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7:57:56

신칸센 E5·H5계 전동차

H5계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신칸센 E5·H5계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66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600> }}}
<colcolor=#fff> E5&H5 <colbgcolor=#fff,#191919> E5
H5
E6 E6
수출 E5
실험 차량 FASTECH 360( E954형/ E955형), E956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내수용
전체 목록 0 - 100 - 200 - 300 - 400 - 500 - 700 - 800 - N700 - N700S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 L0
파일:JRC-SKS.svg 츄오 L0
도카이도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파일:JRW-SKS.svg 산요
호쿠리쿠 E2 - E7·W7
파일:JRE-SKS.svg
도호쿠 200 - 400 -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야마가타 400 - E3 - E8
아키타 E3 - E6
조에츠 200 - E1 - E2 - E3 - E4 - E7·W7
파일:JRH-SKS.svg 홋카이도 E5·H5
파일:JRK-SKS.svg 큐슈 800 - N700
니시큐슈 N700S
수출용
THSR 700T
CRH CRH2
HS1 Class 395
기술개발/사업용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신칸센 모델 체인지 차량 - 슈퍼 히카리 - 닥터옐로우 - WIN350 - 스타 21 - 300X - FASTECH 360( E954형/ E955형) - E956형 - 신칸센 궤간가변열차 - MLX01 리니어 모터카 }}}}}}}}}
{{{#!wiki style="margin: -10px -10px" 신칸센 E5·H5계 전동차
新幹線 E5·H5系 電車
Shinkansen E5·H5 Series
}}}
파일:E5系U3編成.jpg 파일:H5系H2編成.jpg
외부
(좌)E5계[1] / (우) H5계 (H2편성[사고열차])[3]
파일:E5kei_interior.jpg 파일:E5kei_Green_car_Interior.jpg
파일:E5・E514-21.jpg
내부
(좌) 일반실 / (우) 그린샤 / (하) 그란클라스
차량 정보
열차 형식 신칸센 입선용 고속철도차량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 10량 1편성
운행 노선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파일:JRH-SKS.svg 홋카이도 신칸센
도입시기 2009년, 2014년~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차량
소유기관 JR 동일본
JR 홋카이도
운영기관
차량기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JR 홋카이도)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JR 동일본)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편성무게 453.5 t
편성길이 253m
전장 25,000㎜[4]
전폭 3,350㎜
전고 3,650㎜
궤간 1,435㎜
대차 DT209, DR209A(동력차)/TR7008, TR7008A(부수차)
사용전압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신호장비 DS-ATC, RS-ATC[5]
제어방식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VVVF- IGBT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어비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31 : 82
= 대략 1:2.645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출력 9,960kW
최고속도 설계 360㎞/h
영업 320㎞/h
기동 가속도 1.71㎞/h/s
1.6㎞/h/s[6]
감속도 감속패턴에 따라 유동적
전동차 비 8M 2T }}}}}}}}}
JR 동일본 공식 데뷔 홍보 동영상
JR 동일본 공식 그란클라스 홍보 동영상
1. 개요2. 사양3. 도입 및 운용
3.1. E5계3.2. H5계
4. 후계 개발용 시험차5. 수출6. 기타7. 둘러보기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도호쿠 신칸센 E2계를 대체하고, 320km/h 운행을 위해 개발되어 2011년 3월 5일의 다이아 개정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E2계의 실질적인 후속 차량으로, 캐치프라이즈는 "MADE IN DREAM." 10량 1편성당 가격은 약 45억엔 (450억원) 이다. [7]

2012년에 블루리본상을 수상하였다. 처음 투입되었을 때는 E5계의 투입과 동시에 신설된 등급인 하야부사 전용으로 운행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하야테, 야마비코, 나스노 등의 등급으로도 운용되고 있다.

JR 홋카이도는 2016년 3월에 신아오모리~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홋카이도 신칸센용 차량으로 E5계를 기반으로 하는 H5계를 도입하였다. H5계는 E5계와 비교해서 차체 중앙의 띠 색상과 내부 인테리어의 차이가 있으나 기기와 스펙이 동일하므로 이 문서에 함께 기술한다.

