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20:41:39

쉐보레 K5 블레이저

M1009 CUCV에서 넘어옴
파일:쉐보레 로고(1988-2002).png
파일:1994 쉐보레 K5 블레이저.png
1994년형 K5 블레이저
K5 Blazer

1. 개요2. 상세
2.1. 1세대(1969~1972)
2.1.1. 판매량
2.2. 2세대(1973~1991)
2.2.1. 제원2.2.2. 판매량2.2.3. 군용 사양(M1009 CUCV)
2.3. 3세대(1992~1995)
3. 미디어4. 기타5. 둘러보기


Chevrolet K5 Blazer

1. 개요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생산된 쉐보레의 2도어 숏보디 SUV으로, 쉐보레 서버번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다른 버전으로 GMC 지미가 있었으며, K5 블레이저 버전의 지미는 1970년에 출시되어 1991년에 후속 차종으로 쉐보레 타호가 등장해 단종되었다.[1]

2. 상세

2.1. 1세대(1969~1972)

파일:1969 쉐보레 K5 블레이저.png
1969년형 K5 블레이저

1969년에 출시된 단축형 픽업트럭이었으며, 쉐보레 C/K 픽업 트럭 라인업의 일환으로 판매된 가장 작은 크기의 대형 SUV였다. 4륜구동 사양만 제공되었다. 경쟁 차종으로는 인터내셔널 하비스터 스카우트, 포드 브롱코가 있었으며 이들에 대응하려는 목적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2]

단축형 픽업 트럭 형태의 차량이었음에도 공유된 플랫폼을 통해 생산 비용을 낮추면서도 실내 공간을 늘리는 혁신적인 점도 존재했다. 또한 인터내셔널 하비스터 스카우트의 오프로드 역량이나 에어컨 및 TH-350형 3단 자동변속기와 같은 럭셔리 기능들이 융합되어 꽤 많은 인기를 얻었는데 초기 경쟁차량들보다 더 많은 판매량을 올리자 반대로 포드, 닷지, 심지어는 지프까지도 지프 체로키 등을 개발하게 되었고 컨버터블 사양까지 만들어지기도 했다.

1970년부터 후륜구동 사양이 추가되었으며, 1982년까지 판매가 이루어졌다. 그 사양은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 전면부 독립식 서스펜션 형태를 띄고 있었고 후면부는 트레일링 암 형태의 서스펜션을 사용하였다. 4륜구동 사양은 견고한 전륜 차축과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508mm, 4,572mm(71년형 한정), 전폭은 2,007mm, 휠베이스는 2,642mm였다.

1971년까지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었으나, 이후부터는 GM의 경형 트럭 라인업에 전면부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 적용되었으며, 타코미터는 옵션으로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4가지가 있었는데 4.1L I6 엔진, 4.8L I6 엔진, 5.0L V8 엔진, 5.7L V8 엔진이 있었다. 이와 함께 TH-350형 3단 자동변속기, 3단 수동변속기와 SM465형 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3] 트랜스퍼 케이스는 NP-205형과 다나(DANA)-20이 적용되었는데, 다나-20 케이스는 수동변속기 사양에만 적용되었다.

파일:K5 블레이저 세마쇼.png
세마쇼 사양

2019년 10월 세마쇼에서 2018년 쉐보레 타호의 차체를 활용해 커스터마이징이 이루어진 1세대 K5 블레이저가 쉐보레 블레이저의 출시 5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적이 있었다.

2.1.1. 판매량

쉐보레 K5 블레이저(1세대) 판매량
연도 판매량
1969년 4,935대
1970년 11,527대
1971년 17,220대
1972년 44,266대

2.2. 2세대(1973~1991)

파일:1973 쉐보레 K5 블레이저.png
1973년형 K5 블레이저

1973년형으로 GM 내의 픽업트럭 라인업이 새로 출시되었고 이에 맞춰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1970년형부터 제공되던 후륜구동 사양은 1982년까지 판매가 이루어졌으나 주로 4륜구동 사양이 많이 판매되었다. 이외에도 틸팅 스티어링 휠이 옵션으로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694mm, 전폭은 2,022mm, 전고는 1,976mm, 휠베이스는 2,705mm였다.

