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2:01:39

르노 클리오

르노 루테시아에서 넘어옴
파일:르노 로고.svg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jpg
CLIO

1. 개요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1990 ~ 1998)2.2. 2세대 (BB, 1998 ~ 2012)2.3. 3세대 (BR, 2005 ~ 2014)2.4. 4세대 (BH, 2012 ~ 2019)2.5. 5세대 (BF, 2019 ~ 현재)
3. 경쟁 차종4. 미디어에서5. 여담6. 둘러보기


RENAULT Clio / Lutecia
Nissan Platina
Mitsubishi Colt[1]

1. 개요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 르노에서 1990년부터 생산하는 전륜구동 소형차.

같은 차대를 쓰는 차종으로는 르노 캡처가 있다.

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1990 ~ 1998)

파일:클리오1-1.jpg
파일:클리오1-4.jpg
<rowcolor=#fff> 페이즈 1 (5도어, 1.7L RT) 윌리엄스(Williams) 한정판
르노 5의 후속으로 데뷔한 차량으로, 1990년 6월 파리 오토살롱에서 공개되었다. 2세대 르노 5의 서스펜션과 플로어 팬을 거의 그대로 사용했으며 앞바퀴에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뒷바퀴에는 토션 바[2]와 트레일링 암이 적용되어 있었다. 처음에는 1.2리터(1171cc)와 1.4리터(1390cc) E-타입 "에너지" 직렬 4기통 휘발유 엔진[3], 1.7리터(1721cc) 휘발유 엔진, 1.9리터(1870cc) 디젤엔진이 제공되었다. 출시 당시 상당한 인기를 끌었기에 1990년 12월에는 "1991년 유럽 올해의 차" 상을 수상했다. 영국에서는 1991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그곳에서도 매년 5만대 가량을 팔아치우며 10위 이내의 판매량 순위를 유지했다.[4]

1991~1993년 사이에는 웬만한 유럽 시장에선 똑같은 트림 라인업이 준비되었지만, 1993년부터는 지역마다 다양한 트림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1991년에는 르노 19에서 도입한 1.8리터(1764cc) 16밸브 136마력 엔진[5]을 클리오에도 추가했으며, 클리오 16S[6]/클리오 16V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최고시속 209km/h를 기록했다.이전의 르노 5 GT 터보의 자리를 대신했으며, 외양상으로는 플라스틱제 범퍼 스포일러와 보닛 흡기구, 넓은 뒷바퀴 펜더, 새로 세팅한 서스펜션과 브레이커, 차체 색상으로 마감된 백미러와 범퍼를 적용했다. 실내에는 엔진 유압계와 오일 온도계, 오일 레벨을 표기하는 계기판을 추가했으며, 훨씬 스포티한 시트가 적용되었다.

1993년식 클리오는 새로운 핫해치 버전으로 109마력 1.8리터(1794cc) 8밸브 엔진과 사이드스커트, 4륜 디스크브레이크, MPI식 연료 분사장치를 장착한 RSi가 추가되었다. 1.7리터 엔진을 장착한 최고급 사양인 바카라(Bacarra) 트림은 가죽 인테리어와 우드그레인, 파워윈도우, 파워 도어 락을 비롯한 호화로운 구성을 갖추었으며, 1991년에 1.8리터 SPI 엔진을 같이 추가한 뒤 1997년부터 휠 등을 바꾼 뒤 이름도 이니셜(Initiale)로 바꾸었다.

