해서라네. 자네가 곧 선보일 힘은 나치가 사라져도 세상에 영원히 남을걸세. 그리고 그 세상은 준비되지 않았어.
오펜하이머: '드러나는 뱀에 대한 준비 없이도 돌을 들 수 있다' 라는 거죠.
보어: 우리는 정치인들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하네. 이건 신무기가 아니라, 신세계라는 것을. 나는 밖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하겠지만[55], 자네는 이제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가 된 거야. 인류에게 스스로를 파괴할 힘을 건네준 바로 그 인물로서 자네는 사람들에게 추앙받을 것이고, 거기서부터 자네의 과업이 진정으로 시작되는 거야.
그런 죄를 저질러놓고, 이런 일이 생기니까 동정이라도 받고 싶어? 정신 똑바로 차려. 당신은 이곳의 책임자야.
키티
키티
모리슨:
이 무기를 인류에게 사용하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죠?
오펜하이머: 우린 이론가들이네. 우리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고, 그 상상은 우리를 두렵게 하지. 하지만 저들은 그 위력을 이해하기 전까지는 그 무기를 두려워하지 않을 테고, 그것들이 사용되지 않는 한 진정으로 실감하지 못할 걸세. 세상이 로스 앨러모스의 끔찍한 비밀을 알게 되는 날, 우리의 작품은 인류가 여태껏 보지 못한 평화를 가져올 걸세. 루스벨트가 늘 예견했던 일종의 국제 협력에 기반한 평화[56] 말일세.
오펜하이머: 우린 이론가들이네. 우리는 미래를 상상할 수 있고, 그 상상은 우리를 두렵게 하지. 하지만 저들은 그 위력을 이해하기 전까지는 그 무기를 두려워하지 않을 테고, 그것들이 사용되지 않는 한 진정으로 실감하지 못할 걸세. 세상이 로스 앨러모스의 끔찍한 비밀을 알게 되는 날, 우리의 작품은 인류가 여태껏 보지 못한 평화를 가져올 걸세. 루스벨트가 늘 예견했던 일종의 국제 협력에 기반한 평화[56] 말일세.
성공하면 침대보를 걷어.
오펜하이머
오펜하이머
일기예보 틀리면, 교수형에 처할 줄 아시오.
그로브스
그로브스
그로브스: 잠깐만, 우리는 우리가 그 버튼을 누르면 우리가 세상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을, 하고 있는 건가요?
오펜하이머: 3년간 연구해 보았지만, 그걸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못 찾았어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가능성을 제외하고.
그로브스: 확률이 얼마나 됩니까?
오펜하이머: 0에 가깝습니다.
그로브스: '0에 가깝다'? ("Near Zero"?)
오펜하이머: 이론 뿐인데, 뭘 더 바라나요?
그로브스: '0'이라면 안심이 되겠지. ("Zero" will be nice.)[61]
오펜하이머: 3년간 연구해 보았지만, 그걸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못 찾았어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가능성을 제외하고.
그로브스: 확률이 얼마나 됩니까?
오펜하이머: 0에 가깝습니다.
그로브스: '0에 가깝다'? ("Near Zero"?)
오펜하이머: 이론 뿐인데, 뭘 더 바라나요?
그로브스: '0'이라면 안심이 되겠지. ("Zero" will be nice.)[61]
텔러: (
리틀 보이와
팻 맨이 트럭에 실려 연구소를 떠나는 모습을 보며 오펜하이머에게) 자신들에게 뭐가 오고있는지 안다면, 일본은 항복할까?(Would the Japanese surrender if they knew about those are coming?)
오펜하이머: 모르지.
텔러: 실라르드의 청원서 봤나?
오펜하이머: 실라르드가 일본에 대해 망할 뭘 안다고? 자네는 서명 안 했지?
텔러: 많은 사람이 했어. 많은 사람이.
오펜하이머: 에드워드, 우리가 이 폭탄을 만들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할 권리나 책임을 어느 누구보다 더 많이 주지는 않아.
텔러: 하지만 그에 대해 아는 사람은 우리가 유일하잖아.
오펜하이머: 스팀슨에게 이곳의 다양한 의견을 전하기는 했어.
텔러: 그래서 네 의견은?
오펜하이머: 한번 폭탄이 쓰이면... 핵전쟁, 아마도 모든 전쟁이... 생각할 수 없게 될 거라고.
텔러: 누군가가 더 큰 폭탄을 만들 때까지는.(Until somebody builds a bigger bomb.)[62]
(이에 오펜하이머는 충격을 받았는지 더 말을 하지 않고 먼저 자리를 떠나고, 텔러는 여전히 원자폭탄을 실은 트럭들이 떠나는 것을 지켜본다.)
오펜하이머: 모르지.
텔러: 실라르드의 청원서 봤나?
오펜하이머: 실라르드가 일본에 대해 망할 뭘 안다고? 자네는 서명 안 했지?
텔러: 많은 사람이 했어. 많은 사람이.
오펜하이머: 에드워드, 우리가 이 폭탄을 만들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할 권리나 책임을 어느 누구보다 더 많이 주지는 않아.
텔러: 하지만 그에 대해 아는 사람은 우리가 유일하잖아.
오펜하이머: 스팀슨에게 이곳의 다양한 의견을 전하기는 했어.
텔러: 그래서 네 의견은?
오펜하이머: 한번 폭탄이 쓰이면... 핵전쟁, 아마도 모든 전쟁이... 생각할 수 없게 될 거라고.
텔러: 누군가가 더 큰 폭탄을 만들 때까지는.(Until somebody builds a bigger bomb.)[62]
(이에 오펜하이머는 충격을 받았는지 더 말을 하지 않고 먼저 자리를 떠나고, 텔러는 여전히 원자폭탄을 실은 트럭들이 떠나는 것을 지켜본다.)
The world will remember this day.
세상은 오늘[63]을 기억할 것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It's soon to, it's too soon to determine what the result of the bombings are, but I bet the Japanese didn't like it.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의 위력을 정확히 말하기는 이른 단계이지만, 장담하건대 일본은 좋아하진 않았을 겁니다. (연구원들 환호)[64]
I'm so proud, so proud of what you've accomplished.
여러분들이 거둔 이 성과가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I just wish we had time to use against Germans.
우리가 이 폭탄을 독일에게도 쓰지 못했다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오펜하이머[65]
세상은 오늘[63]을 기억할 것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It's soon to, it's too soon to determine what the result of the bombings are, but I bet the Japanese didn't like it.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의 위력을 정확히 말하기는 이른 단계이지만, 장담하건대 일본은 좋아하진 않았을 겁니다. (연구원들 환호)[64]
I'm so proud, so proud of what you've accomplished.
여러분들이 거둔 이 성과가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I just wish we had time to use against Germans.
우리가 이 폭탄을 독일에게도 쓰지 못했다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연구원들 환호)
오펜하이머[65]
트루먼:
로스 앨러모스를 떠날 예정이시라고 들었는데, 그럼 거긴 어쩌지?
오펜하이머: 인디언들에게 돌려주세요.[66]
(중략)
오펜하이머: 대통령님, 제 손에는 피가 묻어있는 것 같습니다.[O]
(Mr. President, I feel I have blood on my hands.)
오펜하이머: 인디언들에게 돌려주세요.[66]
(중략)
오펜하이머: 대통령님, 제 손에는 피가 묻어있는 것 같습니다.[O]
(Mr. President, I feel I have blood on my hands.)
You think anyone in Hiroshima, Nagasaki gives a shit who built a bomb? They care who dropped it. I did. Hiroshima isn't about you.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사람들이 누가 폭탄을 만들었는지 신경이나 쓸 것 같소? 그들에게 중요한 건 누가 떨어트렸느냐요. 내가 했지. 히로시마는 당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소.
Don't let that crybaby back in here!
(오펜하이머가 집무실을 나설 때 뒤에서) 징징대는 애는 여기 들이지 마.
해리 S. 트루먼[68][6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사람들이 누가 폭탄을 만들었는지 신경이나 쓸 것 같소? 그들에게 중요한 건 누가 떨어트렸느냐요. 내가 했지. 히로시마는 당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소.
Don't let that crybaby back in here!
(오펜하이머가 집무실을 나설 때 뒤에서) 징징대는 애는 여기 들이지 마.
해리 S. 트루먼[68][69]
Amateurs seek the sun and get eaten. Power stays in the shadow.
아마추어들은 태양을 쫓다 잡아먹히지. 힘은 그림자 속에 머무는 거라고.
스트로스
아마추어들은 태양을 쫓다 잡아먹히지. 힘은 그림자 속에 머무는 거라고.
스트로스
(윌리엄 보든이 FBI에게 오펜하이머가 공산주의자라고 고발하는 투서를 낭독하기 시작한다. 이로서 이 청문회장에서 오펜하이머와 공산주의를 연결하는 공식 기록이 속기록내에 남겨지게 된다.)
Dear Mr. Hoover,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state my opinion, based upon years of study of the available classified evidence, that,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is an agent of the Soviet Un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justified. One, between 1929 and 1942,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was a sufficiently hardened communist that he volunteered information to the Soviets. Two,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been functioning as an espionage agent. Three.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acted under a Soviet directive in influencing United States military policy.
윌리엄 보든 : 에드가 J. 후버 FBI 국장 귀하. 이 투서의 목적은 기밀 문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J.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일 가능성이 높다는 제 의견을 밝히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타당하다고 주장합니다.
첫째, 1929년에서 1942년 사이에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소련에 정보를 제공할 만큼 열성적인 공산주의자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둘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간첩으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지시에 따라 미국 군사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의의 표시로 변호사 자리에서 일어나 오펜하이머 자리 옆으로 옮겨 앉으며)
I'm sorry, Robert.
개리슨 변호사 : 오펜하이머 씨. 유감입니다.
Is anyone ever going to tell the truth about what's happening here?
오펜하이머 : 지금 여기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훗날) 진실을 말해줄 사람이 있을까요?
Dear Mr. Hoover,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state my opinion, based upon years of study of the available classified evidence, that,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is an agent of the Soviet Un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justified. One, between 1929 and 1942, more probably than not, J. Robert Oppenheimer was a sufficiently hardened communist that he volunteered information to the Soviets. Two,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been functioning as an espionage agent. Three. More probably than not, he has since acted under a Soviet directive in influencing United States military policy.
윌리엄 보든 : 에드가 J. 후버 FBI 국장 귀하. 이 투서의 목적은 기밀 문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J.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일 가능성이 높다는 제 의견을 밝히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타당하다고 주장합니다.
첫째, 1929년에서 1942년 사이에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소련에 정보를 제공할 만큼 열성적인 공산주의자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둘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간첩으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오펜하이머는 이후 소련의 지시에 따라 미국 군사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의의 표시로 변호사 자리에서 일어나 오펜하이머 자리 옆으로 옮겨 앉으며)
I'm sorry, Robert.
개리슨 변호사 : 오펜하이머 씨. 유감입니다.
Is anyone ever going to tell the truth about what's happening here?
오펜하이머 : 지금 여기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훗날) 진실을 말해줄 사람이 있을까요?
볼페: 로버트, 어차피 자넨 이길 수 없어. 이건 결과가 뻔한 마녀사냥이야. 왜 더 큰 고초를 자초하나?
오펜하이머: 다 그럴 이유가 있지.
아인슈타인: 저 사람 말 일리있네. 자네는 마치 변심한 여자를 쫓아다니는 남자처럼 미국 정부를 짝사랑하고 있어.
오펜하이머: 당신은 제 심정을 몰라요, 알버트.
아인슈타인: 내가? 난 내 나라를 영영 떠나온 사람이네. 독일에서 일어났던 수년 전의 재앙이 지금 반복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항없이 순응하고 악의 세력과 쉽게 결탁하지. 자네는 조국을 위해 큰 일을 했는데 이게 그 대가라면 이 나라를 떠나는 게 옳지 않겠나?
오펜하이머: 젠장, 전 이 나라를 사랑한다고요.[70]
아인슈타인: 그럼 저들에게 지옥으로 꺼지라고 말하게.
오펜하이머: 다 그럴 이유가 있지.
아인슈타인: 저 사람 말 일리있네. 자네는 마치 변심한 여자를 쫓아다니는 남자처럼 미국 정부를 짝사랑하고 있어.
오펜하이머: 당신은 제 심정을 몰라요, 알버트.
아인슈타인: 내가? 난 내 나라를 영영 떠나온 사람이네. 독일에서 일어났던 수년 전의 재앙이 지금 반복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항없이 순응하고 악의 세력과 쉽게 결탁하지. 자네는 조국을 위해 큰 일을 했는데 이게 그 대가라면 이 나라를 떠나는 게 옳지 않겠나?
오펜하이머: 젠장, 전 이 나라를 사랑한다고요.[70]
아인슈타인: 그럼 저들에게 지옥으로 꺼지라고 말하게.
로저 롭 검사:
소련은 자신들의 무기 증강을 위해 어떤 짓도 마다하지 않을 텐데요?
오펜하이머: 우리가 먼저 하는 순간[71], 저들도 반드시 따라하게 된단 말입니다. 원자폭탄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노력은 저들의 노력을 부추길 뿐이라고요!
오펜하이머: 우리가 먼저 하는 순간[71], 저들도 반드시 따라하게 된단 말입니다. 원자폭탄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노력은 저들의 노력을 부추길 뿐이라고요!
J. Robert Oppenheimer, the martyr. I gave him exactly what he wanted to be—remembered for Trinity. Not Hiroshima, not Nagasaki. He should be thanking me.
J. 로버트 오펜하이머. 순교자 납셨지. 난 녀석이 바라던 걸 그대로 이뤄줬어. 트리니티 핵실험의 주인공으로 기억되는 거.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아니라. 놈은 나한테 고마워해야 한다고.
스트로스[72]
J. 로버트 오펜하이머. 순교자 납셨지. 난 녀석이 바라던 걸 그대로 이뤄줬어. 트리니티 핵실험의 주인공으로 기억되는 거.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아니라. 놈은 나한테 고마워해야 한다고.
스트로스[72]
오펜하이머:(집 앞 뜰에 있는 키티에게 다가가며) 키티?
키티: (뜰에서 눈물을 글썽이며)그렇게 혹독한 벌을 묵묵히 견디면 세상이 용서할 거 같았어? 용서 안 할거야.
(Did you think that if you let them tar and feather you, then the world would forgive you? It won't.)[73]
오펜하이머: ...보면 알겠지.(We'll see.)
키티: (뜰에서 눈물을 글썽이며)그렇게 혹독한 벌을 묵묵히 견디면 세상이 용서할 거 같았어? 용서 안 할거야.
(Did you think that if you let them tar and feather you, then the world would forgive you? It won't.)[73]
오펜하이머: ...보면 알겠지.(We'll see.)
And one day, when they've punished you enough, they'll serve you salmon and potato salad, make speeches, give you a medal. Pat you on the back, tell you all is forgiven. Just remember, it won't be for you. It will be for them.
그리고 언젠가, 그들이 자네를 충분히 벌하고 나면, 자네를 불러 연어와 감자샐러드를 제공하고, 연설을 하고, 상도 수여하겠지. 자네 등을 토닥이며 자네는 모든 것을 용서받았다고 할 걸세. 다만 기억하게. 그것은 자네를 위한 게 아니야. 자신들을 위한 것이지.
아인슈타인
그리고 언젠가, 그들이 자네를 충분히 벌하고 나면, 자네를 불러 연어와 감자샐러드를 제공하고, 연설을 하고, 상도 수여하겠지. 자네 등을 토닥이며 자네는 모든 것을 용서받았다고 할 걸세. 다만 기억하게. 그것은 자네를 위한 게 아니야. 자신들을 위한 것이지.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
알버트, 제가 그 계산 문제를 들고 찾아갔을 때 우린 말했죠. 어쩌면
파괴의 연쇄반응이 시작될 수도 있다고.