또한 후면부의 유리창과 테일게이트를 하나의 형태로 통합하여 수동 크랭크, 키 작동 스위치 및 또 다른 작동 스위치를 통해 유리 패널을 테일게이트 안으로 접을 수 있게 설계되기도 했다. 하지만 패널의 무게 때문에 수동 크랭크가 일찍 마모되고 전기 모터의 과열 때문에 고장이 자주 일어날 수 있다는 점과 유리창 조절 장치와 계기판 회선과 유사하게 구성된 전기 모터 회선 역시 심하게 남용하다가 고장나는 단점 역시 존재했다.

또 다른 테일게이트 기능으로는 전기 모터에 안전 스위치가 연결되어 테일게이트가 열려 있을 때 후면 창문이 올라가지 않게 설계되어 있었다.

1975년형에는 컨버터블 형태의 제거가 가능한 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었으나, 1976년형 이후부터는 롤오버 시 조금 더 안전성이 확보되는 하프캡 디자인이 적용되어 3세대 출시 전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1973년 출시 이후 1980년까지 판매된 K5 블레이저의 경우, SM465형 4단 수동변속기와 TH-350형 3단 자동변속기 사양에는 기어 드리븐 파트 타임 방식의 NP-205형 트랜스퍼 케이스가 적용되었으며 체인 드라이브 형태의 NP-203 트랜스퍼 케이스는 TH-350형 3단 자동변속기 사양에 적용되었다. 이와 함께 전면에는 다나(DANA)-44형, 후면에는 12볼트 형태로 구성된 축이 적용되었다.

1981년형부터 단종되기 전까지 체인 드라이브 형태의 NP-208형 트랜스퍼 케이스[4]와 함께 전면 10볼트, 후면 10볼트 형태의 차축이 적용되었다.[5]

파일:1989 쉐보레 K5 블레이저.png
1989년형 K5 블레이저

1987년에 픽업트럭 라인업에는 GMT400 계열의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이 출시되었으나 쉐보레 서버번, C/K 픽업 크루캡 사양과 함께 1991년까지 같은 플랫폼이 적용되었으며, 1988년에 나온 1989년형은 GMT400 플랫폼을 적용한 트럭 라인업과 비슷한 형태의 사각형 그릴이 적용되었다. 같은 시기에 나온 차량들은 스로틀 방식의 연료 분사가 이루어졌고 5.7L 350형 V8 엔진이 기본 탑재되었다.

또한 C/K 사양을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임시로 'R'과 'V'로 변경하면서 당시 생산되던 C/K 픽업 트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변경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색상의 경우 1988년형에 브라이트 블루 메탈릭, 포레스트 그린 메탈릭, 라이트 메사 브라운 메탈릭, 다크 메사 브라운 메탈릭으로 구성된 총 4개의 색상이 추가되었다.

1988년형 같은 경우에는 고정된 기둥 형태의 안테나가 기존의 윈드실드 안테나를 대체하였고 트립 주행기록계가 게이지 클러스터 패키지의 일환으로 추가가 이루어졌다. 또한 펄스 윈드실드 와이퍼 제어 장치가 있었고 문에서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한 새로운 도어 핸들 실이 적용되었다.

1989년형은 기본 그릴 및 최고급 사양 그릴의 변경이 이루어졌고 새로운 헤드램프 베젤, 차체 측면 몰딩, 전면 범퍼 루브 스트리 등이 적용되었다. 10볼트 차축은 28개의 박판으로 구성되었으나 이 시기부터는 30개로 늘어났으며, 베이스 코트/클리어 코트 방식의 도색이 도입되었다.

5.7L L05형 V8 엔진은 기존 멀티벨트 액세서리 방식에서 1세대에 적용되었던 서펜타인 액세서리 드라이브 벨트로 변경되었다. 또한 NP-241형 트랜스퍼 케이스가 적용되었으며, 케이블 구동 방식의 속도계가 적용된 유일한 연식이기도 했다.

1990년형은 후륜 ABS가 기본 탑재되었으며, 6자리 주행 기록계가 적용된 디지털 속도계가 추가되었으며, 석면이 없는 브레이크 라이닝도 함께 적용되었다. 또한 대시보드 내 브레이크 경고등 역시 추가되었다. 차체 역시 아연 도금 외장 판금이 적용되었고 파워 미러가 추가되었다. 또한 5.7L L05형 V8 엔진의 오일 제어 링, 후면 크랭크축 재설계, 새로운 캠축 스프로킷 디자인, 석면이 없는 흡기 매니폴드 개스킷, 고강도 흡기 밸브 등이 적용되었다.