이 외에 고성능 버전인 클리오 윌리엄스(Williams)라는 한정판도 상당히 유명한 편이다. 르노에서 자동차 경기를 위해 특별 제작한 차종이며, 규정상 2천 5백대를 만들고 거기에다가 1천 3백대를 더해 한정 판매하려고 계획했다. 이름은 1990년대 당시 르노의 엔진을 사용하던 상위권 포뮬러 1 레이싱 팀 이름인 윌리엄스 레이싱에서 따 왔으며[7], 최고출력 147마력의 2.0L 16밸브 엔진과 JC5 변속기를 얹고 성능 중심으로 핸들링과 승차감을 단단하게 세팅한 뒤 프론트 트랙, 흡배기 매니폴드 등을 손보았다. 외양상으로는 스피드라인(Speedline) 알로이휠과 진청색 외장 도색 등을 추가했고, 최고시속은 215km/h를 기록했다. 처음에는 3천 8백대만 판매하려고 했지만 반응이 생각보다 열광적이었기에 윌리엄스 1에 이어 윌리엄스 2와 3으로 계속 업데이트해 총 1만 2천대가 판매되었다.
파일:클리오1-2.jpg
파일:클리오1-3.jpg
<rowcolor=#fff> 페이즈 2 (3도어, 비밥 사양) 페이즈 3 (3도어, 영국 수출형)
1세대 클리오는 출시 1년만에 마이너체인지가 이루어져 새 르노 엠블럼과 앞좌석이 장착되었고, 1994년 3월에는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페이즈 2(Phase 2)'로 알려진 1차 페이스리프트 버전을 도입했다. 우선 그릴을 약간 둥글려 흡기구 수를 2개에서 1개로 줄인 뒤 차체 색상으로 마감했고, 몰딩을 살짝 키운 뒤 트렁크 몰딩에는 탄소섬유 느낌을 가미했다. 차량 이름과 트림명을 나타내는 레터링과 트렁크 엠블럼도 위로 약간 옮겼고, 후미등도 살짝 둥글려 훨씬 현대적인 느낌을 가미했다.

1996년 5월에는 2차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진 '페이즈 3' 클리오가 도입되었으며, 1.2리터 에너지 엔진을 1149cc D7F MPI DiET 엔진으로 대체했다. 디자인도 크게 둥글려저 헤드램프와 방향 지시틍이 통합되었고, 보닛을 둥글리는 동시에 트렁크에는 보조 브레이크등과 새로운 글씨체의 모델명 레터링을 부착했다. 기술적으로는 사이드 임팩트 바와 에어백을 추가했으며, 1.4리터 E-타입 휘발유 엔진은 실린더헤드를 수정해 연비를 끌어올렸지만 대신 출력이 전보다 낮아졌다.

2.2. 2세대 (BB, 1998 ~ 2012)

파일:클리오2-1.jpg
페이즈 1 (5도어)
1998년 봄에 출시된 2세대 클리오는 르노의 베테랑 엔지니어 피에르 뷰지(Pierre Beuzit)[8]의 지휘 하에 개발되었으며, 수리비와 차량 중량을 줄이기 위해 자주 쓰이지 않는 재질로 여러 부품들을 만들었다. 가령 앞펜더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9] 이전 세대의 녹 문제를 잡으려고 했고, 일부 차량의 보닛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스타일링에서는 1세대를 토대로 C필러가 강조되는 훨씬 둥글려진 디자인을 갖추었고 파워트레인 라인업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1.2리터와 1.4리터, 1.6리터 가솔린 엔진 및 1.9리터 디젤엔진을 주요 라인업으로 유지했다.

고성능 버전으로는 2리터 16밸브 168마력 엔진을 얹은 클리오 르노 스포트(Renault Sport. 이하 R.S.)/르노 스포트 172[10]를 준비했는데, 최고시속 220km/h를 기록했다.[11]
파일:클리오2-2.jpg
클리오 V6
또한 고성능 버전은 전, 후기형 모두 르노 스포트에서 개조한 클리오 V6가 최고 사양으로 등장했으며, 뒷좌석을 탈거하고 229~250마력 3리터 V6엔진을 미드십 구조로 배치한 특이한 핫해치로, 실질적으로 르노 5 터보의 후계모델이라 할 수 있다. 르노 라구나와 같은 엔진을 사용했으며, 최고시속 235km/h를 기록했다.

1999년에는 세단 버전인 클리오 심볼(Symbol)이 출시되었다. 클리오 심볼은 주로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다양한 이름 하에 판매되었다.