아인슈타인: 똑똑히 기억하고 있지. 그게 왜?
오펜하이머: 시작된 것 같아서요(I believe we did).[74]
아인슈타인: 똑똑히 기억하고 있지. 그게 왜?
오펜하이머: 시작된 것 같아서요(I believe we did).[74]
7. 사운드트랙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사운드트랙 문서 참고하십시오.8. 평가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9. 수상 및 후보
<rowcolor=#ee602e>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2024년 | 골든 글로브 시상식 | 작품상(드라마) | 오펜하이머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
남우주연상(드라마) | 킬리언 머피 | ||
남우조연상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음악상 | 루드비히 고란손 |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작품상 | 오펜하이머 |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
남우조연상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앙상블상 | 오펜하이머 | ||
촬영상 | 호이트 반 호이테마 | ||
편집상 | 제니퍼 레임 | ||
시각효과상 | 오펜하이머 | ||
음악상 | 루드비히 고란손 | ||
새턴상 | 스릴러 영화상 | 오펜하이머 | |
여우조연상 | 에밀리 블런트 | ||
편집상 | 제니퍼 레임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작품상 | 오펜하이머 |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
남우주연상 | 킬리언 머피 | ||
남우조연상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음악상 | 루드비히 고란손 | ||
촬영상 | 호이트 반 호이테마 | ||
편집상 | 제니퍼 레임 |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 작품상 | 오펜하이머 | |
감독상 | 크리스토퍼 놀란 | ||
남우주연상 | 킬리언 머피 | ||
남우조연상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음악상 | 루드비히 고란손 | ||
촬영상 | 호이트 반 호이테마 | ||
편집상 | 제니퍼 레임 |
- 제8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 여우조연상, 각본상, 웰메이드 블록버스터상 후보[비수상부문]
- 제29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각색상 후보[비수상부문]
- 제48회 새턴상 -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프로덕션 디자인상, 의상상, 분장상, 특수/시각효과상 후보[비수상부문]
-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여우조연상, 각색상, 미술상, 의상상, 음향상, 분장상 후보[비수상부문]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 여우조연상, 각색상, 미술상, 의상상, 음향상, 분장상 후보[비수상부문]
-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BAFTA)에서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최다 부문 수상(7개)을 하는 쾌거를 올렸다.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되었다. 영국 아카데미의 회원들은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최하는 'AMPAS'에도 속하는 경우가 많아 3월에 있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결국 오펜하이머는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 모두에서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13개 부문), 최다 부문 수상(7개 부문)이라는 좋은 성과를 얻었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골든 글로브, 크리틱스 초이스, BAFTA, DGA[80], 오스카를 수상하며 감독상 5관왕을 달성하였고,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배우는 골든 글로브, 크리틱스 초이스, BAFTA, SAG, 오스카를 수상하며 남우조연상 5관왕을 달성하였다.[81]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그간 인셉션, 덩케르크 등으로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수차례 올랐지만 고배를 마셨는데, 처음으로 영국 아카데미(BAFTA) 감독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10. 흥행
자세한 내용은 오펜하이머(영화)/흥행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도서
<rowcolor=#ee602e> 분류 | 표지 | 제목 | 발매일 | 링크 |
<colbgcolor=#f5f5f5,#2d2f34> 각본집 |
|
오펜하이머 각본집[국문] 저자: 크리스토퍼 놀란[83] 출판사: 허블 |
2023.08.29.[84] | |
아트북 |
|
오펜하이머 아트북 저자: 제이다 유안 출판사: 아르누보 |
2023.10.31 | yes24 알라딘 교보문고 |
12. 기타
- 영화 초반부, 물리학(특히 블랙홀과 관련된 이론)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으나 영국으로 건너온 이후 우울증에 시달리던 오펜하이머의 혼란스러운 심리를 대변하는 예술작품으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의 시 황무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음악 봄의 제전의 악보, 그리고 파블로 피카소의 그림 팔짱을 끼고 앉아 있는 여인이 등장한다. 셋 모두 오펜하이머를 둘러싼 서구사회가 20세기라는 (당시 기준) 현대에 들어섰음을 의미하는 혁신적인 작품이며, 청년 오펜하이머의 감정, 그의 이론의 학문적 혁신성, 나아가 그가 주도하게 될 맨해튼 계획과 그 이후의 미래를 암시하는 장치로 볼 수 있다.
- 크리스토퍼 놀란은 영화를 제작할 때 CG 사용을 자제하고 실제 촬영을 적극적으로 행하는 편이다. 마침 오펜하이머는 핵무기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계획의 책임자이다 보니, 이를 두고 이번에는 진짜 핵무기를 터뜨려서 찍는 거 아니냐는 드립이 한국뿐 아니라 레딧 등 해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돌기도 했다. 그런데 2022년 12월, 결국 정말 CG 없이 트리니티 실험 재현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공개되며 다시금 화제가 되었다. 물론 영화 촬영한다고 진짜 핵실험을 하는 것은 말이 안 되고, 재래식 폭약으로 비슷한 폭발 효과를 연출했다고 한다.[85]
- 놀란의 페르소나로 유명하지만 주로 조연으로만 출연한 킬리언 머피의 첫 주연 작품이도 하다.[86] 머피는 〈 선샤인〉에서 핵 물리학자 역을 맡은 바 있다. 이때는 인류를 위해 반드시 터트려야 하는 입장.
- 〈 배트맨 비긴즈〉부터 놀란 영화에 빠짐 없이 출연한 마이클 케인이 이번에도 출연할 지 이목이 쏠렸는데, 결국 이번 영화에는 출연하지 않는다고 <시네마 블랜드> 인터뷰에서 놀란 감독이 밝혔다. 이로써 〈배트맨 비긴즈〉 이후 18년 동안 모든 놀란 감독 영화에 출연한 케인의 기록은 영화 〈오펜하이머〉로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이후 인터뷰에서 놀란은 "그는 이번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우리와 정신을 공유한다."라며 출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케인의 나이가 90세를 넘었기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영화에 출연한 케네스 브레너나 게리 올드만이 케인의 뒤를 이어 놀란영화에 지속적으로 출연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예측도 있다.
- 영화의 작중 주요 역할들이 인종적, 성별적 편향이 크다는 지적이 있다. 맨해튼 계획의 흑인 과학자 명단. 다만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과 오펜하이머에게 서사를 맞추기 위하여 타 백인 과학자들 또한 상당수가 배제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야 한다. [87]
- IMAX 흑백 아날로그로 찍은 최초의 영화이다.
- 2023년 공개되는 아이맥스 촬영 영화 중에, 〈 듄: 파트 2〉와 더불어 유일한 GT레이저 화면비로 상영되는 풀 아이맥스 영화다. 그렇기에 오펜하이머 상영 전, 〈듄: 파트 2〉 예고편이 상영되었다. 2023년 8월 24일 〈듄: 파트 2〉의 개봉일이 2024년 봄으로 미뤄지면서, 〈오펜하이머〉는 2023년 개봉작 중 유일한 필름 아이맥스 촬영영화가 됐다.
- 놀란이 토탈 필름 신년호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오펜하이머'에서 흑백 장면들은 실제 역사를, 컬러 장면들은 오펜하이머의 관점을 따르는 장면들이라고 한다. 또한 컬러 장면은 주로 트리니티 실험 과정을, 흑백 장면은 전후의 시간대를 묘사할 예정이다. 즉 색으로 시간뿐만 아니라 주관과 객관도 구별한 것. 놀란 감독은 그 이유에 대해 "〈 메멘토〉에서 정말로 좋아했던 흑백과 컬러의 교차 대조를 다시 활용할 완벽한 계기라고 생각했다. '오펜하이머'의 이야기의 전달 방식은 매우 주관적이지만, 동시에 좀 더 많은 객관적인 이야기의 가닥들이 그 사이에 얽혀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실제 영화공개 후 컬러 장면에 해당되는 각본은 주인공인 오펜하이머의 1인칭 시점으로 작성되었다. # 그래서 일본에서 원폭 장면이 없는 이유도 영화가 그 사건에 대한 특정 시점에서 확장되어 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흑백 장면들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스트로스의 관점이라고 한다. 서술 관점에 따라 색감 연출에 차별화를 두고 있는 셈이다.
- 오프닝이 지나고 본격적으로 영화가 시작하면 1. 핵분열과 2. 핵융합으로 컬러와 흑백을 구분한다. 쳅터가 아닌 컬러와 흑백 전환을 구분하는 연출. 이동진 평론가의 해설영상에 의하면, 1 핵분열은 오펜하이머 시점의 원자폭탄의 폭발, 2 핵융합은 스트로스 시점의 수소폭탄의 폭발을 의미한다고.
- 할리우드 리포터에 의하면 오펜하이머에 출연하기로 한 배우들 상당수가 놀란의 비밀 정책으로 인해 자신의 역할이나 출연 분량을 모르고도 출연 계약을 한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이들은 놀란 작품에 참여하는 것에 큰 의의를 두고 계약을 했다고 한다.
- 전작 〈 테넷〉에서 오펜하이머의 이름이 잠시 언급되었는데, 그 다음 작품에서 놀란은 자신의 영화에서 언급된 인물을 다루는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 전작 테넷의 스태프들이 다시 합류했다. 놀란과 계속해서 작업해 온 음악 감독 한스 짐머는 테넷에 이어 이 작품도 함께하지 않는데, 듄 시리즈의 광팬이라 2021년에 새 영화로 만들어진 듄 시리즈와 그 차기작들의 사운드트랙을 도맡아 제작하느라 그랬다고 한다. 이로 인해 한스 짐머가 직접 놀란 감독에게 추천한 루드비그 예란손이 〈 테넷〉에 이어 음악을 맡게 되었다. 그동안 놀란과 함께 했던 편집 감독 리 스미스 역시 〈 테넷〉에 이어 불참한 대신, 〈 테넷〉의 편집 감독 제니퍼 레임이 다시 편집 감독을 맡았고, 〈 인터스텔라〉부터 함께 한 촬영 감독 호이트 반 호이테마가 이번에도 카메라를 잡았다.
- 대한민국에서는 하하가 2011년 무한도전의 위기일발 무한도전 PLAN B - 정 총무가 쏜다 특집 때 썼던 독후감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당시 정총무가 쏜다 특집 때 서점에서 책을 골랐는데 하하가 골랐던 책은 본작의 원작이자 오펜하이머의 평전인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였고,[88] 후에 그걸 읽고 독후감을 써야 하자 절망하는 표정과 독후감의 내용으로 큰 웃음을 유발했다. 덕분에 한국에서 예고편이 공개됐을 때 전부 하하 드립이 나왔을 정도. 예고편 합성영상. 하하도 본인의 인터넷 방송에서 당시 영상이 재조명받는 일에 대해 말하기도 했다. 그리고 실제로 2023년 버전 감상문 홍보가 진행되면서 이 콜라보가 조명받기도 했다. #
- 한국에서는 2023년 세 번째로 화요일에 개봉한 영화다.[89] 게다가 본래 북미처럼 7월 말로 잡혔던 개봉일을 8월 15일로 늦췄는데, 광복절에 맞추기 위함이라고 추측한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유니버설 픽처스의 한국지사가 영화를 한국에서는 미국 현지보다 늦게 개봉하는 경우가 빈번했고[90], 7월 12일에 개봉한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이 톰 크루즈의 내한 등의 대대적인 홍보로 맞불경쟁이 불가피한 것과 더불어 스크린 쿼터제로 인해[91] 한국 개봉 날짜를 8월 15일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교롭게도 이날은 1947년 맨하탄 프로젝트가 끝난 날이기도 하다.
- 영화의 보조출연자로 실제 과학자들이 출연했다고 한다.
- IMAX사와 유니버설 픽처스가 오펜하이머 개봉 주부터 3주 동안 IMAX 독점 상영 계약을 맺어, 북미 모든 지역의 IMAX관은 개봉 주부터 3주간은 오직 오펜하이머만이 상영된다. 때문에 북미 기준 동시기 경쟁작인 〈 바비〉는 돌비 시네마 포멧으로만 개봉한다.
- 놀란 감독의 작품들 중 〈 인섬니아〉 이후 21년 만에 미국 MPA 심의에서 R등급으로 판정받았다.[92] 그 이유로는 진 태틀록(플로렌스 퓨)이 오펜하이머와 성행위를 하는 장면을 비롯한 노출과, 대사에서 F Word가 여러 번 사용되기 때문이다.
- 문화적으로 보수 성향을 띠는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는 진 태틀록(플로렌스 퓨)의 나체를 검게 가린 판본이 상영됐다 (영어). 단순히 검은색 사각형으로 대충 덮어씌운 게 아니라 아예 컴퓨터 그래픽으로 그럴듯한 검은색 옷을 만들어 입혀줬다.
- 인도에서는 여기에 제작진 쪽에서 정사 장면과 흡연 장면을 추가로 검열해 상영했다 (영어). 그러나 특정 장면에 힌두교 경전의 구절이 포함[93]된 것을 두고 어느 언론인이 불만을 표시하면서 전세계 모든 상영본에서 그 장면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영어).
-
일본은
자신들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을 다루는 영화라는 점에서 개봉이 미뤄지거나 혹은 아예 극장 개봉이 되지않고 vod나 블루레이로만 풀릴 가능성이 있다. 정치적, 역사적 문제를 떠나 핵무기에 대한 여론 자체가 매우 좋지 않은 일본이기 때문에 배급사에서도 손해가 예상된다면 사실 굳이 개봉 할 이유가 없다. 게다가 일본에서는 오펜하이머에서 파생된 밈인
바벤하이머에 대해서도 굉장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지만
그래도 개봉은 했다. 물론 부정적 평가가 지배적이다.[94]
앞서 미국 버라이어티 지에서 〈오펜하이머〉의 일본 개봉 가능성을 점쳐보는 기사를 올린 적 있다. # 요약하자면 일본 개봉 여부는 유니버설 영화의 일본 내 배급을 맡은 도호도와( 도호의 국외 영화 배급 전문 자회사)에서 수입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라고 한다. 현재 일본에는 공식 일본어 홈페이지는 물론, 공식 일본어 자막 예고편조차 공개되질 않아 일본 내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의견이 분분하다. 일본 시장의 특성상 할리우드 영화도 수개월 뒤에나 개봉하는 영화가 많아 오펜하이머도 같은 케이스가 아니냐는 주장은 같은 7월 개봉작들이 개봉 날짜가 미국 기준으로 한달 반을 지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반박된다. 이미 도호는 7월에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개봉한데 이어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31편이 2023년 8월 4일에 개봉하는 점을 생각하면 〈오펜하이머〉의 일본 개봉은 매우 늦어지거나 2차 시장으로만 풀릴 가능성이 있다.
2023년 12월 7일 중소규모 예술영화 배급사인 비터즈 엔드[95]에서 일본 개봉을 발표했다. 직배 및 광역 개봉은 포기하고 독립영화 규모의 소규모 상영을 추진하는 듯 하다.
- 필름 상영을 고집하는 놀란의 성향 때문에 이번에도 필름이 쓰였으나, 필름 무게의 한계 때문에 최대 러닝타임은 3시간으로 제한되었다.