이외에도 3점식 안전벨트가 뒷좌석에 추가 적용되었고, 뒷좌석 팔걸이를 제거해 어께 부분의 벨트와 패드 부분을 휠 하우징에 추가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1991년 차량의 경우 기존 700-R4형 4단 자동변속기가 4L60형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5.7L V8 엔진의 스로틀 연료 주입 방식의 축 베어링이 더 길어졌고 스로틀 복귀 스프링이 새로워졌고 연료 혼합물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고강도 흡기 밸브와 금속 캠축 스프로킷이 적용되었으며 모든 기본 엔진에는 더 가볍고 강력한 100 암페어의 CS130형 교류 발전기가 탑재되었다.

또한 브릴리언트 블루 색상과 슬레이트 메탈릭 색상이 추가되었다.

2.2.1. 제원

쉐보레 K5 블레이저(2세대) 파워트레인
<colbgcolor=#FFFFFF,#191919> 구분 4.1L I6 엔진 4.8L I6 엔진 5.0L(305cu) V8 엔진 5.0L(307cu) V8 엔진 5.7L V8 엔진 6.6L V8 엔진 6.2L 디트로이트 디젤 V8 엔진
생산 기간 1973년~ 1978년 1979년~ 1984년 1973년~ 1974년 1981년~ 1986년 1981년 1987년 1973년 1973년~ 1986년 1981년~ 1986년 1987년~ 1991년 1975년~ 1980년 1982년~ 1991년
최대 파워 105마력 130마력 - 160마력 155마력 130마력 170마력 130마력 160마력 210마력 185마력 135마력
최대 토크 251Nm 285Nm - 319Nm 325Nm 353Nm 298Nm 373Nm 353Nm 407Nm 325Nm
비고 - 연방정부 기준 캘리포니아 주 기준 2배럴 카뷰레터 탑재 스로틀 방식 연방정부 기준 - 스로틀 방식 -

파워트레인 1984년까지 4.1L I6 엔진이 기본 탑재되었으며 이외에도 4.8L I6 엔진, 스몰 엔진 계열의 5.0L(305cu/307cu) V8 엔진, 5.7L V8 엔진, 6.6L V8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6.2L 디트로이트 디젤 V8 엔진 라인업 역시 존재하였다. 이와 함께 SM465형 4단 수동변속기, TH-350형/TH-400형 3단 수동변속기, 700-R4형(이후 4L60형으로 변경)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이후 1981년 아랍 지역에서 석유 금수조치와 1979년 2차 오일 쇼크로 인한 에너지 위기를 겪으면서 쉐보레 GMC 차량에 적용된 5.0L V8 305cu 엔진의 압축비가 9.2:1로 변경되었다. 변경으로 인해 350cu 5.7L V8 엔진과 비슷한 토크를 내면서 비슷한 주행감을 보이기도 했으나 전기 스파크 제어 모듈과 같은 곳에서 전력 부족으로 인해 차량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결함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압축비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 76cc의 실린더 헤드 부분을 56cc로 줄였다.

2.2.2. 판매량

쉐보레 K5 블레이저(2세대) 판매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 판매량
1973년 44,841대
1974년 56,798대
1975년 50,548대
1976년 74,389대
1977년 86,838대
1978년 88,858대
1979년 90,987대
1980년 31,776대
1981년 23,635대
1982년 24,514대
1983년 26,245대
1984년 39,329대
1985년 40,011대
1986년 37,310대
1987년 32,437대
1988년 28,446대
1989년 26,663대
1990년 18,921대
1991년 7,332대
}}} ||

2.2.3. 군용 사양(M1009 CUCV)

파일:K5 블레이저 CUCV.png
K5 블레이저 CUCV 사양(M1009 CUCV)

이 차량은 1976년 험비를 탄생시킨 주역인 빅 히키가 과거 제작한 군용 CUCV 차량의 프로토타입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생산되었으며 M1009 CUCV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었다.

민수 사양과의 차이로는 에어컨이 없고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이 추가되었으며, 하이브리드 12/24V 전기 시스템, 블랙아웃 헤드램프, 전면부 브러시 보호막, 소총 장착 틀, 무광 특수 페인트 작업 등이 이루어졌다. 색상은 주로 칙칙한 올리브색 혹은 녹색, 위장 패턴 등이 있었으며, 일부 차종은 사막 지대 특성을 고려한 황갈색 색상이 적용되기도 했다.