2000년 초반에는 1.6리터 16밸브 엔진을 얹은 16V 트림이 도입되었으며, 나중에는 16밸브를 추가함으로서 휘발유 엔진 전반을 정비해 출력과 연비를 끌어올렸다. 그 외에도 2000년에는 라인업을 손보고 새 계기판과 조수석 에어백을 기본으로 추가했으며, EURO NCAP 충돌 테스트에서 동급차 대비 고득점인 별 5개 만점 4점을 받았다.
파일:클리오2-3.jpg
페이즈 2 (5도어)
2001년 6월에는 페이스리프트(페이즈 2)를 통해 실내 품질을 개선하고 범퍼와 헤드램프에 각을 집어넣는 등으로 디자인을 바꾸었으며, 1.5리터 CRDi 디젤엔진을 추가했다. 당시 르노의 새 패밀리룩이었던 2분할 그릴도 이때 추가되었다.
파일:클리오2-4.jpg
페이즈 3 (다이나미끄)
2004년에는 2차 페이스리프트(페이즈 3)가 이루어져 범퍼 그릴을 넓히고 안개등을 좀 더 밖으로 튀어나오게 했으며,[12] 그릴 디자인도 바꾸고 헤드램프 베젤을 회색으로 바꾸었다. 트림별 라인업 중 172와 디나미끄(Dynamique), 익스트림(Extreme)에 적용되는 15인치 알로이 휠의 디자인도 바꾸었고, 클리어 타입의 측면 방향지시등과 차체 색상으로 마감된 리어스포일러가 장착되었다. 시트 패턴은 훨씬 간결하게 바뀌었고, 계기판은 트립 컴퓨터 등의 디지털 게이지 공간을 넓힌 뒤 연료계와 수온계 간의 거리를 넓혔다. 에어컨 장착 차량은 글로브박스에도 에어벤트가 추가되었으며, 100마력 dCi 엔진 및 닛산과 공동개발한 1.2리터 16밸브 휘발유 엔진도 추가되었다.

페이즈 3 사양은 1.6리터 16밸브 엔진과 dCi 100마력 엔진[13]을 장착한 차량의 뒷바퀴에 디스크브레이크를 장착했고, 클리오 RS의 출력도 178마력으로 올라가면서, 그 출력 변화를 따라 영국에서도 "클리오 RS 182"로 명칭이 바뀌었다. 차대 강성을 개선하기 위한 선택 사양이 추가되어 컵(CUP) 사양을 고를 경우, 전고를 20mm 낮춘 서스펜션과 크기를 키운 안티롤바, 견교한 서스펜션이 추가되었다. 2006년 파리 국제 농업박람회에서는 브라질 사양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하이플렉스(Hi-Flex) 사양을 공개했으며, 1.6리터 16밸브 엔진을 기반으로 0~100% 사이에 이르는 다양한 옥탄가의 연료를 쓸 수 있도록 개조했다.
파일:클리오2-5.jpg
파일:클리오2-6.jpg
페이즈 4 페이즈 5
클리오 캠퍼스
2세대 클리오는 3세대가 출시된 뒤에도 클리오 캠퍼스(Campus)[14]라는 이름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팔렸다. 2006년~2009년식 클리오 캠퍼스는 페이즈 4로 분류되고, 모든 트림의 편의장비를 이전보다 훨씬 다양하게 추가했으며, 뒷부분도 대폭 변경되어 번호판 위치도 트렁크 대신 범퍼로 이동했다. 영국에서는 2008년 말까지 판매되었고, 2009년 5월에 그릴과 범퍼 디자인을 다시 한번 바꾸면서 평범한 검은색 그릴이 장착하는 페이스리프트(페이즈 5)가 이루어졌다. 멕시코에서는 닛산 플래티나의 헤드램프를 장착한 차량이 2010년 1월까지 생산되었으며, 프랑스 시장에서는 2012년까지 판매되다가 "바이 바이(Bye Bye)"라는 한정판을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 반면 남미 시장에서는 2012년 10월에 클리오 미오(Mio)라는 이름 하에 또다시 페이스리프트 버전을 공개해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2016년까지 생산, 판매하였으며, 2017년에는 남미 시장용으로 개량된 크위드를 후속 차종으로 투입하였다.[15]