- 영화 감독 올리버 스톤 역시 오펜하이머 프로젝트를 포기한 적이 있는데, 놀란은 그 본질을 잘 발견하였다고 칭찬했다. (imdb trivia)
- 중화권(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에서의 제목을〈奧本海默〉로 통일한 것을 두고 대만 내 일각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奧本海默"( 표준 중국어: ào běn hǎi mò, 아오번하이모; 광둥어: ou3 bun2 hoi2 mak6)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지배하는 중국 본토와 홍콩 및 마카오에서 음차해서 사용하는 표기이고, 대만에서는 " 歐本海默"( 표준 중국어: ōu běn hǎi mò, 어우번하이모)라는 음차 표기가 따로 있기 때문. 불과 한 글자(발음도 중국어 기준으로는 한 음절) 차이지만, 결과적으로 대만이 중국을 따라하는 모양새가 되니 반중국 성향의 대만인들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것.
- 놀란 감독의 작품답게 또다시 음향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일부 관객들이 대사가 잘 들리지 않는다는 후기들이 올라오고 있다고 한다. 미 버라이어티는 왜 놀란의 작품들만 유독 음향 문제로 구설수에 오르는지에 대해 기사를 올렸는데 # 첫 번째 이유로 놀란 감독 특유의 작가주의 성향으로 인한 고집과 두 번째로 아이맥스 필름 촬영으로 인한 현실적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 놀란 감독은 후반부 작업에서 다른 감독과는 다른 방법을 고집하고 있는데 아이맥스 필름 촬영, 그리고 후반부 작업에서 사운드 말고는 아이맥스 필름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어떤 후반부 작업도 기피한다는 것이다. 아이맥스 필름은 사운드 트랙이 필름에 기록되는 게 아니라 별도 트랙으로 따로 기록(주로 CD)되어 상영때 틀어주기 때문에 사운드는 아무리 후처리해도 필름과 같은 디지털 변환에 따른 열화를 피할 수 있다. 그런데 유독 놀란 감독은 이상하게 감독의 작가적 주장을 사운드 믹싱에 포함함으로 관객들과는 충돌이 생긴다는 것이다. 또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제작에 있어 이젠 당연하게 쓰이는 ADR(Automated Dialogue Replacement)기술을 놀란 감독은 쓰지 않는데 이 ADR 기술은 쉽게 말하지면 후시녹음이다. 이 ADR기술은 현장에서 촬영할 때 배우의 대사와 현장에서의 배경 소리를 분리 녹음한다. 이 분리 녹음된 소리들을 디지털로 서라운드, 특수 음향 처리를 한후 배우가 후시녹음 한 대사를 다시 입히는 기술인데 이 기술이 가장 완벽하게 구현된 영화가 바로 〈 캐스트 어웨이〉[96]이다. ADR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음향에 신경쓰는 감독들은 대부분 이 기술을 채용하는 편인데 놀란 감독은 이 기술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배우들의 연기를 현장에서 바로 한 컷에 완성하는 걸 선호하면 편인데 대사까지도 현장에서의 느낌을 중시하는 것이라는 것. 거기다 배우들도 후시녹음을 따로 해야 할 필요가 없으니 놀란 감독의 방식을 좋아하는 편이다.
- 또한 아이맥스 필름 촬영은 한 가지 기술적 한계가 있는 게 바로 카메라 소음이다. 촬영 시 아이맥스 카메라의 필름 통에서 필름을 감을 때 모터 구동음과 필름의 감기는 소리가 아직까지는 너무 크다는 것이다. 때문에 현장에서는 사운드 녹음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괜히 아이맥스 필름 촬영에 노하우가 있는 음향 녹음 팀이 따로 있는 게 아니며 몸값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앞으로도 놀란 감독이 계속해서 아이맥스 필름 촬영을 고집하는 한, 그리고 관련된 기술적 한계가 극복되지 않는 한 놀란 감독의 작품에 음향 논란은 계속 이어질 듯하다.
- 유튜브와 같은 SNS에 오펜하이머 Post-credit scene이라고 설명하는 영상이 올라와있지만 전부 가짜이다. 놀란 감독은 자신의 작품에 쿠키 영상을 넣은 적이 없으며 이번에도 마찬가지이다. # 가짜 여부와는 별개로 핵으로 인한 상호확증파괴의 위험을 경고하는 엔딩과 혼란스러운 세계 정세 때문에 '오펜하이머의 쿠키 영상은 사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세계다'라는 웃지 못할 농담도 있다.
- 크리스토퍼 놀란이 영화 홍보를 위해 알쓸별잡에 출연한 회차가 2023년 8월 10일 2화에 방영되었다. 유현준이 본인 채널에서 홍보하기도 했다.
- 존 폰 노이만은 맨해튼 계획에 있어 폭축렌즈[97]의 설계와 폭파 고도의 계산 등 오펜하이머 못지않은 중추적인 역할을 했음에도 이 영화에서는 단 한 장면도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 기존 문서의 서술이었으나 로스앨러모스에서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오펜하이머이다. 폰 노이만도 일정 부분 기여는 했지만 영화 상에는 아쉽게도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 적절한 기술일 것이다. 폭탄의 내파 설계 작업은 세스 네더마이어에 의해 시작되었고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동반되었는데, 1943년 9월에 폰 노이만은 원통형에서 구형으로 폭탄 설계를 바꾸자고 제안한다. 1944년 8월에 오펜하이머가 내파에 초점을 맞추면서 로스앨러모스 실험실을 개편하였고[98] 폭발 전문가인 조지 '키스티' 키스티아콥스키가 이끄는 X 디비전(폭발물 담당)과 로버트 바셔의 G 디비전(장치 담당)으로 구성한다. 폭탄의 새 디자인은 폭발을 구형으로 집중시키는 렌즈가 핵심이었으며 그것의 개발을 담당한 것이 키스티다. 폰 노이만의 렌즈 모델을 사용한 시도는 실패했고 키스티가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그래서 키스티가 영화상에서 트리니티 실험 당시 중요한 비중으로 표현된 것이다. 참고 폰 노이만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를 투하 장소로 결정한 위원회의 위원이었으며 최적의 충격파 발산을 위한 폭탄이 터져야 하는 지상에서의 높이를 계산하는 것을 감독했다.
- 옥의 티 장면이 있는데 비공개 청문회 장면에서 왼쪽 커튼너머로 보이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들의 디자인이 1950년대와는 달리 매우 현대적인 디자인의 경차들이다.
- 영화관 자막에 문법 오류가 있다. '바라'를 '바래'로 오기하였다. 다만 해당 표현의 경우는 워낙 익숙하기에 국립국어원 표기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 컬러장면은 오펜하이머의 관점이며 흑백은 루이스 스트로스의 시점으로 좀 더 카메라를 멀리두었다. #
- 제임스 우즈가 제작에 참여했다. 우즈 같은 경우 우파 성향 발언으로 논란이 있었던 배우였지만 작가조합과 배우조합등을 지지했고 작품의 제작에 도움을 줬다고 한다.
- 당시 아내를 위해 맷 데이먼은 쉬고 있지만 만약 크리스토퍼 놀란이 연락하지 않는 이상 이라고 조건을 남겨놨다고 한다. #
12.1. 바벤하이머
자세한 내용은 바벤하이머 문서 참고하십시오.13. 둘러보기
2023년 대한민국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rowcolor=#fff> 주 차 | 주간·주말 | 제목 | 국가 | 누적관객수 | 누적매출액 | |
1주 차 (01/02~01/08) |
주간 | 아바타: 물의 길 | 미국 | 8,776,608명 | 109,635,532,854원 | |
주말 | ||||||
2주 차 (01/09~01/15) |
주간 | 9,414,358명 | 118,401,546,990원 | |||
주말 | ||||||
3주 차 (01/16~01/22) |
주간 | 교섭 | 대한민국 | 660,670명 | 6,783,227,814원 | |
주말 | ||||||
4주 차 (01/23~01/29) |
주간 | 1,439,955명 | 14,716,438,251원 | |||
주말 | 더 퍼스트 슬램덩크 | 일본 | 1,922,717명 | 19,906,521,165원 | ||
5주 차 (01/30~02/05) |
주간 | 2,348,323명 | 24,253,068,916원 | |||
주말 | ||||||
6주 차 (02/06~02/12) |
주간 | 2,856,956명 | 29,466,109,930원 | |||
주말 | ||||||
7주 차 (02/13~02/19) |
주간 |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 미국 | 862,945명 | 9,230,382,306원 | |
주말 | ||||||
8주 차 (02/20~02/26) |
주간 | 1,312,796명 | 13,905,524,867원 | |||
주말 | ||||||
9주 차 (02/27~03/05) |
주간 | 대외비 | 대한민국 | 496,712명 | 4,934,237,130원 | |
주말 | ||||||
10주 차 (03/06~03/12) |
주간 | 스즈메의 문단속 | 일본 | 972,478명 | 10,484,236,072원 | |
주말 | ||||||
11주 차 (03/13~03/19) |
주간 | 1,951,079명 | 20,602,080,115원 | |||
주말 | ||||||
12주 차 (03/20~03/26) |
주간 | 2,964,810명 | 31,093,458,647원 | |||
주말 | ||||||
13주 차 (03/27~04/02) |
주간 | 3,784,725명 | 39,189,746,494원 | |||
주말 | ||||||
14주 차 (04/03~04/09) |
주간 | 4,344,045명 | 44,785,553,803원 | |||
주말 | ||||||
15주 차 (04/10~04/16) |
주간 | 존 윅 4 | 미국 | 726,256명 | 7,685,168,144원 | |
주말 | ||||||
16주 차 (04/17~04/23) |
주간 | 1,232,024명 | 12,940,626,230원 | |||
주말 | ||||||
17주 차 (04/24~04/30) |
주간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미국 일본 |
769,099명 | 7,721,308,808원 | |
주말 | ||||||
18주 차 (05/01~05/07) |
주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 미국 | 1,630,894명 | 17,437,607,892원 | |
주말 | ||||||
19주 차 (05/08~05/14) |
주간 | 2,729,308명 | 29,149,264,528원 | |||
주말 | ||||||
20주 차 (05/15~05/21) |
주간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미국 | 843,294명 | 8,932,140,474원 | |
주말 | ||||||
21주 차 (05/22~05/28) |
주간 | 1,447,765명 | 15,218,788,613원 | |||
주말 | ||||||
22주 차 (05/29~06/04) |
주간 | 범죄도시3 | 대한민국 | 4,512,223명 | 44,614,489,126원 | |
주말 | ||||||
23주 차 (06/05~06/11) |
주간 | 7,782,660명 | 77,064,301,585원 | |||
주말 | ||||||
24주 차 (06/12~06/18) |
주간 | 8,912,381명 | 88,323,849,756원 | |||
주말 | ||||||
25주 차 (06/19~06/25) |
주간 | 9,667,845명 | 95,817,966,270원 | |||
주말 | 엘리멘탈 | 미국 | 1,241,691명 | 12,394,413,926원 | ||
26주 차 (06/26~07/02) |
주간 | 2,247,123명 | 22,275,991,395원 | |||
주말 | ||||||
27주 차 (07/03~07/09) |
주간 | 3,406,604명 | 33,728,291,730원 | |||
주말 | ||||||
28주 차 (07/10~07/16) |
주간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 미국 | 1,768,058명 | 18,077,141,491원 | |
주말 | ||||||
29주 차 (07/17~07/23) |
주간 | 2,940,445명 | 29,925,329,083원 | |||
주말 | ||||||
30주 차 (07/24~07/30) |
주간 | 밀수 | 대한민국 | 1,724,874명 | 16,672,943,495원 | |
주말 | ||||||
31주 차 (07/31~08/06) |
주간 | 3,535,571명 | 34,166,190,541원 | |||
주말 | ||||||
32주 차 (08/07~08/13) |
주간 | 콘크리트 유토피아 | 대한민국 | 1,546,167명 | 15,119,120,439원 | |
주말 | ||||||
33주 차 (08/14~08/20) |
주간 | 오펜하이머 | 미국, 영국 | 1,592,541명 | 16,948,217,585원 | |
주말 | ||||||
34주 차 (08/21~08/27) |
주간 | 2,323,511명 | 24,902,557,072원 | |||
주말 | ||||||
35주 차 (08/28~09/03) |
주간 | 2,774,670명 | 29,621,073,825원 | |||
주말 | ||||||
36주 차 (09/04~09/10) |
주간 | 잠 | 대한민국 | 538,862명 | 5,300,444,456원 | |
주말 | ||||||
37주 차 (09/11~09/17) |
주간 | 1,031,031명 | 10,186,316,194원 | |||
주말 | ||||||
38주 차 (09/18~09/24) |
주간 | 1,319,853명 | 12,659,687,871원 | |||
주말 | ||||||
39주 차 (09/25~10/01) |
주간 |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 대한민국 | 1,173,542명 | 11,341,138,213원 | |
주말 | ||||||
40주 차 (10/02~10/08) |
주간 | 30일 | 대한민국 | 619,780명 | 6,114,077,682원 | |
주말 | ||||||
41주 차 (10/09~10/15) |
주간 | 1,210,225명 | 11,979,273,459원 | |||
주말 | ||||||
42주 차 (10/16~10/22) |
주간 | 1,595,799명 | 15,780,558,027원 | |||
주말 | ||||||
43주 차 (10/23~10/29) |
주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일본 | 947,951명 | 9,186,002,236원 | |
주말 | ||||||
44주 차 (10/30~11/05) |
주간 | 1,482,083명 | 14,481,087,790원 | |||
주말 | ||||||
45주 차 (11/06~11/12) |
주간 | 더 마블스 | 미국 | 446,899명 | 4,511,845,426원 | |
주말 | ||||||
46주 차 (11/13~11/19) |
주간 | 프레디의 피자가게 | 미국 | 340,614명 | 3,315,386,458원 | |
주말 | ||||||
47주 차 (11/20~11/26) |
주간 | 서울의 봄 | 대한민국 | 1,892,356명 | 18,345,367,538원 | |
주말 | ||||||
48주 차 (11/27~12/03) |
주간 | 4,654,825명 | 44,532,413,953원 | |||
주말 | ||||||
49주 차 (12/04~12/10) |
주간 | 6,971,667명 | 67,199,660,314원 | |||
주말 | ||||||
50주 차 (12/11~12/17) |
주간 | 8,941,093명 | 86,503,082,371원 | |||
주말 | ||||||
51주 차 (12/18~12/24) |
주간 | 노량: 죽음의 바다 | 대한민국 | 1,680,415명 | 16,728,785,209원 | |
주말 | ||||||
52주 차 (12/25~12/31) |
주간 | 3,437,308명 | 34,203,743,403원 | |||
주말 | ||||||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0 ]⠀ {{{#!wiki style="margin: -5px -1px" |
테넷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파이널컷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특별전 | 원더우먼 1984 | 소울 |
No. 1 2020. 8. 26. |
No. 2 2020. 10. 28. |
No. 3 2020. 11. 12. |
No. 4 2020. 12. 23. |
No. 5 2021. 1. 20. |
|
미나리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 자산어보 | 서복 | 내일의 기억 | |
No. 6 2021. 3. 3. |
No. 7 2021. 3. 3. |
No. 8 2021. 3. 31. |
No. 9 2021. 4. 15. |
No. 10 2021. 4. 21. |
|
더 스파이 |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 크루엘라 | 캐시트럭 | 루카 | |
No. 11 2021. 4. 28. |
No. 12 2021. 5. 19. |
No. 13 2021. 5. 26. |
No. 14 2021. 6. 9. |
No. 15 2021. 6. 17. |
|
킬러의 보디가드 2 | 발신제한 | 블랙 위도우 | 랑종 | 보스 베이비 2 | |
No. 16 2021. 6. 23. |
No. 17 2021. 6. 23. |
No. 18 2021. 7. 14. |
No. 19 2021. 7. 14. |
No. 20 2021. 7. 21. |
- ⠀[ No. 21-4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296EAF> 모가디슈
정글 크루즈 블랙핑크 더 무비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귀문 No. 21
2021. 7. 28.No. 22
2021. 7. 28.No. 23
2021. 8. 4.No. 24
2021. 8. 4.No. 25
2021. 8. 25.인질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007 노 타임 투 다이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듄 No. 26
2021. 8. 18.No. 27
2021. 9. 1.No. 28
2021. 9. 29.No. 29
2021. 10. 13.No. 30
2021. 10. 20.고장난 론 이터널스 귀멸의 칼날: 남매의 연 귀멸의 칼날: 나타구모산 편 장르만 로맨스 No. 31
2021. 10. 27.No. 32
2021. 11. 10.No. 33
2021. 11. 10.No. 34
2021. 11. 17.No. 35
2021. 11. 17.유체이탈자 연애 빠진 로맨스 엔칸토: 마법의 세계 귀멸의 칼날: 주합회의 · 나비저택 편 타짜 No. 36
2021. 11. 24.No. 37
2021. 11. 24.No. 38
2021. 11. 24.No. 39
2021. 12. 1.No. 40
2021. 12. 1.