파생 차량을 포함한 모든 M1009 CUCV 사양은 파워트레인으로 6.2L 디트로이트 디젤 V8 엔진이 탑재되었다. 하이브리드 12/24V 전기 시스템은 2개의 별도 12V 교류 발전기[6]가 직렬로 연결되어 예열 플러그 시스템, 분사 펌프, 시동 장치, 점퍼 케이블 팩에는 24V가 사용되고 나머지는 12V 발전기가 이용되는 방식이다.[7]

현재 소집이 해제된 일부 CUCV들은 미국의 많은 법 집행 기관들과 정부에서 경매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나 일부 M1009 CUCV 차량은 주 방위군에 의해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한미군의 관용차로도 이용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 동두천이나 용산의 미군기지에서 제법 보였으며 현재는 소수의 차량이 민간에 불하되어 오프로드 차량으로 활용되고 있다.

2.3. 3세대(1992~1995)

파일:1992 쉐보레 K5 블레이저.png
차량의 후면부

1988년에 C/K 트럭 라인업에 활용된 GMT400 플랫폼이 적용된 형태로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부터 K5 블레이저의 GMC 배지 엔지니어링 사양은 지미에서 유콘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생산은 미국 위스콘신 주 제인스빌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 쉐보레의 스몰 엔진 계열의 5.7L L05형 V8 엔진이 탑재되었고 스로틀 바디 연료 주입식 형태를 띄고 있었으며, C/K 트럭 전용 엔진인 6.5L 디트로이트 디젤 터보 V8 엔진이 탑재되었고 188마력의 파워와 450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이와 함께 4L60형 4단 자동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1995년을 끝으로 단종되었고 후속 모델은 쉐보레 타호 GMC 유콘이며, 2도어 사양과 4도어 사양이 제공되었다.