2.3. 3세대 (BR, 2005 ~ 2014)

파일:클리오3-1.jpg
파일:클리오3-2.jpg
3도어 5도어
초기형
200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그 해 10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닛산과 공동 개발한 B 플랫폼 모뒤스, 닛산 마치, 닛산 노트 등과 같이 사용했다. 이전 대비 고급 시장을 노렸기 때문에 중량이 130kg 가량 무거워지고 덩치가 대폭 커져, 왠만한 동급 소형차들보다 덩치가 상당히 크고 가격도 비싸졌다. 편의장비 역시 "르노 카드(Renault Card)"로 불리는 리모컨식 키레스 엔트리를 도입했으며,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에서 캉구, 트윙고를 제외한 모든 라인업들처럼 별 5개를 받았다. 직렬 4기통 1.0 / 1.4 / 1.6 / 2.0L 가솔린과 1.5L 디젤엔진이 있었고 5단/6단 수동 혹은 4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다.

2006년 1월에는 폭스바겐 파사트와 5점 차이로 "2006년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다.[16] 2006년 6월에는 핫해치 사양인 클리오 르노 스포트가 판매되었다. 이전 세대의 엔진을 개량한 2.0L 16밸브 엔진에 6단 수동변속기를 조합해 196마력(PS)을 기록하고 최고시속 215km/h에 0-100km/h까지 가속시간 6.9초를 기록했다. 2007년 3월에는 클리오 사상 최초로 왜건 버전인 스포트 투어러(Sport Tourer)가 등장했으며, 1.4L 엔진을 101마력(PS) 1.2L TCe 터보차저 엔진으로 바꾸었다.
파일:클리오3-3.jpg
파일:클리오3-4.jpg
해치백 왜건
페이스리프트
200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영국에서는 5월 15일에 출시되었으며, 외양상으로는 이전의 양갈래 그릴을 없에고 한 줄의 공기흡입구로 바꾸었으며, 범퍼 디자인도 수정되었다. 실내 품질이 개선된 것은 물론 편의장비도 더 많이 추가되었으며, 일반 클리오와 클리오 르노 스포트/182 RS 사이를 매꿀 RS 트림도 출시되었다. 클리오 GT도 라인업에 추가되었고, 훨씬 과감한 앞모습이 적용된 것은 물론 전용 스커트, 전용 서스펜션 세팅, 이중 배기관, 리어스포일러 등이 적용되었다. 영국에서는 2010년에 한정판으로 클리오 고르니디(Gordini)를 출시했으며, 2.0L F45 197마력(bhp) 엔진을 장착하되 가격은 기존 가격대를 유지했다.

2012년 말에 4세대 클리오가 출시되면서 라인업이 축소되었고, 프랑스와 스페인에서는 2014년까지 클리오 컬렉션(Collection)이라는 사양을 병행 판매했다.

2.4. 4세대 (BH, 2012 ~ 2019)

파일:빨간 클리오.jpg
파일:clio_rs.jpg
일반 모델 R.S.
초기형
파일:2016 클리오.jpg
파일:clio_rs_2015.jpg
일반 모델 R.S.
페이스리프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노 클리오/4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5세대 (BF, 2019 ~ 현재)

파일:clio5-1.jpg
파일:clio5-3.jpg
일반형
파일:clio5-2.jpg
파일:clio5-4.jpg
R.S. LINE
파일:clioint.jpg
실내
르노- 닛산 그룹의 신형 플랫폼 CMF-B를 기반으로 하여 2018년 파리모터쇼에서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 2019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하는 걸로 미뤄졌다.

그리고 동년 1월 28일에 차량의 사진이 공개되었다. 4세대처럼 뒷문 손잡이는 창문 바로 옆에 붙어있는 형태로 나온다. 실내에는 센터페시아에 큼지막한 모니터가 적용됐다.

르노 H 엔진 계통의 1.0L SCe 엔진, 1.0L TCe 엔진(H4Ft), 1.3L TCe 엔진(H5Ht), 1.5L K9K DCi 엔진이 적용되었다.