2. 사양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ruby(E, ruby=イー)][ruby(5, ruby=ご)][ruby(系, ruby=けい)]·[ruby(H, ruby=エイチ)][ruby(5, ruby=ご)][ruby(系, ruby=けい)][ruby(電車, ruby=でんしゃ)]

영업 최고 속도 320km/h, 설계 최고 속도는 360km/h. 10량 1편성으로, 8M 2T이다. 초기 출발가속도는 1.71km/h/s. 다만 E3계와 병결 시 E3계의 성능에 맞추어 1.6km/h/s 로 전환된다. VVVF는 미쓰비시,도시바,히타치 3사의 제품이 탑재되어있으며 곡선 통과 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반경 4,000m 곡선에서도 320km/h로 주행 할 수 있도록 에어스프링에 의한 스트로크식 틸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체를 최대 1.5도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차체 측면의 밑단 부분의 대차에는 대차 커버가 씌워져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탄소 섬유로 만들어져 있고, 흡음재를 채용하여 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코마치로 운행되는 신칸센 E6계 전동차와의 연결을 위해 10호차에는 자동연결기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덮개가 설치되어있다. 하지만 평소에 연결할 일이 없는 1호차 쪽의 연결기는 자동연결기가 아니며, 덮개도 고정식이라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다.

열차의 구동 방식은 가선의 25kV 교류를 주 변압기에서 강압하여 직류로 정류 후 삼상 교류로 변환하여 주 전동기를 제어하는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주 전동기 하나의 정격 출력은 300kW이다. 팬터그래프는 싱글 암 방식이다.

1~8호차는 일반실로, 9호차는 그린샤로, 10호차는 그란클라스로 운영되며, 롱 노즈와 그란클라스의 설치로 인한 선두차량 객실공간의 축소 및 5호차에 설치된 다기능 화장실・다목적실 등의 장애인 시설로 인해 1편성의 정원이 E2계 1000번대보다 83명 감소한 731명이 되었다. 일반실의 시트피치는 E2계보다 확대[8]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장실 등의 시설이 없는 칸의 정원은 E2계와 같은 100명으로 시트피치의 증가로 인해 정원이 감소한 것은 아니다. 또한, 3인용 시트의 폭이 확대되어 A·C석은 430mm에서 440mm로, B석은 435mm에서 460mm로 확대되었다. 전 좌석에 독서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2009년~2013년 제작분인 U1~U28편성에서는 그랑 클라스 및 그린샤는 전석에, 일반석은 창가 자리에 전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2015년 이후에 증비되기 시작한 U29편성 이후의 차량과 H5계 전 차량은 일반석에도 전석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2량당 1개소씩 설비되어 있으며, 서양식 화장실 2개소와 남성용 소변기 부스 1개의 화장실 2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5호차는 화장실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장애인 대책으로 5호차와 9호차에 휠체어 대응 시설[9]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장실은 수동・전동 휠체어에 대응된다. 또한, 5호차에는 다목적실도 설치되어 있다. 차내 와이파이는 2020년 설치되었으며 세이칸 터널에서는 통신이 끊긴다.

3열식 일등석인 그란클라스(Gran Class)가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시트피치 1,300mm, 폭 520mm의 좌석을 도입하였다. 정원은 1편성에 18명(3명 × 6열)으로 10호차에서 영업에 사용되고 있다.

3. 도입 및 운용

3.1. E5계

JR 동일본이 2000년에 수립한 중기 경영 구상 "뉴 프론티어 21"에서 도호쿠 신칸센을 최고 360km/h로 운행하는 계획을 세웠으며, 이에 따라 2002년 '신칸센 고속화 추진 프로젝트'에서 신칸센 고속 시험 열차 " FASTECH 360"을 개발하고 2005년부터 지상설비를 포함한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환경대책이나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했을 때 최고속도를 320km/h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 속도에 대응하는 차량으로 E5계가 제작되었다. 2009년 양산 선행차가 제작되어 센다이의 신칸센 종합차량센터에 반입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5일부터 센다이~ 키타카미사이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하였다. 2010년에는 E3계 E6계와의 병결 운행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2011년 3월 5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영업운전을 실시하고 300km/h로 주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300km/h로 영업운전을 시작한 직후 4일만에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여 4월 28일까지 영업을 중단하였으며, 4월 29일 재개통하였으나 복구 공사로 인해 300km/h로 주행하지는 못했고, 7월 9일 다이어 개정으로 우츠노미야~ 후쿠시마 사이와 이치노세키~ 모리오카 사이에서 300km/h의 운행이 재개되었으며, 우츠노미야-센다이-모리오카 간의 300km/h 운행은 9월 23일에서야 다시 시작되었다.