3. 미디어

4. 기타

공식 수입된 적은 없지만, 국내에도 미군 부대에서 불하받은 2세대 6.2 디젤 모델(심지어 군용으로 쓰다가 퇴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모델도)이 소수나마 존재한다. 다만 대다수가 디젤인데다가 생산 시기가 생산 시기인 만큼 배출가스 5등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8] 근 시일내로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수입차들은 배출가스저감장치의 개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 물론 LS 가솔린 엔진을 스왑하게 된다면 배출가스 등급제에 의한 규제를 벗어날 수 있긴 하나[9][10], 어마무시한 비용이 들어갈 것을 각오해야한다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아 일본 미쯔오카에서 최초의 SUV 차량인 버디라는 차량을 개발했는데, 기반 차량이 토요타 라브4이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F9835>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 레치 · 비트해치백 · 비트세단 · 스파크
소형차 아베오/ 세일/ 옵트라(3세대) · 코발트 · 오닉스 스프린트 · 슈피리어 · 몬자 · 베가 · 셰베트 ·
셰베트(남미형) · 마라조 · 메트로 · 코르사 ·
넥시아 · 라노스 · MW · 쉐비 ·
셀타 · 스프링고 EV · 클래식 · 애자일 ·
프리즈마 · 쉐비 말리부 · 볼트 EV
준중형차 멘로 · 몬자(중국형) · 캐벌리어(멕시코형) · 라세티(동유럽형) 콜베어 · 레이크우드 · 피렌자 · 캐벌리어 ·
코르시카 · 베레타 · 스펙트럼 · 프리즘 ·
아스트라 · 코발트 · 옵트라(1~2세대) · 볼트 ·
크루즈 · 카시아 · 1700 · 노바 · 사이테이션
중형차 - 시리즈 H · 시리즈 F · 시리즈 490 · 시리즈 D ·
시리즈 M 코퍼-쿨드 · 150 · 210 · 셰빌 ·
셰빌 그린브리어 · 셀러브리티 · 루미나 · 레코드 ·
2500
· 벡트라 · 엘 카미노 · 알레로 · 셰베어 ·
몬자(브라질형) · 에피카 · 말리부 클래식 · 말리부
준대형차 - 오팔라 · 코모도어 · 3800 / 4100 ·
오메가 · 루미나 · SS · 임팔라
대형차 - 시리즈 C 클래식 식스 · 라이트 식스 · 시리즈 FA ·
시리즈 FB · 시리즈 AA 캐피톨 · 시리즈 AB 내셔널
· 시리즈 AC 인터내셔널 · 시리즈 AD 유니버설 ·
시리즈 AE 인디펜던스 · 시리즈 BA 컨페더레이트 ·
시리즈 CA 이글/마스터 · 스탠다드 식스 · 마스터 ·
디럭스/스타일라인 · 스타일마스터 · 벨 에어 ·
벨 에어(캐나다) · 노매드 · 콘스탄티아 · 카프리스 ·
엘 카미노 · 플리트마스터 · 플리트라인 · 타운즈맨
· 뷰빌 · 브룩우드 · 킹스우드 · 파크우드 · 델레이
· 여맨 · 비스케인 · 제나토어
스포츠카・슈퍼카 콜벳 몬테 카를로 · 칼리브라 · 티그라 · SSR · 카마로
소형 SUV 트랙커 · 트레일블레이저 · 그루브 · 시커 · 트랙스(2세대) 크루즈 · 트랙커 · 트랙스(1세대) · 볼트 EUV
준중형 SUV 이쿼녹스 · 캡티바(2세대) 니바 · 캡티바 스포트
중형 SUV 블레이저 · 이쿼녹스 EV · 트레일블레이저 K5 블레이저 · S-10 블레이저 · 트레일블레이저 · 캡티바(1세대)
준대형 SUV 트래버스 · 블레이저 EV -
대형 SUV 타호 -
초대형 SUV 서버번 -
소형 픽업트럭 몬태나 · D-맥스 셰비 500 · SSR
중형 픽업트럭 콜로라도 · S10 맥스 LUV · S-10 픽업
대형 픽업트럭 실버라도 · 실버라도 EV AK 시리즈 · 태스크 포스 · 어드밴스 디자인 ·
C/K · 아발란치 · D-20 · 세리에 10
슈퍼 픽업 - 코디악
소형 MPV 스핀 로바 · 콤보 · 타쿠마
준중형 MPV - HHR · 메리바 · 타베라 · 올란도
중형 MPV - 아스트로 · 루미나 APV · 벤쳐 · 업랜더 · 자피라
경상용차 다마스 · 라보 · N300/무브 · N400/토르나도 밴 -
LCV 익스프레스( 스타크래프트 밴) · 익스프레스 맥스 · 로우 캡 포워드 · 브라이트드롭 400 · 브라이트드롭 600 트래픽 · 그린브리어 · 셰비 밴 · 시티 익스프레스
트럭 로우 캡 포워드 타이탄 · 바이슨 · 브루인
경찰차 타호 PPV · 실버라도 SSV / PPV · 블레이저 EV PPV 임팔라 PPV · 카프리스 PPV
}}}}}}}}} ||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냉전기
미군 기갑차량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 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 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 경전차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 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 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 소형 M151, 험비, M1009 CUCV
트럭 건 트럭, M602, M35, M37, M39 M715, M809R, M939R, M977 HEMTT
자주포 자주곡사포 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R, M4 (105)R, M4A3 (105)R, M4 (105) HVSSR, M4A3 (105) HVSSR, M4 (105) 셔먼 도저R, POA-CWS-H5R, M4A3 (105) "포큐파인"R, M45 중형전차R
자주박격포 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 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 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캐나다 국기.svg 현대 캐나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캐나다군 (1968~현재)
Canadian Armed Forces
Forces armées canadienne
<colbgcolor=#da291c> 기타전차 그리즐리 IR, M4A2 (76) W HVSSR, M4A3(76) W HVSSR, T-34-85MP/R
MBT <colbgcolor=#da291c> 1세대 센추리온 Mk.(3, 5, 11)R
2세대 레오파르트 C(1 · 2 · 2MEXAS)R, T-72M1P/R