- ⠀[ No. 41-6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447BBE>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해피 뉴 이어 경관의 피 No. 41
2021. 12. 15.No. 42
2021. 12. 22.No. 43
2021. 12. 22.No. 44
2021. 12. 29.No. 45
2022. 1. 5.특송 킹메이커 해적: 도깨비 깃발 나일 강의 죽음 언차티드 No. 46
2022. 1. 12.No. 47
2022. 1. 26.No. 48
2022. 1. 26.No. 49
2022. 2. 9.No. 50
2022. 2. 16.극장판 주술회전 0 더 배트맨 뜨거운 피 모비우스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No. 51
2022. 2. 23.No. 52
2022. 3. 1.No. 53
2022. 3. 23.No. 54
2022. 3. 30.No. 55
2022. 4. 13.앵커 로스트 시티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No. 56
2022. 4. 20.No. 57
2022. 4. 20.No. 58
2022. 4. 21.No. 59
2022. 5. 4.No. 60
2022. 5. 18.
- ⠀[ No. 61-8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50B9E1>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No. 61
2022. 6. 1.No. 62
2022. 6. 8.No. 63
2022. 6. 15.No. 64
2022. 6. 15.No. 65
2022. 6. 22.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엘비스 미니언즈 2 외계+인 1부 No. 66
2022. 6. 29.No. 67
2022. 7. 13.No. 68
2022. 7. 13.No. 69
2022. 7. 20.No. 70
2022. 7. 20.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불릿 트레인 귀멸의 칼날: 아사쿠사 편 No. 71
2022. 7. 27.No. 72
2022. 8. 3.No. 73
2022. 8. 10.No. 74
2022. 8. 24.No. 75
2022. 8. 25.공조2: 인터내셔날 귀멸의 칼날: 장구저택 편 늑대사냥 아바타 리마스터링 정직한 후보2 No. 76
2022. 9. 7.No. 77
2022. 9. 15.No. 78
2022. 9. 21.No. 79
2022. 9. 21.No. 80
2022. 9. 28.
- ⠀[ No. 81-10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BDB00> 인생은 아름다워
블랙 아담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동감 데시벨 No. 81
2022. 9. 28.No. 82
2022. 10. 19.No. 83
2022. 11. 9.No. 84
2022. 11. 16.No. 85
2022. 11. 16.올빼미 스트레인지 월드 원피스 필름 레드 압꾸정 더 메뉴 No. 86
2022. 11. 23.No. 87
2022. 11. 23.No. 88
2022. 11. 30.No. 89
2022. 11. 30.No. 90
2022. 12. 7.아바타: 물의 길 영웅 젠틀맨 3000년의 기다림 스위치 No. 91
2022. 12. 21.No. 92
2022. 12. 21.No. 93
2022. 12. 28.No. 94
2023. 1. 4.No. 95
2022. 1. 6.교섭 유령 더 퍼스트 슬램덩크 상견니 파코니의 방구석 어드벤처 No. 96
2023. 1. 18.No. 97
2023. 1. 18.No. 98
2023. 1. 20.No. 99
2023. 1. 25.No. 100
2023. 2. 1.
- ⠀[ No. 101-12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ffd700> 바빌론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No. 101
2023. 2. 1.No. 102
2023. 2. 15.No. 103
2023. 3. 1.No. 104
2023. 3. 1.No. 105
2023. 3. 15.소울메이트 사잠! 신들의 분노 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거울 속 외딴 성 존 윅 4 No. 106
2023. 3. 15.No. 107
2023. 3. 15.No. 108
2023. 3. 22.No. 109
2023. 4. 12.No. 110
2023. 4. 12.킬링 로맨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드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롱디 No. 111
2023. 4. 14.No. 112
2023. 4. 26.No. 113
2023. 4. 26.No. 114
2023. 5. 3.No. 115
2023. 5. 10.메리 마이 데드 바디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슬픔의 삼각형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남은 인생 10년 No. 116
2023. 5. 17.No. 117
2023. 5. 17.No. 118
2023. 5. 17.No. 119
2023. 5. 24.No. 120
2023. 5. 24.
- ⠀[ No. 121-14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183942> 인어공주
범죄도시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플래시 No. 121
2023. 5. 24.No. 122
2023. 5. 31.No. 123
2023. 6. 6.No. 124
2023. 6. 14.No. 125
2023. 6. 14.엘리멘탈 귀공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애스터로이드 시티 여름날 우리 No. 126
2023. 6. 14.No. 127
2023. 6. 21.No. 128
2023. 6. 21.No. 129
2023. 6. 28.No. 130
2023. 6. 28.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풍재기시 보 이즈 어프레이드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No. 131
2023. 6. 28.No. 132
2023. 7. 5.No. 133
2023. 7. 5.No. 134
2023. 7. 8.No. 135
2023. 7. 12.바비 밀수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No. 136
2023. 7. 19.No. 137
2023. 7. 26.No. 138
2023. 8. 2.No. 139
2023. 8. 2.No. 140
2023. 8. 9.
- ⠀[ No. 141-16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00000> 오펜하이머
여름을 향한 터널, 이별의 출구 플로라 앤 썬 30일 화사한 그녀 No. 141
2023. 8. 15.No. 142
2023. 9. 14.No. 143
2023. 9. 22.No. 144
2023. 10. 3.No. 145
2023. 10. 11.소년들 톡 투 미 만추 리마스터링 다크 나이트 서울의 봄 No. 146
2023. 11. 1.No. 147
2023. 11. 1.No. 148
2023. 11. 8.No. 149
2023. 11. 15.No. 150
2023. 11. 22.극장판 파워 디지몬 더 비기닝 겨울왕국 / 겨울왕국 2 쏘우 X 류이치 사카모토 | 오퍼스 시민덕희 No. 151
2023. 11. 29.No. 152
2023. 11. 30.No. 153
2023. 12. 13.No. 154
2023. 12. 27.No. 155
2024. 1. 24.데드맨 소풍 비트 태양은 없다 골드핑거 No. 156
2024. 2. 7.No. 157
2024. 2. 7.No. 158
2024. 3. 6.No. 159
2024. 3. 13.No. 160
2024. 4. 10.
- ⠀[ No. 161-18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3a4980> 범죄도시4
악마와의 토크쇼 별처럼 빛나는 너에게 더무비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No. 161
2024. 4. 24.No. 162
2024. 5. 8.No. 163
2024. 5. 22.No. 164
2024. 5. 29.No. 165
2024. 6. 5.키타로 탄생 게게게의 수수께끼 프리실라 프렌치 수프 만천과해 탈주 No. 166
2024. 6. 12.No. 167
2024. 6. 19.No. 168
2024. 6. 19.No. 169
2024. 7. 3.No. 170
2024. 7. 3.극장판 도라에몽:진구의 지구 교향곡 그랑블루 오리지날 리마스터링 리볼버 빅토리 극장판 블루 록 -EPISODE 나기- No. 171
2024. 7. 10.No. 172
2024. 7. 17.No. 173
2024. 8. 7.No. 174
2024. 8. 14.No. 175
2024. 8. 21.비긴 어게인 대도시의 사랑법 보통의 가족 6시간 후 너는 죽는다 블루 자이언트 No. 176
2024. 9. 18.No. 177
2024. 10. 1.No. 178
2024. 10. 16.No. 179
2024. 10. 16.No. 180
2024. 10. 18.
- ⠀[ No. 181-200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93325> 아마존 활명수
청설 1승 소방관 정동원 성탄총동원 더 무비 No. 181
2024. 10. 30.No. 182
2024. 11. 6.No. 183
2024. 12. 4.No. 184
2024. 12. 4.No. 185
2024. 12. 18.더 폴: 디렉터스 컷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No. 186
2024. 12. 25.No. 187
2024. 12. 31.
- ⠀[ Special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ecf4c1> 미나리
비상선언 아바타: 물의 길 상견니 상견니 Sp. 1
2021. 4. 26.Sp. 2
2022. 8. 3.Sp. 3
2022. 12. 31.Sp. 4
2023. 2. 14.Sp. 5
2023. 3. 14.스즈메의 문단속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정국: 아이 엠 스틸 위드 유 Sp. 6
2023. 5. 31.Sp. 7
2024. 7. 11.Sp. 8
2024. 10. 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No. 1-20 ]⠀ |
반도 | 강철비2: 정상회담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테넷 | 나의 소녀시대 |
No. 1 2020. 7. 15. |
No. 2 2020. 7. 29. |
No. 3 2020. 8. 5. |
No. 4 2020. 8. 26. |
No. 5 2020. 8. 26. |
|
기기괴괴-성형수 | 뮬란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위플래쉬 | 런 | |
No. 6 2020. 9. 9. |
No. 7 2020. 9. 17. |
No. 8 2020. 10. 22. |
No. 9 2020. 10. 28. |
No. 10 2020. 11. 20. |
|
조제 | 원더우먼 1984 | 새해전야 | 신과함께-죄와 벌 | 신과함께-인과 연 | |
No. 11 2020. 12. 10. |
No. 12 2020. 12. 23. |
No. 13 2021. 2. 10. |
No. 14 2021. 1. 8. |
No. 15 2021. 1. 21. |
|
소울 | 캐롤 |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미나리 | 고질라 VS. 콩 | |
No. 16 2021. 1. 20. |
No. 17 2021. 1. 27. |
No. 18 2021. 3. 4. |
No. 19 2021. 3. 18. |
No. 20 2021. 3. 25. |
- ⠀[ No. 21-4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E1E1E1>
자산어보
서복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No. 21
2021. 3. 31.No. 22
2021. 4. 15.No. 23
2021. 4. 16.No. 24
2021. 4. 22.No. 25
2021. 4. 29.스파이럴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캐시트럭 콰이어트 플레이스 2 No. 26
2021. 5. 12.No. 27
2021. 5. 19.No. 28
2021. 5. 26.No. 29
2021. 6. 9.No. 30
2021. 6. 16.루카 킬러의 보디가드 2 인 더 하이츠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블랙 위도우 No. 31
2021. 6. 17.No. 32
2021. 6. 23.No. 33
2021. 6. 30.No. 34
2021. 6. 30.No. 35
2021. 7. 14.랑종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보스 베이비 2 이도공간 정글 크루즈 No. 36
2021. 7. 14.No. 37
2021. 7. 14.No. 38
2021. 7. 21.No. 39
2021. 7. 21.No. 40
2021. 7. 28.
- ⠀[ No. 41-6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296EAF>
모가디슈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인질 레미니센스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No. 41
2021. 7. 28.No. 42
2021. 8. 4.No. 43
2021. 8. 18.No. 44
2021. 8. 25.No. 45
2021. 9. 1.기적 007 노 타임 투 다이 용과 주근깨 공주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듄 No. 46
2021. 9. 15.No. 47
2021. 9. 29.No. 48
2021. 9. 29.No. 49
2021. 10. 13.No. 50
2021. 10. 20.고장난 론 이터널스 엔칸토: 마법의 세계 매트릭스 리슨 No. 51
2021. 10. 27.No. 52
2021. 11. 10.No. 53
2021. 11. 24.No. 54
2021. 12. 9.No. 55
2021. 12. 9.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경관의 피 특송 No. 56
2021. 12. 15.No. 57
2021. 12. 22.No. 58
2021. 12. 22.No. 59
2022. 1. 5.No. 60
2021. 1. 12.
- ⠀[ No. 61-8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00000>
레지던트 이블: 라쿤시티
해적: 도깨비 깃발 킹메이커 나일 강의 죽음 언차티드 No. 61
2022. 1. 19.No. 62
2022. 1. 26.No. 63
2022. 1. 26.No. 64
2022. 2. 9.No. 65
2022. 2. 16.시라노 더 배트맨 모비우스 수퍼 소닉 2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No. 66
2022. 2. 23.No. 67
2022. 3. 1.No. 68
2022. 3. 30.No. 69
2022. 4. 6.No. 70
2022. 4. 13.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No. 71
2022. 5. 11.No. 72
2022. 5. 18.No. 73
2022. 6. 1.No. 74
2022. 6. 8.No. 75
2022. 6. 15.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엘비스 No. 76
2022. 6. 15.No. 77
2022. 6. 22.No. 78
2022. 6. 29.No. 79
2022. 7. 13.No. 80
2022. 7. 13.
- ⠀[ No. 81-10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FB7344>
미니언즈 2
외계+인 1부 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No. 81
2022. 7. 20.No. 82
2022. 7. 20.No. 83
2022. 7. 27.No. 84
2022. 8. 3.No. 85
2022. 2. 16.불릿 트레인 공조2: 인터내셔날 인생은 아름다워 정직한 후보 2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No. 86
2022. 8. 24.No. 87
2022. 9. 7.No. 88
2022. 9. 28.No. 89
2022. 9. 28.No. 90
2022. 10. 12.블랙 아담 자백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데시벨 스트레인지 월드 No. 91
2022. 10. 19.No. 92
2022. 10. 26.No. 93
2022. 11. 9.No. 94
2022. 11. 16.No. 95
2022. 11. 23.올빼미 원피스 필름 레드 아바타: 물의 길 영웅 젠틀맨 No. 96
2022. 11. 23.No. 97
2022. 11. 30.No. 98
2022. 12. 21.No. 99
2022. 12. 21.No. 100
2022. 12. 28.
- ⠀[ No. 101-12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D15345>
스위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교섭 유령 바빌론 No. 101
2023. 1. 4.No. 102
2023. 1. 14.No. 103
2023. 1. 18.No. 104
2023. 1. 18.No. 105
2023. 2. 1.타이타닉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사잠! 신들의 분노 No. 106
2023. 2. 8.No. 107
2023. 2. 15.No. 108
2023. 3. 1.No. 109
2023. 3. 8.No. 110
2023. 3. 15.소울메이트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존 윅 4 거울 속 외딴 성 킬링 로맨스 No. 111
2023. 3. 15.No. 112
2023. 3. 29.No. 113
2023. 4. 12.No. 114
2023. 4. 12.No. 115
2023. 4. 1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슬픔의 삼각형 스즈메의 문단속 No. 116
2023. 4. 26.No. 117
2023. 5. 3.No. 118
2023. 5. 10.No. 119
2023. 5. 17.No. 120
2023. 5. 17.