2022년 유럽 시장 판매순위는 10위, 143,561대로 2021년의 4위보다 하락하였다. #

2023년 2월 말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부분변경 모델의 공식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 2023년 4월 초에 올라온 스파이샷, 미쓰비시 콜트 티저 기사를 통해 미쓰비시 콜트가 부분변경 모델의 배지 엔지니어링 버전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1).jpg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2).jp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3).jpg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4).jpg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5).jpg 파일:2024 르노 클리오 E-테크 에스프리 알핀_(6).jpg }}}
E-테크 에스프리(Esprit) 알핀
same love, new energy

2023년 4월 18일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외부는 완성도가 이전보다 좋아져 업그레이드 되었지만 실내는 여전히 거부감이 많이들고 중앙 터치스크린을 빼면 90년대 차 같다는 의견들이 많다. 종합적으로 멋진 외관을 인테리어가 못 따라간다는 평이다.

2023년 6월 8일에 클리오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로 미쓰비시 콜트가 공개됐다. #

2023년 한해동안 유럽 판매량은 202,942대로 전체 4위를 기록했다. #

3. 경쟁 차종

4. 미디어에서

5. 여담

파일:ルノー・ルーテシア.jpg
일본 시장에서는 첫 출시했을 당시 혼다의 판매점 명칭 중 하나였던 '클리오점'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루테시아라는 이름을 사용해오고 있다. 어원은 파리의 옛 이름인 루테티아.