3세대 레오파르트2A4M CAN
3.5세대 레오파르트2A6M CAN
경전차 M24 채피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코요테 ARV · AVGP(쿠거/그리즐리/허스키) · 바이슨, LAV III, { 텍스트론 TAPVM} , RG-31 Mk.3 니알라, 맘바R
궤도장갑차 M113(A1R/A3) · MTVL · 링스M/R, Bv 206, 그리즐리 캥거루 APC, { BvS 10}, TH-495 IFV
차량 소형 페랫R, 폭스바겐 일티스R, 밀콧츠 실버라도, LUVW G 바겐
트럭 M35R, HLVW, AHSVS, XF95 트로프코 트랙터,
웨스턴 스타 4900 시리즈, LSVW, MSVS,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2/A4+)R
자주박격포 바이슨 81mmR
대전차 자주포 M10 GMCR, M10 아킬레스R, 키메라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센추리온 막스맨
단거리 대공미사일 울버린, MMEV, M113 ADATSR
지원 차량 구난차량 ARV 타우러스R,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뱃저R, 위센트 2 A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P: 타 국가로부터 선물로 받은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현대 아르헨티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아르헨티나군
Fuerzas Armadas argentinas
기타전차 빅커스 카든-로이드 M1934R, DL43 나우엘R, M4 셔먼R, 셔먼 IC 하이브리드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레포텐시아도R
경전차 AMX-13, SK 105(A1R/A2), 파타곤, TAM (VC/C2)
장갑차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차륜장갑차 WZ-551, ZBL-08, AML-90, RG-12, LARC-V, UR-416
궤도장갑차 M5 하프트랙R, M9 하프트랙R, AMX-VCI, M113, VCTP, M548A1, M577A1
차량 오토바이 야마하 TT, 이스즈 DRR, 혼다 XR · 600RR
소형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 스프린터, 피아트 두카토, 험비, 핀츠가우어,
포드 레인저 · F-시리즈, 폭스바겐 아마록, CUCV, M151,
VLEGA Gaucho, 아그라엘 마루아, MRZR-D
트럭 포드 카고,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카발리노 · 유로카고,
피아트 697/619, 폭스바겐 컨스텔레이션, M35, M54, M939,
벤츠 우니모크 · 1041A, 인터네셔널 페이스타, 기아 베스타,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AMX Mk F3, VCA 155*
다연장로켓 SLAM Pampero, CITEDEF CP-30, VCLC
※ 윗첨자R: 퇴역 차량
}}}}}}}}}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그리스군
E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센토어 A27L Mk VIIIR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M47R, M48A5 MOLF
2세대 AMX-30R, M60A3 TTSR, 레오파르트 1(A5/V/GR)
3세대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레오파르트 2A6 HEL
경전차 M24 채피R
장갑차 차륜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R, M8 그레이하운드R, UR-416R, M1117
궤도장갑차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59R, 유니버설 캐리어R, AMX-10PR, M113(A1/A2),
BMP-1P Ost, 레오니다스 I/II, BMP-3, 마르더 1A3, { AAV-7A1}
차량 소형 VBL, 험비(M1114GR), G바겐
트럭 MAN KAT 1 · HX81, KrAZ-255, M35, M939,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타트라 T-810, 오시코시 M977 HEMTT · FMTV, 슈타이어 12M18
자주포 자주곡사포 M110A2, PzH2000, M109(A1B/A2/A3GEA1/A3GEA2/A5)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M106(A1/A2), M125A1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3M3 오사, 9K331 TOR-M1
다연장로켓 M270 MLRS, RM-70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BPz 3 뷔펠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현대 리투아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DB913>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주력 전차|
MBT
]]'''
<colbgcolor=#FDB913> '''[[2세대 전차|
2세대
]]'''
T-72R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IFV 빌카스 | BRDM-2R | BTR-60PB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 | M113(A1/A2) | M577V2 | Bv 206 | MT-LBR
차량 '''
초소형
'''
이륜차
KTM 530 EXC-R
ATV
캔암 아웃랜더 MAX 1000 XT-P
소형
IMV
L-ATV | 험비 | 와일드캣 1000 | 랜드로버 디펜더 (88/90/110) | 토요타 랜드 크루저 200 AT42M | 벤츠 G바겐 | 볼보 C303/304
민수용
M1008 CUCV I | 미쓰비시 L200 | 푸조 엑스퍼트
트럭
군용
시수 E13TP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볼보 C306 | 마지루스-도이츠 유피터R
상용