- ⠀[ No. 121-14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5f504b>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인어공주 범죄도시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No. 121
2023. 5. 16.No. 122
2023. 5. 24.No. 123
2023. 5. 24.No. 124
2023. 5. 31.No. 125
2023. 6. 6.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엘리멘탈 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귀공자 No. 126
2023. 6. 14.No. 127
2023. 6. 14.No. 128
2023. 6. 15.No. 129
2023. 6. 21.No. 130
2023. 6. 21.애스터로이드 시티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여름날 우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밀수 No. 131
2023. 6. 28.No. 132
2023. 6. 28.No. 133
2023. 6. 28.No. 134
2023. 7. 12.No. 135
2023. 7. 26.바비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오펜하이머 No. 136
2023. 7. 26.No. 137
2023. 8. 2.No. 138
2023. 8. 2.No. 139
2023. 8. 9.No. 140
2023. 8. 15.
- ⠀[ No. 141-16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151c2f>
잠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 거미집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1947 보스톤 No. 141
2023. 9. 6.No. 142
2023. 9. 14.No. 143
2023. 9. 27.No. 144
2023. 9. 27.No. 145
2023. 9. 27.크리에이터 화란 블루 자이언트 플라워 킬링 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No. 146
2023. 10. 4.No. 147
2023. 10. 11.No. 148
2023. 10. 18.No. 149
2023. 10. 19.No. 150
2023. 10. 25.톡 투 미 키리에의 노래 서울의 봄 괴물 싱글 인 서울 No. 151
2023. 11. 1.No. 152
2023. 11. 1.No. 153
2023. 11. 22.No. 154
2023. 11. 29.No. 155
2023. 11. 29.나폴레옹 3일의 휴가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노량: 죽음의 바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No. 156
2023. 12. 6.No. 157
2023. 12. 6.No. 158
2023. 12. 20.No. 159
2023. 12. 20.No. 160
2023. 12. 27.
- ⠀[ No. 161-18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182b70>
위시
립세의 사계 웡카 소풍 파묘 No. 161
2024. 1. 3.No. 162
2024. 1. 10.No. 163
2024. 1. 31.No. 164
2024. 2. 7.No. 165
2024. 2. 22.가여운 것들 밥 말리: 원 러브 메이 디셈버 오멘: 저주의 시작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No. 166
2024. 3. 6.No. 167
2024. 3. 13.No. 168
2024. 3. 13.No. 169
2024. 4. 6.No. 170
2024. 4. 10.쿵푸팬더 4 범죄도시4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이프: 상상의 친구 No. 171
2024. 4. 10.No. 172
2024. 4. 24.No. 173
2024. 5. 8.No. 174
2024. 5. 15.No. 175
2024. 5. 15.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설계자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No. 176
2024. 5. 22.No. 177
2024. 5. 22.No. 178
2024. 5. 31.No. 179
2024. 5. 29.No. 180
2024. 6. 5.
- ⠀[ No. 181-20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ffcc9f>
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 핸섬가이즈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No. 181
2024. 6. 5.No. 182
2024. 6. 12.No. 183
2024. 6. 21.No. 184
2024. 6. 26.No. 185
2024. 6. 26.탈주 슈퍼배드 4 데드풀과 울버린 파일럿 리볼버 No. 186
2024. 7. 3.No. 187
2024. 7. 24.No. 188
2024. 7. 24.No. 189
2024. 7. 31.No. 190
2024. 8. 7.빅토리 행복의 나라 에이리언: 로물루스 비틀쥬스 비틀쥬스 우리가 끝이야 No. 191
2024. 8. 14.No. 192
2024. 8. 14.No. 193
2024. 8. 14.No. 194
2024. 9. 4.No. 195
2024. 9. 13.트랜스포머 ONE 대도시의 사랑법 조커: 폴리 아 되 베테랑2 보통의 가족 No. 196
2024. 9. 25.No. 197
2024. 10. 1.No. 198
2024. 10. 1.No. 199
2024. 10. 2.No. 200
2024. 10. 16.
- ⠀[ No. 201-22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f9f9f9>
스마일 2
베놈: 라스트 댄스 아마존 활명수 청설 글래디에이터 II No. 201
2024. 10. 16.No. 202
2024. 10. 23.No. 203
2024. 10. 30.No. 204
2024. 11. 6.No. 205
2024. 11. 13.4월이 되면 그녀는 사흘 히든페이스 위키드 모아나 2 No. 206
2024. 11. 13.No. 207
2024. 11. 14.No. 208
2024. 11. 20.No. 209
2024. 11. 20.No. 210
2024. 11. 27.1승 소방관 서브스턴스 대가족 무파사: 라이온 킹 No. 211
2024. 12. 4.No. 212
2024. 12. 4.No. 213
2024. 12. 11.No. 214
2024. 12. 11.No. 215
2024. 12. 18.하얼빈 시빌 워: 분열의 시대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수퍼 소닉3 No. 216
2024. 12. 24.No. 217
2024. 12. 31.No. 218
2024. 12. 31.No. 219
2025. 1. 1.
- ⠀[ Sp. 1-2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947EA9>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비상선언 Sp. 1
2021. 9. 9.Sp. 2
2021. 9. 9.Sp. 3
2021. 12. 1.Sp. 4
2022. 4. 21.Sp. 5
2022. 8. 3.모가디슈(재개봉) 원피스 필름 레드 탑건: 매버릭 아바타: 물의 길 초속 5센티미터 Sp. 6
2022. 9. 7.Sp. 7
2022. 11. 30.Sp. 8
2022. 12. 7.Sp. 9
2022. 12. 14.Sp. 10
2023. 4. 20.BTS Solo Documentaries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올드보이 그래비티 다크 나이트 Sp. 11
2023. 6. 16.Sp. 12
2023. 7. 5.Sp. 13
2023. 9. 20.Sp. 14
2023. 10. 25.Sp. 15
2023. 11. 15.시간을 달리는 소녀 러브 액츄얼리 냉정과 열정사이 겨울왕국
겨울왕국 2스즈메의 문단속 Sp. 16
2023. 11. 22.Sp. 17
2023. 12. 6.Sp. 18
2023. 12. 6.Sp. 19
2023. 12. 7.Sp. 20
2024. 1. 10.
- ⠀[ Sp. 21-4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06cb7>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작은 아씨들 이프 온리 추락의 해부 Sp. 21
2024. 1. 17.Sp. 22
2024. 1. 17.Sp. 23
2024. 2. 14.Sp. 24
2024. 2. 21.Sp. 25
2024. 2. 28.패스트 라이브즈 로봇 드림 이승윤 콘서트 도킹 : 리프트오프 남은 인생 10년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Sp. 26
2024. 2. 29.Sp. 27
2024. 3. 4.Sp. 28
2024. 3. 22.Sp. 29
2024. 4. 3.Sp. 30
2024. 4. 10.목소리의 형태 김준수 콘서트 무비 챕터 원: 레크리에이션 태극기 휘날리며 너는 달밤에 빛나고 그녀 Sp. 31
2024. 5. 9.Sp. 32
2024. 6. 5.Sp. 33
2024. 6. 6.Sp. 34
2024. 6. 12.Sp. 35
2024. 6. 12.듄: 파트 2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소년시절의 너 슈퍼배드 3
미니언즈극장판 바이올렛 에버가든 Sp. 36
2024. 6. 19.Sp. 37
2024. 6. 26.Sp. 38
2024. 6. 26.Sp. 39
2024. 7. 3.Sp. 40
2024. 7. 3.
- ⠀[ Sp. 41-6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4599a4>
바이올렛 에버가든 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
러브 라이즈 블리딩 볼빨간사춘기: 메리 고 라운드 더 무비 그리고 바통은 넘겨졌다 호밀밭의 반항아 Sp. 41
2024. 7. 3.Sp. 42
2024. 7. 10.Sp. 43
2024. 7. 12.Sp. 44
2024. 7. 17.Sp. 45
2024. 8. 21.비긴 어게인 수 분간의 응원을 아이브 더 퍼스트 월드투어 인 시네마 보이후드 4분 44초 Sp. 46
2024. 9. 18.Sp. 47
2024. 9. 25.Sp. 48
2024. 10. 16.Sp. 49
2024. 10. 30.Sp. 50
2024. 11. 1.극장판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 포레스트 검프 김범수 25주년 콘서트 필름 : 여행 이터널 선샤인 Sp. 51
2024. 11. 27.Sp. 52
2024. 12. 4.Sp. 53
2024. 12. 11.Sp. 54
2024. 12. 18.
{{{#!wiki style="margin: 2px auto 3px; max-width: 100%; color: #fff;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 -11px -1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1-25 ]⠀ |
No. 1 2019. 7. 4. |
No. 2 2019. 7. 19. |
No. 3 2019. 7. 24. |
No. 4 2019. 9. 11. |
No. 5 2019. 9. 25. |
No. 6 2019. 10. 2. |
No. 7 2019. 10. 17. |
No. 8 2019. 10. 30. |
No. 9 2019. 11. 21. |
No. 10 2019. 12. 4. |
No. 11 2019. 12. 24. |
No. 12 2020. 1. 8. |
No. 13 2020. 1. 22. |
No. 14 2020. 2. 5. |
No. 15 2020. 2. 19. |
No. 16 2020. 6. 17. |
No. 17 2020. 7. 15. |
No. 18 2020. 8. 5. |
No. 19 2020. 8. 26. |
No. 20 2020. 9. 17. |
No. 21 2020. 12. 23. |
No. 22 2021. 1. 20. |
No. 23 2021. 2. 24. |
No. 24 2021. 3. 3. |
No. 25 2021. 3. 3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26-50 ]⠀ |
No. 26 2021. 4. 15. |
No. 27 2021. 5. 19. |
No. 28 2021. 5. 26. |
No. 29 2021. 6. 17. |
No. 30 2021. 6. 30. |
No. 31 2021. 7. 14. |
No. 32 2021. 7. 28. |
No. 33 2021. 8. 4. |
No. 34 2021. 8. 11. |
No. 35 2021. 9. 1. |
No. 36 2021. 9. 29. |
No. 37 2021. 10. 13. |
No. 38 2021. 10. 20. |
No. 39 2021. 10. 27. |
No. 40 2021. 11. 10. |
No. 41 2021. 11. 24. |
No. 42 2021. 12. 9. |
No. 43 2021. 12. 15. |
No. 44 2021. 12. 22. |
No. 45 2022. 1. 12. |
No. 46 2022. 1. 26. |
No. 47 2022. 2. 9. |
No. 48 2022. 3. 1. |
No. 49 2022. 3. 30. |
No. 50 2022. 4. 1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51-75 ]⠀ |
파일:OGT55.jpg |
No. 51 2022. 5. 11. |
No. 52 2022. 5. 18. |
No. 53 2022. 6. 1. |
No. 54 2022. 6. 15. |
No. 55 2022. 6. 25. |
No. 56 2022. 6. 29. |
No. 57 2022. 7. 13. |
No. 58 2022. 7. 20. |
No. 59 2022. 8. 3. |
No. 60 2022. 8. 10. |
파일:OGT62.jpg |
No. 61 2022. 10. 12. |
No. 62 2022. 10. 15. |
No. 63 2022. 10. 19. |
No. 64 2022. 11. 30. |
No. 65 2022. 12. 21. |
No. 66 2023. 1. 4. |
No. 67 2023. 1. 18. |
No. 68 2023. 2. 1. |
No. 69 2023. 2. 15. |
No. 70 2023. 3. 1. |
No. 71 2023. 3. 8. |
No. 72 2023. 3. 15. |
No. 73 2023. 4. 5. |
No. 74 2023. 4. 12. |
No. 75 2023. 4. 26. |
}}}}}}}}}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76-100 ]⠀ |
No. 76 2023. 4. 29. |
No. 77 2023. 5. 3. |
No. 78 2023. 5. 17. |
No. 79 2023. 5. 24. |
No. 80 2023. 5. 31. |
No. 81 2023. 6. 14. |
No. 82 2023. 6. 21. |
No. 83 2023. 7. 5. |
No. 84 2023. 7. 19. |
No. 85 2023. 7. 26. |
No. 86 2023. 8. 9. |
No. 87 2023. 8. 15. |
No. 88 2023. 9. 13. |
No. 89 2023. 10. 4. |
No. 90 2023. 10. 11. |
No. 91 2023. 10. 18. |
No. 92 2023. 10. 25. |
No. 93 2023. 11. 8. |
No. 94 2023. 11. 22. |
No. 95 2023. 12. 20. |
No. 96 2023. 12. 23. |
No. 97 2023. 12. 27. |
No. 98 2024. 1. 3. |
No. 99 2024. 1. 24. |
No. 100 2024. 1. 31. |
#######################
- ⠀[ No. 101-125 ]⠀
- ###### 5-1행 제목 ######No. 101
2024. 2. 14.No. 102
2024. 2. 22.No. 103
2024. 2. 28.No. 104
2024. 3. 6.No. 105
2024. 3. 13.No. 106
2024. 3. 20.No. 107
2024. 4. 10.No. 108
2024. 4. 13.No. 109
2024. 4. 24.No. 110
2024. 5. 22.No. 111
2024. 5. 29.No. 112
2024. 6. 5.No. 113
2024. 6. 12.No. 114
2024. 6. 26.No. 115
2024. 7. 3.No. 116
2024. 7. 11.No. 117
2024. 7. 24.No. 118
2024. 8. 7.No. 119
2024. 8. 14.No. 120
2024. 9. 4.No. 121
2024. 9. 5.No. 122
2024. 10. 1.No. 123
2024. 10. 4.No. 124
2024. 10. 23.No. 125
2024. 11. 6.
#######################
- ⠀[ No. 126-150 ]⠀
- ###### 6-1행 제목 ######
모아나 2 No. 126
2024. 11. 20.No. 127
2024. 11. 27.
#####################
- ⠀[ Re. ]⠀
- ###### Re-1행 제목 ######Re. 1
2020. 3. 25.Re. 2
2020. 6. 11.Re. 3
2020. 10. 28.Re. 4
2021. 3. 11.Re. 4
2021. 3. 18.Re. 4
2021. 3. 18.Re. 5
2021. 3. 17.Re. 6
2021. 5. 5.Re. 7
2021. 9. 9.Re. 8
2021. 9. 15.Re. 9
2021. 10. 6.Re. 10
2021. 11. 18.Re. 11
2022. 2. 24.Re. 12
2022. 4. 20.Re. 13
2022. 9. 21.파일:OGTR14.jpg Re. 14
2022. 11. 2.Re. 15
2023. 2. 8.Re. 16
2023. 4. 1.Re. 17
2023. 5. 27.Re. 18
2023. 6. 28.Re. 19
2023. 9. 9.Re. 20
2023. 11. 15.Re. 21
2023. 11. 30.Re. 22
2023. 12. 6.Re. 23
2024. 3. 27.Re. 24
2024. 5. 8.Re. 25
2024. 5. 30.Re. 26
2024. 9. 18.Re. 27
2024. 9. 25.Re. 28
2024. 10. 9.파일:OGTR30.jpg Re. 29
2024. 11. 13.Re. 30
2024. 12. 11.
######################
}}}}}} ||{{{#!wiki style="margin:-12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d0d0d> |
<tablebgcolor=#0d0d0d>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업적 및 프로젝트 |
<colcolor=#000,#fff>
양자역학(
보른-오펜하이머 근사) 맨해튼 계획( 트리니티 실험) 천체물리학( 스나이더-오펜하이머 모형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
생애 | 생애 |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 · 괴팅겐 대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UC 버클리 ·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
관련 인물 | 루이스 스트로스 · 레슬리 그로브스 · 리처드 파인만 · 존 폰 노이만 · 엔리코 페르미 · 클라우스 푹스 · 에드워드 텔러 · 한스 베테 · 닐스 보어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패트릭 블래킷 | ||
관련 매체 |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 오펜하이머(영화)( 바벤하이머)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오펜하이머) |
[1]
원제: American Prometheus: The Triumph and Tragedy of J. Robert Oppenheimer.
[2]
현재
DC 확장 유니버스 영화들의 제작자. 놀란과는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의 프로듀서를 맡기도 했다.