2011년 11월 19일부터 3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6편성을 운용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하야테 야마비코등급 열차로도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E3계 0번대와 병결 운행을 하기 때문에 최고 속도는 275km/h로 제한되었다. 2012년 3월 17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10편성이 되었고, 나스노등급으로도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년 4월 27일에 1편성이, 9월 29일에 5편성이 추가 투입되었으며, 2013년 1월 26일부터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20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E5계 단독 편성의 하야테, 야마비코, 나스노도 운행되기 시작하였으나, 최고 속도는 275km/h로 운행된다.

2013년 3월 16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3편성이 추가 투입되어 23편성이 운행되었으며, 같은 날 E6계도 E5계와 병결운행을 시작하여 '슈퍼 코마치'라는 이름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모든 슈퍼 코마치는 하야부사와 병결하여 운행되었으며, 그 외의 E5계・E6계 병결 열차는 야마비코, 나스노로 운용되기도 한다. 9월 28일에는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28편성이 되었으며,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아키타 신칸센 코마치가 E6계로 대차되어 '슈퍼 코마치'에서 '슈퍼'를 빼고 코마치로 운행되며, 하야부사・코마치 병결 열차의 320km/h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4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츠바사와 병결하거나, 센다이역 이북으로 가는 모든 야마비코가 E5계로 대체되었다.

3.2. H5계

JR 홋카이도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3개 편성 30량이 운행 중이다.

H5계의 첫 번째 편성은 2014년 10월 8일부터 카와사키 중공업의 효고 공장에서 출고되어 13일에 첫 2량이 하코다테로 반입되었으며, 22일까지 2개 편성 20량이 하코다테 종합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 12월 1일부터 하코다테 종합차량기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시운전이 실시되었으며, 다음 날인 12월 2일부터는 키코나이~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었다. 7일부터는 오쿠츠가루이마베츠~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어 처음으로 세이칸 터널을 통과하여 혼슈에 상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속도를 증속하여 12월 26일에는 260km/h까지 단계적으로 증속이 이루어졌다. 2015년부터는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어, 마침내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정식 영업운전 개시.

H5계는 다니는 시간표가 고정되어 있다. 즉 운행하는 편이 정해져 있다.[10] 따라서 H5계를 타보고 싶다거나, 일반석에서 콘센트를 이용해야 하며, 시간대가 맞다면, 이 열차가 운행하는 편을 찾아서 골라타자.

E5계와의 겉으로 보이는 차이점은 우선 측면 줄무늬 색이 다르다. E5계 도색의 부작용을 의식해서인지 줄무늬가 라벤더를 뜻하는 보라색으로 바뀌었다. 연보라색은 JR 홋카이도 소속 다른 열차의 도색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색이다. 또한 출입문 안쪽의 색이 녹색이며 마지막으로 E5계에만 있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설치되어있지 않으니 참고하자. 이 외에 차내 멜로디라던지 아나운스 등은 E5계와 동일한 사양이다.

로고는 홋카이도의 지형 모양으로, 하야부사의 이름 유래가 된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종인 백송고리를 모티브로 했다.

2022년 3월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4편성 중 H2편성의 탈선사고가 발생했고, 결국 폐차처리되어 총 3편성이 운용중이다.

4. 후계 개발용 시험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칸센 E956형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557395865.jpg 파일:1557395866.jpg

후계 차량으로 영업 운전속도 360km/h짜리 신형 전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ALFA-X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두 가지의 선두부 디자인을 양 끝에 배치하는 1개의 시험 편성을 만들어 달릴 때의 소음의 저감, 위급시에 따른 급정거 시스템을 검증할 예정이다. 시험주행 최고속도는 시속 400km 정도를 상정한다. 미래를 위해 무인 자동운전을 상정한 기술 검증도 할 예정이다. 이 개발용 차량의 명칭은 E956형이다.

5. 수출

파일:India Highspeed Rail.jpg

인도 최초의 고속철도 구간인 뭄바이 - 아메다바드 고속철 사업에 E5계를 기반으로 한 신칸센 시스템이 채택되면서 수출에 성공했다. 해당 구간은 2017년 9월 착공했으며, 본래 2022년 8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토지수용에 차질을 겪어 2026년 10월로 미뤄졌다. 건설 자금의 80%인 15조원은 일본 정부가 50년 만기 0.1% 이율의 채권을 제공하여 충당하였다. # 인도에 수출되는 E5계의 도색은 신칸센 E6계 전동차와 비슷한 빨간색이 예정되어 있다.