벤츠 아록스 · NG | DAF F218 시리즈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PzH2000 | { CAESAR Mk.II}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PzMrs M113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113A1 ARV
공병차량 MV-10 무인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KrAZ-255 PMP 부교운반차
기타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코마츠 D61PX 불도저 | JCB 4CX 백호로더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현대 에스토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0072CE>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Eesti Kaitsevägi
'''[[장갑차|
장갑차
]]'''
<colbgcolor=#0072CE>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아르마} | XA-180EST · XA-188 "파시" | M1224 맥스프로 | 맘바 Mk.2 EE | Tgb m/42 KPR | BTR-80R | BRDM-2 ESTR | BTR-60R | BTR-152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CV9035EE Mk.III · { CV90 Mk.II ISV} | Bv 206A MT | GT-TR
차량 '''
초소형
'''
허스크바나 258A MT
소형
IMV
{NMS 4×4} | 벤츠 G바겐 | VW 일티스 | 볼보 C303/304
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M1008 · M1009 · M1010 CUCV
트럭
군용
시수 E13TP |  벤츠 유니목 | MAN KAT1 | DAF YA 4440 | 볼보 C306 | 자우허 2DM/2DVR | IFA W50R · L60R | 로부르 LO/LDR | KrAZ-255R
상용
벤츠 아록스 ·  NG | DAF F218 시리즈 | MAN TGA | 볼보 FMX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K-9EST 코우 | { CAESAR 6×6 Mk.I}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무인 차량
UGV
테미스
지원차량 구난차량 BPz 2 | 벤츠 악트로스 타이탄 견인차 | 립헬 FKL 4×4 크레인
공병차량 닥스 AEV
교량차량 비버 AVLB | KrAZ-63221 TMM-3M 교량트럭
기타 코마츠 WA250 로더 | JCB 4CXt 백호로더 | JCB JS 굴착기 | 코마츠 PC240 · PW148-8 굴착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현대 사우디아라비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e8b57>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MBT <colbgcolor=#2e8b57> 1세대 M47 패튼R
2세대 AMX-30SAS, M60A3S
3.5세대 M1A2S
경전차 M41 워커 불독R
장갑차 차륜장갑차 UR-416, TPz 푹스, 파나르 M3, 넥스터 아라비스, Al-Masmak MRAP,
LAV 6.0SANG, 피라냐 IISANG, V-150SANG, EE-11SANG
궤도장갑차 M113, AMX-10PS, M2A2
차량 소형 M151R, 험비, M-ATV, URO VAMTAC, CUCV
트럭 M939, M35, HET/HEMTT,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3/A5), AU-F1, PLZ-45, CAESARSANG
자주박격포 LAV II AMS-II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AMX-30DCA
단거리 대공미사일 AMX-30 SA, 크로탈, HQ-17AE
레이저 사일런트 헌터
다연장로켓 M270 MLRS, ASTROS II, K-239 천무, TOS-1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SANG: 사우디아라비아 국가경비대(Saudi Arabia National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1] 차량의 이름은 경쟁사인 지프가 약간 GP로 발음되는 것을 반영해 그렇게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단축형 트럭 형태의 차량이면서 4륜구동 후륜구동 사양을 갖추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2] 여담으로, 이 두 경쟁 차종 역시 지프 CJ 픽업 트럭을 경쟁 상대로 삼고 개발이 이루어진 차량이었다. [3] 이는 '그래니 기어'(Granny Gear)라고도 불렸으며, 6.55:1 비율의 낮은 1단 기어 때문이었다. [4] 1988년형 이후부터는 NP-241형 트랜스퍼 케이스가 적용되었다. [5] 1970년대 후반부터 단계적으로 생산되어 1980년대 초반까지는 후면 12볼트 차축과 겹치는 경우가 있기는 했었다. [6] 당시 일반적인 픽업 트럭 차량이 12V 교류 발전기를 사용했다. [7] 다만, 예열 플러그는 저항기 팩으로 인한 방화벽으로 인해 24V가 아닌 12V로 떨어지긴 했으나, 우회가 가능했고 12V 배터리에서 직접 작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 작업을 거친 후에 군용 24V 슬레이브 어댑터를 분리한 후 12V 배터리로 교체하면 1개의 교류 발전기로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8] 국내에 가솔린모델의 개체가 있다 한들, 87년도 이전의 환경기준으로 출고되었다면 짤없이 5등급이다 [9] LS 엔진의 경우 어지간한 GM 차들은 수월하게 스왑이 되도록 개조 키트가 시중에 나오고 있고, 기존 엔진 대비 출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조변경 승인에도 큰 문제가 없다 [10] 또한 환경부 홈페이지 FAQ 게시판에서도 유로3 이하 디젤엔진을 유로4 이상 디젤엔진 또는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원동기(가솔린, LPG, 전기 등)로 구조변경이 될 경우에는 저공해조치차량으로 분류됨을 고지하고 있다