[3]
57일간. 3시간짜리 영화를 두 달도 안돼서 촬영 종료했다는 것이다.
#
[4]
전세계 30개 극장에서 필름으로 개봉.
[5]
IMAX사와
유니버설 픽처스가 개봉 주부터 3주 동안 오펜하이머의 북미
IMAX 독점 상영 계약을 맺어 개봉 후 첫 3주간 IMAX관에는 오펜하이머만 독점 상영하며, 돌비시네마로는 상영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돌비시네마로도 상영할 예정이다.
[6]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했던 전작
테넷과 달리 이번에는 아예 애트모스 믹싱 없이 돌비 비전만 지원한다. 이러한 이유로 메가박스 홈페이지에 2D Dolby로 등록된 영화 포맷이 2D Vision으로 수정되었다. 참고로
돌비 비전 상영을 지원하는 상영관은
돌비 시네마관이 유일하다.
[7]
놀란 감독의 영화 중 러닝타임이 가장 길다.
[8]
출처:
Box Office Mojo
[9]
출처:
영화관 입장권 통합 전산망
[개별구매]
개별구매로 시청 가능하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개별구매]
[15]
등급분류 결정내용: 대량살상무기 개발, 전쟁 등의 소재를 다루고 있는 주제를 비롯하여, 신체 노출 장면, 성행위 장면 묘사, 음주 및 흡연 장면 등에서 선정성 및 약물의 수위가 다소 높으나 지속적으로 표현하지 않아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 [16] 다만 놀란 감독은 이 영화를 전기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전기물은 별로 쓸모 있는 장르가 아닙니다. 저는 유용한 장르를 좋아해요. 이 영화는 맨해튼 프로젝트 부분은 하이스트 무비이고 안보 청문회 부분은 법정 드라마입니다." [17] 다만 프레스티지의 북미 배급사는 디즈니고 인터스텔라의 북미 배급사는 파라마운트 픽처스다. [18] 수상자는 제니퍼 레임. [19] 여우조연상, 각색상, 미술상, 의상상, 음향상, 분장상 후보. [20] 요구한 조건은 100일 이상의 극장 개봉, 100% 창의적인 재량권, 1억 달러 제작비, 마케팅에 1억 달러 소요, 개봉 첫날부터 흥행 금액의 20% 수입 보장, 자신의 영화 개봉 3주 전 및 개봉 3주 후 다른 영화 개봉하지 않기다. # [21] 도나 랭글리는 놀란과 오래전부터 일하고 싶었다고 섭외하려 시도했다고 밝힌 바 있다. [22] 블랙클랜스맨 같은 포커스 피처스 작품들 배급 및 코로나 시대 때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같은 블록버스터 작품 흥행 [23] 에밀리 블런트와 킬리언 머피는 콰이어트 플레이스 2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24] 게리도 나름 기대작이라 말한다. 한창 영국 첩보물인 슬로 호시스를 촬영 중이라 미국식 발음으로 하는 연기에 이목이 집중될 것. 또한, 은퇴를 고려하고 있어 놀란과의 작품은 이번이 마지막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이 이뤄지고 있다. [25] operation teapot에서 기폭된 폭탄 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26] 오크리지 사이트(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영화 중 테네시에서 우라늄 농축에 성공했다고 언급되는 장면이 나온다. [27] 핸포드 사이트(현재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28] 만약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폭탄이 제대로 폭발하지 않았다면 세간의 웃음거리로 전락하여 가공할 위력을 보여 항복을 받아내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하지 않았을 것이다. [29] 본작에 아예 안 나오는 게 아니라, 화구의 모습은 오프닝에만 잠깐 등장하고 트리니티 실험 시퀀스에서는 전혀 묘사되지 않는다. [30] David Hill(1919~2008). [31] Haakon Chevalier(1901~1985). 오펜하이머의 UC 버클리 시절 친분 관계를 유지한 프랑스어과 교수. [32] Ruth Sherman Tolman(1893~1957).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톨먼의 부인이다. 1944년부터 1945년 시기에 OSS 소속 임상 심리학자로 근무했다. [33] 사직서에 따르면 "우편 통화 검열, 외부세계로부터의 완벽한 고립은 나를 우울증에 걸리게 만들거 같다."라고 했다. [34] 맨해튼 계획에서 핵무기의 내폭형 방식을 개발한 물리학자. [35] Giovanni Rossi Lomanitz(1921~2002). 맨하탄 계획 참여 과학자. [36] 프랭크 오펜하이머의 부인이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제수. [37]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멀라키 역으로 알려진 배우 [38] 아미 오브 더 데드에서 금고 전문가 '루트비히 디터' 역을 맡은 독일인 배우. [39] 핵무기를 만드는 것을 '돌을 드는 것'에, 그리고 그 이후의 발생할 수 있는 핵 군비 경쟁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나는 뱀'에 비유한 것이다. [40] 오펜하이머의 지도교수 [41] 실제 오펜하이머는 계산에서 잔실수를 종종 하는 편이었으나, 개념적 핵심을 재빨리 간파하는 이해력이 뛰어났다. 타고난 천재이지만 실험물리학에 서툴러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방황하던 대학생 오펜하이머가 닐스 보어의 권유로 당시 양자 역학 이론의 중심지로 막 거듭나던 괴팅겐 대학교로 가서 이론물리학 분야의 대가가 될 것을 암시하는 대화이다. [42] 1939년에 블랙홀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예견한 '연속적 중력 수축에 관해(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라는 논문을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과학계에서 무시당했고 오펜하이머도 아이디어만 제시하고 그 이상 블랙홀에 대해 연구하지는 않았다. 이 대사는 놀란 감독 본인의 작품 인터스텔라에 대한 레퍼런스 또는 이스터에그이기도 하다. [43] 이후 블랙홀 논문이 나왔다면서 축하하는 장면이 있다. 논문은 1939년 9월 1일 오펜하이머와 그의 제자 Hartland Snyder이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쓴 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 별의 붕괴로 블랙홀이 발생하는 과정을 이론으로 보였다. 블랙홀-7. 연구 역사 참고. 블랙 홀이라는 명칭이 당시에 없었기에 소소한 고증 오류다. 블랙 홀은 아무리 일러도 1960년보다 뒤에 나온 이름이다. 그 이전에는 gravitationally collapsed object 따위로 불렀다고 한다. 블랙 홀이라는 이름은 1968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대중화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블랙홀-7.1. 명칭 참고. [O] 실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박사를 상징하는 말. [45] 영화에서는 총 두번 나오는데 첫번째는 비교적 전반부, 진 태트록과 둘이 있을 때 산스크리트어 구절을 인용하였을 때, 두번째는 훗날 인터뷰에서의 증언처럼 트리니티 실험에서 가젯이 터지는 것을 보며 독백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 구절의 원전은 바가바드 기타이다. [46] 로렌스가 처음 말하는 대사로, 영화 내에서 자주 나온다. 배경지식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은 해당 문구는 이론 물리학을 까는 맥락으로 자주 인용된다. 예를 들어 오펜하이머는 우라늄의 분열이 불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려 했으나 실제로 분열이 가능했다. 그 사실을 깨달은 오펜하이머는 나중에는 자기가 스스로 이 문구를 인용하며 다른 물리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하는 등 이론가로서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실 이는 과학자로써 매우 당연한 태도인데, 과학은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을 탐구하면서 이론으로 정립하는 과정이지 현실을 이론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것이 아니다. 현상이 이론과 대치된다면 잘못된 것은 이론이며, 이론에 매몰되어서 이론에 반하는 실험 결과나 현상을 배척하는 것은 병적 과학에 불과하다. 하지만 과학자들도 사람인지라 평생동안 연구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인지부조화에 빠져 흑화하는 경우도 많은데, 반대로 이러한 한계를 스스로 자각하고 더 훌륭한 이론을 만들어 자신의 한계를 깨고 성장한 과학자들이 더 큰 업적을 이룬 경우가 많다. [47] 이때는 키티 오펜하이머가 아니라 키티 해리슨이었다. [48] 사실 그로브스는 맨해튼 계획을 맡지 않았더라도 어차피 펜타곤 건설의 공로로 준장 진급 최우선 후보자였다. [49] 그로브스의 기분 나쁘기까지 한 비아냥조의 질문에 기지로 받아친 오펜하이머의 대답으로 그로브스는 오펜하이머가 "보통 내기가 아니구나" 하고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그로브스가 그때까지 가지고 있었던 현실적 문제점들 - 미 국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연구소들에게 어떻게 원자폭탄 개발이라는 단일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실현해 낼 것인가? - 에 대한 해결책을 그 자리에서 명쾌하게 제시해 주는 오펜하이머에게 깊은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영화와는 달리 실재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미 오펜하이머를 만나기 이전 오펜하이머를 연구 총책임자로 내정해 두고 있었지만 실제 만남을 통해 더욱 확고하게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50] 맨해튼 계획에 참가하도록 자신을 설득하는 오펜하이머에게 하는 말. [51] 실제로 맨해튼 계획을 위해 명예 장교가 된 오펜하이머는 미군의 규율에 따라 처음에는 장교복만 입었고 스스로도 그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라비는 그에게 그것이 '멍청한 짓'이며 아무리 전시에도 과학자들은 군대의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고 일깨워주었던 것이다. [52] 영화에서 오펜하이머가 친구 라비의 이 조언을 받아들이고 군복에서 다시 양복에 중절모 차림으로 갈아입는 장면이 연출되는데, 이 차림이 로스 앨러모스 시절 오펜하이머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됐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권한으로 연구소 내 과학자들은 실제 실험을 제외하고 평상시에는 민간인복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53] 트리니티 실험에 쓰일 원자폭탄의 위력에 대한 질문이다. [54] 핵무기의 위력이 충분히 강해서 미래에는 사람들이 기존의 재래식 전쟁을 아예 생각할 수도 없고 단념시킬 정도인가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1차대전 개전 직후 허버트 조지 웰즈가 낸 동명의 책의 제목에서 유래된 표현인데, 공교롭게도 산업혁명과 벨 에포크 끝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도 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The war to end war, The war to end all wars)으로 각광되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 대다수가 알고 있듯이 이 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 이후로도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20년 뒤는 더 비극적인 후편으로 돌아왔으며, 영화가 개봉된 2023년에도 이어진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핵무기로도 재래식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냉전 형태로 반세기 지구를 얼어붙게 했으며, 되려 핵무기는 더욱 확산되어 또 다른 전쟁 위기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를 알고 있는 21세기의 현대인들이 보면 기시감이 느껴질 것이다. 실제로, 모든 전쟁을 끝낸다는 이 표현은 지금은 부정적이자 냉소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55] 핵무기 경쟁을 사전에 막기 위해 정치인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겠다는 뜻 [56] 오펜하이머는 루스벨트가 펼친 뉴딜 정책의 열렬한 지지자였고, 본인을 뉴딜연합이라 말할 정도로 진보주의, 세계주의적 믿음이 있었다. 원자폭탄이 촉발할 핵개발 경쟁 시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선 소련까지 참여한 세계 과학 공동체를 통해 원자력 사용에 대한 국제 통제 체제를 만들어야 하며, 유엔 창설을 추진하던 루스벨트도 이 점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다만 이는 오펜하이머와 닐스 보어의 기대에 가까운 믿음이었고, 루스벨트는 히틀러가 사망하기 직전에 먼저 세상을 떠난다. 다만 안타깝게도 오펜하이머가 생각한 유엔은 냉전기 내내 별 힘을 쓰지 못했다. 회원국의 상당수를 점하던 공산국가들과 더불어 이들의 종주국인 소련의 핵무기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 때문에 냉전 동안 유엔은 미국과 소련의 총성 없는 전장일 뿐이었고 군축을 통한 핵무기 통제 체제는 냉전 말기에 이르러서야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레이건-고르바초프 정상회담을 통해 그 모습을 갖췄다. 이마저도 2010년대 후반 및 2020년대 들어 트럼프의 집권과 서방과 러시아 관계 악화, 그리고 중국의 성장으로 인해 무너졌다. [57] 여기서 삼위일체는 단순히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므로 오펜하이머가 즐겨읽던 동서양 문학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한다. 일단 저 문장 자체는 영국 시인 존 던이 쓴 '성스러운 소네트 14'의 첫 구절에서 따왔단 것을 오펜하이머 본인이 밝혔지만, 여기에 바가바드 기타와 같은 산스크리트어 힌두 경전에서 읽은 삼위일체(브라흐마-시바-비슈누)의 이미지 역시 가미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8] 아인슈타인과 함께 루즈벨트에 서한을 보내어 맨해튼 계획을 창설시킨 인물이지만, 독일의 항복 이후에는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것을 막으려 노력했고 오펜하이머를 설득하려 했으나 무시당했다. 실라르드는 일단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순간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경쟁은 불가피하다고 여겼다. [59] 이 장면의 대사는 각본에 없던 애드리브로, 놀란이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 [60] 당시 전쟁부(지금의 국방부) 장관이었는데, 교토를 원폭 투하지에서 배제한 것은 그의 의견이 컸다. 그가 밝힌 사유는 이 대사에서도 나와있듯이 일본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이를 파괴한다면 일본인의 극렬한 반감을 사서 전후 처리 및 협정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이었다. 영화에서 언급된 아내와의 신혼여행지 관련은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야사이지만 세간에서는 거의 정설 급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에서 이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61] 핵폭발시 대기까지 연소될 수 있다는 텔러의 계산으로 아인슈타인을 찾아간 후, 다시 연구소에 복귀했을 때 한스 베테가 텔러의 계산처럼 될 확률은 거의 0라고 말한 부분과 이어진다. [62] 텔러가 '더 큰 폭탄'인 수소폭탄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는 자기실현적 예언이라고 할 수 있다. [63] 1945년 8월 6일 [64] 극장상영 자막판에서는 "일본은 혼이 좀 났겠죠?"라는 직설적인 대사로 번역되었다. [65] 당시 히로시마 원폭 투하 사실이 발표 된 후 로스 앨러모스 연구원들이 모인 강당해서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한 연설중 일부라고 한다. 그런데 당시. 로스 앨러모스 내에서의 분위기는 확실히 갈렸다고 하는데 군인들과 일부 과학자들은 밤새도록 술자리를 열어 파티를 즐길려고 한 반면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침착하고 차분한 분위기였다. 이 분위기는 티니안 기지에 파견나가 있던 로스 앨러모스 소속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이 폭탄이 현실 세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론적으로만 느낀 것을 실제 세계에서 분명히 확인한 것이다. 