6. 기타

7. 둘러보기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2cb4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홋카이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cb43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 홋카이도 신칸센
연계 노선 도호쿠 신칸센
등급 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 차종 H5
차량기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 삿포로 종합지령소 }}}}}}}}}}}}
{{{#008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동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900><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 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 노선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야마가타 신칸센( 신칸센 직통 특급)
아키타 신칸센( 신칸센 직통 특급)
등급 도호쿠~홋카이도 <colcolor=#1f2023,#dddddd> 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 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 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 차종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 신칸센 종합지령소
}}}}}}}}}}}} ||
{{{#f773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도카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7732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 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신칸센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 차종 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
차량기지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 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0072b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서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2bc><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 산요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연계 노선 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등급 도카이도-산요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1f2023,#dddddd>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 차종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
{{{#e50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큐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50012><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 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산요-큐슈 <colcolor=#1f2023,#dddddd>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 카모메
운행 차종 800 / N700 / N700S
차량기지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JR 총연 / 노선 계획 / 기타 사항
<colbgcolor=Navy><colcolor=#fff> 기술개발&사업용차량 <colcolor=#000> 표준궤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스타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초전도 리니어 방식 ML500 - MLU001 - MLU002 - MLX01
관련법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신칸센 철도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에 관한 특례법
노선 고속철도, 미니 신칸센, 신칸센철도규격신선
<colbgcolor=#fff> 기본계획 홋카이도 신칸센 - 홋카이도 남회 신칸센 - 우에츠 신칸센
오우 신칸센 - 호쿠리쿠-주쿄 신칸센 - 산인 신칸센 - 주고쿠 횡단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 시코쿠 신칸센 - 히가시큐슈 신칸센 - 큐슈 횡단 신칸센
계획 파기 나리타 신칸센 - 제2 도카이도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도카이도 물류 신칸센
구상계획 미에 신칸센
시험용 카모노미야 모델선 - 미야자키 리니어 실험선 - 야마나시 리니어 시험선
좌석 보통차, 그린샤, 그란 클래스, 식당차
}}}}}}}}} ||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151계 전동차 킨테츠 10100계 전동차 키하 81계 동차 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 오다큐 3100형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키하 8000계 동차 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583계 전동차 EF66형 전기기관차 세이부 5000계 전동차 - 14계 객차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83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 - 한큐 6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 킨테츠 30000계 전동차 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오다큐 7000형 전동차 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 14계 객차 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키하 83·84형 동차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 킨테츠 21000계 전동차 651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787계 전동차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883계 전동차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E26계 객차 885계 전동차 E257계 전동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 5100형 전동차 M250계 전동차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E259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 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신칸센 E7·W7계 전동차 한신 5700계 전동차 BEC819계 전동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계 객차 오다큐 70000형 전동차 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HC 85계 동차 도부 N100계 전동차 - - -
}}}}}}}}} ||

8. 관련 문서



[1] JR 동일본 소속 [사고열차] 도호쿠 신칸센 탈선 사고인해 2022년 3월 16일 폐차 [3] JR 홋카이도 소속 [4] 선두차는 26,500㎜ [5] DS-ATC 작동 불능시 사용하는 대용폐색시스템이다. 이 경우 속도가 110으로 제한된다. [6] E3계와 병결시 [7] 원래 이금액이 정상적인 원화 가격이지만 환율변동에 따라서 가격은 다르다. [8] 980mm → 1,040mm. [9] 출입구 확장, 휠체어 좌석의 설치, 휠체어 대응 화장실 등. [10] 출처마다 시간은 같으나 열차편이 다르다던지 조금씩 상이하다. [11] 심지어 성우도 동일한 후지타 사키로 연기+변조로 우리가 아는 하츠네 미쿠 목소리다 다만 우리가 아는 하츠네 미쿠는(初音ミク)이고, 본편에 등장하는 하츠네 미쿠는 이것(発音ミク). 게다가 이미지 캐릭터가 아닌 인간 캐릭터이다. 나이도 하츠네 미쿠(初音ミク)는 16세(V3 이후 17세)이지만 하츠네 미쿠(発音 ミク)는 11세이다. [12] 여기도 11살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