6. 둘러보기

<colbgcolor=#fff,#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차량 단종차량
<colbgcolor=#000><colcolor=#fff> 마이크로카 - 트위지
경차 트윙고(Z.E.) 3 · 4
소형차 클리오 · 탈리안트( 크로스) · 5 4CV · 도핀 · 7 · 로간/심볼 · 산데로 · 펄스 · 조에
준중형차 메간 6 · 8/10 · 9/11 · 얼라이언스/엥코르 · 14 · 19 · 스칼라 · 플루언스( Z.E.)
중형차 SM6한국형 12 · 16 · 18 · 20/ 30 · 21 · 라구나 · 사프란(2,3세대) · 래티튜드 · 탈리스만(2세대)
준대형차 - 25 · 사프란(1세대) · 벨 사티스 · 탈리스만(1세대)
스포츠카 - 카라벨 · 15/17 · 푸에고 · 스포트 스파이더 · 윈드
그랜드 투어러 - 아반타임
경형 SUV 크위드 E-테크 일렉트릭 시티 K-ZE
소형 SUV 카이거 · 산데로 스텝웨이/스텝웨이 · 더스터 · 카르디안 ·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준중형 SUV 심비오즈 E-테크 풀 하이브리드 · 아르카나( E-테크 하이브리드) · 오스트랄 E-테크 하이브리드 · 라팔 E-테크 하이브리드 · 세닉 E-테크 일렉트릭 카자르 · 콜레오스(1세대)
중형 SUV 에스파스 E-테크 하이브리드 · 콜레오스(2세대)/ QM6 -
소형 MPV 트라이버 모뒤스 · 롯지
준중형 MPV - 세닉
중형 MPV - 에스파스
픽업트럭 알래스칸 · 더스터 오로크 -
상용밴 트래픽 · 캉구 · 마스터 캉구 Z.E.
전차 - FT · B1 · B1 비스 · R35 · R40
장갑차 - UE 슈니예트
군용차 - TRM 500
르노의 포뮬러 1 레이스카
알핀의 차량
다치아의 차량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파일:199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5 유럽 올해의 차.jpg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 닛산 마이크라 포드 몬데오 피아트 푼토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파일:1996 피아트 브라보.jpg 파일:199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jpg
피아트 브라보/브라바 르노 메간 세닉 알파 로메오 156 포드 포커스 토요타 야리스/ 야리스 베르소
역대 경합 후보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닛산 프리메라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피아트 친퀘첸토 시트로엥 잔티아 폭스바겐 폴로
오펠 칼리브라 시트로엥 ZX 르노 사프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오펠 오메가
역대 경합 후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푸조 406 포드 카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피아트 멀티플라
아우디 A4 폭스바갠 파사트 아우디 A6 푸조 206 오펠 자피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1] 원래 1990년대 1990년부터 199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200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파일:200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5 유럽 올해의 차.jpg
알파 로메오 147 푸조 307 르노 메간 피아트 판다 토요타 프리우스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파일:200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8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200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10 유럽 올해의 차.png
르노 클리오 포드 S-맥스 피아트 500 복스홀 인시그니아 폭스바겐 폴로
역대 경합 후보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포드 몬데오 르노 라구나 마쓰다 6 마쓰다 3 시트로엥 C4
토요타 프리우스 피아트 스틸로 시트로엥 C3 폭스바겐 골프 포드 포커스
3위권 외 후보
아우디 A2 미니 원 혼다 재즈 토요타 아벤시스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혼다 시빅 포드 피에스타 오펠/복스홀 메리바 르노 모뒤스
복스홀 아스트라 시트로엥 C5 오펠/복스홀 벡트라 BMW 5시리즈 푸조 407
볼보 S60 재규어 X-타입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닛산 마이크라 BMW 1시리즈
역대 경합 후보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폭스바겐 파사트 오펠 코르사 마쓰다 2 포드 피에스타 토요타 iQ
시트로엥 C4 피카소 포드 몬데오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3위권 외 후보
BMW 3시리즈 스코다 룸스터 기아 씨드 시트로엥 C5 스코다 예티
마쓰다 5 혼다 시빅 닛산 캐시카이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푸조 207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스코다 수퍼브 푸조 3008
토요타 야리스 볼보 C30 푸조 308 르노 메간 시트로엥 C3 피카소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1] 원래 2000년대 2000년부터 200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면서 10년 단위를 맞추기 위해 201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1] 5세대 후기형 모델을 같은 얼라이언스에 속한 미쓰비시 버전으로 배지 엔지니어링해 판매한다. [2] 저가 사양과 고가 사양의 토션 바는 각각 두깨가 달랐다. [3] 1992년 말에는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고자 카뷰레터 대신 전자식 연료분사 장치가 도입되었다. [4] 영국 시장에서는 Estelle Skornik 등 2명을 주연으로 하는 파리 배경의 광고가 잘 알려져 있다. [5] 촉매 변환장치가 없는 사양도 제공되었는데, 이쪽은 139마력에 212km/h를 기록했으며, 0-100km/h까지의 가속시간도 8초 대신 7.8초를 기록했다. [6] 16 soupapes, 즉 16밸브의 줄임말이다. [7] 이름만 따왔다. 실제 제작에 윌리엄스 엔지니어링은 전혀 관여한 것이 없으며 온전히 르노 개발 부서의 손으로만 만들어졌다. [8] 1971년부터 2006년까지 르노에서 근무했다. [9] 1984년에 앞서 판매된 르노 에스파스에서 시도된 기술이다. [10] 172는 DIN 방식으로 측정한 엔진 출력수에서 따 왔다. [11] 참고로 일반 사양 중 하나인 클리오 RTE 1.2리터 사양은 53마력에 최고시속 180km/h를 기록했다. [12] 안개등이 없는 차량은 이전 차량의 범퍼를 그대로 사용했다. [13] ESP 장착 차량 한정. [14] 르노 5에서도 쓰인 명칭으로 한번은 1세대 후반기에 중저가 트림의 특별 사양으로, 2세대는 저가 트림 중 하나의 이름으로 쓰였다. 실제 프랑스어 발음은 여기를 참조. [15] 유럽 시장에서도 슬로베니아 시장 한정으로 남미 시장용과 같은 디자인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에 3, 4세대 클리오와 같이 2015년까지 생산되었다. [16] 당시 평가에 의하면 "윗급 차종에 영감을 주어야 될 훌륭한 소형차(great little car that should inspire bigger ones)"였다. [17] 같은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 [18] 모두 2005년식 V6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