대사만 보면 평범한 연설 장면처럼 보이겠지만, 실제 영화에서는 오펜하이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한 여자의 끔찍한 비명소리와 함께 연구원들의 환호 소리가 싹 소거되고, 오펜하이머 뒤의 벽이 우르르 떨리며, 눈부신 큰 섬광과 함께 앞줄의 연구원의 얼굴 피부가 벗겨나가고, 그런 다음 모든 연구원이 잿더미가 된 것처럼 사라져버리는 일종의 환상을 경험하는 연출이 들어갔다. 그리고 강당에서 빠져나오던 오펜하이머가 불에 타버린 시체를 밟고 있는 연출, 환호성 속에 우는 여인, 기뻐하던 연인이 슬퍼하는 모습, 과음때문인지 구토하는 연구원을 차례대로 보여주며 이러한 놀란식의 공포 연출이 정점을 찍는다. 참고로 피부가 벗겨지는 여인을 연기한 배우는 놀란 감독의 딸이다. 놀란 감독은 인디펜던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딸이 굳이 이런 장면을 연기하도록 한 것에 대해, 그 요점은 만일 누군가가 핵폭탄과 같은 궁극의 파괴력을 창조했을 경우 그것은 무엇보다 그 사람에게 가장 가깝고 소중한 사람들도 파괴할 것이라는 점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66] 이 말을 듣자마자 트루먼의 얼굴이 급격히 굳어지는데, 싸한 분위기를 읽은 반즈 국무장관이 화제를 돌리려 오펜하이머가 로스앨러모스에 남아 있으면 좋겠다고 대신 트루먼의 뜻을 전한다. [O] [68] 바로 위에 서술된 대사에서 이어지며, 제임스 번즈 국무장관과 트루먼 대통령이 오펜하이머와 백악관에서 독대할 때의 장면에서 트루먼이 오펜하이머에게 한 발언이다. 오펜하이머는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를 더 발전시켜야 한다며 로스 앨러모스에 오펜하이머가 남아있길 원하는 번즈 국무장관의 요청에 "대통령 각하. 내 손에는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피가 묻어있습니다." 라고 대답하자 트루먼 대통령의 표정이 정색하며 오펜하이머를 힐난하는 발언이다. 요지는 "최고 통수권자인 내가 명령을 내려 수만명의 일본인이 원폭 2발에 몰살당한 터에 (겨우) 그거 발명했다고 책임이 너에게 있다고? 난 직접 폭탄투하 명령을 내린 사람이야. 죄책감을 가져도 미군 총사령관인 내가 가지지 일개 과학자 나부랭이가 죄책감 운운하며 징징거릴 게 아니야."라며 오펜하이머를 까는 맥락이다. 오펜하이머의 표정이 굳어지며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나올때 트루먼이 뒤에서 하는 대사는 아예 결정적으로 못을 박아버리는 매우 모진 어록으로도 유명하다. [69] 한편으로는 원자폭탄 개발의 책임자로서 죄책감을 떨치지 못하는 오펜하이머에게 "당신 잘못이 아니니까 제발 그만 자책하라"고 타이르면서, 어떻게든 오펜하이머가 로스 앨러모스를 떠나지 않도록 설득하려 했던 트루먼 나름의 호의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오펜하이머의 뜻은 변하지 않았고, 트루먼은 자신의 성의가 무시당했다고 느껴 오펜하이머에게 매우 부정적인 태도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일본과의 전쟁을 조속히 끝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병력 손실을 막겠다는 목적으로 원폭 투하를 명령한 자신의 결단을, 오펜하이머가 무고한 민간인들에 대한 무차별적 학살로 비판한 것처럼 여긴 트루먼의 불쾌감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상기했듯 결국 이 무기를 사용해 사람을 죽이게 만든 결정권자는 트루먼 자신이었다. 칼을 실제로 휘둘러 사람을 죽이게끔 결정한 건 자기고 고뇌도 죄책감도 훨씬 더 큰데 대장장이에 불과한 오펜하이머가 그러한 태도를 보이는 것에 마음이 상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거기에 트루먼은 성격부터가 원래 과격했으니. [70]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당시 친구에게 했던 말로, 영화에서는 아인슈타인에게 하는 대사로 각색했다. 친구의 말에 의하면 당시 오펜하이머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했다고 한다. [71] 먼저 수소폭탄을 만드는 순간 [72] 이 말을 한 스트로스는 분명히 오펜하이머가 핵폭탄을 개발해 낸 것에 대해 적어도 죄책감은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스트로스는 자신이 오펜하이머를 파멸에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했으면서 오히려 오펜하이머가 몰락함으로서 순교자가 되었다는 어처구니 없는 자기변명과 함께 자신을 오펜하이머와 동급의 존재로 생각하는 과대망상을 하는 것도 분명히 관객들에게 알려준다. [73] 직역하면 "저들이 당신에게 타르칠하고 깃털을 뒤집어씌우는 걸 받아들이면, 세상이 당신을 용서할 거라 생각했어? 그렇지 않을 거야."가 된다. 미국에서는 옛날 독립전쟁 시절에 독립주의자들이 독립에 반대하는 친영파들을 붙잡아다 타르를 붓고 깃털로 뒤덮는 린칭을 가하곤 했다. 여기서는 빨갱이로 몰고자 하는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74] 처음엔 대기가 연소되는 핵분열 연쇄파괴 가능성을 걱정한 말이었지만, 상호확증파괴 원칙에 따른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멸망의 가능성을 우려하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80] 제76회 미국 감독 조합상. [81] 킬리언 머피 배우는 아쉽게 크리틱스 초이스를 수상하지 못했다. [국문] [83]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권 교수의 해설집이 별책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안될과학의 멤버 궤도와 영화 평론가 이동진이 추천사를 썼다. [84] 2023년 8월 초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85] 1991년에 개봉한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도 핵폭발 묘사 장면을 아날로그적인 방법으로 연출했다. 미니어처 모형을 만들고 강풍을 동반하여 모조리 불태워 날려버는 것. 사라 코너가 불에 타는 장면은 뼈대까지 심어놓은, 담당 배우인 린다 해밀턴을 본뜬 모형을 이용한 것이다. 핵무기의 위력을 표기할 때 쓰는 kt은 같은 무게의 TNT를 기준으로 한다. 실제 트리니티 실험에서의 핵무기가 18.6kt이었으므로 18,600t의 TNT를 동시에 폭발시킨다면 비슷한 위력을 낼 수 있는 것. 다만 영화 오프닝에 나오는 화구의 모습은 미니어처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영화 본편에서의 핵폭발의 화염은 핵무기의 폭발과는 동떨어진 가솔린을 이용한 화염이다. [86] 놀란도 이를 각별하게 생각하는지 킬리언 머피가 자신의 각본집을 보여주는 영상에서 각본 표지에 '마침내 당신이 주연하는 작품을 보게 되다니'라며 감격하는, 놀란이 직접 자필로 쓴 문구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87] 오펜하이머의 부인인 키티도 엄연히 관여했던 생물학자였고, 내연녀였던 진은 정신과의사였다. 대부분의 서사를 오펜하이머에게 관련시키기 위해 설정을 배제시킨 의도가 보이는 부분. [88] 참고로 하하가 이 책을 고른 이유는 가장 두껍고 가장 비쌀 거 같아서였다. [89] 첫 번째는 6월 6일에 개봉한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두 번째는 7월 25일에 개봉한〈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90] 〈 놉〉,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등 [91] 영화관들이 의무적으로 일정 기간동안은 국산 영화만을 상영해야 하는데, 오펜하이머가 필수적으로 걸려야 할 IMAX 상영관들도 이 스크린 쿼터제를 지켜야 한다. 그렇기에 7월부터 8월 사이에는 국산 영화들만이 아이맥스관에 올라간다. 그렇지 않으면 한 해 마지막 대목인 연말에 개봉할 아이맥스 전용 영화들을 아이맥스 상영관에 못 올리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 [92] 놀란 감독은 제작 전 유니버설 픽처스에 R등급으로 촬영할 거라고 미리 고지했다. [93]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진 태틀록이 정사를 나누던 도중에 일을 멈추고, 태틀록이 책장에서 힌두교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를 집어들고 오펜하이머한테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라는 구절을 읊게 한다. 정사 장면 도중에 자신들 경전의 구절이 나왔으니, 힌두교도에게는 신성모독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해당 문구는 트리니티 실험으로 인한 핵폭발 직후에도 한번 다시 언급되는데, 곱씹어보면 영화 내적으로는 나름 죄책감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두 장면이 연결되는 문구기도 하다. [94] 하지만 객관적으로 보자면 미국은 일본에 먼저 진주만 공습과 치치지마 식인 사건으로 선제공격을 받았고 이후에 미국이 승기를 잡아 항복을 권했는데 일본 제국은 항복을 거절을 해 전쟁이 길어져 빨리 끝내려고 했으며 일본 주민들 역시 자기 나라가 전쟁으로 미쳐가고 타국을 수탈하고 그것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학살하는 것에 항의도 없었고 국가 체급으로는 이길 수 없는 미국에 선제공격을 한 일본을 막지 않았으므로 주민들 역시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다. [95] 〈 드라이브 마이 카(영화)〉의 일본 배급사이자 한국 영화 〈 기생충〉의 일본 수입사 [96] 이 영화의 음향 감독인 랜디 쏨과 톰 존슨은 ADR 기술 효과를 가지고 아카데미 음향상까지 받았다. [97] 트리니티 실험 장면에 등장하는 구를 둘러싼 껍질 조각 모양의 물체. [98] 이는 영화상에서도 묘사된다.
(내용정보 표시항목: ) [16] 다만 놀란 감독은 이 영화를 전기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전기물은 별로 쓸모 있는 장르가 아닙니다. 저는 유용한 장르를 좋아해요. 이 영화는 맨해튼 프로젝트 부분은 하이스트 무비이고 안보 청문회 부분은 법정 드라마입니다." [17] 다만 프레스티지의 북미 배급사는 디즈니고 인터스텔라의 북미 배급사는 파라마운트 픽처스다. [18] 수상자는 제니퍼 레임. [19] 여우조연상, 각색상, 미술상, 의상상, 음향상, 분장상 후보. [20] 요구한 조건은 100일 이상의 극장 개봉, 100% 창의적인 재량권, 1억 달러 제작비, 마케팅에 1억 달러 소요, 개봉 첫날부터 흥행 금액의 20% 수입 보장, 자신의 영화 개봉 3주 전 및 개봉 3주 후 다른 영화 개봉하지 않기다. # [21] 도나 랭글리는 놀란과 오래전부터 일하고 싶었다고 섭외하려 시도했다고 밝힌 바 있다. [22] 블랙클랜스맨 같은 포커스 피처스 작품들 배급 및 코로나 시대 때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같은 블록버스터 작품 흥행 [23] 에밀리 블런트와 킬리언 머피는 콰이어트 플레이스 2에 함께 출연한 바 있다. [24] 게리도 나름 기대작이라 말한다. 한창 영국 첩보물인 슬로 호시스를 촬영 중이라 미국식 발음으로 하는 연기에 이목이 집중될 것. 또한, 은퇴를 고려하고 있어 놀란과의 작품은 이번이 마지막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이 이뤄지고 있다. [25] operation teapot에서 기폭된 폭탄 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26] 오크리지 사이트(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영화 중 테네시에서 우라늄 농축에 성공했다고 언급되는 장면이 나온다. [27] 핸포드 사이트(현재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사용되었다. [28] 만약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폭탄이 제대로 폭발하지 않았다면 세간의 웃음거리로 전락하여 가공할 위력을 보여 항복을 받아내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하지 않았을 것이다. [29] 본작에 아예 안 나오는 게 아니라, 화구의 모습은 오프닝에만 잠깐 등장하고 트리니티 실험 시퀀스에서는 전혀 묘사되지 않는다. [30] David Hill(1919~2008). [31] Haakon Chevalier(1901~1985). 오펜하이머의 UC 버클리 시절 친분 관계를 유지한 프랑스어과 교수. [32] Ruth Sherman Tolman(1893~1957).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톨먼의 부인이다. 1944년부터 1945년 시기에 OSS 소속 임상 심리학자로 근무했다. [33] 사직서에 따르면 "우편 통화 검열, 외부세계로부터의 완벽한 고립은 나를 우울증에 걸리게 만들거 같다."라고 했다. [34] 맨해튼 계획에서 핵무기의 내폭형 방식을 개발한 물리학자. [35] Giovanni Rossi Lomanitz(1921~2002). 맨하탄 계획 참여 과학자. [36] 프랭크 오펜하이머의 부인이자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제수. [37]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멀라키 역으로 알려진 배우 [38] 아미 오브 더 데드에서 금고 전문가 '루트비히 디터' 역을 맡은 독일인 배우. [39] 핵무기를 만드는 것을 '돌을 드는 것'에, 그리고 그 이후의 발생할 수 있는 핵 군비 경쟁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나는 뱀'에 비유한 것이다. [40] 오펜하이머의 지도교수 [41] 실제 오펜하이머는 계산에서 잔실수를 종종 하는 편이었으나, 개념적 핵심을 재빨리 간파하는 이해력이 뛰어났다. 타고난 천재이지만 실험물리학에 서툴러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방황하던 대학생 오펜하이머가 닐스 보어의 권유로 당시 양자 역학 이론의 중심지로 막 거듭나던 괴팅겐 대학교로 가서 이론물리학 분야의 대가가 될 것을 암시하는 대화이다. [42] 1939년에 블랙홀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예견한 '연속적 중력 수축에 관해(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라는 논문을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과학계에서 무시당했고 오펜하이머도 아이디어만 제시하고 그 이상 블랙홀에 대해 연구하지는 않았다. 이 대사는 놀란 감독 본인의 작품 인터스텔라에 대한 레퍼런스 또는 이스터에그이기도 하다. [43] 이후 블랙홀 논문이 나왔다면서 축하하는 장면이 있다. 논문은 1939년 9월 1일 오펜하이머와 그의 제자 Hartland Snyder이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쓴 On Continued Gravitational Contraction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 별의 붕괴로 블랙홀이 발생하는 과정을 이론으로 보였다. 블랙홀-7. 연구 역사 참고. 블랙 홀이라는 명칭이 당시에 없었기에 소소한 고증 오류다. 블랙 홀은 아무리 일러도 1960년보다 뒤에 나온 이름이다. 그 이전에는 gravitationally collapsed object 따위로 불렀다고 한다. 블랙 홀이라는 이름은 1968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대중화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블랙홀-7.1. 명칭 참고. [O] 실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박사를 상징하는 말. [45] 영화에서는 총 두번 나오는데 첫번째는 비교적 전반부, 진 태트록과 둘이 있을 때 산스크리트어 구절을 인용하였을 때, 두번째는 훗날 인터뷰에서의 증언처럼 트리니티 실험에서 가젯이 터지는 것을 보며 독백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 구절의 원전은 바가바드 기타이다. [46] 로렌스가 처음 말하는 대사로, 영화 내에서 자주 나온다. 배경지식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은 해당 문구는 이론 물리학을 까는 맥락으로 자주 인용된다. 예를 들어 오펜하이머는 우라늄의 분열이 불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려 했으나 실제로 분열이 가능했다. 그 사실을 깨달은 오펜하이머는 나중에는 자기가 스스로 이 문구를 인용하며 다른 물리학자들의 오류를 지적하는 등 이론가로서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실 이는 과학자로써 매우 당연한 태도인데, 과학은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을 탐구하면서 이론으로 정립하는 과정이지 현실을 이론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것이 아니다. 현상이 이론과 대치된다면 잘못된 것은 이론이며, 이론에 매몰되어서 이론에 반하는 실험 결과나 현상을 배척하는 것은 병적 과학에 불과하다. 하지만 과학자들도 사람인지라 평생동안 연구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인지부조화에 빠져 흑화하는 경우도 많은데, 반대로 이러한 한계를 스스로 자각하고 더 훌륭한 이론을 만들어 자신의 한계를 깨고 성장한 과학자들이 더 큰 업적을 이룬 경우가 많다. [47] 이때는 키티 오펜하이머가 아니라 키티 해리슨이었다. [48] 사실 그로브스는 맨해튼 계획을 맡지 않았더라도 어차피 펜타곤 건설의 공로로 준장 진급 최우선 후보자였다. [49] 그로브스의 기분 나쁘기까지 한 비아냥조의 질문에 기지로 받아친 오펜하이머의 대답으로 그로브스는 오펜하이머가 "보통 내기가 아니구나" 하고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그로브스가 그때까지 가지고 있었던 현실적 문제점들 - 미 국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연구소들에게 어떻게 원자폭탄 개발이라는 단일 목표를 부여하고 이를 실현해 낼 것인가? - 에 대한 해결책을 그 자리에서 명쾌하게 제시해 주는 오펜하이머에게 깊은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영화와는 달리 실재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미 오펜하이머를 만나기 이전 오펜하이머를 연구 총책임자로 내정해 두고 있었지만 실제 만남을 통해 더욱 확고하게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50] 맨해튼 계획에 참가하도록 자신을 설득하는 오펜하이머에게 하는 말. [51] 실제로 맨해튼 계획을 위해 명예 장교가 된 오펜하이머는 미군의 규율에 따라 처음에는 장교복만 입었고 스스로도 그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라비는 그에게 그것이 '멍청한 짓'이며 아무리 전시에도 과학자들은 군대의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한다고 일깨워주었던 것이다. [52] 영화에서 오펜하이머가 친구 라비의 이 조언을 받아들이고 군복에서 다시 양복에 중절모 차림으로 갈아입는 장면이 연출되는데, 이 차림이 로스 앨러모스 시절 오펜하이머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이미지가 됐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권한으로 연구소 내 과학자들은 실제 실험을 제외하고 평상시에는 민간인복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53] 트리니티 실험에 쓰일 원자폭탄의 위력에 대한 질문이다. [54] 핵무기의 위력이 충분히 강해서 미래에는 사람들이 기존의 재래식 전쟁을 아예 생각할 수도 없고 단념시킬 정도인가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1차대전 개전 직후 허버트 조지 웰즈가 낸 동명의 책의 제목에서 유래된 표현인데, 공교롭게도 산업혁명과 벨 에포크 끝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도 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The war to end war, The war to end all wars)으로 각광되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 대다수가 알고 있듯이 이 모든 전쟁을 끝낼 전쟁 이후로도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20년 뒤는 더 비극적인 후편으로 돌아왔으며, 영화가 개봉된 2023년에도 이어진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핵무기로도 재래식 전쟁은 사라지지 않았고, 냉전 형태로 반세기 지구를 얼어붙게 했으며, 되려 핵무기는 더욱 확산되어 또 다른 전쟁 위기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를 알고 있는 21세기의 현대인들이 보면 기시감이 느껴질 것이다. 실제로, 모든 전쟁을 끝낸다는 이 표현은 지금은 부정적이자 냉소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55] 핵무기 경쟁을 사전에 막기 위해 정치인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겠다는 뜻 [56] 오펜하이머는 루스벨트가 펼친 뉴딜 정책의 열렬한 지지자였고, 본인을 뉴딜연합이라 말할 정도로 진보주의, 세계주의적 믿음이 있었다. 원자폭탄이 촉발할 핵개발 경쟁 시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선 소련까지 참여한 세계 과학 공동체를 통해 원자력 사용에 대한 국제 통제 체제를 만들어야 하며, 유엔 창설을 추진하던 루스벨트도 이 점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다만 이는 오펜하이머와 닐스 보어의 기대에 가까운 믿음이었고, 루스벨트는 히틀러가 사망하기 직전에 먼저 세상을 떠난다. 다만 안타깝게도 오펜하이머가 생각한 유엔은 냉전기 내내 별 힘을 쓰지 못했다. 회원국의 상당수를 점하던 공산국가들과 더불어 이들의 종주국인 소련의 핵무기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 때문에 냉전 동안 유엔은 미국과 소련의 총성 없는 전장일 뿐이었고 군축을 통한 핵무기 통제 체제는 냉전 말기에 이르러서야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레이건-고르바초프 정상회담을 통해 그 모습을 갖췄다. 이마저도 2010년대 후반 및 2020년대 들어 트럼프의 집권과 서방과 러시아 관계 악화, 그리고 중국의 성장으로 인해 무너졌다. [57] 여기서 삼위일체는 단순히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므로 오펜하이머가 즐겨읽던 동서양 문학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한다. 일단 저 문장 자체는 영국 시인 존 던이 쓴 '성스러운 소네트 14'의 첫 구절에서 따왔단 것을 오펜하이머 본인이 밝혔지만, 여기에 바가바드 기타와 같은 산스크리트어 힌두 경전에서 읽은 삼위일체(브라흐마-시바-비슈누)의 이미지 역시 가미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8] 아인슈타인과 함께 루즈벨트에 서한을 보내어 맨해튼 계획을 창설시킨 인물이지만, 독일의 항복 이후에는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것을 막으려 노력했고 오펜하이머를 설득하려 했으나 무시당했다. 실라르드는 일단 원자폭탄이 일본에 사용되는 순간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경쟁은 불가피하다고 여겼다. [59] 이 장면의 대사는 각본에 없던 애드리브로, 놀란이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 [60] 당시 전쟁부(지금의 국방부) 장관이었는데, 교토를 원폭 투하지에서 배제한 것은 그의 의견이 컸다. 그가 밝힌 사유는 이 대사에서도 나와있듯이 일본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이를 파괴한다면 일본인의 극렬한 반감을 사서 전후 처리 및 협정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이었다. 영화에서 언급된 아내와의 신혼여행지 관련은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야사이지만 세간에서는 거의 정설 급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에서 이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61] 핵폭발시 대기까지 연소될 수 있다는 텔러의 계산으로 아인슈타인을 찾아간 후, 다시 연구소에 복귀했을 때 한스 베테가 텔러의 계산처럼 될 확률은 거의 0라고 말한 부분과 이어진다. [62] 텔러가 '더 큰 폭탄'인 수소폭탄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는 자기실현적 예언이라고 할 수 있다. [63] 1945년 8월 6일 [64] 극장상영 자막판에서는 "일본은 혼이 좀 났겠죠?"라는 직설적인 대사로 번역되었다. [65] 당시 히로시마 원폭 투하 사실이 발표 된 후 로스 앨러모스 연구원들이 모인 강당해서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한 연설중 일부라고 한다. 그런데 당시. 로스 앨러모스 내에서의 분위기는 확실히 갈렸다고 하는데 군인들과 일부 과학자들은 밤새도록 술자리를 열어 파티를 즐길려고 한 반면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침착하고 차분한 분위기였다. 이 분위기는 티니안 기지에 파견나가 있던 로스 앨러모스 소속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이 폭탄이 현실 세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이론적으로만 느낀 것을 실제 세계에서 분명히 확인한 것이다. 대사만 보면 평범한 연설 장면처럼 보이겠지만, 실제 영화에서는 오펜하이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한 여자의 끔찍한 비명소리와 함께 연구원들의 환호 소리가 싹 소거되고, 오펜하이머 뒤의 벽이 우르르 떨리며, 눈부신 큰 섬광과 함께 앞줄의 연구원의 얼굴 피부가 벗겨나가고, 그런 다음 모든 연구원이 잿더미가 된 것처럼 사라져버리는 일종의 환상을 경험하는 연출이 들어갔다. 그리고 강당에서 빠져나오던 오펜하이머가 불에 타버린 시체를 밟고 있는 연출, 환호성 속에 우는 여인, 기뻐하던 연인이 슬퍼하는 모습, 과음때문인지 구토하는 연구원을 차례대로 보여주며 이러한 놀란식의 공포 연출이 정점을 찍는다. 참고로 피부가 벗겨지는 여인을 연기한 배우는 놀란 감독의 딸이다. 놀란 감독은 인디펜던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딸이 굳이 이런 장면을 연기하도록 한 것에 대해, 그 요점은 만일 누군가가 핵폭탄과 같은 궁극의 파괴력을 창조했을 경우 그것은 무엇보다 그 사람에게 가장 가깝고 소중한 사람들도 파괴할 것이라는 점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66] 이 말을 듣자마자 트루먼의 얼굴이 급격히 굳어지는데, 싸한 분위기를 읽은 반즈 국무장관이 화제를 돌리려 오펜하이머가 로스앨러모스에 남아 있으면 좋겠다고 대신 트루먼의 뜻을 전한다. [O] [68] 바로 위에 서술된 대사에서 이어지며, 제임스 번즈 국무장관과 트루먼 대통령이 오펜하이머와 백악관에서 독대할 때의 장면에서 트루먼이 오펜하이머에게 한 발언이다. 오펜하이머는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를 더 발전시켜야 한다며 로스 앨러모스에 오펜하이머가 남아있길 원하는 번즈 국무장관의 요청에 "대통령 각하. 내 손에는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피가 묻어있습니다." 라고 대답하자 트루먼 대통령의 표정이 정색하며 오펜하이머를 힐난하는 발언이다. 요지는 "최고 통수권자인 내가 명령을 내려 수만명의 일본인이 원폭 2발에 몰살당한 터에 (겨우) 그거 발명했다고 책임이 너에게 있다고? 난 직접 폭탄투하 명령을 내린 사람이야. 죄책감을 가져도 미군 총사령관인 내가 가지지 일개 과학자 나부랭이가 죄책감 운운하며 징징거릴 게 아니야."라며 오펜하이머를 까는 맥락이다. 오펜하이머의 표정이 굳어지며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나올때 트루먼이 뒤에서 하는 대사는 아예 결정적으로 못을 박아버리는 매우 모진 어록으로도 유명하다. [69] 한편으로는 원자폭탄 개발의 책임자로서 죄책감을 떨치지 못하는 오펜하이머에게 "당신 잘못이 아니니까 제발 그만 자책하라"고 타이르면서, 어떻게든 오펜하이머가 로스 앨러모스를 떠나지 않도록 설득하려 했던 트루먼 나름의 호의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오펜하이머의 뜻은 변하지 않았고, 트루먼은 자신의 성의가 무시당했다고 느껴 오펜하이머에게 매우 부정적인 태도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일본과의 전쟁을 조속히 끝내 더 이상의 불필요한 병력 손실을 막겠다는 목적으로 원폭 투하를 명령한 자신의 결단을, 오펜하이머가 무고한 민간인들에 대한 무차별적 학살로 비판한 것처럼 여긴 트루먼의 불쾌감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상기했듯 결국 이 무기를 사용해 사람을 죽이게 만든 결정권자는 트루먼 자신이었다. 칼을 실제로 휘둘러 사람을 죽이게끔 결정한 건 자기고 고뇌도 죄책감도 훨씬 더 큰데 대장장이에 불과한 오펜하이머가 그러한 태도를 보이는 것에 마음이 상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거기에 트루먼은 성격부터가 원래 과격했으니. [70] 실제로 오펜하이머가 당시 친구에게 했던 말로, 영화에서는 아인슈타인에게 하는 대사로 각색했다. 친구의 말에 의하면 당시 오펜하이머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했다고 한다. [71] 먼저 수소폭탄을 만드는 순간 [72] 이 말을 한 스트로스는 분명히 오펜하이머가 핵폭탄을 개발해 낸 것에 대해 적어도 죄책감은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스트로스는 자신이 오펜하이머를 파멸에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했으면서 오히려 오펜하이머가 몰락함으로서 순교자가 되었다는 어처구니 없는 자기변명과 함께 자신을 오펜하이머와 동급의 존재로 생각하는 과대망상을 하는 것도 분명히 관객들에게 알려준다. [73] 직역하면 "저들이 당신에게 타르칠하고 깃털을 뒤집어씌우는 걸 받아들이면, 세상이 당신을 용서할 거라 생각했어? 그렇지 않을 거야."가 된다. 미국에서는 옛날 독립전쟁 시절에 독립주의자들이 독립에 반대하는 친영파들을 붙잡아다 타르를 붓고 깃털로 뒤덮는 린칭을 가하곤 했다. 여기서는 빨갱이로 몰고자 하는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74] 처음엔 대기가 연소되는 핵분열 연쇄파괴 가능성을 걱정한 말이었지만, 상호확증파괴 원칙에 따른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멸망의 가능성을 우려하는 영화의 마지막 대사.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비수상부문] [80] 제76회 미국 감독 조합상. [81] 킬리언 머피 배우는 아쉽게 크리틱스 초이스를 수상하지 못했다. [국문] [83]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권 교수의 해설집이 별책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안될과학의 멤버 궤도와 영화 평론가 이동진이 추천사를 썼다. [84] 2023년 8월 초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85] 1991년에 개봉한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도 핵폭발 묘사 장면을 아날로그적인 방법으로 연출했다. 미니어처 모형을 만들고 강풍을 동반하여 모조리 불태워 날려버는 것. 사라 코너가 불에 타는 장면은 뼈대까지 심어놓은, 담당 배우인 린다 해밀턴을 본뜬 모형을 이용한 것이다. 핵무기의 위력을 표기할 때 쓰는 kt은 같은 무게의 TNT를 기준으로 한다. 실제 트리니티 실험에서의 핵무기가 18.6kt이었으므로 18,600t의 TNT를 동시에 폭발시킨다면 비슷한 위력을 낼 수 있는 것. 다만 영화 오프닝에 나오는 화구의 모습은 미니어처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영화 본편에서의 핵폭발의 화염은 핵무기의 폭발과는 동떨어진 가솔린을 이용한 화염이다. [86] 놀란도 이를 각별하게 생각하는지 킬리언 머피가 자신의 각본집을 보여주는 영상에서 각본 표지에 '마침내 당신이 주연하는 작품을 보게 되다니'라며 감격하는, 놀란이 직접 자필로 쓴 문구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87] 오펜하이머의 부인인 키티도 엄연히 관여했던 생물학자였고, 내연녀였던 진은 정신과의사였다. 대부분의 서사를 오펜하이머에게 관련시키기 위해 설정을 배제시킨 의도가 보이는 부분. [88] 참고로 하하가 이 책을 고른 이유는 가장 두껍고 가장 비쌀 거 같아서였다. [89] 첫 번째는 6월 6일에 개봉한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두 번째는 7월 25일에 개봉한〈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90] 〈 놉〉,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 등 [91] 영화관들이 의무적으로 일정 기간동안은 국산 영화만을 상영해야 하는데, 오펜하이머가 필수적으로 걸려야 할 IMAX 상영관들도 이 스크린 쿼터제를 지켜야 한다. 그렇기에 7월부터 8월 사이에는 국산 영화들만이 아이맥스관에 올라간다. 그렇지 않으면 한 해 마지막 대목인 연말에 개봉할 아이맥스 전용 영화들을 아이맥스 상영관에 못 올리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 [92] 놀란 감독은 제작 전 유니버설 픽처스에 R등급으로 촬영할 거라고 미리 고지했다. [93]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진 태틀록이 정사를 나누던 도중에 일을 멈추고, 태틀록이 책장에서 힌두교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를 집어들고 오펜하이머한테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라는 구절을 읊게 한다. 정사 장면 도중에 자신들 경전의 구절이 나왔으니, 힌두교도에게는 신성모독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해당 문구는 트리니티 실험으로 인한 핵폭발 직후에도 한번 다시 언급되는데, 곱씹어보면 영화 내적으로는 나름 죄책감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두 장면이 연결되는 문구기도 하다. [94] 하지만 객관적으로 보자면 미국은 일본에 먼저 진주만 공습과 치치지마 식인 사건으로 선제공격을 받았고 이후에 미국이 승기를 잡아 항복을 권했는데 일본 제국은 항복을 거절을 해 전쟁이 길어져 빨리 끝내려고 했으며 일본 주민들 역시 자기 나라가 전쟁으로 미쳐가고 타국을 수탈하고 그것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학살하는 것에 항의도 없었고 국가 체급으로는 이길 수 없는 미국에 선제공격을 한 일본을 막지 않았으므로 주민들 역시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다. [95] 〈 드라이브 마이 카(영화)〉의 일본 배급사이자 한국 영화 〈 기생충〉의 일본 수입사 [96] 이 영화의 음향 감독인 랜디 쏨과 톰 존슨은 ADR 기술 효과를 가지고 아카데미 음향상까지 받았다. [97] 트리니티 실험 장면에 등장하는 구를 둘러싼 껍질 조각 모양의 물체. [98] 이는 영화상에서도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